KR20050008301A - 건축물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301A
KR20050008301A KR1020030048209A KR20030048209A KR20050008301A KR 20050008301 A KR20050008301 A KR 20050008301A KR 1020030048209 A KR1020030048209 A KR 1020030048209A KR 20030048209 A KR20030048209 A KR 20030048209A KR 20050008301 A KR20050008301 A KR 2005000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rame
ventilation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795B1 (ko
Inventor
최용권
Original Assignee
최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권 filed Critical 최용권
Priority to KR10-2003-004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7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3Ventilating devices for inserting under upwardly-slid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문이나 도어 등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방 하부로 상향 개구된 외측 환기구(12)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차단막(5)을 이격 설치하는 외측프레임(10)과; 내측 환기구(22)를 형성하는 내측프레임(20)을 하부의 결합설치부(7)의 폭 사이즈를 조절하며 상호 결합 구성하되, 상기 내측프레임(20)의 환기구(22)에는 도어프레임(30)을 결합하여 내측 하부의 삽입요부(32)와 힌지요부(36)로 개폐조절구(40)와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를 각각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개폐도어(45)를 상하 회동하면서 환기구를 개방 조절하거나 상기 개폐조절구(40)와 로크돌기(42)(47)로 상호 잠금작동하면서 폐쇄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므로서; 폭 사이즈가 조절되는 결합 설치부에 의해 창문이나 도어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외측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사용하되, 상항 개구된 환기구, 차단막 등에 의해 빗물이나 기타 먼지의 유입과 외풍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환기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고, 또한 개폐구의 개방조절로 환기구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환기량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FOR A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문이나 도어 등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창문이나 도어 등의 개폐없이 건축물의 내,외측 공기를 환기시키되, 빗물이나 기타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환기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환기구의 간편한 개폐조절에 의해 환기량 조절이 가능하고, 설치 결합부의 폭 사이즈를 조절하면서 설치 작업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건축물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의 역활은 주로 빛을 받아 들이는 채광역활과 창문을 여닫음으로서 실내외 공기를 환기 시키는 역활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창문은 상기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는 경우에 강한 바람이 유입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0-216482호에서는 창문프레임의 전후로 환기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전방에 소공집합부를 갖는 전면판과 후방에 구멍을 갖는 후면판을 스페이서로 연결한 환기조절구를 슬라이딩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 환기공을 개폐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프레임의 전방으로는 환기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상기 환기조절구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절하면서 전면판의 소공집합부와 후면판의 구멍이 창문프레임과 맞물리는 정도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하면서 환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상기 환기장치는 창문프레임 상에 직접 구비한 것으로서, 범용적인 창문프레임이나 그 밖의 도어와 벽면체 등에는 그 설치상의 제약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창문프레임의 환기공, 전면판의 소공집합부, 후면판의 구멍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수평으로 출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 또는 강한 바람의 유입이 용이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전면판의 소공집합부의 구멍을 작게 형성하며는 빗물이나 먼지의 유입을 다소 방지할 수 있으나 환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환기장치는 환기량을 조절시 전면판과 후면판을 스페이서로 결합한 환기조절구 전체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상기 환기조절구의 이동을 위해서는 창문프레임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환기조절구가 닫힌 상태에서도 틈새 발생에 의해 겨울철 열손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창문이외에 건축물의 도어 등도 사람의 출입이외에 환기의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한 창문과 마찬가지로 도어를 열어 두면 외부의 강한 바람과 먼지,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고, 이 경우 전술한 창문용 환기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창문이나 도어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외측 공기를 환기시키되 빗물이나 기타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환기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구의 간편한 개폐조절에 의해 환기량 조절이 가능하고, 설치 결합부의 폭 사이즈 조절에 의해 설치 작업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하부로 상향 개구된 외측 환기구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차단막을 이격 설치하는 외측프레임과; 내측 환기구를 형성하는 내측프레임을 하부의 결합설치부의 폭 사이즈를 조절하며 상호 결합 구성하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환기구에는 도어프레임을 결합하여 내측 하부의 삽입요부와 힌지요부로 개폐조절구와 개폐도어의 힌지돌부를 각각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개폐도어를 상하 회동하면서 환기구를 개방 조절하거나 상기 개폐조절구와 로크돌기로 상호 잠금작동하면서 폐쇄하는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 단면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차단막 10: 외측프레임
12,22: 환기구 15: 결합돌부
20: 내측프레임 25: 결합홈부
30: 도어프레임 32: 삽입요부
36: 힌지요부 40: 개폐조절구
45: 개폐도어 50: 하부프레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상의 환기구를 개폐조절하면서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전방의 전면커버(11) 하부로 상향 개구된 외측 환기구(12)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외풍에 의해 환기구(12)를 차단하는 차단막(5)을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하부 내측으로 결합돌부(15)(15)를 돌출 형성한 외측프레임(10)과;
전방 상하부에 상기 외측프레임(10)의 결합돌부(15)(15)가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하부로 결합설치부(7)를 형성하는 결합홈부(25)(25)와 후방으로 내측환기구(22)를 형성하는 내측프레임(20)으로 구성하되;
상기 내측프레임(20)의 환기구(22)에는 내측 하부로 삽입요부(32)와 힌지요부(36)를 전후로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0)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요부(32)와 힌지요부(36)로 개폐조절구(40)와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를 각각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개폐도어(45)를 상하 회동하면서 환기구를 개방하거나 상기 개폐조절구(40)와 로크돌기(42)(47)로 상호 잠금작동하면서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프레임(10)의 결합돌부(15)(15)에는 다수의 요철부(16)를 형성하고, 내측 프레임(20)의 결합홈부(25)에는 상기 요철부(15)에 걸림작동하는 걸림턱(26)을 형성하여 상기 내,외측 프레임(10)(20)을 전후로 삽입 조절하면서 결합설치부(7)의 폭사이즈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에는 외표면으로 다수의 요철부(46a)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조절구(40)에는 상기 힌지돌부(46)의 요철부(46a)를 탄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발걸림단(4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개폐도어(45)의 개폐정도를 다단계로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5)은 그 길이를 달리 형성하여 외풍에 의해 내측 환기구(12)의 일부만 차단하거나 환기공(12) 전체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로서, 6은 차단막(5)이 전면커버(1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돌기, 13, 23은 내,외측 프레임(10)(20)의 환기공, 50은 내측프레임(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48는 개폐도어(45)의 파지부, 38은 개폐도어(45)가밀착되는 위치로 도어프레임(30)상에 결합되는 기밀링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창문이나 기타 도어(2) 등에 간편하게 설치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내,외측 프레임(10)(20)을 전후로 삽입 조절하면서 결합 설치부(7)의 폭 사이즈를 조절하므로 설치 장소의 창문틀이나 문틀의 폭 사이즈에 대응되게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폭 조절된 상태의 내,외측 프레임(10)(20)은 결합돌부(15)상의 요철부(16)를 결합홈부(25)의 걸림턱(26)이 지지하고 있어 폭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개폐시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환기장치가 폐쇄시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45)가 개폐조절구(40)와 상호 로크돌기(42)(47)로 맞물려 잠금작동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45)의 선단은 도어프레임(30)상의 기밀링(38)에 밀착되어 있어 외부 공기의 출입이 완전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환기장치를 개방하여 환기를 이루고자 할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45)를 힌지요부(36)를 지점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시켜 내측 환기구(2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46a)가 개폐조절구(40)의 탄발걸림단(43)에 탄발 가압하며 지지되도록 걸리면서 개폐도어(45)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면서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측 환기구(22)를 개방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외측 환기구(12)과 외측 프레임(10)의 환기공(13), 내측 프레임(20)의 환기공(23), 내측 환기구(22)을 통해 개방된 실내로 유입되고, 역으로 실내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면서 환기를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외측 환기구(12)는 상향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상향 안내되게 유입되고, 또한 상기 개폐도어(45)에 의해 개방되는 내측 환기구(22)도 상향 개방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상향 안내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원활히 환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외측 환기구(12)를 통해 강한 외풍이 유입시에는 상기 외측프레임(10)의 전면커버(1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막(5)이 외풍에 밀려 환기공(13)을 차단하므로 외풍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5)은 그 길이를 달리 형성함에 따라 강한 외풍에 의해 환기공(13)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체적으로 차단하도록 적용하여서 실내에 강풍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3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때,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20)의 상,하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요부(18)(28)를 대향 형성하여 "U" 형상의 결합구(60)로 상호 결합 형성하되, 상기 내측 프레임(20)은 내측 하부에 삽입요부(132)와 힌지요부(136)를 전후로 형성하여 개폐조절구(40)와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를 각각 삽입 설치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하는 결합구(60)의 폭 길이에 따라 결합설치부(7)의 폭 사이즈를 달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그 작동 및 작용은 동일하나 내,외측 프레임(10)(20)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고, 도어프레임을 배제한 상태로 개폐조절구(40)와 개폐도어(45)를 내측프레임(20)에 직접 결합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폭 사이즈가 조절되는 결합 설치부에 의해 창문이나 도어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외측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사용하되, 상항 개구된 환기구, 차단막 등에 의해 빗물이나 기타 먼지의 유입과 외풍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환기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고, 또한 개폐구의 개방조절로 환기구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환기량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프레임상의 환기구를 개폐조절하면서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전방의 전면커버(11) 하부로 상향 개구된 외측 환기구(12)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외풍에 의해 환기구(12)를 차단하는 차단막(5)을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하부 내측으로 결합돌부(15)(15)를 돌출 형성한 외측프레임(10)과;
    전방 상하부에 상기 외측프레임(10)의 결합돌부(15)(15)가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하부로 결합설치부(7)를 형성하는 결합홈부(25)(25)와 후방으로 내측 환기구(22)를 형성하는 내측프레임(20)으로 구성하되;
    상기 내측프레임(20)의 환기구(22)에는 내측 하부로 삽입요부(32)와 힌지요부(36)를 전후로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0)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요부(32)와 힌지요부(36)로 개폐조절구(40)와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를 각각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개폐도어(45)를 상하 회동하면서 환기구를 개방하거나 상기 개폐조절구(40)와 로크돌기(42)(47)로 상호 잠금작동하면서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10)의 결합돌부(15)(15)에는 다수의 요철부(16)를 형성하고, 내측 프레임(20)의 결합홈부(25)에는 상기 요철부(15)에 걸림작동하는 걸림턱(26)을 형성하여 상기 내,외측 프레임(10)(20)을 전후로 삽입 조절하면서 결합설치부(7)의 폭사이즈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20)의 상,하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요부(18)(28)를 대향 형성하여 "U" 형상의 결합구(60)로 상호 결합 형성하되, 상기 내측 프레임(20)은 내측 하부에 삽입요부(132)와 힌지요부(136)를 전후로 형성하여 개폐조절구(40)와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를 각각 삽입 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환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45)의 힌지돌부(46)에는 외표면으로 다수의 요철부(46a)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조절구(40)에는 상기 힌지돌부(46)의 요철부(46a)를 탄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발걸림단(4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개폐도어(45)의 개폐정도를 다단계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2003-0048209A 2003-07-15 2003-07-15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050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209A KR100508795B1 (ko) 2003-07-15 2003-07-15 건축물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209A KR100508795B1 (ko) 2003-07-15 2003-07-15 건축물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01A true KR20050008301A (ko) 2005-01-21
KR100508795B1 KR100508795B1 (ko) 2005-08-22

Family

ID=3722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209A KR100508795B1 (ko) 2003-07-15 2003-07-15 건축물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91B1 (ko) * 2008-12-31 2010-01-20 정도갑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427A (ko) * 2016-06-15 2017-12-26 주식회사 엘파 방문 두께에 대응하는 장착구조를 구비한 방문용 자연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91B1 (ko) * 2008-12-31 2010-01-20 정도갑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8795B1 (ko) 200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KR100508797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2178628B1 (ko)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101245822B1 (ko) 미서기창호의 회전식 방풍가이드
KR101016203B1 (ko) 미닫이 창호의 슬라이딩 틈새 밀봉장치
KR100767069B1 (ko)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KR101149684B1 (ko) 한옥용 문의 이중 개폐장치
KR20120118774A (ko) 자연 순환식 환기창
KR102329603B1 (ko) 창짝 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창
KR20130105038A (ko)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GB2152991A (en) Window or door mounting assembly
KR100508795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20080101154A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10128626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조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2086664B1 (ko) 방진방충망이 설치되어진 루버창호
KR200331778Y1 (ko) 창문용 환기장치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200418516Y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0355688Y1 (ko) 창문용 환기장치
KR101756175B1 (ko) 창호 일체형 자연환기 장치
KR102448167B1 (ko) 이탈방지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행거식 출입문
CN219119080U (zh) 一种幕墙结构的开启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