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62B1 - 차량용 에어밴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62B1
KR101290662B1 KR1020110110045A KR20110110045A KR101290662B1 KR 101290662 B1 KR101290662 B1 KR 101290662B1 KR 1020110110045 A KR1020110110045 A KR 1020110110045A KR 20110110045 A KR20110110045 A KR 20110110045A KR 101290662 B1 KR101290662 B1 KR 10129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amper knob
coupling
knob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679A (ko
Inventor
전완수
Original Assignee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 공용성이 개선된 차량용 에어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는 케이싱, 댐퍼, 댐퍼로드 그리고 댐퍼노브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싱은 몸체를 이루며 내측에 송풍 유로가 형성된다. 댐퍼는 케이싱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송풍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댐퍼로드는 일단부가 댐퍼와 힌지 결합되어 댐퍼가 회전하도록 작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댐퍼노브 조립체는 외력이 가해지는 터치부가 구비되는 리어 댐퍼노브와, 리어 댐퍼노브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힌지 결합된 댐퍼 로드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프론트 댐퍼노브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밴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 공용성이 개선된 차량용 에어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시스템이 장착되며, 공조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냉기 및 온기는 덕트를 통해서 차량의 실내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설치된 공기 통풍구로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통풍구에는 공조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풍향 및 풍량을 조절하는 에어밴트(air vent)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밴트에는 댐퍼가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냉기 및 온기의 풍량이 조절되게 되며, 상기 댐퍼는 댐퍼조절부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상기 댐퍼조절부는 댐퍼노브와, 상기 댐퍼노브와 상기 댐퍼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댐퍼조절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댐퍼노브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기 위하여 크롬도금이 적용되는 경우, 크롬도금 두께에 따른 치수 편차가 발생하여 회전축과 판스프링과 같은 별도 부품의 조립이 어려워지고, 조립 후에도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댐퍼노브에 크롬도금이 적용되는 경우, 댐퍼노브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힌지부 및 링크부재가 결합되는 힌지부에 각각 마스킹(masking) 처리를 위한 공정이 추가 발생되어 생산 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크롬도금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거나 외력이 적용되는 부분에서의 취성증가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 공용성이 개선된 차량용 에어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며 내측에 송풍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송풍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 일단부가 상기 댐퍼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댐퍼가 회전하도록 작동력을 전달하는 댐퍼로드;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는 터치부가 구비되는 리어 댐퍼노브와, 상기 리어 댐퍼노브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힌지 결합된 상기 댐퍼 로드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프론트 댐퍼노브를 갖는 댐퍼노브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밴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어 댐퍼노브는, 상기 터치부가 형성되는 제1외주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외주부를 가지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제3외주부가 상기 제2외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가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는 외부 플레이트를 가지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의 사이에는 일측면에 형성된 제4외주부가 상기 제3외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의 양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결합리브가 삽입되도록 하고, 일면에는 상기 제3외주부에 대응되는 제5외주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리브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삽입리브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결합리브 및 상기 외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는 크롬도금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에는,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의 회전시에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밀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댐퍼노브 조립체가 별도의 리어 댐퍼노브와 프론트 댐퍼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에 회전축과 댐퍼로드와 같은 작동부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용 에어밴트의 크기 및 형상 등의 변경시에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의 형상만을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회전축과 댐퍼로드와 같은 작동부가 결합되지 않는 리어 댐퍼노브에만 크롬도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마스킹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수불량이나 이음 발생과 같은 문제점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셋째, 프론트 댐퍼노브에 탄성걸림부와 밀착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부품수가 절감되고, 이를 통해, 작업공정의 축소로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리어 댐퍼노브와 프론트 댐퍼노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의 커버, 결합프레임 및 리어 댐퍼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의 프론트 댐퍼노브를 나타낸 정면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밴트는 케이싱(10), 댐퍼(미도시), 댐퍼로드(20) 그리고 댐퍼노브 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차량용 에어밴트의 몸체를 이루며 내측에 송풍 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는 상기 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는 회전하면서 상기 송풍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와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로드(2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는 차량의 실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시 외부에 노출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리어 댐퍼노브(40)와, 상기 댐퍼로드(20)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프론트 댐퍼노브(70)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리어 댐퍼노브(4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리어 댐퍼노브(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어 댐퍼노브(40)와 연결된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도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댐퍼로드(20)에 작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로드(20)에 전달된 작동력에 의해 상기 댐퍼가 회전하면서 상기 송풍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리어 댐퍼노브와 프론트 댐퍼노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의 커버, 결합프레임 및 리어 댐퍼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밴트의 댐퍼노브 조립체의 프론트 댐퍼노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는 리어 댐퍼노브(40)와 프론트 댐퍼노브(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어 댐퍼노브(40)는 커버(50)와 결합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5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1외주부(51)에는 엠보싱 형상의 터치부(52)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부(52)는 차량의 실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시 외부에 노출되게 되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0)의 내측에는 수용공간(53)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5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2외주부(54)는 개방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53)은 상기 제2외주부(54)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60)은 프레임부(61)와 외부 플레이트(62)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61)에는 한 쌍의 지지리브(6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63)는 상기 수용공간(53)에 구비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리브(63)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3외주부(64)는 상기 제2외주부(54)의 외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63)의 사이에는 결합리브(6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리브(65)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3외주부(64)보다 외측에 돌출되도록 제4외주부(6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결합리브(65)의 양단부에는 결합돌기(67)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플레이트(62)는 상기 커버(50)의 상면(55) 및 하면에 구비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 플레이트(62)는 상기 프레임부(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60)은 1차 사출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61)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62)가 일체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6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일 수 있다.
또한, 1차 사출된 상기 결합프레임(60)에는 크롬도금이 후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롬도금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62)의 전부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실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리어 댐퍼노브(40)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롬도금은 상기 결합프레임(60)의 상기 결합리브(65)에도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리브(65)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할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의 결합부(75)와 결합되는 상기 결합돌기(67)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어 상기 리어 댐퍼노브(40)와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크롬도금은 상기 지지리브(63)에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후,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1차 사출된 상기 결합프레임(60)에 상기 커버(50)를 인서트 사출로 2차 사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61)는 상기 커버(50)의 수용공간(53)에 위치되고, 상기 외부 플레이트(62)는 상기 커버(50)의 상,하면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50)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플라스틱 탄성체)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는 몸체부(71), 삽입리브(72) 및 결합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71)는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되는 제1힌지부(7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71)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리브(7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리브(7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내측으로 상기 결합리브(65)가 삽입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리브(72)의 일면에는 상기 제3외주부(64)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5외주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리브(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7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75)에는 상기 결합돌기(67)가 결합되는 결합홈(7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리브(65)가 상기 삽입리브(72)의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돌기(67)는 상기 결합부(75)의 결합홈(76)에 결합하게 되면서,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와 상기 리어 댐퍼노브(40)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서로 대응되게 형상된 상기 삽입리브(72)의 제5외주부(73)와 상기 지지리브(63)의 제3외주부(64)가 밀착되면서 외관상으로도 자연스러운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75)에는 상기 결합홈(76)으로 상기 결합돌기(67)가 잘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형상의 안내부(7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에는 탄성걸림부(80)와 탄성밀착부(83)가 일체로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걸림부(80)는 걸림턱(81)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81)은 상기 케이싱(도 1의 10)에 구비되는 걸림홈(미도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가 회전시에 상기 걸림턱(81)이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의 회전각도가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밀착부(83)는 상기 제1힌지부(7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속적인 링(ring) 형상(예를 들면, O-ring)이나 부분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밀착부(83)는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가 회전시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30)의 회전감이 향상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는 POM(polyoxymetylene: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70)에는 크롬도금이 적용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종래에 크롬도금시 상기 제1힌지부(74) 및 상기 댐퍼로드(도 1의 1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힌지부(85)에 적용되었던 마스킹 공정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케이싱 20: 댐퍼로드
30: 댐퍼노브 조립체 40: 리어 댐퍼노브
50: 커버 51: 제1외주부
53: 수용공간 54: 제2외주부
60: 결합프레임 61: 프레임부
62: 외부 플레이트 63: 지지리브
64: 제3외주부 65: 결합리브
66: 제4외주부 67: 결합돌기
70: 프론트 댐퍼노브 72: 삽입리브
73: 제5외주부 75: 결합부
76: 결합홈 77: 안내부
80: 탄성걸림부 83: 탄성밀착부

Claims (6)

  1. 몸체를 이루며 내측에 송풍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송풍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
    일단부가 상기 댐퍼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댐퍼가 회전하도록 작동력을 전달하는 댐퍼로드;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는 터치부가 구비되는 리어 댐퍼노브와, 상기 리어 댐퍼노브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힌지 결합된 상기 댐퍼 로드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프론트 댐퍼노브를 갖는 댐퍼노브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 댐퍼노브는,
    상기 터치부가 형성되는 제1외주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외주부를 가지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제3외주부가 상기 제2외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가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는 외부 플레이트를 가지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사이에는 일측면에 형성된 제4외주부가 상기 제3외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의 양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결합리브가 삽입되도록 하고, 일면에는 상기 제3외주부에 대응되는 제5외주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리브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삽입리브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밴트.
  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결합리브 및 상기 외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는 크롬도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댐퍼노브에는,
    상기 댐퍼노브 조립체의 회전시에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밀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밴트.
KR1020110110045A 2011-10-26 2011-10-26 차량용 에어밴트 KR10129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045A KR101290662B1 (ko) 2011-10-26 2011-10-26 차량용 에어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045A KR101290662B1 (ko) 2011-10-26 2011-10-26 차량용 에어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679A KR20130045679A (ko) 2013-05-06
KR101290662B1 true KR101290662B1 (ko) 2013-07-30

Family

ID=4865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045A KR101290662B1 (ko) 2011-10-26 2011-10-26 차량용 에어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16B1 (ko) * 2013-09-17 2015-01-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다이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64Y1 (ko) 2005-09-08 2005-12-23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090007164A (ko) * 2007-07-13 2009-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송풍조절장치
KR20090078679A (ko) * 2008-01-15 2009-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벤트
KR20110003480U (ko) * 2009-09-30 2011-04-0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64Y1 (ko) 2005-09-08 2005-12-23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090007164A (ko) * 2007-07-13 2009-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송풍조절장치
KR20090078679A (ko) * 2008-01-15 2009-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벤트
KR20110003480U (ko) * 2009-09-30 2011-04-0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679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532B1 (ko) 자동차 에어벤트의 듀얼 댐퍼 장치
KR20047474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다이얼
JP2016539840A (ja) 車両通気口用のウィングノブを取り付けるための構造
JP6660799B2 (ja) ダンパプレート
KR20060025048A (ko) 차량의 에어 벤트
WO2016006502A1 (ja) 通気口の開閉機構
KR101290662B1 (ko) 차량용 에어밴트
KR20046222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WO2012137466A1 (ja) 差圧作動式の換気口
KR20100006024U (ko) 롱작동레버가 구비된 창문용 통풍장치
KR20045797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US20140315478A1 (en) Air vent device of vehicle
KR101481916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다이얼
KR20045875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TR201802783T4 (tr) Bir kapı kapatma donanım parçasına sahip olan ev tipi soğutma cihazı.
KR102519476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3661816B2 (ja) サンバイザの支持装置
JP7306246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KR10129066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1111B1 (ko)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의 조립방법
JPH04227421A (ja) 電子レンジのドア開閉装置
CN206073405U (zh) 一种空调器的顶盖
JPH09137987A (ja) 通風口のシャッタ装置
JP3182390B2 (ja) 調理機器の操作つまみ部の飾りリングの取り付け構造
KR100518413B1 (ko) 냉장고의 도어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