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423A -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423A
KR20140110423A KR1020130024701A KR20130024701A KR20140110423A KR 20140110423 A KR20140110423 A KR 20140110423A KR 1020130024701 A KR1020130024701 A KR 1020130024701A KR 20130024701 A KR20130024701 A KR 20130024701A KR 20140110423 A KR20140110423 A KR 20140110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late
deck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자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to KR102013002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423A/ko
Publication of KR2014011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판이나 받침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데크판을 받침부재의 상부에 조립만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된 두 개의 받침부재의 상부에 판형의 데크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며 상기 데크판 측 단부의 하면이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판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내측부와 마주보게 하부 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평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데크판의 측 단면에 밀착되는 수직 밀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밀착판의 상부에는 상기 데크판 측 단부의 상면이 밀착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데크판 고정부재와; 상기 수평탭홀에 체결되어 조임을 통해 상기 수직부와 받침부재의 내측부의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데크판 양측의 측 단면을 눌러주게 하는 데크판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Assembly type deck plat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판이나 받침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데크판을 받침부재의 상부에 조립만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친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 광장 또는 도로변에 위치한 상가 앞의 바닥과 같은 실내외의 바닥면을 마감하는 데 있어 다른 자연 친화적인 목재 데크를 바닥 마감재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목재 데크는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주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며,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에 종래의 목재 데크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의 상부에 직교되게 안착되어 받침부재의 상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데크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목재나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데크판은 보행자가 밟고 지나가는 것으로 목재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판을 받침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데크판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못이나 나사못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못이나 나사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데크판을 고정시키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데크판에 못이나 나사못을 박을 때 목재로 구성된 데크판이 갈라지는 손상이 발생됨으로써, 데크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데크판이 손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데크판을 못이나 나사못을 통해 고정한 후에 장기간이 경과되면, 데크판이 변형으로 인하여 못이나 나사못이 빠지게 된다. 따라서 못이나 나사못이 데크판의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보행자가 돌출된 못이나 나사못에 걸려 넘어져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22921호 “목재데크 보도의 구조”(2005.10.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판이나 받침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데크판을 받침부재의 상부에 조립만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재의 상부에 완충판을 더 구비하여 데크판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재와 데크판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크판 고정부재를 좀 더 견고하게 받침부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는,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된 두 개의 받침부재의 상부에 판형의 데크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며 상기 데크판 측 단부의 하면이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판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내측부와 마주보게 하부 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평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데크판의 측 단면에 밀착되는 수직 밀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밀착판의 상부에는 상기 데크판 측 단부의 상면이 밀착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데크판 고정부재와; 상기 수평탭홀에 체결되어 조임을 통해 상기 수직부와 받침부재의 내측부의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데크판 양측의 측 단면을 눌러주게 하는 데크판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판의 측 단부의 하면을 완충되게 받혀주는 완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판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세워져 상기 완충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직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면 밀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받침부재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사각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의 나사축이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받침부재는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 및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의 내측단면과 마주보게 세워지는 상부 수직판과, 상기 상부 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부재의 하면에 밀착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 밀착수평판과, 상기 상부 밀착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마주보게 세워지며 상기 수평탭홀이 형성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부재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 밀착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데크판을 받침부재의 상부에 조립만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데크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데크의 시공 과정에서 목재로 구성되는 데크판의 손상을 예방하고, 못이나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판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데크판의 충격 및 진동이 좀 더 효율적으로 흡수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와 데크판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판의 이탈을 방지 함으로써, 완충판의 이탈로 인해 발생되는 데크판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판 고정부재를 좀 더 견고하게 받침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시공되는 데크의 안전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목재 데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목재 데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목재 데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목재 데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된 두 개의 받침부재(1)의 상부에 판형의 데크판(2)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두 개의 받침부재(1)의 상부에 데크판(2)의 양측 단부를 조립을 통해 고정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받침부재(1)에 고정되는 두 개의 데크판 고정부재(3)와 각각의 데크판 고정부재(3)에 체결되는 데크판 고정볼트(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두 개의 받침부재(1)가 마주보는 위치를 “내측”으로 설명하고, 두 개의 받침부재(1)가 마주 보는 위치의 반대편을 “외측”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3)는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며 상기 데크판(2) 측 단부의 하면이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판(31)과, 상기 수평판(31)의 내측 단부에 상기 받침부재(1)의 내측부와 마주보게 하부 방향으로 세워지게 형성되는 수직부(32)와, 상기 수직부(32)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탭홀(321)과, 상기 수평판(31)의 외측 단부에 상기 데크판(2)의 측 단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수직 밀착판(33)과, 상기 수직 밀착판(3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2)의 측 단부의 상면이 밀착되는 이탈 방지턱(3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판(31), 수직부(32), 수직 밀착판(33) 및 이탈 방지턱(34)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구성되고, 절곡이나 용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부(32)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재(1)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면 밀착판(36)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면 밀착판(36)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32)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절곡 또는 용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평판(31)은 데크판 고정부재(3)가 받침부재(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안전수단으로, 데크판 고정부재(3)를 좀 더 견고하게 받침부재(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판(31)의 상부에는 상기 데크판(2)의 측 단부 하면을 완충되게 받혀주는 완충판(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판(5)은 상기 수평판(31)의 상부에 올려지거나 접착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판(5)은 상기 데크판(2)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데크판(2)의 충격 및 진동을 좀 더 효율적으로 흡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판(31)의 내측 단부에는 상부로 세워져 상기 완충판(5)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직턱(3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직턱(35)을 통해 받침부재(1)와 데크판(2)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판(5)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완충판(5)의 이탈로 인해 발생되는 데크판(2)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는 상기 수평탭홀(321)에 체결되어 조임을 통해 상기 수직부(32)와 받침부재(1)의 내측부의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데크판(2) 양측의 측 단면을 눌러 줌으로써, 데크판(2)을 양측의 받침부재(1)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는 상기 수평탭홀(321)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체결되는 나사축(41)과, 나사축(41)의 일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드라이버나 스패너 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볼트 머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를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사각봉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부재(1)의 내측면에는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의 나사축(41)이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11)이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홈(11)은 데크판 고정볼트(4)의 나사축(41)의 단부가 체결되지 않으면서 삽입되어 데크판 고정부재(3)가 받침부재(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의 안전수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통한 데크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통해 데크를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데크판(2)의 양측 단면에 두 개의 데크판 고정부재(3)를 구성하는 수직 밀착판(33)을 밀착한다.
다음 두 개의 데크판 고정부재(3)를 양측의 받침부재(1)에 올려놓는다. 그런 다음 각각의 데크판 고정부재(3)의 수직부(32)에 형성된 수평탭홀(321)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게 데크판 고정볼트(4)를 체결한다.
다음 각각의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를 조인다. 그러면 데크판 고정볼트(4)의 나사축(41)의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1)의 내측부에 밀착되면서 조여 짐으로써,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3)의 수직부(32)가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3)의 수직부(32)와 받침부재(1)의 내측부의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데크판(2) 양측의 단면을 눌러줌으로써, 데크판(2)의 양측을 양측의 데크판 고정부재(3)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데크판(2)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크판 고정장치는, 데크판(2)을 받침부재(1)의 상부에 조립만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데크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데크의 시공 과정에서 목재로 구성되는 데크판(2)의 손상을 예방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목재 데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받침부재(1)와 데크판 고정부재(3)의 수직부(32)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의 받침부재(1)는 상부 수평부재(12)와 하부 수평부재(13), 및 상부 수평부재(12)와 하부 수평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부재(14)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데크판 고정부재(3)의 수직부(32)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의 내측단면과 마주보게 세워지는 상부 수직판(322)과, 상기 상부 수직판(322)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의 하면에 밀착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 밀착수평판(323)과, 상기 상부 밀착 수평판(323)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부재(14)와 마주보게 세워지며 상기 수평탭홀(321)이 형성되는 수직판(32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탭홀(321)은 전술한 데크판 고정볼트(4)가 관통 체결되어 데크판(2)의 양측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의 작용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그 작용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판(324)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부재(13)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 밀착수평판(32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밀착수평판(325)은 데크판 고정부재(3)가 받침부재(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안전수단으로, 데크판 고정부재(3)를 좀 더 견고하게 받침부재(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받침부재
11 : 이탈 방지홈
12 : 상부 수평부재
13 : 하부 수평부재
14 : 수직부재
2 : 데크판
3 : 데크판 고정부재
31 : 수평판
32 : 수직부
321 : 수평탭홀, 322 : 상부 수직판,
323 : 상부 밀착수평판, 324 : 수직판,
325 : 하부 밀착수평판
33 : 수직 밀착판
34 : 이탈 방지턱
35 : 수직턱
36 : 하면 밀착판
4 : 데크판 고정볼트
41 : 나사축
5 : 완충판

Claims (7)

  1.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된 두 개의 받침부재(1)의 상부에 판형의 데크판(2)을 고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받침부재(1)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며 상기 데크판(2) 측 단부의 하면이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판(31)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31)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받침부재(1)의 내측부와 마주보게 하부 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2)에는 하나 이상의 수평탭홀(32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31)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데크판(2)의 측 단면에 밀착되는 수직 밀착판(33)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밀착판(33)의 상부에는 상기 데크판(2) 측 단부의 상면이 밀착되는 이탈 방지턱(34)이 형성되는 데크판 고정부재(3)와;
    상기 수평탭홀(321)에 체결되어 조임을 통해 상기 수직부(32)와 받침부재(1)의 내측부의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데크판(2) 양측의 측 단면을 눌러주게 하는 데크판 고정볼트(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3)는,
    상기 수평판(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판(2)의 측 단부의 하면을 완충되게 받혀주는 완충판(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3)는,
    상기 수평판(31)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세워져 상기 완충판(5)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직턱(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판 고정부재(3)는,
    상기 수직부(32)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재(1)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면 밀착판(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사각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1)의 내측면에는 상기 데크판 고정볼트(4)의 나사축(41)이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1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는 상부 수평부재(12)와 하부 수평부재(13), 및 상부 수평부재(12)와 하부 수평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부재(14)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32)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의 내측단면과 마주보게 세워지는 상부 수직판(322)과,
    상기 상부 수직판(322)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의 하면에 밀착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 밀착수평판(323)과,
    상기 상부 밀착 수평판(323)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부재(14)와 마주보게 세워지며 상기 수평탭홀(321)이 형성되는 수직판(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32)는,
    상기 수직판(324)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부재(13)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 밀착수평판(3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KR1020130024701A 2013-03-07 2013-03-07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KR20140110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01A KR20140110423A (ko) 2013-03-07 2013-03-07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01A KR20140110423A (ko) 2013-03-07 2013-03-07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23A true KR20140110423A (ko) 2014-09-17

Family

ID=5175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701A KR20140110423A (ko) 2013-03-07 2013-03-07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4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51B1 (ko) * 2014-11-11 2015-07-09 (주)태영기업 목재데크의 고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의 시공방법
KR102247045B1 (ko) * 2020-06-29 2021-04-30 (주)서해금속산업 데크 패널용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51B1 (ko) * 2014-11-11 2015-07-09 (주)태영기업 목재데크의 고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의 시공방법
KR102247045B1 (ko) * 2020-06-29 2021-04-30 (주)서해금속산업 데크 패널용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US7052200B2 (en) Resilient deck board fastener
US20090223027A1 (en) Deck clip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KR101176363B1 (ko) 데크 체결용 연결구
KR101777374B1 (ko) 난간 일체형 데크
KR101224033B1 (ko) 데크 연결부재
KR20140110423A (ko) 조립식 데크판 고정장치
KR101459559B1 (ko)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KR101409637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KR20160004617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EP2354369A1 (en) Device for connecting building boards
JP2008144492A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JP2007138691A (ja) 建築物及び建造物の補強部材並びに補強構造
JP5500560B2 (ja) 転倒防止治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JP2008212328A (ja) 転倒防止用固定具
KR20230060117A (ko) 시공이 용이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금속데크
JP2009024435A (ja) 制振補強された壁フレーム構造
KR20160140016A (ko) 목재 데크용 고정 클립
KR20120051207A (ko)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JP2001081891A (ja) 建物における遮音床構造
JP2008031737A (ja) 壁パネルと天井下地材の連結構造
US20230243161A1 (en) Bracket for connecting wooden decks, and wooden deck coupling structure using same
JP4636961B2 (ja) パネルの建付け構造
JP2006219835A (ja) 制振壁パネルおよび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