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270A -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270A
KR20140110270A KR1020130024309A KR20130024309A KR20140110270A KR 20140110270 A KR20140110270 A KR 20140110270A KR 1020130024309 A KR1020130024309 A KR 1020130024309A KR 20130024309 A KR20130024309 A KR 20130024309A KR 20140110270 A KR20140110270 A KR 2014011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ells
transparent conductive
opaque metal
film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900B1 (ko
Inventor
강성구
김정윤
박미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00B1/ko
Priority to US14/138,598 priority patent/US9229596B2/en
Publication of KR2014011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판의 일면에 터치 센서로서의 감지셀들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감지셀들이 투명 도전층과 메쉬(mesh)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대면적 터치 스크린 패널 구현시 균일한 전기장 분포를 확보하고,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에 대해 일부 단선이 발생하여도 동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flexible)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셀들이 주변의 다른 감지셀들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되어 제품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은 높은 투명도 및 박막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한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 상에 부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감지셀 등을 형성하기 위해 박막 성막, 패턴 형성 공정 등이 필요하므로, 고 내열성 및 내 화학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정 특성에 부합되는 유리(glass) 기판 상에 감지셀 등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유리 기판은 공정에서 반송 가능하도록 일정치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얇은 두께를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판의 일면에 터치 센서로서의 감지셀들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감지셀들이 투명 도전층과 메쉬(mesh)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대면적 터치 스크린 패널 구현시 균일한 전기장 분포를 확보하고,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에 대해 일부 단선이 발생하여도 동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되며, 제1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제1 감지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제2 감지셀들과; 상기 제1 감지셀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셀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패턴들이 포함되며, 상기 제1, 2 감지셀들은 투명 도전층과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된다.
이 때, 상기 투명 도전층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카본 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중 하나로 구현되고, 상기 불투명 금속층은 Ag, Al, Cu, Cr, Ni 중 적어도 하나의 저저항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도전층은 상기 기판 상에 패터닝되어 구현되고, 상기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은 상기 패터닝된 투명 도전층의 테두리 내측 상부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위상지연값이 낮은 필름(low retardation film)으로,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환형 폴리올레핀(Cyclic Polyolefin: COP) 필름 중 하나로 구현되거나, 또는 위상차 기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 OPP(Oriented Poly Propylene), PVA(Poly Vinyl Alcohol) 필름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감지셀들을 구성하는 불투명 금속층과 중첩되는 영역 상에 유색의 감광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패턴들은 브릿지 형태로 구현되고, 제2 연결패턴들은 상기 제2 감지셀들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연결패턴들 각각은 제1 폭을 갖는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된 제1 브릿지 패턴부와;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 상에 적층되며, 제2 폭을 갖는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된 제2 브릿지 패턴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브릿지 패턴부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패턴의 일면에 상기 제1 연결패턴의 양측 끝단이 노출되도록 섬 형상의 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막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절연막의 폭은 제1 브릿지 패턴부의 폭보다 크게 구현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패턴의 양측 끝단은 이와 인접한 제1 감지셀들의 돌출부와 접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의 일면에 터치 센서로서의 감지셀들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감지셀들이 투명 도전층과 메쉬(mesh)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대면적 터치 스크린 패널 구현시 균일한 전기장 분포를 확보하고,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에 대해 일부 단선이 발생하여도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특정 영역(A)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1의 특정 영역(A)에 대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1, 2 감지셀들(50, 60)과, 상기 제1, 2 감지셀들(50, 60)을 패드부(200)를 통해 외부의 터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제1, 2 위치검출라인(150, 16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바와 같이, 제1 감지셀들(50)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셀들(60)은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감지셀들(50, 60)은 투명 도전층(510, 610)과 메쉬(mesh)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520, 620)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투명 도전층(510, 610)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카본 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불투명 금속층(520, 620)은 Al, Cu, Cr, Ni 등과 같은 저저항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 감지셀들은 투명 도전물질 또는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 의 단일층으로 구현되었다.
이 때, 상기 감지셀들이 투명 도전물질의 단일층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 도전물질의 큰 면저항에 의해 신호 전달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대면적화 될수록 더 심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이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경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굴곡 또는 접히는 동작시 상기 투명 도전물질로 구현되는 감지셀들에 크랙(Crack)이 발생하여 동작 불량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감지셀들은 메쉬 형상을 갖는 연성의 불투명 도전 물질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에 비해 크랙의 발생이 적고,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대면적 터치 스크린 패널 구현시 균일한 전기장 분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지셀을 구성하는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에 대해 일부 단선이 발생한 경우 센싱 동작이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셀들(50, 60)을 투명 도전층(510, 610)과 메쉬(mesh)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520, 620)의 적층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대면적 터치 스크린 패널 구현시 균일한 전기장 분포를 확보하고,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520, 620)에 대해 일부 단선이 발생하여도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지셀들(50, 60)이 형성되는 기판(10)은 기존과 같은 유리 재질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현을 위해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기판(10)은 플렉서블 재질을 갖는 위상지연값이 낮은 특성의 필름(low retardation film)으로서,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환형 폴리올레핀(Cyclic Polyolefin: COP) 필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10)은 일반적인 편광판 내에 구비되는 위상차 필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판(10)은 위상차 기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OPP(Oriented Poly Propylene)또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감지셀(50, 60)이 투명 도전층(510, 610)과 메쉬(mesh)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520, 620)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 상에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된 투명 도전층(510, 610) 상부 영역에 불투명 금속층(520, 620)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520, 620)은 상기 패터닝된 투명 도전층(510, 610)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감지셀(50)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층(510) 및 메쉬 형상(51)의 불투명 금속층(520)은 제1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고, 상기 동일한 라인 상에 배열된 제1 감지셀들(50)은 제1 연결패턴(52)을 통해 인접한 제1 감지셀들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감지셀(60)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층(610) 및 메쉬(61)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620)은 제2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고, 상기 동일한 라인 상에 배열된 제2 감지셀들(60)은 제1 연결패턴(62)을 통해 인접한 제2 감지셀들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1 감지셀(50) 및 제2 감지셀(60)의 불투명 금속층(520, 620)은 메쉬 형태(51, 61)로 구현됨에 의해 그 내부에 다수의 개구부(70)가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상기 개구부(70)가 사각형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셀(50)과 제2 감지셀(60)의 투명 도전층(510, 610)은 마름모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지셀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셀들(50, 60)이 동일한 마름모 형상으로 구현됨을 그 예로 설명한다.
또한, 제1 감지셀(50)의 일단에는 제1 위치검출라인(150)이 연결되고, 제2 감지셀(60)의 일단에는 제2 위치검출라인(160)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위치검출라인(150)과 제2 위치검출라인(160)은 각 감지셀들(50, 60)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패드부(200)를 통해 외부의 터치 구동 회로(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검출라인(150)과 제2 위치검출라인(160)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은 터치 구동 회로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감지셀(50) 및 제2 감지셀(60)은 기판(10)의 동일 면에 함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셀(50) 및 제2 감지셀(60)이 기판(10)의 동일 면에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는 인접한 제1 감지셀들(50)을 연결하는 제1 연결패턴(52)과 인접한 제2 감지셀들(60)을 연결하는 제2 연결패턴(62)이 교차되는 부분이 절연되어야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제1 연결패턴(52)과 제2 연결패턴(62)이 교차되는 영역(A)에 있어서, 절연막이 도시되지 않고 제1, 2 연결패턴(52, 62)이 서로 교차되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연결패턴(52) 또는 제2 연결패턴(6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감지셀들(50, 6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절연막(미도시)을 개재하여 브릿지 형태로 구현된다.
일 예로 상기 제2 연결패턴(62)이 상기 제2 감지셀들(6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1 연결패턴(52)은 이와 교차하는 상기 제2 연결패턴(62)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절연막에 의해 절연되는 분리된 브릿지 형태로 구현되어 인접하는 제1 감지셀들(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특정 영역 즉, 상기 제1 연결패턴(52)과 제2 연결패턴(62)이 교차되는 영역(A) 및 이에 인접한 제1, 2 감지셀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도 2에서는 제2 연결패턴(62)이 제2 감지셀들(6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패턴(52)이 브릿지 형태로 구현됨을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브릿지 형태의 제1 연결패턴(52)은 상기 제1 감지셀들(50)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층(5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불투명 금속층(5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셀(50)과 동일하게 투명 도전층(510)과 불투명 금속층(520)의 적층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제1 연결패턴(52)은 제1 감지셀(50)과 동일하게 투명 도전층(510)과 불투명 금속층(520)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을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패턴(52)은 제1 폭(W1)을 갖는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된 제1 브릿지 패턴부(521)와,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 상에 적층되며, 제2 폭(W2)을 갖는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된 제2 브릿지 패턴부(522)로 구현된다.
단,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의 길이(L1) 및 제2 브릿지 패턴부(522)의 길이(L2)는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브릿지 패턴부(522)의 길이(L2)가 더 작게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브릿지 패턴부(521, 522)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패턴(52) 상에는 상기 제1 연결패턴의 양측 끝단(52a)이 노출되도록 섬 형상의 절연막(8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섬 형상의 절연막(80)은 도 2a를 참조하면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막(80)의 길이(L3)는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의 길이(L1)보다 작고, 절연막(80)의 폭(W3)은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의 폭(W1)보다 크다.
단, 상기 절연막(80)의 형상은 반드시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의 길이(L1)보다 작고, 폭(W1)보다 큰 다각형 또는 원, 타원의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연결패턴(52)의 양측 끝단(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인접한 제1 감지셀들(50)의 돌출부(50a)와 접촉하며, 이에 따라 제1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일 예로 행 라인) 상에 배열된 제1 감지셀들(50)은 상기 제1 연결패턴(52)을 통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1 감지셀들(50)의 돌출부(50a)는 투명 도전층(510)과 불투명 금속층(520)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거나, 투명 도전층(510) 또는 불투명 금속층(520)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패턴(52) 상부에 형성된 절연막(80) 상으로 제2 연결패턴(6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패턴(62)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감지셀들(60) 즉,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일 예로 열 라인) 상에 배열된 제2 감지셀들(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연결패턴(62)는 제2 감지셀들(6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투명 도전층(610')과 불투명 금속층(620')의 적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릿지 패턴 즉, 제1 연결패턴(52)은 넓은 폭(W1)을 갖는 제1 브릿지 패턴부(521)에 의해 상기 제1 감지셀(50)의 돌출부(50a)가 불투명 금속층으로만 구현된 경우 얼라인 공차에 의해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상기 제1 감지셀의 돌출부(50a)가 제1 연결패턴부의 끝단(52a)과 접촉될 수 있는 상기 폭(W1)만큼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감지셀의 돌출부(50a)가 제 1연결패턴(52)의 중앙에 위치되어 제2 브릿지 패턴부(5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감지셀의 돌출부(50a)가 얼라인 공차에 의해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와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가 투명 도전 물질로 구현되어 면저항이 높은 단점은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 상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불투명 금속 재질의 제2 브릿지 패턴부(522)를 통해 극복된다.
즉, 상기 제1 감지셀들(50)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은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일 수 있으나, 제1 감지셀들(50) 간의 감지신호는 저항이 낮은 제2 브릿지 패턴부(522)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의 높은 면저항에 의한 동작 불량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521)의 폭(W1)을 결정할 때 얼라인 공차만 고려할 뿐 면 저항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투명 도전 물질로만 브릿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면 그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연막(80)의 폭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패턴부(522)의 폭(W2)도 얼라인 공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불투명 금속으로만 브릿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면 그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브릿지 패턴부(522)가 시인되는 것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1의 특정 영역(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 2 감지셀들(50, 60) 및 제2 연결패턴(62)을 구성하는 불투명 금속층(520, 620, 620')과 중첩되는 영역 상에 유색의 감광막(Photo Resist)(90)이 더 형성되는 점 외에는 동일하며, 이에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감지셀들(50, 60) 및 제2 연결패턴(62)을 구성하는 불투명 금속층(520, 620, 620') 상에 유색의 감광막(9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불투명 금속층(520, 620, 620')은 특유의 금속 반사 광택 및 표면 반사율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이를 시인할 수 있어 고품위 제품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감지셀(50, 60)들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편광필름(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으나,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불투명 금속층이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2 감지셀들 및 제2 연결패턴을 구성하는 불투명 금속층(520, 620, 620') 상에 유색의 감광막(9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유색(일 예로 검정색)의 감광막(90)은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불투명 금속층(520, 620, 620')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외광 반사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광막(90)은 상기 불투명 금속층(520, 620, 620')의 패터닝 즉, 메쉬 형상의 패터닝 공정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연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연막 형성을 위한 별도의 마스크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판 50: 제1 감지셀
510: 투명 도전층 520: 불투명 도전층
52: 제1 연결패턴 521: 제1 브릿지 패턴부
522: 제2 브릿지 패턴부 60: 제2 감지셀
610: 투명 도전층 620: 불투명 도전층
62: 제2 연결패턴 80: 절연막
90: 유색의 감광막

Claims (12)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되며, 제1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제1 감지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제2 감지셀들과;
    상기 제1 감지셀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셀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패턴들이 포함되며,
    상기 제1, 2 감지셀들은 투명 도전층과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카본 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중 하나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금속층은 Ag, Al, Cu, Cr, Ni 중 적어도 하나의 저저항 금속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은 상기 기판 상에 패터닝되어 구현되고, 상기 메쉬 형상의 불투명 금속층은 상기 패터닝된 투명 도전층의 테두리 내측 상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위상지연값이 낮은 필름(low retardation film)으로,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환형 폴리올레핀(Cyclic Polyolefin: COP) 필름 중 하나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위상차 기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OPP(Oriented Poly Propylene)또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 중 하나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감지셀들을 구성하는 불투명 금속층과 중첩되는 영역 상에 유색의 감광막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턴들은 브릿지 형태로 구현되고, 제2 연결패턴들은 상기 제2 감지셀들과 일체형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턴들 각각은 제1 폭을 갖는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된 제1 브릿지 패턴부와;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 상에 적층되며, 제2 폭을 갖는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된 제2 브릿지 패턴부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브릿지 패턴부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패턴의 일면에 상기 제1 연결패턴의 양측 끝단이 노출되도록 섬 형상의 절연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절연막의 폭은 제1 브릿지 패턴부의 폭보다 크게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턴의 양측 끝단은 이와 인접한 제1 감지셀들의 돌출부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30024309A 2013-03-07 2013-03-07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4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09A KR102044900B1 (ko) 2013-03-07 2013-03-07 터치 스크린 패널
US14/138,598 US9229596B2 (en) 2013-03-07 2013-12-23 Touch screen panel having sensing cells and coupling patter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09A KR102044900B1 (ko) 2013-03-07 2013-03-07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70A true KR20140110270A (ko) 2014-09-17
KR102044900B1 KR102044900B1 (ko) 2019-11-15

Family

ID=514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09A KR102044900B1 (ko) 2013-03-07 2013-03-07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9596B2 (ko)
KR (1) KR10204490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87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18418A (ko) * 2015-04-01 2016-10-12 오상진 안테나 일체형 터치 모듈장치
US9519392B2 (en) 2014-08-06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touch screen panel
US9552120B2 (en) 2014-08-06 2017-01-24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70132553A (ko) * 2016-05-24 2017-12-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US9946420B2 (en) 2015-04-20 2018-04-1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62739B2 (en) 2015-03-1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90055211A (ko) * 2016-09-30 2019-05-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 필름,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02211U (ko) * 2019-03-28 2020-10-08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개선된 복합식 투명 터치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418B1 (ko) * 2013-01-29 2020-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TWI492105B (zh) * 2013-10-25 2015-07-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滑鼠及應用於觸控滑鼠之觸控電路板
KR102204110B1 (ko) * 2014-02-05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48288A (ko) * 2014-10-23 2016-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39708A1 (en) * 2014-11-13 2016-05-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US9484469B2 (en) 2014-12-16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in film device with protective layer
KR102263975B1 (ko) 2014-12-16 2021-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6117841A2 (ko) * 2015-01-21 2016-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372334B1 (ko) 2015-04-14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464814B1 (ko) 2015-10-15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 방법
US9406872B1 (en) * 2015-11-16 2016-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bricating two-dimensional array of four-terminal thin film devices with surface-sensitive conductor layer
KR102464277B1 (ko) * 2016-02-29 2022-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5786260B (zh) * 2016-04-22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显示装置
KR102556838B1 (ko) * 2016-06-01 2023-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널 제조 방법
JP6842362B2 (ja) * 2017-05-12 2021-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77527B1 (ko) * 2017-09-01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023A1 (en) * 2008-11-05 2010-05-06 Au Optronics Corporation Touch-sensing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and touch-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KR20110126528A (ko) * 2010-05-16 2011-11-23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용량성 터치 패널 및 용량성 터치 패널에서 금속 전도체의 투명도를 감소하는 방법
KR20120035874A (ko) * 2010-10-05 2012-04-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795A (ja) * 2004-07-26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TW200842681A (en) 2007-04-27 2008-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JP4506785B2 (ja) 2007-06-14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CN102016768B (zh) * 2008-02-28 2014-11-19 3M创新有限公司 具有变化的薄层电阻的触屏传感器
US9244568B2 (en) * 2008-11-15 2016-01-26 Atmel Corporation Touch screen sensor
KR101786119B1 (ko) * 2009-02-26 2017-10-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시성이 낮은 오버레이된 미세패턴을 갖는 패턴화된 기판 및 터치 스크린 센서
KR101101088B1 (ko) * 2010-05-03 2011-12-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23004B1 (ko) * 2010-10-01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TWI471644B (zh) * 2010-12-06 2015-02-01 Wintek Corp 觸控面板
EP2727165A4 (en) * 2011-06-28 2015-08-05 Innova Dynamics Inc TRANSPARENT CONDUCTORS INCORPORATING ADDITI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477851B (zh) * 2012-05-22 2015-03-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與觸控液晶顯示面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023A1 (en) * 2008-11-05 2010-05-06 Au Optronics Corporation Touch-sensing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and touch-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KR20110126528A (ko) * 2010-05-16 2011-11-23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용량성 터치 패널 및 용량성 터치 패널에서 금속 전도체의 투명도를 감소하는 방법
KR20120035874A (ko) * 2010-10-05 2012-04-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9392B2 (en) 2014-08-06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touch screen panel
US9552120B2 (en) 2014-08-06 2017-01-24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93187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062739B2 (en) 2015-03-1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312302B2 (en) 2015-03-10 2019-06-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118418A (ko) * 2015-04-01 2016-10-12 오상진 안테나 일체형 터치 모듈장치
US9946420B2 (en) 2015-04-20 2018-04-1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32553A (ko) * 2016-05-24 2017-12-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20190055211A (ko) * 2016-09-30 2019-05-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 필름,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02211U (ko) * 2019-03-28 2020-10-08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개선된 복합식 투명 터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900B1 (ko) 2019-11-15
US9229596B2 (en) 2016-01-05
US20140253495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90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10481642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074418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75535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85964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TWI559197B (zh) 觸控螢幕面板及其製造方法
KR102056459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10094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US8749514B2 (en) Touch screen panel
US20110242019A1 (en) Touch screen panel
KR20160116494A (ko) 터치 센서
KR101370443B1 (ko) 터치패널의 전극 패턴
KR1022816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KR101469146B1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US10521057B2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overlapping sensing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66689B1 (ko) Pcap 패턴과 emr 패턴을 구비한 다중 센싱 방식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323094B2 (en) Touch panel
KR102153132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50019571A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20180056602A (ko) 터치 패널
JP2016130912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