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791A - 전력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저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9791A KR20140109791A KR1020137005243A KR20137005243A KR20140109791A KR 20140109791 A KR20140109791 A KR 20140109791A KR 1020137005243 A KR1020137005243 A KR 1020137005243A KR 20137005243 A KR20137005243 A KR 20137005243A KR 20140109791 A KR20140109791 A KR 201401097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torage
- storage rack
- power
- rack
- f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력 저장 장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팩(58)을 가지며, 축전 디바이스로부터 외부의 부하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축전 디바이스에 충전한다. 축전 팩(58)은, 천장판(54)과 바닥판(55)과 선반 부재(57)를 갖는 축전 랙(51)에 수용된다. 축전 랙(51) 위에는, 팬 케이스(64)가 설치되어 있다. 팬 케이스(64) 내에는 천장 팬(68)이 장착되고, 천장 팬(68)을 팬 케이스(64)에 장착하거나, 팬 케이스(64)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천장 팬(68)은 축전 랙(51)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착탈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팩을 다수 수용하는 축전 랙을 갖는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오피스 빌딩에는, 사용 전력이 피크로 될 때에 전력을 백업하고, 사용 전력이 적을 때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리튬 이온 캐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에 충전하도록 한 전력 저장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공장이나 오피스 빌딩에서의 전력을 백업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는, 전력 저장 장치는 공장 등의 건물에 설치된 전원실 내에 배치된다. 전력 저장 장치가 탑재된 컨테이너를 공장의 건물에 인접하여 배치해 두면, 마찬가지로 공장의 생산 설비에서의 전력 사용의 피크 시에 전력을 백업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장치를 컨테이너에 탑재하도록 한 컨테이너 탑재형의 전력 저장 장치는,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를 육상 운송하거나, 선박에 의해 해상 운송할 수 있어, 정전 발생 시에 전력 부하에 대하여 전력을 백업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5에는, 해상 컨테이너에 설치하도록 한 전력 저장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전력 저장 장치를 컨테이너에 탑재하도록 한 경우도 포함하여, 전력 저장 장치는 다수의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팩이 수용된 축전 유닛, 즉 축전 랙을 갖는다. 축전 유닛은 한정된 스페이스의 전원실에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또한, 전원실에는 복수대의 축열 유닛이 설치된다. 축전 디바이스로서의 리튬 이온 전지나 리튬 이온 캐패시터는, 충반전 시에 발열하므로, 다수의 축전 팩을 수용하는 축전 유닛에는, 내부에 냉각풍을 흐르게 하기 위해 냉각 팬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 팬은, 정기적인 유지 보수 시에, 축전 유닛으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정된 전원실의 스페이스에 축전 유닛을 설치하면, 축전 유닛의 주위에는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축전 유닛에 설치된 냉각 팬을 떼어내거나, 부착하는 작업을 좁은 작업 공간에서 행하게 되어,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축전 유닛은, 내진성을 높이기 위해 전원실의 기반(基盤)면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축전 유닛에는, 다른 제어 유닛에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해 통전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고, 통전 케이블과 다른 제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접속을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브레이커가 축전 유닛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축전 유닛은, 전원실을 형성하는 벽면에 바싹대어 설치되므로, 축전 유닛의 배면측으로부터 체결 부재에 의한 축전 유닛의 체결 작업이나 축전 유닛의 제거 작업의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브레이커가 축전 유닛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브레이커의 유지 보수 작업이 곤란해진다. 브레이커를 축전 유닛의 전면(前面)측에 배치하면, 축전 유닛의 전면측에는 케이블의 다발이 늘어져 돌아다녀, 브레이커와 케이블이 서로 간섭하게 되어, 유지 보수시의 브레이커의 착탈 작업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저장 장치의 유지 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일 실시 형태의 전력 저장 장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팩과, 외부의 부하에 대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전원실 내에 배치되는 전력 저장 장치로서, 천장판과 바닥판과 이들 사이에 상기 축전 팩을 수용하는 복수의 선반 부재를 갖고, 상기 전원실의 설치 벽면에 바싹대어 배치되는 축전 랙과, 전면에 개구부가 설치됨과 함께 통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전 랙의 상면에 설치되는 팬 케이스와, 상기 팬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팬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축전 랙 내에 상기 축전 랙의 정면측으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천장판으로부터 유출하는 냉각풍을 생성하는 천장 팬과, 상기 팬 케이스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를 갖고, 상기 천장 팬을 상기 축전 랙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착탈한다.
이 전력 저장 장치는, 축전 랙의 내부에 냉각풍을 생성하기 위한 천장 팬이 축전 랙의 천장판에 설치되어 있고, 천장 팬은 축전 랙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착탈되므로, 천장 팬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축전 랙의 전면측으로부터 천장 팬을 떼어내거나, 장착할 수 있어, 천장 팬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 저장 장치가 탑재된 컨테이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정면도이고, (B)는 도 2의 (A)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전원실을 나타내는 컨테이너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천장벽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컨테이너의 바닥벽에 부착되는 지지 다리 부재로서의 강재(鋼材)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축전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도 6의 (A)의 우측면도이며, (C)는 축전 유닛의 바닥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축전 유닛의 내부의 축전 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도 7의 (A)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축전 랙의 천장판에 설치된 냉각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축전 랙에 설치되는 브레이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정면도이고, (B)는 도 2의 (A)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전원실을 나타내는 컨테이너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천장벽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컨테이너의 바닥벽에 부착되는 지지 다리 부재로서의 강재(鋼材)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축전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도 6의 (A)의 우측면도이며, (C)는 축전 유닛의 바닥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축전 유닛의 내부의 축전 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도 7의 (A)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축전 랙의 천장판에 설치된 냉각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축전 랙에 설치되는 브레이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전력 저장 장치가 탑재되는 컨테이너(10)를 나타낸다. 컨테이너(10)는, 바닥벽(11)과 좌우 측벽(12, 13)과 전후 단부벽(14, 15)과 천장벽(16)을 갖고, 내부에 전원실(17)이 형성된다. 전후의 단부벽(14, 15)은, 개폐가 자유로운 개폐 도어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개폐 도어를 개방한 상태 하에서, 전원실(17) 내에 축전 디바이스 등의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기기가 탑재된다. 컨테이너(10)는, 트레일러에 탑재되어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트랙터에 의해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소로 반송된다. 예를 들면, 공장의 건물에 인접하여 전력 저장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장의 생산동 근처에 컨테이너가 반송되고, 제조 설비의 전기적 부하에 대하여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실(17) 내에는, 한쪽 측벽(13)의 내면, 즉 설치 벽면(13a)에 바싹대어, 3대의 축전 유닛(21 내지 23)이 일렬로 되어 배치된다. 또한, 이들 축전 유닛(21 내지 23)에 동렬(同列)로 되어, 각각 제어 유닛으로서, 주 회로 유닛(24), 인버터 유닛(25) 및 감시 유닛(26)이 각각 설치 벽면(13a)에 바싹대어 전원실(17)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 측벽(12)의 내면, 즉 설치 벽면(12a)에 바싹대어, 수전(受電) 유닛(27)이 감시 유닛(26)에 대향하여 전원실(17)에 배치되고, 한쪽 단부벽(14) 측에는, 2대의 축전 제어 유닛(28, 29)이 전원실(17)에 배치되어 있다. 축전 유닛(21 내지 23) 등의 기기에 의해 전력 저장 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이들 기기가 전원실(17) 내에 탑재된 후에는, 단부벽(14, 15)을 구성하는 개폐 도어는 폐쇄된다.
축전 유닛(21)에는, 리튬 이온 캐패시터를 축전 디바이스로 하는 축전 팩이 다수 수용되어 있고, 축전 유닛(22, 23)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축전 디바이스로 하는 축전 팩이 다수 수용되어 있다. 각각의 축전 디바이스는, 컨테이너(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기능과, 외부의 전력 부하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컨테이너(10)의 측벽(12)의 외면에는, 옥외 분전반(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옥외 분전반(30)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용 급전 케이블과, 외부 부하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용 급전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AC 전류는, 축전 제어 유닛(28)에 의해 DC 전류로 변환되어 리튬 이온 캐패시터를 축전 디바이스로 하는 축전 팩에 급전되어 축전 디바이스가 충전된다. 이 축전 제어 유닛(28)은, 축전 디바이스의 DC 전류를 AC 전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AC 전류는, 축전 제어 유닛(29)에 의해 DC 전류로 변환되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축전 디바이스로 하는 축전 팩에 급전되어 축전 디바이스가 충전된다. 이 축전 제어 유닛(29)도 축전 디바이스로부터의 DC 전류를 AC 전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감시 유닛(26)은, 각각의 유닛의 작동을 감시하는 기능과, 정전 시에서의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축전 유닛(21 내지 23) 등의 기기가 설치되면, 전원실(17)의 폭 방향 중앙 부분은, 작업자의 작업 스페이스로 된다. 전원실(17)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측벽(13) 내면의 양단부에는 공조기(31, 32)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공조기(31, 32)의 실외기(31a, 32a)가 컨테이너(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전원실(17)을 환기하기 위해서, 흡기용의 환기팬(33, 34)이 측벽(12)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배기용의 환기팬(35, 36)이 측벽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천장벽(16)의 내면에는, 도 4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기구(38)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3)의 설치 벽면(13a)을 따라 3개의 지지 다리 부재(41 내지 43)가 바닥벽(11)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고, 이들 지지 다리 부재(41 내지 43)에는, 축전 유닛(21 내지 23) 및 이들에 이어져 일렬로 되어 배치되는 각종 제어 유닛이 고정된다. 지지 다리 부재(41)는 축전 유닛 등의 유닛의 후단부측에 대응하고 있고, 지지 다리 부재(42)는 전단부측에 대응하고 있다. 지지 다리 부재(43)는 3대의 축전 유닛(21 내지 23)의 전후 방향 중앙 근처에 대응하고 있다.
측벽(12)의 설치 벽면(12a)을 따라 2개의 지지 다리 부재(44, 45)가 바닥벽(11)의 바닥면, 즉 기반면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 다리 부재(44)는 수전 유닛(27)의 후측 단부에 대응하고, 지지 다리 부재(45)는 수전 유닛(27)의 전단부측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바닥벽(11)의 단부벽(14) 측에는,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다리 부재(46, 47)가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 다리 부재(46)는 2대의 축전 제어 유닛(28, 29)의 후측 단부에 대응하고, 지지 다리 부재(47)는 전측 단부에 대응하고 있다. 각각의 지지 다리 부재(41 내지 47)는, 횡단면이 コ자 형상의 채널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축전 유닛(22)을 나타내고, 도 7은 축전 유닛(22)의 내부의 축전 랙(51)을 나타낸다. 축전 랙(51)은 전후 좌우의 지주(52)를 갖고, 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5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전 랙(51)의 상단부에는 천장판(54)이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바닥판(5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측면과 좌우의 측면에는 커버판(56)이 설치되어 있고, 도 6의 (B)에는 축전 랙(51)의 우측면의 커버판(56)이 도시되어 있다. 축전 랙(51)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반 부재(57)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선반 부재(57) 위에는, 축전 디바이스가 내장된 축전 팩(58)이 수용된다. 각각의 축전 팩(58)은, 축전 랙(51)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좌우의 치수보다도 긴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전 팩(58)을 구성하는 축전 디바이스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충전 기능과 방전 기능을 갖는다.
각각의 축전 팩(58)은, 충전 시나 방전 시에 열을 가지므로, 축전 랙(51) 내에 냉각풍을 생성하기 위해서, 천장판(54)에는 배풍기(60)가 설치되어 있다. 축전 랙(51) 내에 전원실(17) 내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53)의 하단부에 흡기구(61)가 설치되고,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흡기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기구(61)는 흡기구(62)보다도 개구 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축전 랙(51)의 좌우 커버판(56)에 흡기구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8은 배풍기(60)의 분해 사시도이며, 천장판(54)에는 2개의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천장판(54)에는 팬 케이스(6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팬 케이스(64)는, 후측 케이스편(64a), 좌측 케이스편(64b), 우측 케이스편(64c) 및 상측 케이스편(64d)을 갖고, 전면에 개구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팬 케이스(64)를 구성하는 후측 케이스편(64a), 좌측 케이스편(64b), 및 우측 케이스편(64c)은, 펀칭 메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통기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측 케이스편(64d)은 메쉬 형상의 금망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통기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팬 케이스(64)를 구성하는 각각의 케이스편(64a 내지 64d)으로서는, 통기 구멍(66)을 갖는 형태이면, 모든 케이스편을 금망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여도 되고, 펀칭 메탈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케이스(64)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축전 랙(51)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팬 케이스(64)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축전 랙(51)의 전후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짧게 설정됨과 함께, 팬 케이스(64)의 배면은 축전 랙(51)의 배면보다도 전방측으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축전 랙(51)의 배면이 설치 벽면(13a)에 바싹대어 배치되어도, 팬 케이스(64)의 배면과 설치 벽면(13a)의 사이에는, 통기의 스페이스(S1)가 형성된다. 한편, 컨테이너(10)의 천장벽(16)의 내면에는 앵글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전원실(17)의 기기 수용 스페이스의 높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 부재를 포함한 천장벽(16)의 내면(16a)까지의 치수로 된다. 팬 케이스(64)의 상측 케이스편(64d)의 상면, 즉 팬 케이스(64)의 상면과 천장벽(16)의 내면(16a) 사이에는 통기의 스페이스(S2)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관통 구멍(63)과의 사이에 위치시켜, 천장판(54)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67)이 천장판(54)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팬 케이스(64) 내에는 2대의 천장 팬(6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천장 팬(68)은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팬(71)과, 이것이 설치된 지지 프레임(72)을 갖고, 지지 프레임(72)은 절연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천장 팬(68)에 의해 축전 랙(51) 내에는 흡기구(61, 62)로부터 유입하고, 팬 케이스(64)의 통기 구멍(66)으로부터 유출하는 냉각풍의 흐름이 생성되어, 축전 팩(58)은 냉각된다.
각각의 지지 프레임(72)에는 위치 결정 핀(도시생략)이 설치되고, 위치 결정 핀에 대응하여 천장판(54)에는 위치 결정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단, 지지 프레임(72)에 위치 결정 구멍을 형성하고, 천장판(54)에 위치 결정 핀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팬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으로서의 지지 프레임(72)은, 절연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천장 팬(68)을 축전 랙(51)에 대하여 절연할 수 있다.
천장 팬(68)을 축전 랙(51)의 천장판(54)의 상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천장 팬(68)의 지지 프레임(72)을 가이드 레일(67)을 따라 축전 랙(51)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슬라이드하고, 위치 결정 핀을 위치 결정 구멍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천장 팬(68)은 팬 케이스(64) 내에 축전 랙(51)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팬 케이스(64)의 전면에는, 개구부(65)를 덮는 전면 커버(7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전면 커버(73)에도 통기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커버(73)는 팬 케이스(64)에 대하여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천장 팬(68)의 유지 보수 시에, 팬 케이스(64) 내로부터 천장 팬(68)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축전 유닛(22)의 전면에서 작업자가 전면 커버(73)를 제거하고, 천장 팬(68)을 팬 케이스(64)의 전면으로부터 꺼내어, 팬 케이스(64)의 개구부(65)로부터 축전 유닛(22)의 상면 전방으로 꺼내게 된다.
축전 랙(51)은 한정된 스페이스의 전원실(17) 내에 배치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축전 랙(51)은 배면이 설치 벽면(13a)에 바싹대어지도록 하여 배치되고, 축전 유닛(22)의 좌우 양측에는, 다른 축전 유닛(21, 23)이 배치된다. 또한, 팬 케이스(64)와 천장벽(16) 사이의 스페이스(S2)도 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축전 랙(51)의 배면측과 좌우 측면과 상방에는, 천장 팬(68)을 착탈하는 스페이스가 없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풍기(60)의 천장 팬(68)을 축전 유닛(22)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때어내거나, 장착하도록 하였으므로, 천장 팬(68)의 교환 작업이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 랙(51)의 하단부에는, 축전 랙(51) 내에 수용된 축전 팩(58)과 제어 유닛 등의 다른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접속을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브레이커(7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커(7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플레이트(75; mounting plate)에 부착되어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75)는, 정면부(75a)와 그 좌우 단부로부터 꺾여진 좌우 측면부(75b, 75c)를 갖는다. 브레이커(74)는 정면부(75a)에 부착되고, 브레이커(74)에는 조작 스위치(76)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측면부(75b, 75c)의 후단부에는 플랜지(77)가 설치되고, 각각의 플랜지(77)에는 부착 구멍(78)이 형성되어 있다. 축전 랙(51)에는 부착 구멍(78)에 대응시켜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부재(79)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마운팅 플레이트(75)는, 나사 부재(79)를 헐겁게 함으로써, 브레이커(74)를 마운팅 플레이트(75)와 함께, 축전 랙(51)의 정면측으로부터 떼어내거나, 장착할 수 있다. 브레이커(74)에 대해서도, 축전 랙(51)의 정면측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커(74)의 조작 스위치(76)의 조작뿐만 아니라, 그 교환이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6의 (C)는 축전 랙(51)의 바닥판(55)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바닥판(55)에는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배선 구멍(81)이 바닥판(55)의 전면측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전 랙(51)은 배선 구멍(81)을 축전 랙(51)의 전면측에 형성하여 전면 배선형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커(74)를 축전 랙(51)의 정면측보다도 내측에 배치하도록 하면, 배선 구멍(81)을 통과하는 배선과 브레이커가 간섭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브레이커(74)를 마운팅 플레이트(75)에 부착하여, 브레이커(74)를 축전 랙(51)의 전면측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75)와 함께 떼어내거나, 부착하도록 하거나 함으로써, 배선의 다발과 브레이커(74)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 또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55)의 전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지지 다리 부재(42)에 나사 고정되는 나사 부재(도시생략)가 부착되는 부착 구멍(8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55)에는 그 배면보다도 전면측에 가깝게 복수의 부착 구멍(83)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부착 구멍(83)에 부착되는 나사 부재(도시생략)가, 도 5에 도시한 지지 다리 부재(43)에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나사 부재는, 축전 랙(51)을 지지 다리 부재(42, 4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로 되어 있다.
축전 랙(51)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 다리 부재(41 내지 43) 위에 배치되지만, 축전 랙(51)은 전면측의 지지 다리 부재(42)와, 배면측으로부터 떨어져 축전 랙(51)의 전후 방향의 중앙 근처 위치의 지지 다리 부재(43)에 나사 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다리 부재(42, 43)를 개재하여, 축전 랙(51)을 컨테이너(10)의 바닥벽(11)의 기반면(11a)에 나사 부재에 의해 고정할 때에는, 작업자는 전방측의 지지 다리 부재(42)와 배면보다도 전방측, 즉 전후 방향 중앙 근처의 지지 다리 부재(43)에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하게 되어, 안쪽의 지지 다리 부재(41)에 대한 나사 고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10)의 전원실(17)에 축전 랙(51)을 설치할 때에, 축전 랙(51)의 전면측으로부터의 나사 고정 작업에 의해, 축전 랙(51)을 바닥벽(1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주 회로 유닛(24) 등의 다른 제어 유닛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지지 다리 부재에 대하여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축전 유닛(22)의 축전 랙(51)을 나타내지만, 다른 축전 유닛(21, 23)도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단, 축전 유닛(21)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는, 다른 축전 유닛(22, 23)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고, 축전 유닛(21)의 팬 케이스(64) 내에는 1개의 천장 팬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전 랙(51) 내에 설치된 축전 팩(58)으로부터의 발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풍기(60)는, 축전 랙(51)의 천장판(54) 위에 설치되어 있다. 축전 랙(51)은 설치 벽면(13a)에 바싹대어 배치됨과 함께, 천장벽(16)과 팬 케이스(64)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지만, 팬 케이스(64)의 전면측으로부터 천장 팬(68)을 착탈하도록 하였으므로, 천장 팬(68)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커(74)는 마운팅 플레이트(75)와 함께 축전 랙(51)의 전면측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면 배선형의 축전 랙(51)에서의 브레이커(74)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축전 유닛(21 내지 23)을 구성하는 축전 랙(51)은, 천장 팬(68), 브레이커(74)가 축전 랙(51)의 전면에서 유지 보수하도록 한 전면 유지 보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 유닛(21 내지 23)은 배면을 전원실(17)의 설치 벽면에 바싹대어 배치되므로, 배풍기(60)를 포함하여 축전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어, 각각의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설치성의 향상에 의해, 축전 유닛을 전원실(17)의 기반면에 체결하는 설치 작업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축전 유닛(21 내지 23)을 구성하는 축전 랙(5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에 탑재되어 있지만, 축전 유닛은 컨테이너(10)에 탑재하지 않고, 건축물의 전원실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도, 건축물의 측벽의 설치 벽면에 바싹대도록 하여 축전 유닛은 전원실에 배치하여도, 천장 팬(68)과 브레이커(74)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전 유닛의 기반면에의 고정 작업이나 떼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 전력 저장 장치는, 건축물이나 컨테이너 등의 전원실에 배치하여, 외부 부하에 대하여 축전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축전 디바이스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
Claims (7)
-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팩과, 외부 부하에 대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전원실 내에 배치되는 전력 저장 장치로서,
천장판과 바닥판과 이들 사이에 상기 축전 팩을 수용하는 복수의 선반 부재를 갖고, 상기 전원실의 설치 벽면에 바싹대어 배치되는 축전 랙과,
전면에 개구부가 설치됨과 함께 통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전 랙의 상면에 설치되는 팬 케이스와,
상기 팬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팬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축전 랙 내에 상기 축전 랙의 정면측으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천장판으로부터 유출하는 냉각풍을 생성하는 천장 팬과,
상기 팬 케이스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를 갖고,
상기 천장 팬을 상기 축전 랙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착탈하도록 한 전력 저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랙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기 축전 랙의 전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축전 팩과 상기 제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커를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하고, 상기 브레이커를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축전 랙의 전면측으로부터 착탈하도록 한 전력 저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기 축전 랙의 하단부에 설치한 전력 저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랙을 상기 전원실의 기반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의 부착 구멍을, 상기 축전 랙의 바닥판의 정면측에 형성한 전력 저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벽면을 따라서 상기 축전 랙의 전면측과 상기 축전 랙의 전후 방향의 중앙 근처에 대응시켜 지지 다리 부재를 상기 전원실의 기반면에 고정하고, 상기 축전 랙을 상기 지지 다리 부재에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한 전력 저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후의 단부벽, 내면에 설치 측면이 설치된 좌우의 측벽, 천장벽 및 바닥벽을 갖고, 트레일러에 탑재되는 컨테이너에 상기 전원실을 형성하고, 상기 축전 랙을 상기 측벽의 설치 측면에 바싹대어 배치한 전력 저장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측벽의 외면에 옥외 분전반을 설치하고, 상기 옥외 분전반에 외부의 전기적 부하에 전력을 출력하는 급전 케이블을 접속한 전력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2/084155 WO2014103038A1 (ja) | 2012-12-28 | 2012-12-28 | 電力貯蔵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791A true KR20140109791A (ko) | 2014-09-16 |
Family
ID=5102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5243A KR20140109791A (ko) | 2012-12-28 | 2012-12-28 | 전력 저장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303418A1 (ko) |
EP (1) | EP2940754A1 (ko) |
JP (1) | JP5632071B1 (ko) |
KR (1) | KR20140109791A (ko) |
CN (1) | CN104040781A (ko) |
TW (1) | TW201427584A (ko) |
WO (1) | WO2014103038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6075A (ko) * | 2015-12-04 | 2017-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너지저장장치 |
KR20180050085A (ko) * | 2016-11-04 | 2018-05-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력 저장 장치 |
KR20180097896A (ko) * | 2017-02-24 | 2018-09-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력 저장 장치 |
KR101970236B1 (ko) * | 2018-09-21 | 2019-04-18 |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함체 |
KR20190103564A (ko) * | 2018-02-28 | 2019-09-05 | 주식회사 에이치투 | 레독스 흐름 전지 모듈을 위한 컨테이너형 외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87938B2 (en) * | 2013-10-18 | 2018-10-02 | Regal Beloit America, Inc. | Pump, associated electric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 |
US11085450B2 (en) | 2013-10-18 | 2021-08-10 | Regal Beloit America, Inc. | Pump having a hous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planar surfaces defining a cavity with an axial flux motor driven impeller secured therein |
JP6341828B2 (ja) * | 2014-10-01 | 2018-06-1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蓄電モジュールを組み合わせた蓄電装置 |
JP6455282B2 (ja) * | 2015-03-30 | 2019-01-23 | 株式会社Gsユアサ | コンテナ型蓄電ユニット |
TWI619426B (zh) * | 2016-02-24 | 2018-03-21 |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 貨櫃式儲能系統 |
JP6759832B2 (ja) * | 2016-08-09 | 2020-09-23 | スズキ株式会社 | バッテリ冷却装置 |
CN106211723B (zh) * | 2016-08-30 | 2019-03-26 | 北京天下百丰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直流充电桩散热系统 |
US10978884B2 (en) | 2018-08-10 | 2021-04-13 | Powin Energy Corporation | Enhanced switched balancing network for battery pack |
EP3850687A4 (en) * | 2018-09-11 | 2022-07-20 | Powin, LLC | MODULAR BATTERY STACK AND CARRIER SYSTEM |
DE102019102639A1 (de) * | 2019-02-04 | 2020-08-06 | Sma Solar Technology Ag | Behälter für eine Energieversorgungsanlage, Energieversorgungs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Bereitstellung |
KR20210055364A (ko) * | 2019-11-07 | 2021-05-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
KR102211915B1 (ko) * | 2020-05-29 | 2021-02-04 | 이온어스(주) |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95908U (ja) * | 1983-06-10 | 1984-12-26 | 株式会社明電舎 | 配電盤の固定装置 |
JPS62219015A (ja) * | 1986-03-19 | 1987-09-26 | Fujitsu Ltd | フアンの取付け方式 |
JPH02204700A (ja) * | 1989-01-31 | 1990-08-14 | Fuji Electric Co Ltd | 冷却ファンの取付装置 |
JPH10308589A (ja) * | 1997-05-09 | 1998-11-17 | Saitama Nippon Denki Kk | 冷却ファン装置 |
JP4427355B2 (ja) * | 2004-02-27 | 2010-03-03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電力貯蔵システム |
JP5711133B2 (ja) * | 2008-10-07 | 2015-04-30 | プレミアム パワー コーポレイション | エネルギーを移送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US20110215645A1 (en) * | 2010-03-05 | 2011-09-08 | Active Power, Inc. | Containerized continuous power system and method |
JP5749983B2 (ja) | 2010-06-14 | 2015-07-15 | 株式会社エネルギー応用技術研究所 | 電力貯蔵システム |
WO2012015001A1 (ja) * | 2010-07-30 | 2012-02-02 | 三洋電機株式会社 | 二次電池収納システムラック |
-
2012
- 2012-12-28 US US13/819,878 patent/US2015030341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2-28 KR KR1020137005243A patent/KR201401097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12-28 JP JP2013509378A patent/JP5632071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2-28 CN CN201280002682.9A patent/CN104040781A/zh active Pending
- 2012-12-28 WO PCT/JP2012/084155 patent/WO201410303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2-28 EP EP12824839.0A patent/EP294075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3-01 TW TW102107151A patent/TW201427584A/zh unkno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6075A (ko) * | 2015-12-04 | 2017-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너지저장장치 |
KR20180050085A (ko) * | 2016-11-04 | 2018-05-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력 저장 장치 |
KR20180097896A (ko) * | 2017-02-24 | 2018-09-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력 저장 장치 |
KR20190103564A (ko) * | 2018-02-28 | 2019-09-05 | 주식회사 에이치투 | 레독스 흐름 전지 모듈을 위한 컨테이너형 외함 |
KR101970236B1 (ko) * | 2018-09-21 | 2019-04-18 |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함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03038A1 (ja) | 2014-07-03 |
TW201427584A (zh) | 2014-07-01 |
US20150303418A1 (en) | 2015-10-22 |
JP5632071B1 (ja) | 2014-11-26 |
EP2940754A1 (en) | 2015-11-04 |
JPWO2014103038A1 (ja) | 2017-01-12 |
CN104040781A (zh) | 2014-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09791A (ko) | 전력 저장 장치 | |
JP5652377B2 (ja) | 電動車のバッテリーパック構造 | |
JP5319034B1 (ja) | パワー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 |
WO2017154478A1 (ja) | 蓄電装置 | |
US20140295216A1 (en) | Battery module for vehicle | |
KR102284484B1 (ko) |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 |
JP2010182541A (ja) | 蓄電装置 | |
JP2015008161A (ja) | 電動車のバッテリーパック構造 | |
JP2007201332A (ja) |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 |
JP6464528B2 (ja) | 収納盤、蓄電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 | |
JP6328503B2 (ja) | 電源装置 | |
JP2015230863A (ja) | 蓄電装置用筐体 | |
KR101608333B1 (ko)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전지팩 하우징 | |
US9302339B2 (en) | Hybrid welder with detachable energy storage device | |
JP2016018604A (ja) | 電源装置 | |
JP2017005027A (ja) | 収納箱及び蓄電装置 | |
JP2019175560A (ja) | 蓄電池装置 | |
WO2016185717A1 (ja) | 蓄電システム | |
JP2015005657A (ja) | 機器ユニット収納用キャビネット | |
JP2013105724A (ja) | 蓄電装置 | |
JP7049896B2 (ja) | 分電盤 | |
JP2022106524A (ja) | 電気車両用充電装置 | |
CN221928384U (zh) | 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 |
CN221766924U (zh) | 电池包的壳体、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 |
JP2011234441A (ja) | 分電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