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632A -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632A
KR20140109632A KR1020130023820A KR20130023820A KR20140109632A KR 20140109632 A KR20140109632 A KR 20140109632A KR 1020130023820 A KR1020130023820 A KR 1020130023820A KR 20130023820 A KR20130023820 A KR 20130023820A KR 20140109632 A KR20140109632 A KR 20140109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mixed
laver
dried
k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639B1 (ko
Inventor
조정행
Original Assignee
조정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행 filed Critical 조정행
Priority to KR102013002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3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제조방법은, 채취된 김의 원초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의 원초준비단계; 미역이나 다시마 중 어느 하나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초준비단계; 김의 원초준비단계를 거친 김의 원초와 해초준비단계를 거친 미역이나 다시마를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혼합숙성물을 얻는 숙성단계; 숙성단계를 거친 혼합숙성물이 물에 혼합된 형태로 성형장치에 공급되어 건조 김의 형태로 발장에 펼쳐지게 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단계 후 발장에 펼쳐진 혼합숙성물을 건조하여 해초혼합 건조 김을 얻는 건조단계; 건조단계 후 발장에서 해초혼합 건조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방법은, 알긴산이 풍부한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하고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친 후 이물질이 제거된 김의 원초와 혼합되어 숙성되고, 숙성된 것이 물과 혼합된 상태로 성형단계로 공급되어 발장 위에 성형된 후 건조공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으므로 미역이나 다시마가 이질감이 없으면서 고르게 분포된 상태로 첨가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RIED LAVER}
본 발명은 김의 원초 이외에 다양한 성분이 첨가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해태)에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섭취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김의 유통 형태는 사각형으로 성형되고 건조된 건조 김 형태이며, 이러한 건조 김이 구이 김으로 가공되거나 김밥의 재료 등으로 사용되어져 일반소비자들이 섭취하는 실정이다.
즉, 수확된 김의 원초는 대부분 건조 김으로 가공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 김의 생산방법은, 양식장 등에서 채취된 원초를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소정의 형태로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성형단계 후 발장에 펼쳐진 김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조단계 후 발장에서 건조된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건조 김의 생산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 특허등록 제10-0978632호 등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구이 김이란 건조 김에 기름을 바르고 고온의 열을 순간적으로 가하여 구운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기름과 함께 소금을 뿌린 후 굽는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이 김에 녹차, 표고버섯, 몰로키아 등 다양한 식품을 첨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790346호에는 몰로키아를 첨가한 구이 김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구이 김에 녹차, 표고버섯, 몰로키아 등의 식품을 첨가하는 종래의 첨가방식은 첨개대상 식품을 분말화 또는 세절하여 건조 김 위에 뿌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건조 김 자체에 녹차, 표고버섯, 몰로키아 등의 식품이 첨가된 것은아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978632호 한국 특허등록 제10-07903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 해조류가 첨가되어 있되 이질감이 없고 고르게 분포된 형태로 첨가된 건조 김을 제공하기 위한 해초 혼합 건조 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긴산이 풍부한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하여 각각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친 후 이물질이 제거된 김의 원초와 혼합되어 숙성되고, 숙성된 것이 물과 혼합되어 성형수단으로 이동되고 발장 위에 성형된 후 건조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해조류가 첨가되어 있되 이질감이 없고 고르게 분포된 형태로 첨가된 건조 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제조방법은, 채취된 김의 원초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의 원초준비단계를 갖는다.
또, 미역이나 다시마 중 어느 하나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초준비단계를 갖는다.
또, 김의 원초준비단계를 거친 김의 원초와 해초준비단계를 거친 미역이나 다시마를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혼합숙성물을 얻는 숙성단계를 갖는다.
또, 숙성단계를 거친 혼합숙성물이 물에 혼합된 형태로 성형장치에 공급되어 건조 김의 형태로 발장에 펼쳐지게 하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성형단계 후 발장에 펼쳐진 혼합숙성물을 건조하여 해초혼합 건조 김을 얻는 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조단계 후 발장에서 해초혼합 건조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세절 후 이물질이 제거된 함초, 파래, 모자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숙성단계에 투입하여 미역이나 다시마 및 김의 원초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더 많은 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방법은, 알긴산이 풍부한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하고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친 후 이물질이 제거된 김의 원초와 혼합되어 숙성되고, 숙성된 것이 물과 혼합된 상태로 성형단계로 공급되어 발장 위에 성형된 후 건조공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으므로 미역이나 다시마가 이질감이 없으면서 고르게 분포된 상태로 첨가되는 특징이 있다.
또, 세철 후 이물질이 제거된 함초, 파래, 모자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숙성단계에 투입하여 미역이나 다시마 및 김의 원초와 혼합되도록 하는 경우 더 많은 재료를 첨가할 수 있되 이질감이 없게 첨가되면서도 고르게 분포된 상태로 첨가되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 해초가 첨가되어 있되 이질감이 없는 상태로 고르게 첨가된 건조 김을 제공하기 위한 해초혼합 건조 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제조방법도 통상의 건조김 제조방법과 같이 성형단계, 건조단계,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즉, 양식장 등에서 채취된 원초를 세절하여 소정의 형태로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성형단계 후 발장에 펼쳐진 김의 원초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조단계 후 발장에서 건조된 건조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그러나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초를 단순히 김의 원초와 혼합하여 성형하고 건조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건조 김에 포함된 미역이나 다시마의 이질감이 발생되고, 김밥용으로 사용하거나 구이 김 등으로 만들었을 때 부스러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초를 미세한 분말화하여 김의 원초 등과 혼합, 성형하는 방식은 건조 김 생산장치의 고장발생 원인이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하여 김의 원초와 혼합하여 성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 단순히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한 것 만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미역이나 다시마가 김의 원초와 혼합된 상태에서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미역이나 다시마를 사용하는 것은 세절하여 숙성시킬 경우 끈끈한 알기산이 흘러나와 김의 원초에 원활하게 흡착되고, 이를 통해 알긴산을 포함하지 않는 함초 등도 첨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역이나 다시마의 두께가 김의 원초 두께보다 두꺼울 뿐만 아니라 건조된 상태일 때 더 단단한 식감을 갖기 때문에 세절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미역이나 다시마는 으스러지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으스러지면서 절단이 이루어져 얇은 조각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 후 김의 원초와 혼합한 상태에서는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절단된 미역이나 다시마의 이물질 제거작업과 김의 원초에 대한 이물질 제거작업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취된 김의 원초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의 원초준비단계(100)를 갖느다.
또, 미역이나 다시마 중 어느 하나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초준비단계(120)를 갖는다.
또, 김의 원초준비단계(100)를 거친 김의 원초와 해초준비단계를 거친 미역이나 다시마를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혼합숙성물을 얻는 숙성단계(130)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혼합숙성물을 건조 김으로 만드는 과정은 통상의 건조 김 제조방법에서와 같은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숙성단계(130)를 거친 혼합숙성물이 물에 혼합된 형태로 성형장치에 공급되어 건조 김의 형태로 발장에 펼쳐지게 하는 성형단계(140)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성형단계(140) 후 발장에 펼쳐진 혼합숙성물을 건조하여 해초 혼합 건조 김을 얻는 건조단계(150)를 실시할 수 있다.
또, 건조단계(150) 후 발장에서 해초혼합 건조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160)를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숙성단계를 거친 혼합숙성물은 미역이나 다시마에서 흘러나온 알긴산 등의 끈적한 성분을 갖기 때문에 알긴산을 갖지 않거나 알긴산 함유량이 적은 함초 등의 성분을 첨가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어려움이 없다.
물론, 함초 등 첨가대상을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은 있다.
즉, 절단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함초, 파래, 모자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숙성단계에 투입하여 미역이나 다시마 및 김의 원초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하여 혼합한다.
그런데 세절 정도에 따라 식감의 차이가 크고, 고르게 분포되게 정도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해초준비단계에서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함에 있어 물에 투입시 가라앉지 않는 크기로 얇게 세절하는 것이 좋다.
김의 원초를 물에 투입하였을 때 가라앉지 않으므로 절단된 미역이나 다시마도 물에 투입되었을 때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첨가대상물을 첨가할 때는 단위면적 당의 무게가 가벼운 것은 상대적으로 크게 절단하고 단위면적 당의 무게가 무거운 것은 상대적으로 작게 절단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110. 원초준비단계
120. 해초준비단계
130. 숙성단계
140. 성형단계
150. 건조단계
160. 김분리단계

Claims (3)

  1. 건조 김 제조방법에 있어서,
    채취된 김의 원초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의 원초준비단계;
    미역이나 다시마 중 어느 하나를 세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초준비단계;
    상기 김의 원초준비단계를 거친 김의 원초와 해초준비단계를 거친 미역이나 다시마를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혼합숙성물을 얻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혼합숙성물이 물에 혼합된 형태로 성형장치에 공급되어 건조 김의 형태로 발장에 펼쳐지게 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 후 발장에 펼쳐진 혼합숙성물을 건조하여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을 얻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 후 발장에서 해초혼합 건조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세절 후 이물질이 제거된 함초, 파래, 모자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숙성단계에 투입하여 미역이나 다시마 및 김의 원초와 혼합되도록 하는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해초준비단계에서 미역이나 다시마를 세절함에 있어 물에 투입시 가라앉지 않는 크기로 세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KR1020130023820A 2013-03-06 2013-03-06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KR10145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820A KR101459639B1 (ko) 2013-03-06 2013-03-06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820A KR101459639B1 (ko) 2013-03-06 2013-03-06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632A true KR20140109632A (ko) 2014-09-16
KR101459639B1 KR101459639B1 (ko) 2014-11-12

Family

ID=5175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820A KR101459639B1 (ko) 2013-03-06 2013-03-06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6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506A (ko) 2019-04-10 2020-10-2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센싱을 이용한 김의 중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
KR20200119507A (ko) 2019-04-10 2020-10-2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 중량의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
KR102255007B1 (ko) * 2021-01-18 2021-05-28 (유)만나씨푸드 황칠 다시마 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926A (ko) * 1988-05-04 1989-12-14 박재규 영양김의 제조방법
KR20020053151A (ko) * 2000-12-27 2002-07-05 최정욱 미역배합김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1095906B1 (ko) * 2010-07-31 2011-12-21 주식회사 퍼펙 위생적인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20120063269A (ko) * 2010-12-07 2012-06-15 (주)담양죽제품백화점자바라탄 죽력 김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506A (ko) 2019-04-10 2020-10-2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센싱을 이용한 김의 중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
KR20200119507A (ko) 2019-04-10 2020-10-2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 중량의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
KR102255007B1 (ko) * 2021-01-18 2021-05-28 (유)만나씨푸드 황칠 다시마 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639B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0912B (zh) 一种辣椒调味料及其制备方法
CN105112157B (zh) 亚麻籽油脱苦脱腥处理方法
CN105124532A (zh) 一种辣椒酱及其制作方法
KR101459639B1 (ko) 해초가 혼합된 건조 김의 제조방법
CN104041784B (zh) 辣油、辣酱的制作方法及该方法制作的辣油、辣酱
CN103766865A (zh) 一种油炸野生菌的加工方法
JP2022187000A (ja) 粉末状の胡麻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88156B (zh) 一种干油煳辣椒的制作方法
CN103919099A (zh) 一种炖肉调味料及其制备方法
CN103229972A (zh) 一种调味香料
CN104705425A (zh) 一种挤压法制备香辛料调味油及制备方法
CN104770698A (zh) 一种烤鱼专用调味粉料及其制备方法
JP2016002026A (ja) 複合粉末だし取り用調味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115984A (zh) 一种马齿苋茶酥的制备方法
KR102145899B1 (ko) 천연식물이 스며든 굴비분말을 이용한 굴비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굴비고추장
CN103005328A (zh) 一种魔芋精粉的加工方法
CN102630930A (zh) 一种香菇微粉生产工艺
JP5771359B2 (ja) マグロ等魚の非可食部を加工した栄養食材、その製造方法及び加工食品
KR20170049205A (ko) 초미세 분말을 이용한 천연조미료
CN102987324A (zh) 一种天然调味品的制备方法
KR20170064091A (ko) 유자즙 분말의 제조 방법
CN105265935A (zh) 一种祛风解毒牛肉干
JP6969126B2 (ja) 洋風調味料
KR101116417B1 (ko) 한라봉을 함유한 맛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맛김
CN103798648A (zh) 一种豆制品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