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322A -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322A
KR20140109322A KR20140025308A KR20140025308A KR20140109322A KR 20140109322 A KR20140109322 A KR 20140109322A KR 20140025308 A KR20140025308 A KR 20140025308A KR 20140025308 A KR20140025308 A KR 20140025308A KR 20140109322 A KR20140109322 A KR 20140109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image forming
forming uni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834B1 (ko
Inventor
아사코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6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 H04N1/4078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using gradational references, e.g. grey-scale test pattern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67Post-processing of the composed and rasterized print image
    • G06K15/1872Image enhancement
    • G06K15/1878Adjusting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16Conversion to subtractive colour signals
    • H04N1/6022Generating a fourth subtractive colour signal, e.g. under colour removal, black masking
    • H04N1/6025Generating a fourth subtractive colour signal, e.g. under colour removal, black masking usin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27Correction or control of colour gradation or colour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04N1/6038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for controlling interaction among colo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컬러 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복수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멀티컬러 패치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보정값을 취득한다. 이 컬러 화상 처리장치는,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보정값을 사용해서 보정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유닛과,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보정값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보정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2 처리유닛과, 제1 처리유닛과 제2 처리유닛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LOR IMAGE}
본 발명은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색을 보정하기 위한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사진장치의 성능이 향상함에 따라, 인쇄기와 동등한 화질을 실현한 기계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사진 특유의 불안정성 때문에 색의 변동량이 인쇄기에 비교해서 큰 것이 문제로 남겨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사진 장치에는 여러 가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사진장치에는, 일차 색의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C, M, Y, K)의 각 토너에 대응한 1차원의 계조 보정용의 LUT(Look Up Table)을 작성하는 캘리브레이션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LUT는, 특정한 간격으로 단락지어진 입력 데이터에 대응한 출력 데이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며, 연산식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비선형 특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C, M, Y, 혹은 K의 토너를 사용해서 나타낸 색을 가리키는 "단색"용 캘리브레이션(이하,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면, 최대농도 및 계조 등의 단색의 재현 특성이 보정된다.
또한, 최근에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254350에 의해 4차원의 LUT를 사용해서 "멀티컬러"의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 "멀티컬러"란 C, M, Y 중 2색을 사용한 레드, 그린, 블루와, C, M, Y를 사용한 그레이 등의 복수색의 토너를 이용한 색이다. 특히, 전자사진에서는, 1차원의 LUT을 이용해서 단색의 계조 특성을 보정해도, 복수색의 토너를 사용해서 "멀티컬러"을 표현하면, 비선형 차분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 멀티컬러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면, 복수색의 토너의 조합(겹치기 등)으로 표현되는 멀티컬러의 색 재현 특성이 보정된다.
"멀티컬러"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색"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기 위해서 단색으로 구성되는 차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용지 등의 기록 매체에 패치 화상을 프린트한다. 이 패치 화상은, 단일 농도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측색용의 화상이다. 색이 다른 복수의 패치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치 화상을 기록 매체 위에 인쇄해서 패턴 화상을 얻는다. 이 패턴 화상이 인쇄된 용지 등의 기록 매체를 스캐너나 센서로 판독하여, 이 패치 화상을 판독한다. 이 패치 화상을 판독해서 얻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값와 비교해서, 목표값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1차원의 LUT를 작성한다. 다음에, "멀티컬러"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기 위해서 먼저 작성한 1차원의 LUT를 반영한 멀티컬러로 구성되는 차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패치 화상을 프린트하고, 스캐너나 센서로 이 패치 화상을 판독한다. 패치 화상을 판독해서 얻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값와 비교해서, 목표값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4차원의 LUT를 작성한다.
화상처리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멀티컬러의 값이 비선형으로 변동한다. 예를 들면, 2차 전사 시에 전사 벨트에 전사된 토너가, 다음 토너가 전사되기 전에 벗겨질 수 있다. 이 벗겨지는 토너의 양은, 전사 시의 토너의 양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멀티컬러의 값은 비선형으로 변동한다. 이러한 비선형 멀티컬러의 값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된다. 이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은, 측색값과 목표값의 Lab 공간에서의 색차를 최소한으로 위해서 작성된다. 따라서, 어떤 색의 Lab 공간에서의 측색값과 목표값와의 차분이 클 경우, 이 차분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이 색을 형성하는 C, M, Y, K의 혼합 비율을 변경하고, Lab 공간에서의 값에 대하여 스무딩(smoothing)을 실행한다. 그 결과, 어떤 색의 측색값은, 목표값에 가까워지고, 겉보기에는 보정이 적절히 행해졌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비율의 변경이 크면, Lab 공간에서 어떤 색을 나타내는 격자점과 이 격자점의 부근에 있는 격자점의 C, M, Y, K의 혼합비율의 밸런스가 무너져버린다. 또한, CMYK 값에서의 스무딩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연속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즉, Lab 공간상에서 각 색의 색값은 목표값에 가까워지지만, 주목하는 색과 그 주위의 색과의 C, M, Y, K의 혼합 비율의 연속성이 손상될 수 있다. 이렇게, 이 보정값으로 보정되는 보정량이 커지면, 이 보정결과를 사용해서 인쇄한 그라데이션(gradation) 화상과 같은 매끄러운 화상은, 계조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량이 커지는 원인은, 내구 열화(deterioration over time)에 의해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이 기준 특성으로부터 크게 변화되어버리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화상을 형성할 때에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처리를 실행할 경우,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을 사용하면,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되어, 유저가 요구하는 화상을 재현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복수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멀티컬러 패치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보정값을 취득하는 취득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상기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는 제1 처리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상기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보정값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제2 처리유닛과, 상기 제1 처리유닛과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컬러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결과를 모두 적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결과를 이용해서 인쇄된 화상의 계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화상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단색의 캘리브레이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멀티컬러의 캘리브레이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단색 및 멀티컬러의 캘리브레이션에 사용하는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UI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UI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UI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판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전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2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및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안, 마젠타, 옐로, 블랙 (이하, "C, M, Y, K")의 각 토너를 사용하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의 MFP(Multi Function Printer)(101)는 네트워크(123)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대응기기와 접속되어 있다. 또, 퍼스널 컴퓨터(PC)(124)는 네트워크(123)를 통해 MFP(101)와 접속되어 있다. PC(124) 내에 포함된 프린터 드라이버(125)는,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MFP(10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122)는 인쇄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콘트롤러(102)는 중앙처리장치(CPU)(103), 렌더러(112), 및 화상처리부(114)로 구성된다. CPU(103)에 포함된 인터프리터(interpreter)(104)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부분을 해석하고, 중간 언어 데이터(105)를 생성한다.
CMS(106)는 소스 프로파일(107) 및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프로파일(108)을 사용해서 색 변환을 행하여, 중간 언어 데이터(CMS 후)(111)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CMS는 "Color Management System"을 언급하고, 후술하는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를 사용해서 색 변환을 행한다. 또한, 소스 프로파일(107)은 RGB나 CMYK 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색 공간을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이 규정한 L*a*b*(이하, "Lab"이라고 칭함)이나 XYZ 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XYZ는, Lab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 공간이며, 3종류의 자극값을 이용해서 색을 표현한다. 또한, 데스티네이션 프로파일(108)은 디바이스 비의존 색공간을 디바이스(프린터(115))에 의존하는 CMYK 색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한편, CMS(109)는 디바이스 링크 프로파일(110)을 사용해서 색 변환을 행하여, 중간 언어 데이터(CMS 후)(111)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디바이스 링크 프로파일(110)은 RGB나 CMYK 등의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을 디바이스(프린터(115))에 의존한 CMYK 색 공간에 직접 변환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CMS 106 혹은 CMS 109가 선택되는지 여부는 프린터 드라이버(125)의 설정에 의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107, 108 및 110)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CMS(106 및 109)을 사용하지만, 1개의 CMS로 복수종류의 프로파일을 취급해도 된다. 또한, 프로파일의 종류는 본 실시예에서 든 예에 한정하지 않고, 프린터(115)의 디바이스 의존 CMYK 색 공간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프로파일이든 사용할 수 있다.
렌더러(112)는 중간 언어 데이터(CMS 후)(111)로부터 래스터 화상(113)을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114)는 래스터 화상(113)과 스캐너(119)로 판독한 화상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114)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콘트롤러(102)와 접속된 프린터(115)는 C, M, Y, K 등의 유색 토너로 용지상에 출력 데이터를 사용해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다. 프린터(115)는 급지를 행하는 급지부(116)와, 화상이 형성된 종이를 배지하는 배지부(117)와, 측색부(126)를 포함한다.
측색부(126)는 분광 반사율과, Lab이나 XYZ 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 공간의 값을 취득할 수 있는 측색부의 센서(127)를 포함하고, 프린터(115)를 제어하는 CPU(129)에 의해 제어된다. 측색부(126)는 프린터(115)로 용지 등의 기록 매체 위에 프린트된 패치 화상을 측색한다. 이 패치 화상의 각각은, 단일 농도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측색용의 화상이다. 패턴 화상은 색이 다른 복수의 패치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치 화상을 기록 매체 위에 인쇄함으로써 취득된다. 이 패턴 화상을 측색부(126)에 포함된 센서(127)로 판독하고, 판독한 수치 정보를 콘트롤러(102)에 송신한다. 콘트롤러(102)는 그 수치정보를 사용해서 연산을 행하고, 이 연산의 결과를 단색 캘리브레이션이나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때에 이용한다.
표시장치(118)는 유저에의 지시와 MFP(101)의 상태를 표시하는 UI(user interface)이다. 후술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이나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때에 이 표시장치(118)를 이용한다.
스캐너(119)는 자동 원고 피더(feeder)를 포함하는 스캐너다. 스캐너(119)는 다발의 원고 화상 혹은 한 장의 원고 화상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광원을 이용해서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원고 화상을 렌즈를 이용해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등의 고체 촬상소자 위에 형성한다. 그 후에, 고체 촬상소자로부터 래스터형의 화상 판독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서 얻는다.
입력장치(120)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일부의 입력장치를 터치 패널로서 실현해서 표시장치(118)와 일체화해도 된다.
기억장치(121)는 콘트롤러(102)로 처리된 데이터, 콘트롤러(102)가 받은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측색기(128)는 네트워크(113)에 위치되거나 PC(124)에 접속된 외부의 측색용 디바이스이며, 측색부(126)와 마찬가지로, 분광 반사율과, Lab이나 XYZ 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 공간의 값을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화상처리부(114)의 흐름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래스터 화상(113)이나 스캐너(119)로 판독한 화상에 대하여 행하는 화상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처리의 흐름은 화상처리부(114) 내에 있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실행될 때 실현된다.
스텝 S201에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스텝 S202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스캐너(119)로부터 수신한 스캔 데이터인지 프린터 드라이버(125)로부터 전달된 래스터 화상(113)인지를 판별한다.
수신한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데이터가 렌더러(112)에 의해 비트 맵(bit map)된 래스터 화상(113)이며, CMYK 화상(211)은 CMS을 이용해서 래스터 화상(113)을 프린터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CMYK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취득된다.
스캔 데이터의 경우에는, 수신한 데이터가 RGB 화상(203)이기 때문에, 스텝 S204에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여, 공통 RGB 화상(205)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공통RGB 화상(205)은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RGB 색 공간으로 정의되고, 연산에 의해 Lab 등의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스텝 S206에서, 문자 판정 처리를 행하여, 문자 판정 데이터(207)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화상의 엣지 등을 검출해서 문자 판정 데이터(207)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 S208에서, 공통 RGB 화상(205)에 대하여 문자 판정 데이터(207)를 사용해서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문자 판정 데이터(207)를 사용해서 문자부와 다른 부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 S209에서 바탕을 제거한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10에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해서 바탕을 제거한 CMYK 화상(211)을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 S212에서, 4D-LUT(217)을 사용한 멀티컬러의 보정처리를 행한다. 4D-LUT(217)은, C, M, Y, K 각 토너를 출력할 때의 신호 값의 조합을 다른 C, M, Y, K의 신호 값의 조합으로 변환하는 4차원의 LUT(Look Up Table)이다. 이 4D-LUT(217)은 후술하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4D-LUT(217)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색의 토너를 사용해서 얻은 색인 "멀티컬러"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212에서 멀티컬러를 보정한 후, 화상 처리부(114)는 스텝 S213에서 1D-LUT(218)을 사용해서 C, M, Y, K의 각 단색의 계조 특성을 보정한다. 1D-LUT(218)는 C, M, Y, K의 각각의 색(단색)을 보정하는 1차원의 LUT(Look Up Table)이다. 이 1D-LUT(218)는, 후술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최후에, 스텝 S214에서, 화상처리부(114)는 스크린 처리나 오차 확산 처리와 같은 하프톤 처리를 행해서 CMYK 화상(2치)(215)을 작성하고, 스텝 S216에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115)에 송신한다.
프린터(115)로부터 출력되는 단색의 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최대농도 특성 및 계조특성 등의 단색의 색재현 특성이 보정된다. 프린터(115)가 사용한 C, M, Y, K 토너에 대응하는 색의 재현 특성은, 캘리브레이션 실행시에 함께 보정된다. 즉, C, M, Y,K의 각 색에 따라 도 3의 처리가 한번에 실행된다.
도 3은 단색의 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1D-LUT(218)을 작성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의 처리의 흐름은 CPU(103)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고, 작성된 1D-LUT(218)은 기억장치(121)에 보존된다. 또, 표시장치(118)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UI에 표시하고, 입력장치(120)는 유저의 지시를 접수한다.
스텝 S301에서, 기억장치(121)에 기억되어 있는 차트 데이터(A) 302를 취득한다. 차트 데이터(A) 302는 단색의 각각의 최대농도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C, M, Y, K의 "단색"의 최대 농도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신호 값(예를 들면, 255)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스텝 S303에서, 차트 데이터(A) 302에 대하여 화상처리부(114)가 화상처리를 실행하고, 프린터(115)가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A) 304를 프린트한다. 예를 도 5a에 나타낸다. 도 5a의 예 501은 차트 데이터(A) 302를 프린트했을 때의 예이고, 패치 화상 502, 503, 504, 505는 각각 C, M, Y, K 각색의 최대농도로 프린트된다. 이렇게,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A) 304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화상처리부(114)는 스텝 S214에서 하프톤 처리만 행하고, 스텝 S213의 1D-LUT 보정처리나 스텝 S212의 4D-LUT 보정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 S305에서, 스캐너(119)나 측색부(126) 내에 포함된 센서(127)를 사용해서 프린트된 차트 화상(A) 304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색값(A) 306을 얻는다. 측색값(A) 306은 C, M, Y, K 각 색의 농도값이다. 다음에, 스텝 S307에서, 측색값(A) 306과 미리 설정된 최대 농도값의 목표값(A) 308을 사용해서 각색의 측색값(A) 306의 최대농도를 보정한다. 여기에서는, 최대농도가 목표값(A) 308에 가까워지도록 프린터(115)의 디바이스 설정값, 즉, 예를 들면 레이저 출력, 현상 바이어스 등을 조정한다.
다음에, 스텝 S309에서, 기억장치(121)에 기억된 차트 데이터(B) 310을 취득한다. 차트 데이터(B) 310은 C, M, Y, K의 "단색"의 계조 데이터의 신호 값으로 구성된다. 이 차트 데이터(B) 310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프린트된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B) 312의 예를 도 5b에 나타낸다. 도 5b에 나타낸 예 506은 차트 데이터(B) 310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프린트된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프린트된 차트 화상(B) 312의 프린트 일례이다. 도 5b에 나타낸 패치 화상 507, 508, 509, 510 및 오른쪽에 있는 계조 데이터는, C, M, Y, K 각색의 계조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B) 312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포함한다.
다음에, 스텝 S311에서, 화상처리부(114)는 차트 데이터(B) 310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하고, 프린터(115)는 차트 화상(B) 312를 프린트한다. 여기에서, 화상처리부(114)는, 스텝 S214에서 하프톤 처리만 행하고, 스텝 S213의 1D-LUT 보정처리나 스텝 S212의 4D-LUT 보정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프린터(115)는 스텝 S307에서 최대 농도 보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 농도가 실질적으로 목표값(A) 308과 동등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313에서, 스캐너(119)나 센서(127)는 측색을 행하여 측색값(B) 314를 얻는다. 측색값(B) 314는 C, M, Y, K 각색의 계조로부터 얻은 농도값이 된다. 다음에, 스텝 S315에서, 측색값(B) 314과 미리 설정된 목표값(B) 316을 사용해서 단색의 계조를 보정하는 1D-LUT(218)을 작성한다.
다음에, 프린터(115)로부터 출력되는 멀티컬러의 특성을 보정하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색의 토너의 조합(겹치기 등)으로 표현되는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이 보정된다. 이하의 처리의 흐름은 콘트롤러(102) 내에 포함된 CPU(103)가 실행할 때 실현된다. 이 취득된 4D-LUT(217)은 기억장치(121)에 보존된다. 또, 표시장치(118)는 유저에의 지시를 UI에 표시하고, 입력장치(120)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시 후에 프린터(115)로부터 출력되는 멀티컬러를 보정한다. 그 때문에,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한 직후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401에서, 기억장치(121)에 기억되어 있는 "멀티컬러"로 구성된 차트 데이터(C) 402의 정보를 취득한다. 차트 데이터(C) 402는 멀티컬러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C, M, Y, K의 조합인 "멀티컬러"의 신호 값으로 구성된다. 이 차트 데이터(C) 402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프린트된 복수의 패치 화상을 가지는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C) 404의 일례를 도 5c에 나타낸다. 도 5c에 나타낸 예 511은 차트 데이터(C) 402를 프린트했을 때의 예를 나타내고, 패치 화상 512 및 그 예에 인쇄된 모든 다른 패치 화상은 C, M, Y, K을 조합한 멀티컬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C) 404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포함한다.
다음에, 스텝 S403에서는, 화상처리부(114)는 차트 데이터(C) 402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하고, 프린터(115)는 차트 화상(C) 404를 프린트한다.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시 후의 디바이스의 멀티컬러 특성을 보정하기 때문에, 화상처리부(114)는 화상처리의 실행에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시에 작성된 1D-LUT(218)을 사용한다.
다음에, 스텝 S405에서, 스캐너(119)나 측색부(126) 내에 포함된 센서(127)를 사용해서 프린트된 차트 화상(C) 404의 멀티컬러의 측색을 행하여 측색값(C) 406을 취득한다. 측색값(C) 406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시 후의 프린터(115)의 멀티컬러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측색값(C) 406은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 공간에서의 값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색 공간을 Lab이라고 한다. 스캐너(119)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3D-LUT 등을 사용해서 RGB값을 Lab값으로 변환한다.
다음에, 스텝 S407에서, 기억장치(121)에 기억되어 있는 Lab→CMY의 3D-LUT 409를 취득하고, 측색값(C) 406과 미리 설정된 목표값(C) 408과의 차분을 반영시켜서 Lab→CMY의 3D-LUT(보정 후) 410을 작성한다. 여기에서, Lab→CMY의 3D-LUT는, 입력된 Lab값에 대응하는 CMY값을 출력하는 3차원의 LUT다.
Lab→CMY의 3D-LUT(보정 후) 410을 작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Lab→CMY의 3D-LUT 409의 입력측의 Lab값에 대하여 측색값(C) 406과 미리 설정된 목표값(C) 408과의 차분을 더하고, 차분이 반영된 Lab값에 대하여, Lab→CMY의 3D-LUT 409를 사용해서, 보간 연산을 행한다. 이 결과, Lab→CMY의 3D-LUT(보정 후) 410을 작성한다.
다음에, 스텝 S411에서, 기억장치(121)에 기억되어 있는 CMY→ Lab의 3D-LUT 412를 취득하고, Lab→CMY의 3D-LUT(보정 후) 410을 사용해서 연산을 행한다. 이에 따라, CMYK→CMYK의 4D-LUT(217)을 작성한다. 여기에서, CMY→Lab의 3D-LUT는, 입력된 CMY값에 대응하는 Lab값을 출력하는 3차원의 LUT다.
CMYK→CMYK의 4D-LUT(217)의 구체적인 작성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CMY→Lab의 3D-LUT 412과 Lab→CMY의 3D-LUT(보정 후) 410으로부터 CMY→CMY의 3D-LUT를 작성한다. 다음에, K의 입력값과 K의 출력값이 동일하게 되도록 CMYK→CMYK의 4D-LUT(217)을 작성한다. 여기에서, CMY→CMY의 3D-LUT는, 입력된 CMY값에 대응하는 보정후의 CMY값을 출력하는 3차원의 LUT다.
단색 캘리브레이션 및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때의 UI표시의 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UI 화면(1201)은 표시장치(118) 상에 표시된다. 버튼 1202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며, 버튼 1203은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버튼 1204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 후,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 1204가 선택되면, 단색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고,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완료 후에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완료 후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용의 차트(C) 404를 프린트함으로써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한다. 또는, 유저에게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을 UI 화면에 표시하고, 그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러지면,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어도 된다.
한편, 버튼 1202가 선택되면, 단색 캘리브레이션만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버튼 1203이 선택되면,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만 실행된다.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대해서 서로 다른 버튼을 사용하는 이유에 관하여 설명한다.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실행시에 사용하는 차트 화상(C) 404를 프린트할 때,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 작성한 1D-LUT(218)을 사용한다. 따라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직후에, 즉 단색의 재현 특성이 보정된 직후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행하여,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2종류의 캘리브레이션을 양쪽 실행하면, 유저가 캘리브레이션의 처리를 완료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킨다. 그 결과, 양쪽 캘리브레이션의 실행 빈도가 다른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단색 프린팅을 행하는 기회가 많은 유저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빈도가 낮아진다. 한편, 사진의 프린팅과 같은 멀티컬러의 컬러 프린팅을 행하는 기회가 많은 유저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또한, 이 색 보정 메뉴의 선택이 가능한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통상, 화상처리장치는, 전원을 밤에 끄고, 아침에 켜는 케이스가 많다. 따라서, MFP(101)의 메인 전원 스위치가 온이 되고,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는, 버튼 1204만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버튼 1204만이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는, 미리 정해진 매수의 용지를 사용해서 인쇄가 실행될 때까지,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버튼 1204만이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미리 정해진 매수의 용지를 사용해서 인쇄가 실행되거나, 전원이 투입되었을 경우에, 자동으로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순차 실행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에서는 유저가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때에, 버튼 1204만이 선택될 수 있게 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마다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 직후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 후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해서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지, 단색 캘리브레이션이나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MFP(101)을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정시간마다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만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함으로써, 양쪽 캘리브레이션 중의 어느 한편의 캘리브레이션만 실행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재현 특성의 보정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버튼 1203 또는 버튼 1204가 눌러지고,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는 것이 전제가 된다.
본 실시예를 실현하는 데에 필요한 UI를 도 7에 나타낸다. 표시장치(118)에는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701)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는, 스캔 데이터를 다루는 카피 잡과, 전자 화상 데이터를 다루는 프린트 잡의 각각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S212의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있다.
스캔 데이터는, 원고를 스캐너(119)로 판독하는 것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가 MFP(101)에 송신될 때 취득될 수 있다.
한편, 전자 화상 데이터는, 입력장치(120)나 기억장치(121)로부터 데이터가 MFP(101)에 송신될 때 취득된다.
"ON" 버튼 702는 카피 잡에 대하여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또한, "OFF" 버튼 703은 카피 잡에 대하여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설정하는 버튼이다."ON" 버튼 702과 "OFF" 버튼 703의 선택은 배타적이다. 마찬가지로, "ON" 버튼 704는 프린트 잡에 대하여 4D-LUT 보정 처리 S212을 실행하는 것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또한, "OFF" 버튼 705는 프린트 잡에 대하여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ON" 버튼 704과 "OFF" 버튼 705의 선택은 배타적이다. "OK" 버튼 706은 이 "4D-LUT 보정 처리 설정"이 완료했을 때에 임의의 UI 화면으로 되돌아오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이다. 또한, "CANCEL" 버튼(707)은 설정 변경을 취소해서 임의의 UI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예를 실현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장치(121)에 기억되어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RAM에 로드되어서, CPU(103)에 의해 실행된다.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흐름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S202에서, 프린터(115)로 처리될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처리될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절차가 S600로 진행된다. 그리고, S600에서, 스캔 화상처리를 행하여, CMYK 화상(211)을 생성한다. S600에서 실행된 스캔 화상처리는, 도 2에 나타낸 S204∼S210에서 행해진 화상처리와 같다. S202에서, 처리될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될 화상 데이터는, 렌더러(112)에 의해 비트맵(bitmapped)된 래스터 화상(113)이 된다. 그리고, 이 화상 데이터는, CMS에 의해 프린터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CMYK으로 변환될 때 CMYK 화상(211)이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형성되는 화상이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지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지에 따라 그 후의 보정처리를 바꾸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다음에, S601에서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인지 아닌지(즉, 형성되는 화상이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지 아닌지)를 다시 판정한다.
보정처리를 바꾸는 제어를 행하는 이유는, 형성되는 화상이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 때와 형성되는 화상이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 때에 따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이 화상에 초래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영향의 차이에 관해서는 이하에 구체적인 예를 제시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인 PC(Personal Computer)로 작성된 전자 화상 데이터(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가 그라데이션(gradation) 화상인 경우, 이 화상은 매우 원활한 계조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 화상을 인쇄할 때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실행을 위해서 계조성이 희생된 보정결과를 사용하고, 그 결과, 화상의 원활한 계조성이 손상되어, 원하지 않는 효과가 눈에 띄게 된다.
한편, 리더(reader)로 스캔된 화상(카피 잡 실행에 의해 취득된 화상)이 그라데이션 화상일 경우, 스캔시에 노이즈가 섞이기 때문에, 이 화상은 PC로 작성된 전자화상 데이터와 비교해서 원활한 계조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이 화상을 인쇄할 때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계조성이 희생된 보정결과를 사용하고, 그 결과, 화상의 원활한 계조성이 손상되어도, 원하지 않는 효과는 눈에 띄지 않는다.
이 때문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해서 비선형의 보정이 행해졌을 경우, 보정결과가 인쇄된 화상에 초래하는 영향 정도는 카피 잡을 실행해서 화상을 얻을 때와, 프린트 잡을 실행해서 화상을 얻을 때에 따라 다르다. 즉,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스캔 화상 데이터일 경우보다도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전자화상 데이터일 경우쪽이,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보정결과가 인쇄 결과에 초래하는 영향이 커진다.
따라서, 형성되는 화상이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지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지에 따라 보정처리를 바꾸는 제어를 행한다.
기억장치(121)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콘트롤러에 일시 보존된 화상 데이터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일 경우에도 같은 판정을 행한다. 일시 보존된 화상 데이터는 문서 관리 정보를 갖고, 그 화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와, 인쇄시의 설정 등을 포함한다. 일시 보존된 화상 데이터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일 경우, S601에서는 일시 보존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문서 관리 정보에 근거해서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601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화상 형성을 위해서 실행되는 잡은 카피 잡이라고 판단하고, 절차가 S602로 진행된다. 그리고, S602에서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 상에서 카피 잡에 대한 4D-LUT 보정 처리 설정을 확인한다. 이 설정에서 "ON" 버튼(702)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절차가 S212로 진행된다. S212에서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멀티컬러 보정값을 사용해서 화상처리(제1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S213에서는, 4D-LUT 보정 처리가 실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1D-LUT 보정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OFF" 버튼(703)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절차가 S212을 건너뛰어서 S213로 진행된다. 즉,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멀티컬러 보정값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화상처리(제2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S213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1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S601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화상 형성을 위해서 실행되는 잡은 프린트 잡이라고 판단하고, 절차가 S603로 진행된다. S603에서, 4D-LUT 보정 처리설정 화면(701)상에서 프린트 잡에 대한 4D-LUT 보정 처리 설정을 확인한다. 이 설정에서 "ON" 버튼 704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절차가 S212로 진행된다. S212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멀티컬러 보정값을 사용해서 화상처리(제1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S213에서, 4D-LUT 보정처리가 실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1D-LUT 보정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OFF" 버튼 705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S212을 건너뛰어서 S213로 진행된다. 즉,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멀티컬러 보정값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화상처리(제2 처리)를 실행한다. S213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1D-LUT 보정처리를 실행한다. S604에서는, 1D-LUT 보정처리 S213을 행한 모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출력 화상 처리를 행한다. 출력 화상 처리 S604는 도 2에 나타낸 S214 및 S216에서 행한 처리와 같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사할 경우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보정처리를,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실행할 수 있다. 즉,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사할 경우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할 경우에, 제1 처리와 제2 처리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S602 및 S603에서, 4D-LUT 보정 처리 설정이 "OFF"인 경우, 4D-LUT를 사용한 보정처리를 스킵하지만, 보정처리를 스킵할 필요 없이, 4D-LUT 모두가 아니고, 4D-LUT의 일부를 사용해서 보정을 해도 된다. 즉,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멀티컬러 보정값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보정을 해도 된다. LAB 공간에서 한정된 몇 점을 보정하기 위해서, 도 4에서 작성된 차트 화상 (C) 404에는, 한정된 색(계조성에는 관여하지 않는 색)만 프린트해서 패치 화상을 작성하고, 이 한정된 패치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4D-LUT(일부)을 작성한다.
S602 및 S603에서, 4D-LUT 보정 처리 설정이 "OFF"인 경우에는, 이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하고, 그 후에 1D-LUT 보정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계조성에는 관여하지 않는 색에 대해서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에, 보정 정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 대신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대체의 보정값을 사용해서 보정을 해도 된다. 이 대체의 보정값은,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멀티컬러 보정값과 달리, 계조성에는 관여하지 않는 색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701) 상에서 4D-LUT 보정 처리 설정을 행하는 타이밍은, 유저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설정해도 된다.
또는, 설정 타이밍을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절차에 포함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표시된 화면에 있어서 버튼 1204가 눌러져 있다고 한다. 이때,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은, 일련의 처리로서 행해진다. 이 경우,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완료 후에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도 된다. 또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 전에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도 된다.
또는, 버튼 1203이 눌러져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만 행해지는 경우에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실행 전 또는 실행 후에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화면을 표시해서 유저에게 4D-LUT 보정 처리의 설정을 재촉해도 된다. 이때, 표시 화면의 설정이 항상 초기값으로 리셋되어도 되고, 전회의 설정을 반영해도 된다.
또한, 버튼 1202가 눌러져 단색 캘리브레이션만 행해지는 경우에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 전 또는 실행 후에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도 된다.
이때,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OFF" 버튼 703과 "OFF" 버튼 705가 이미 선택된 상태에서 표시해서, 유저에게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사용한 화상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확인시켜도 된다.
또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했을 때의 상태에 따라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 실행시에 사용한 목표값(C) 408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된 날짜가 오래된 경우, 프린터(115)의 경시적 변화에 의해 보정량이 커지는 것이 예상된다. 큰 보정량으로 보정을 행하면, 목표값와 측색값과의 차분이 커져서,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하여,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행해진 보정의 결과를 사용하지 않고(4D-LUT 보정 처리를 설정하지 않고) 화상처리를 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해도 된다. 또는, 기억장치(121)에 복수의 목표값(C) 408이 기억되고,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시에 지금까지 사용된 것들과 다른 목표값(C) 408이 선택되어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화상처리에 사용된 보정량이 변화된다. 보정량이 변화되면, 화상의 계조성에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서 유저에게 4D-LUT 보정 처리의 설정을 재촉해도 된다. 또한, 같은 목표값(C) 408을 사용해서 N번째 (또는 N번째 이상)의 보정이 실행되었을 때에도,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서 유저에게 4D-LUT 보정 처리의 설정을 재촉해도 된다.
또한, 프린터(115)의 엔진 상태를 감시해서, 시간에 따른 프린터(115)의 변화가 커진 타이밍을 측정하고,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자동으로 유저에게 재촉하는 MFP(101)가 사용되면, 그 타이밍에서, 4D-LUT 보정 처리의 설정을 유저에게 재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것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 후에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시간에 따른 프린터(115)의 변화가 커졌기 때문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유저에게 재촉한 후에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이 캔슬되었을 때는, 보정량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계조성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4D-LUT 보정 처리의 설정을 유저에게 재촉시키기 위해,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을 표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프린터(115)로 처리되는 화상 데이터가 전자 화상 데이터인지 스캔 화상 데이터인지 고려해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결과를 화상 형성에 적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시에 재현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처리와 제2 처리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취득된 보정 결과를 사용하는 화상 처리에 기인해서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의 계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취득된 보정결과를 사용해서 화상처리를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화면을 적절한 타이밍에서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설정을 재촉하고, 그것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의 계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프린트 잡마다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은 정보처리장치인 PC(124)의 프린터 드라이버(125), PC(124)로 실행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리모트 UI 화면 등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UI 화면의 일례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하는 프린트 잡을 실행할 경우만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가 결정되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화면과 같이 잡의 종류마다 설정 버튼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설정 화면 801은 프린터 드라이버(125)나, 리모트 UI 화면을 이용해서 행해진 4D-LUT 보정 처리에 관한 항목만을 고려했을 경우의 가장 심플한 구성을 갖는다. 이 설정 화면 801은, 4D-LUT 보정처리를 "ON"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 802과, 4D-LUT 보정처리를 "OFF"로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 803으로 이루어진다. "ON" 버튼 802과 "OFF" 버튼 803의 선택은 배타적이다. 4D-LUT 보정 처리가 "ON"으로 설정되면, 화상 형성시에 제1 처리 유닛이 설정된다. 4D-LUT 보정 처리가 "OFF"로 설정되면, 화상 형성시에 제2 처리 유닛이 설정된다.
설정 화면 801이 팝업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4D-LUT 보정 처리 설정 화면 701과 같이 "OK" 버튼 706과 "CANCEL" 버튼 707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자동" 버튼을 추가하고, "자동" 버튼이 선택될 때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MFP(101)의 설정을 따르는 방법을 추가해도 된다.
또한, 버튼 803이 눌러져 4D-LUT 보정 처리가 "OFF"로 설정되어 있어도,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하고, 그 후에 1D-LUT 보정처리를 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4D-LUT 보정 처리를 "ON"으로 할지 "OFF"로 할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네트워크(123)를 통해 콘트롤러(102)로부터 취득된다. 그 정보는 항상 표시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트롤러(102)로부터 취득될 때 표시되어도 된다. 표시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최후에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행한 일시와, 사용한 목표값(C) 408을 포함하고 있다. 전회의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동작을 행하고나서 긴 시간이 경과했으면, 4D-LUT(217)이 나타내는 파라미터(즉,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이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4D-LUT(217)을 사용해서 인쇄되는 화상을 보정하면,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되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한편, 전회의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동작에서 사용한 목표값(C) 408이 기억되고나서 긴 시간이 경과했으면, 보정량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4D-LUT(217)해서 인쇄되는 화상을 보정하면,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되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면, 유저는, 4D-LUT 보정처리를 "ON"으로 설정할지 "OFF"로 설정할지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목시(visual check)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에 대하여 계조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4D-LUT 보정 처리를 "OFF"로 설정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125), 리모트 UI 화면 등을 이용해서 4D-LUT 보정 처리 S212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FP(101)의 상태와 인쇄되는 화상의 특징에 따라, 프린트 잡을 실행해서 화상을 형성할 때마다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결과를 사용해서 화상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인쇄되는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만, 4D-LUT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2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결과에 의한 효과를 잡마다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여기에서는, 전술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의 실시예와 달리, 4D-LUT 보정 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전환한다. 형성되는 화상에 그라데이션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판정하고, 그라데이션이 포함되는 페이지에 대해서는,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페이지마다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처리의 특징인,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예를 실현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장치(121)에 기억되어 있다. 이 제어 프로그램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RAM에 로드되어서, CPU(103)에 의해 실행된다. 이 방법의 특징에 대해서는 도 10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순서를 참조해서 설명할 것이다.
우선, S1001에서, 프린터(115)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이 스캔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S1001에서, 프린터(115)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이 화상 스캔 잡(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해도,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절차가 S1004로 진행되어,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을 "ON"으로 설정한다.
한편, S1001에서 화상이 스캔 잡이 아닌 잡(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절차가 S1002로 진행된다. S1002에서, 화상에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S1002에서는,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에 부수되는 속성 데이터, 중간 언어 데이터(105) 등을 해석함으로써 판정한다. 예를 들면, 중간 언어 데이터(105)에서 그라데이션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오브젝트(object)가 있는 경우에는, 인쇄되는 화상에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그라데이션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데 유효한 방법이면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S1002에서 그라데이션 화상을 포함하는지 아닌지가 판정된 후에는, 절차가 S1003로 진행된다. S1002에서 그라데이션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1003에서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은 OFF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판정하고, 절차가 S1005로 진행된다. S1005에서,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을 "OFF"로 설정한다. 즉, 제2 처리를 설정한다. 이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이 OFF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술한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해도 된다. 이 경우,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하고, 그 후 1D-LUT 보정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S1002에서 그라데이션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1003에서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을 "OFF"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고, 절차가 S1004로 진행된다. S1004에서,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을 "ON"으로 설정한다. 즉 제1 처리를 설정한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에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보정결과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자동으로 판정한다. 이에 따라,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UI를 PC(124)의 화면이나 표시장치(118)의 화면에 표시해도 된다.
UI 화면 901은, 인쇄되는 화상에 포함되는 그라데이션 화상의 유무를 자동으로 판정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기 위한 UI의 일례다. "ON" 버튼 902는 그라데이션 화상의 유무에 대한 자동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OFF" 버튼 903은 그라데이션 화상의 유무에 대한 자동판정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ON" 버튼 902과 "OFF" 버튼 903의 선택은 배타적이다. "OK" 버튼 904는 설정 완료시에 임의의 UI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CANCEL" 버튼 905는 설정 변경을 취소해서 임의의 UI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자동판정의 전환은, 예를 들면, 인쇄되는 화상에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정밀도가 완벽하지 않을 경우나,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 등의 조건에 의해 오판정이 많은 경우에 유효하다.
자동 판정 전환 화면 901이 "ON"으로 설정된 경우에 행해진 처리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따라서, 자동 판정 전환 화면 901이 "OFF"로 설정된 경우에 행해진 처리만,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01에서, 지시된 잡이 스캔 잡이 아니라고(즉, 지시된 잡이 프린트 잡이다) 판단되었을 경우, S1101에서, 인쇄되는 화상에의 그라데이션 화상의 존재를 자동으로 판정할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자동 판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즉 자동 판정 전환 화면 901이 "ON"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처리가 행해진다. S1101에서 자동 판정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즉, 자동 판정 전환 화면 901이 "OFF"로 설정된 경우에는, 처리가 S1102로 진행된다. S1102에서는, 미리 정해진 설정을 확인한다.
자동 판정이 "OFF"로 설정되고, 또 도 7이나 도 8에 나타낸 화면을 사용해서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한다고 판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처리가 S1003로 진행되고, 4D-LUT 보정처리를 "ON"으로 설정한다.
자동 판정이 "OFF"로 설정되고, 또 도 7이나 도 8에 나타낸 화면을 사용해서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처리가 S1105로 진행되고, 4D-LUT 보정처리를 "OFF"로 설정한다.
4D-LUT 보정처리가 "OFF"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술한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해도 된다. 이 경우, 4D-LUT(일부)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하고, 그 후에 1D-LUT 보정처리를 행한다.
또한, UI 화면 901에서, 자동 판정이 "OFF"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카피 잡과 프린트 잡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지시에 따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인쇄되는 화상에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해서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1 처리와 제2 처리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제어를 자동으로 실행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을 인쇄되는 화상의 페이지마다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컬러의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고, 인쇄되는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될 수 있는 페이지에 대해서는,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을 "OFF"로 설정할 수 있다. 한층 더, 유저가 손상을 의식하지 않은 채로, 페이지마다 인쇄되는 화상의 계조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4D-LUT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
카피 잡을 실행할 때나 프린트 잡을 실행할 때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이 OF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해서 보정값을 취득해도, 화상처리시에 4D-LUT를 사용한 보정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보정의 효과를 취득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 자체가 쓸데없기 때문에, 표시장치(118)상에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중지시킨다. 또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었을 때에, 보정처리가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알려도 된다.
이상과 같이, 4D-LUT 보정처리의 실행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중지시킨다. 또는, 유저에게 경고를 행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행해도,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보정효과를 취득할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없는 보정값을 얻기 위해서, 멀티컬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 중 하나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MPU 등)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 전자사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했지만, 잉크젯 프린터, 서멀 프린터(thermal printer) 등을 대신 사용해도 되고, 본 발명의 주지는 프린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록제로서, 전자사진인쇄에 있어서의 토너를 예로 들어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토너 대신에 잉크나 기타의 기록제를 사용해도 되고, 본 발명의 주지는 사용한 기록제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복수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멀티컬러 패치(patch)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보정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상기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을 이용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상기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된 보정값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2 처리유닛과,
    상기 제1 처리유닛과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단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단색의 패치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단색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단색 보정값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이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에 더해서, 상기 단색 보정값을 사용해서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행하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실행된 처리에 대해서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유닛을 더 구비하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이,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이,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될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처리유닛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을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할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1 처리유닛을 실행시킬지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실행시킬지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가능한, 컬러 화상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을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할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1 처리유닛을 실행시킬지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실행시킬지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가능한, 컬러 화상 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컬러 화상 처리장치에 접속된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프린트 잡마다 상기 제1 처리유닛과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컬러 화상에 포함된 페이지마다 상기 제1 처리유닛과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컬러 화상에 그라데이션(gradation) 화상이 포함될 경우에, 상기 제1 처리유닛을 실행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1 처리유닛을 실행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처리유닛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취득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보정값을 취득하지 않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
  11.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복수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멀티컬러 패치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보정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는 제1 처리단계, 혹은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보정값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제2 처리단계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단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단색의 패치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단색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단색 보정값도 취득하고,
    상기 보정값에 더해서, 상기 단색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행하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 실행된 처리에 대해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이,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키는 단계에서 실행시키고,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이,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처리단계를,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을, 프린트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처리단계와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컬러 화상을 카피 잡의 실행에 의해 취득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처리단계와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는, 컬러 화상 처리장치에 접속된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프린트 잡마다 상기 제1 처리단계와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컬러 화상에 포함되는 페이지마다, 상기 제1 처리단계와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컬러 화상에 그라데이션 화상이 포함될 경우, 상기 제1 처리단계를 실행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실행시키는, 컬러 화상 처리방법.
  20.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복수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형성된 멀티컬러의 패치 화상을 측색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보정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는 제1 처리단계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보정값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이 형성한 멀티컬러의 재현 특성을 목표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제2 처리단계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처리단계와 상기 제2 처리단계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025308A 2013-03-05 2014-03-04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 KR101707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3044 2013-03-05
JP2013043044A JP6193589B2 (ja) 2013-03-05 2013-03-05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322A true KR20140109322A (ko) 2014-09-15
KR101707834B1 KR101707834B1 (ko) 2017-02-17

Family

ID=5028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308A KR101707834B1 (ko) 2013-03-05 2014-03-04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958128B2 (ko)
EP (1) EP2775699B1 (ko)
JP (1) JP6193589B2 (ko)
KR (1) KR101707834B1 (ko)
CN (1) CN1040386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0093B2 (ja) 2012-11-29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311283B2 (ja) * 2013-11-13 2018-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54830B1 (ko) 2015-01-30 2021-05-2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색 보정
WO2017184151A1 (en) 2016-04-21 2017-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ant calibration utilizing calibration element
CN106937018B (zh) * 2017-01-12 2019-03-05 浙江大学 基于rbf神经网络用于纺织品喷墨印染的色彩映射方法
JP6862267B2 (ja) * 2017-05-02 2021-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色変換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の作成装置、色変換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の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7012B2 (ja) * 2017-09-28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11693A (ko) * 2018-03-23 2019-10-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색상 프로파일 배포 및 관리
JP2021093719A (ja) * 2019-12-09 2021-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06643A (ja) * 2020-06-24 2022-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705663B (zh) * 2021-08-10 2023-11-14 荣耀终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与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055A (ja) * 2000-10-18 2002-04-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03224723A (ja) * 2002-01-29 2003-08-08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出力装置のカラ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式、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出力装置
JP2008035270A (ja) * 2006-07-28 2008-02-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263345A (ja) * 2009-05-01 2010-11-18 Ricoh Co Ltd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9392B2 (en) * 2003-03-28 2009-12-29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to enhance image processing in a color reprographic system
JP2007150757A (ja) * 2005-11-28 2007-06-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766691B2 (ja) * 2006-12-18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階調補正テーブル作成方法及び装置
JP4838702B2 (ja) * 2006-12-26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96309B2 (ja) * 2007-04-0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4434250B2 (ja) * 2007-09-2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回路、撮像装置、および画像信号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40453B2 (ja) * 2008-06-19 2011-03-0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原稿読み取り装置、原稿読み取りプログラム、原稿読み取り方法
JP5381380B2 (ja) * 2009-06-18 2014-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631060B2 (ja) * 2010-06-03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055A (ja) * 2000-10-18 2002-04-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03224723A (ja) * 2002-01-29 2003-08-08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出力装置のカラ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式、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出力装置
JP2008035270A (ja) * 2006-07-28 2008-02-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263345A (ja) * 2009-05-01 2010-11-18 Ricoh Co Ltd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834B1 (ko) 2017-02-17
EP2775699B1 (en) 2022-10-19
US20140253931A1 (en) 2014-09-11
US9094642B2 (en) 2015-07-28
JP6193589B2 (ja) 2017-09-06
EP2775699A3 (en) 2018-01-03
JP2014171177A (ja) 2014-09-18
EP2775699A2 (en) 2014-09-10
US20150124272A1 (en) 2015-05-07
US8958128B2 (en) 2015-02-17
CN104038665B (zh) 2017-03-01
CN104038665A (zh)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834B1 (ko)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
US118318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forming correcting color image data for each paper type
US1182981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733917B1 (en)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method
US9159001B2 (en)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7207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EP288763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98453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4099830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62390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41633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201722519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