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779A -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779A
KR20140107779A KR1020130021748A KR20130021748A KR20140107779A KR 20140107779 A KR20140107779 A KR 20140107779A KR 1020130021748 A KR1020130021748 A KR 1020130021748A KR 20130021748 A KR20130021748 A KR 20130021748A KR 20140107779 A KR20140107779 A KR 20140107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umestrin
skin
presen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067B1 (ko
Inventor
강영규
심종원
심진섭
박준호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2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메스트린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항산화 효과, 피부 노화 방지 효과,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ntaining Coumestrin}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coumestrin)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062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부 보습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또 다른 측면에서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형,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콩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쿠메스트린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쿠메스트린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의약 분야, 또는 식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쿠메스트린의 Mass Spectrum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쿠메스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쿠메스트린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unbranched) 또는 분지(branched)된, C1내지 C18의 알킬기(alkyl group), C1내지 C18의 알케닐기(alkenyl group), C1내지 C18의 알키닐기(alkynyl group) 또는 C3내지 C6의 사이클릭 알킬기(cyclic alkyl group)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쿠메스트린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쿠메스트린은 콩과 식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 뿌리에서 분리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콩과 식물은 쿠메스트린을 합성하는 콩과 식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콩과 식물의 종류는, 장류 및 두부용, 나물용, 밥밑용 또는 풋콩용 품종일 수 있다. 장류 및 두부용 품종으로는, 대풍(大豊, 대한민국 품종명칭등록(이하, 생략) 출원공고번호 제2003-940호), 호장(湖醬, 출원공고번호 제2003-950호), 장원(壯元, 출원공고번호 제2002-76호), 대황(大潢, 출원공고번호 제2000-379호), 소담(출원공고번호 제1999-933호), 송학(松鶴, 출원공고번호 제1999-936호), 대원(大元, 대한민국 국가품종목록(이하, 생략) 등재번호 제01-0003-1997-38호), 진품(眞品, 등재번호 제01-0003-1997-26호), 단백(蛋白, 등재번호 제01-0003-1997-18호), 두유(豆油, 등재번호 제01-0003-1997-22호), 신팔달(新八達, 등재번호 제01-0003-1997-15호), 태광(太光, 등재번호 제01-0003-1997-12호), 만리(萬里, 등재번호 제01-0003-1997-11호), 장수(長壽, 등재번호 제01-0003-1997-9호), 무한(無限, 등재번호 제01-0003-1997-7호), 백운(白雲, 등재번호 제01-0003-1997-2호), 새알(등재번호 제10-0003-1997-3호), 황금(黃金, 등재번호 제01-0003-1997-1호) 및 장엽(長葉, 등재번호 제01-0003-1997-41호) 등이 있다. 나물용 품종으로는, 신화콩(출원공고번호 제2009-982호), 소원콩(출원공고번호 제2000-376호), 안평(安平, 출원공고번호 제2003-939호), 서남(西南, 출원공고번호 제2003-948호), 다채(多彩, 출원공고번호 제2003-930호), 소록(小綠), 소호(小湖, 출원공고번호 제2002-78호), 소명(疏明, 출원공고번호 제1999-932호), 다원(多元, 등재번호 제01-0003-1997-40호), 풍산(豊産, 등재번호 제01-0003-1997-34호)나물, 익산(益山, 등재번호 제01-0003-1997-29호)나물, 소백(小白, 등재번호 제01-2003-1997-31호)나물, 광안(光安, 등재번호 제01-0003-1997-19호), 단엽(短葉) 및 은하(銀河, 등재번호 제01-0003-1997-6호) 등이 있다. 밥밑용 품종으로는, 청자(靑磁, 출원공고번호 제2002-80호), 흑청(黑靑, 출원공고번호 제2000-381호), 갈미(褐味, 출원공고번호 제2000-380호), 선흑(鮮黑, 출원공고번호 제1999-934호), 검정콩(등재번호 제01-2003-1997-17호) 및 일품(一品)검정콩(등재번호 제01-0003-1997-42호) 등이 있다. 또한, 풋콩용 품종으로는, 다올(출원공고번호 제2003-931호), 신록(新綠, 출원공고번호 제2002-77호), 새올(출원공고번호 제1999-938호), 검정올(등재번호 제01-2003-1997-37호), 석양(夕凉)풋콩(등재번호 제01-0003-1997-25호), 화엄(華嚴)풋콩(등재번호 제01-0003-1997-21호) 및 큰올(등재번호 제01-2003-1997-1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린은 화합물로부터 합성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쿠메스트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유기 라디칼인 DPPH의 산화를 억제시킴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 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한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 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내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μ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 μg/kg/일 내지 5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호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μ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μ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콩 뿌리 추출물의 제조
콩 뿌리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추출 수율을 높이기 위해 세말화하였다. 세말화한 콩 뿌리 분말 2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리터(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4-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액을 3리터들이 분액 깔때기에 넣고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1리터를 가한 후 흔들어서 잘 섞어준 다음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한 후 상층(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취하였다. 하층(물 층)을 다시 분액 깔때기로 두 번 더 추출하였다.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건조중량 22.5 g의 콩 뿌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콩 뿌리 추출물로부터 쿠메스트린의 분리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콩 뿌리 추출물 20 g을 실리카(silica) 겔 컬럼(230-400 mesh, ASTM, Art.9385)에 걸어 헥산-메틸클로라이드 (C6H14-CH2Cl2(1:1)), 클로로포름(CHCl3), 클로로포름-아세톤(CHCl3-Me2CO(9:1)), 아세톤(Me2CO) 그리고 메탄올(MeOH)을 기울기 용리(gradient elution)시켜 소분획을 얻어 이 중 클로로포름-아세톤(CHCl3-Me2CO(9:1)) 용출액에 대하여 recycling preperative-HPLC (컬럼, Ascentis C18 ; 유속, 10ml/min.; 용매, 70% 메탄올, 342nm)를 실시하여 쿠메스트린 110.8 mg을 얻었다. 하기 도 1은 쿠메스트린의 Mass Spectrum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DPPH 테스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쿠메스트린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기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쿠메스트린에 대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에탄올 내에서(in ethanol))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실시예 2의 쿠메스트린 및 양성대조군을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양성대조군으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을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표 1]
DPPH 분석 결과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쿠메스트린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와 비교하여도 우수한 효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쿠메스트린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노화 효과 시험(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쿠메스트린의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능을 토코페롤(tocopherol),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항산화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Cascade Biologics (Oregon, USA),.)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2의 쿠메스트린, 토코페롤 및 EGCG 각각을 10-4 몰(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표 2]
Figure pat00005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생성되는 주름의 양은 적어진다. 상기 표 2에서 보면, 본 발명에 쿠메스트린은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EGCG와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쿠메스트린은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항노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미백 효과 시험(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쿠메스트린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공 평판(24-well plate)에 105 세포/공(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각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시험물질로는 하이드로퀴논과 상기 실시예 2의 쿠메스트린을 각각 10-4 몰농도로 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수학식2]
Figure pat00006
[표 3]
Figure pat0000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쿠메스트린은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쿠메스트린은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자극감 시험
공지된 미백 물질인 코직산과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쿠메스트린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의 정도를 실험하였다.
피험자에게 코직산(kojic acid, YM chemical 통해 구입)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쿠메스트린을 0.5㎖씩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여 문지르고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0 ~ 0.4: 자극 없음
0.5 ~ 1.0: 약간 자극이 있음
1.1 ~ 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 ~ 3.0: 자극이 심함
[표 4]
Figure pat00008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직산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어느 정도 있어 보통 약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극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쿠메스트린은 화끈거림과 따가움 모두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여서 대체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쿠메스트린은 코직산과는 다르게 자극감이 없어 보다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피부 보습 시험(인간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유도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쿠메스트린의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시험으로 일차 배양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Cascade Biologics (Oregon, USA),)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쿠메스트린 10-4 몰농도와 3 X 10-4 몰농도를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80~9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를 가하여 3분간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수행하고 난 후, 10분간 끓였다. 이를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를 하여 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 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분화 촉진효과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쿠메스트린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쿠메스트린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능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아래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
쿠메스트린 80μ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한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제형예 2] 정제
쿠메스트린 80μ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드링크제
쿠메스트린 80μ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4] 과립제
쿠메스트린 80μ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pat00010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함량으로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6]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pat00011
[제형예 7]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pat00012
[제형예 8] 영양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9]
Figure pat00013
[제형예 9] 마사지 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pat00014
[제형예 10]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11]
Figure pat00015
[제형예 11] 건강 식품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표 12]
Figure pat00016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12] 건강 음료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13]
Figure pat00017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유효성분으로 쿠메스트린(Coumestrin)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유효성분으로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3. 유효성분으로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4. 유효성분으로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5. 유효성분으로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메스트린은 콩과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메스트린은 콩과 식물의 뿌리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메스트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메스트린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8

    상기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직쇄(unbranched) 또는 분지(branched)된, C1내지 C18의 알킬기(alkyl group), C1내지 C18의 알케닐기(alkenyl group), C1내지 C18의 알키닐기(alkynyl group) 또는 C3내지 C6의 사이클릭 알킬기(cyclic alkyl group)일 수 있다.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메스트린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9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30021748A 2013-02-28 2013-02-28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8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48A KR101989067B1 (ko) 2013-02-28 2013-02-28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48A KR101989067B1 (ko) 2013-02-28 2013-02-28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79A true KR20140107779A (ko) 2014-09-05
KR101989067B1 KR101989067B1 (ko) 2019-06-14

Family

ID=5175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748A KR101989067B1 (ko) 2013-02-28 2013-02-28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056A (ko) 2022-01-14 2023-07-21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재배를 통한 쿠메스트린 말로네이트 및 그 구조이성질체의 생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79B1 (ko) 2005-11-11 2007-04-12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롤을 함유한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110052A (ko) * 2010-03-31 2011-10-06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79B1 (ko) 2005-11-11 2007-04-12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롤을 함유한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110052A (ko) * 2010-03-31 2011-10-06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2001, 49, 2774-2779 *
김수경 외. 쿠메스트롤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증가를 통한 피부 광노화 예방 효과.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 38(3), 2012년 9월, pp. 237-24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056A (ko) 2022-01-14 2023-07-21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재배를 통한 쿠메스트린 말로네이트 및 그 구조이성질체의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067B1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9204A (ko) 이상 단백질 제거용 조성물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29600A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99276B1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36981B1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9067B1 (ko)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081600A (ko) 곡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09067747A (ja) 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40055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1854158B1 (ko)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67752B1 (ko) 다이플렉트리아 바르바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291466B2 (ja)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細胞間接着構造の形成促進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TRPV4活性化剤、細胞内Ca濃度上昇亢進剤及び皮脂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