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554A - 기울임 가능한 전로 - Google Patents

기울임 가능한 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554A
KR20140107554A KR1020147020403A KR20147020403A KR20140107554A KR 20140107554 A KR20140107554 A KR 20140107554A KR 1020147020403 A KR1020147020403 A KR 1020147020403A KR 20147020403 A KR20147020403 A KR 20147020403A KR 20140107554 A KR20140107554 A KR 2014010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uspension elements
pendulum suspension
support ring
pend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랄트 빔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0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33Suppor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50Tilting mechanisms for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링(3)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 링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로 용기(2)를 갖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 링(3)은 기울임 축(a)을 중심으로 기울이기 위한 2 개의 대향하는 지지 핀(4, 5)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 링(3) 상의 전로 용기(2)의 서스펜션은 원주 상에 분배된 4 개의 서스펜션(suspension) 요소(6, 7, 8, 9)들을 포함하며, 상기 요소들은 전로(1)가 직립(upright)될 때 전로 용기(2)로부터 지지 링(3) 상으로 수직력들을 전달한다. 2 개 이상의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의 상기 전로 용기(2) 및/또는 지지 링(3) 상의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들은 전로(1)의 길이방향 축(b)에 대한 회전 대칭 배열로부터 수평하게 그리고/또는 수직하게 오프셋 배열되어,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모든 작용선들이 공통 교차점을 갖거나 일 지점에서 서로 접근하거나 평행하게 연장하지는 않는다.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의 균일한 부하를 갖는 정정(statically determined) 장착 시스템이 이점이다.

Description

기울임 가능한 전로 {TILTABLE CONVERTER}
본 발명은 지지 링(ring)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 링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로 용기를 갖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 링은 기울임 축을 중심으로 기울이기 위한 2 개의 대향하는 지지 핀(pin)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 링 상의 전로 용기의 서스펜션(suspension)은 원주 상에 분배된 4 개의 펜듈럼(pendulum) 서스펜션 요소들을 포함하며, 이 요소들은 전로가 직립(upright)될 때 전로 용기로부터 지지 링 상으로 수직력들을 전달한다.
전로들이 제강(steel production)에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장입(charging) 측 및 출탕(tapping) 측을 갖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물류상의(logistical) 이유들로, 장입 및 출탕이 동일 측에서 실행된다. 장입 측이 전로 충전을 위해서 사용되며, 여기서 전로는 일반적으로 약 45°만큼 경사진다. 비움(emptying)을 위해서, 전로는 출탕 측을 향해 기울어진다. 기울임 축은 지지 링 상에서 2 개의 정반대의(diametrically opposed) 지지 핀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에, 통상적으로, 단지 하나의 지지 핀이 기울임 구동부(tilt drive)에 연결된다. 가끔은, 지지 핀들 양자 모두에 또한 구동부들이 제공된다.
지지 링은 전로 용기를 둘러싸며, 이 용기는 서스펜션을 통해 지지 링에 연결된다. 이 서스펜션은 전로 용기로부터 지지 링 상에 힘을 전달한다. 전달될 힘들은 전로 용기의 기울임 위치 및 충전 높이(level)에 의해 그리고 동적 부하(dynamic load)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서스펜션의 설계는, 전로와 지지 링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이들이 지지 링에 대한 전로의 상당한 변형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DE 43 27 640 A1으로부터, 전로 용기와 지지 링 양자 모두 상에 구형으로(spherically) 장착된 펜듈럼 요소들(링크들)에 의한 서스펜션이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립 전로를 보면, 3 개의 수평 및 3 개의 수직 펜듈럼 요소들의 배열이 존재한다. 이는, 지지 링에서 전로 용기의 정정(靜定; statically determinate) 서스펜션을 성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모든 수직 펜듈럼 요소들이 균등하게 부하를 받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서스펜션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양이 다른 문제점이다. 공지된 다른 실시예들은 2 개의 수평 펜듈럼 요소들 및 브래킷(bracket)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추가의 수직 펜듈럼 요소 그리고 이에 따라 중복성(redundancy)을 포함한다. 성취하고자 의도되는 목적은 지지 요소의 총체적인 고장시, 신뢰가능한 힘 전달이 여전히 모든 기울임 위치들에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장착 시스템은 단순 부정정(statically indeterminate)이다. 이는 또한 고장시 나머지 링크들의 충분한 부하 용량(loading capacity)을 보장하기 위해서 지지 요소들의 초과치수(overdimensioning)를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WO 2011/069395 A1은 4 개의 수직 펜듈럼 요소들을 갖는 서스펜션을 개시하며, 이 요소들은 전로 용기의 둘레(circumference) 상에서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는 또한, 변형시 속박력(constraining force)들의 발생 및 높은 조립 요구사항들을 갖는 단순 부정정 장착 시스템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유형의 기울임 가능한 전로를 위해 종래 기술에 대한 개선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제 1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전로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성취물은, 전로 용기 및/또는 지지 링 상에서의 2 개 이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장착 위치들이 전로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회전 대칭 배열로부터 수평하게 그리고/또는 수직하게 오프셋 배열되어,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모든 작용선들이 공통 교차점을 갖거나 일 지점에서 서로 접근하지 않는 것을 예상한다. 따라서, 전로 용기 및/또는 지지 링 상에서의 별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모든 장착 위치들이 전로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되는 것은 아니다. 직립 전로인 경우에,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은 전로 용기로부터 지지 링 상으로 수직 및 수평 힘들 양자 모두를 전달하며, 여기서, 수평 힘들은 서로 상쇄한다. 구체적으로,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서의 힘들은 각각의 요소의 베어링(bearing)을 통해 작용선들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용기 및 지지 링 양자 모두 상에서, 지지 링에서의 전로 용기의 서스펜션은 구형 베어링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베어링은 피벗(pivot) 지점을 가지며, 이 지점을 중심으로 각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가 선회(swivel)될 수 있다. 전달된 힘들의 작용선들은, 베어링들에서의 마찰력들이 무시된다면, 각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의 2 개의 베어링 피벗 지점들에 의해 규정된다. 본 문맥에서, 각각의 장착 위치는 각각의 베어링 피벗 지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제조 허용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들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방식으로 회전 대칭 배열에 대한 장착 위치들의 오프셋을 제공한다. 사실상, 또한 공지된 회전 대칭 배열들이 불가피한 생산 허용 공차(production tolerance)들의 결과로서 편차(deviation)들을 가질지라도, 이는 전달된 힘들의 모든 작용선들이 일 지점에서 서로 접근하는 것은 아니라는 본 발명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는, 왜냐하면 회전 대칭 배열이 제공되자마자, 힘 작용선들이 공통 지점을 가지며, 심지어 평행 힘 작용선들인 경우 상기 공통 지점이 무한대로 훨씬 멀리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용가능한 공간을 활용하는 정도로 장착 위치들의 회전 대칭 배열로부터의 편차들을 예상한다. 전로 용기 및 지지 링의 특정 배열을 고려하면, 서로로부터의 장착 위치들의 가능한 가장 큰 수평 및/또는 수직 오프셋은 서스펜션을 위해 제공된 설치 공간 내에서 발생한다. 이는, 가능한 멀리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모든 힘 작용선들의 공통 교차점을 회피한다.
본 발명은 4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을 갖는 정정 장착 시스템을 성취한다. 이는, 먼저 3 개 장착된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이 존재할 때, 시스템이 4번째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의 단순한 장착을 허용하는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갖는다는 이점과 연관된다.
추가의 이점은, 기울임 프로세스 중, 4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 전부가 대략 동일한 최대 부하를 갖는다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4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 상의 최대 부하들의 이러한 균일한 분배는 공지된 서스펜션 시스템들에 비해 구성요소 치수들의 감소 및/또는 서스펜션 요소들의 장수명을 가능케 한다.
추가로, 별개의 서스펜션 요소들의 과부하(overloading)를 유발할 수 있는 열 변형의 결과로서 제어 불가한 속박력들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장착 위치들이 전로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되며, 제 2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장착 위치들이 전로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또는 수직으로 오프셋 그리고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단지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이 전로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된다. 이는, 별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하고 공간을 절약한다.
이 경우에, 제 1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 및 제 2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이 각각의 경우에 구조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작용선들의 교차점들 사이 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 한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이 다른 펜듈럼 요소들보다 더 길다.
그러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 모두가 동일한 설계를 갖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제조, 조립 및 재고(stock-holding)를 보다 바람직하게 실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파손시,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의 대체가 더 용이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는, 전로의 장입 측 상의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 및 전로의 출탕 측 상의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 각각은 전로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식 장착 위치들을 갖는 것을 예상한다. 따라서, 서스펜션은 각각의 경우에, 기울임 축을 통해 수직 중심선의 양쪽 상에 동일한 장착 위치들을 갖는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출탕 측에 면하는 측은, 특별한 경우, 장입 및 출탕이 동일 측에서 실행되는 경우 조차, 장입 측으로서 표시된다.
이 경우에, 직립 전로를 보면, 각각의 경우에, 전로의 일측 상의 지지 링 및 전로 용기 상에 위치된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장착 위치들의 수직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의 비율은, 전로의 타측 상의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장착 위치들의 비율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입 측 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힘 작용선들은, 출탕 측 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힘 작용선들 보다 더 높거나 낮은 위치에서 기울임 축을 통해 수직 중심 평면을 교차한다. 여기서, 교차점들과 중심 평면 사이의 거리는 기울임 축을 중심으로 이러한 배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토크의 레버 아암 길이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울임 축의 방향으로 힘들이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울임 축의 방향으로 동력(dynamic force)들은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서 힘들의 평형을 가져온다.
이러한 종류의 배열의 단순한 구조는,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작용선들이, 출탕 측 상에서 전로의 길이방향 축과의 제 1 공통 교차점을 가지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작용선들은, 장입 측 상에서 전로의 길이방향 축과의 제 2 공통 교차점을 가지는 것을 예상한다.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분배를 위해서, 직립 전로의 평면에서 보면, 각각의 장착 위치들은 기울임 축에 대해 40°내지 50°의 각도 구역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배열은 전로 용기로부터 지지 링 상으로의 균일한 힘 전달을 유발한다.
직립 전로에서 보면, 2 개의 수평 펜듈럼 요소들이 수평방향 힘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전로 용기와 지지 링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전체적으로, 이때, 서스펜션은 6 개의 펜듈럼 요소들을 포함한다. 수평 펜듈럼 요소들로서 나타낸 링크들은 전로가 기울어질 때 전로 용기로부터 지지 링 상으로 힘들을 전달한다. 중력의 중심 위치에 따라, 90°기울임 위치를 가지면, 수평 펜듈럼 요소들에 의해 가장 큰 힘들이 전달되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에 의해 더 작은 힘들이 전달된다. 여기서, 이들 2 개의 수평 펜듈럼 요소들은 또한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들의 설계와 동일한 설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로써 하기에 설명된다.
도 1은 전로의 측면도(side elevation)이다.
도 2는 전로의 정면도(front elevation)이다.
도 3은 전로의 평면도이다.
전로(1)는 복수 개의 지지 요소(6, 7, 8, 9, 10, 11)들에 의해 지지 링(3)에 이격되어 매달리는(suspended spaced away) 용기(2)를 포함한다. 이들 지지 요소들 중 4 개의 요소들은 펜듈럼 서스펜션(pendulum suspension) 요소(6, 7, 8, 9)들로서 구현되며, 전로(1)가 직립(upright)될 때 전로 용기(2)로부터 지지 링(3) 상으로 힘들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동시에, 경사식 정렬(inclined alignment)에 기인하여,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은 또한, 수평방향 힘들을 흡수하지만, 이들은 서로 상쇄된다. 동력(dynamic force)들을 무시하면,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은 전로 용기(2) 및 그의 내용물의 무게 중력(weight force)(FG)과 힘의 평형(force equilibrium)을 이룬다.
2 개의 수평 펜듈럼 요소(10, 11)들은 전로(1)의 기울어진 위치들에서의 힘의 전달(force transmission)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로(1)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기울임 축(a)을 규정하는, 지지 링(3) 상에 배열되는 2 개의 지지 핀(4, 5)들에 의해 기울어진다. 통상적으로, 이들 핀들 중 단지 하나의 핀(4)이 대응하는 기울임 구동부(tilt drive)에 연결된다.
전로(1)의 기울임 축(a)과 길이방향 축(b) 사이에서 연장하는 평면은 전로(1)를 2 개의 측면들로 분할하는데, 이 측면들은 장입 측(charging side)(C) 및 출탕 측(tapping side)(T)으로서 규정된다. 한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또는 8, 9)가 각 측(each side)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이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에는 오프셋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또는 92, 93)들이 제공된다. 따라서,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이 전부 길이방향 축(b)에 대해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되지는 않는다.
속박력(constraining force)들을 회피하기 위해서, 펜듈럼 바(6, 7, 8, 9)들이 전로 용기(2) 및 지지 링(3)에 구형 베어링(spherical bearing)들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이들 베어링 각각은 피벗 지점(pivot point)을 가지며, 이 지점을 중심으로 각각의 펜듈럼 바(6, 7, 8, 9)가 모든 방향들로 선회(swiveled)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피벗 지점은 배열 내에서 각각의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를 규정한다.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은, 작용선(line of action)을 따라 작용하며, 이 선은 이러한 펜듈럼 요소(6, 7, 8, 9)의 베어링들의 2 개의 피벗 지점들을 통해 통과한다. 따라서, 오프셋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는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에 의해 전달된 힘의 모든 작용선들이 회전 대칭 배열체를 갖는 경우에서와 같이 공통의 교차점(common point of intersection)을 갖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예시에서, 각각의 경우에,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또는 8, 9)들이 전로의 길이방향 축(b)에 대해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된다. 전로 용기(2)의 대칭 축과 지지 링(3)의 대칭 축은 길이방향 축(b)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서 이들 대칭 축들은 서로 약간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또는 8, 9)들의 이들 쌍들 각각은 공통의 교차점(S1 또는 S2)을 갖는다. 여기서, 바람직한 힘의 비율들 및 크기들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들 교차점(S1 또는 S2)들 사이의 충분한 거리가 필수 조건(essential factor)이다.
이러한 요건은, 회전 대칭 배열로부터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들의 가능한 가장 큰 오프셋이 이용가능한 공간 조건들 내에서 제공되는 것에 부합된다. 예컨대, 출탕 측(T) 상에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들은 장입 측(C) 상에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8, 9)들 보다 큰 경사를 갖는다. 이때, 전로 용기(2) 및 지지 링(3) 상에 배열된 각각의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들의 수직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의 비율은, 장입 측(C) 상에서보다 출탕 측(T) 상에서 더 크다.
2 개의 교차점(S1, S2)들 사이 거리는 베어링 토크의 레버 아암으로서 기능하며, 이는 기울임 축(a)의 방향으로의 힘들 및 전로 용기(2)에 의해 지지 링(3) 상으로 전달된 토크를 상쇄한다. 이러한 종류의 토크는 예컨대, 전로 내용물의 동적 추진력(dynamic motive force)(Fd)들에 기인하여 직립 전로 위치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베어링 토크는 또한 기울임 축(a)과 길이방향 축(b)의 교차점에 대한 거리(x)에 의해 무게 중력(FG)에 의해 형성된 토크를 상쇄한다.
지지 링(3)의 원주 상에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의 배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명료성을 위해서, 여기서, 그중에서도 수평방향 펜듈럼 요소(10, 11)들은 도시 생략된다. 이상적으로, 각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의 중심축과 기울임 축(a) 사이의 각각의 각도(φ6, φ7, φ8, φ9)는 대략 45°이다. 균일한 힘 분배를 위해서, 40°내지 50°의 구역이 바람직하다.

Claims (9)

  1. 지지 링(3)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 링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로 용기(2)를 갖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1)로서,
    상기 지지 링(3)은 기울임 축(a)을 중심으로 기울이기 위한 2 개의 대향하는 지지 핀(4, 5)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 링(3) 상의 전로 용기(2)의 서스펜션은 둘레 상에 분배된 4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pendulum suspension) 요소(6, 7, 8, 9)들을 포함하며, 전로(1)가 직립(upright)될 때 전로 용기(2)로부터 지지 링(3) 상으로 수직력들을 전달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의 상기 전로 용기(2) 및/또는 지지 링(3) 상에서의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들은 전로(1)의 길이방향 축(b)에 대한 회전 대칭 배열로부터 수평하게 그리고/또는 수직하게 오프셋 배열되어,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모든 작용선들이 공통 교차점을 갖거나 일 지점으로 서로 접근하거나 평행하게 연장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쌍의 상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들의 장착 위치(62, 63, 72, 73)들은 전로(1)의 길이방향 축(b)에 대해 회전 대칭식으로 배열되며,
    제 2 쌍의 상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8, 9)들의 장착 위치(82, 83, 92, 93)들은 전로(1)의 길이방향 축(b)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또는 수직으로 오프셋 그리고 회전 대칭식으로 오프셋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들 및 제 2 쌍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8, 9)들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 모두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로(1)의 장입(charging) 측(C) 상의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8, 9)들 및 상기 전로의 출탕(tapping) 측(T) 상의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들 각각은 전로(1)의 길이방향 축(b)에 대해 회전 대칭식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직립 전로(1)에서 보면, 각각의 경우에, 전로의 일측(T 또는 C) 상의 전로 용기(2) 및 지지 링(3) 상에 위치된 2 개의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또는 8, 9)들의 장착 위치(62, 63, 72, 73 또는 82, 83, 92, 93)들의 수직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의 비율은, 타측(C 또는 T) 상의 장착 위치(82, 83, 92, 93 또는 62, 63, 72, 73)들의 비율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작용선들은, 출탕 측(T) 상에서 전로(1)의 길이방향 축(b)과의 제 1 공통 교차점(S1)을 가지며,
    상기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8, 9)들에 의해 전달된 힘들의 작용선들은, 장입 측(C) 상에서 전로(1)의 길이방향 축(b)과의 제 2 공통 교차점(S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립 전로(1)의 평면에서 보면, 펜듈럼 서스펜션 요소(6, 7, 8, 9)들의 장착 위치(62, 63, 72, 73, 82, 83, 92, 93)들은 기울임 축(a)에 대해 40°내지 50°의 각도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립 전로(1)를 보면, 2 개의 수평 펜듈럼 요소(10, 11)들이 수평 힘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전로 용기(2)와 지지 링(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 가능한 전로.
KR1020147020403A 2011-12-19 2012-11-23 기울임 가능한 전로 KR20140107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4201.7 2011-12-19
EP11194201.7A EP2607501A1 (de) 2011-12-19 2011-12-19 Kippbarer Konverter
PCT/EP2012/073421 WO2013092108A1 (de) 2011-12-19 2012-11-23 Kippbarer konve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554A true KR20140107554A (ko) 2014-09-04

Family

ID=4732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403A KR20140107554A (ko) 2011-12-19 2012-11-23 기울임 가능한 전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2607501A1 (ko)
KR (1) KR20140107554A (ko)
CN (1) CN103998628B (ko)
PL (1) PL2794933T3 (ko)
RU (1) RU2014129911A (ko)
WO (1) WO2013092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2282A1 (de) * 2017-12-20 2019-06-26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Kippbares wechselbares metallurgisches gefäss und verfahren zum fixieren und lösen eines kippbaren metallurgischen gefäss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11926U1 (ko) 1992-09-04 1992-12-17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es.M.B.H., Linz, At
AT504664B1 (de) * 2007-02-02 2008-07-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Kippbarer konverter
CN201165531Y (zh) * 2007-12-28 2008-12-17 中冶集团北京冶金设备研究设计总院 一种转炉炉体支撑装置
CN101717838A (zh) 2009-12-11 2010-06-0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四点连杆机构转炉炉壳和托圈的联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29911A (ru) 2016-02-10
EP2794933B1 (de) 2016-02-03
EP2607501A1 (de) 2013-06-26
PL2794933T3 (pl) 2016-07-29
WO2013092108A1 (de) 2013-06-27
EP2794933A1 (de) 2014-10-29
CN103998628B (zh) 2016-02-10
CN103998628A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3396U1 (ru) Наклоняющийся конвертер
RU2086663C1 (ru) Опрокидывающийся конвертер
CN105121935B (zh) 将内部容器安装在外部容器中的悬挂系统和装置
CN101717838A (zh) 一种四点连杆机构转炉炉壳和托圈的联接装置
CN103118899A (zh) 船只运输托架
KR20140107554A (ko) 기울임 가능한 전로
CN104313237B (zh) 转炉炉体四点悬挂联接装置
CN102741431B (zh) 带有摆杆悬挂系统的可倾动的转炉
CN203269971U (zh) 可倾动的转炉
CN201560209U (zh) 一种转炉炉壳和托圈的联接装置
US20100246314A1 (en) Truck Mixer
CN102776318A (zh) 一种转炉四点连杆吊挂装置布置结构
KR101644523B1 (ko) 타워 크레인
RU2553317C1 (ru) Наклоняемый конвертер
PT84043B (pt) Aparelho para aquecimento de material em particular para a liquefaccao de material de fornadas de vidro
CN101781696B (zh) 球铰悬盘型转炉托圈与炉壳的连接装置
CN103069016A (zh) 具有摆动杆悬挂系统的能够翻转的转炉
CN204224636U (zh) 转炉炉体四点悬挂联接装置
CN102392099A (zh) 大型转炉托圈炉壳吊板连接调校对中装置
CN104350163A (zh) 用于可倾翻的转炉的水平支撑部和用于改造可倾翻的转炉的方法
CN104411562A (zh) 具有摇摆稳定器的轨道车辆
US3400603A (en) Torque resisting system
CN216237136U (zh) 一种倾动式炉体联接装置
CN105980288A (zh) 用于装载起重机的起重机底座
CN210458984U (zh) 钢结构塔柱竖转施工加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