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882A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882A
KR20140106882A KR1020130021104A KR20130021104A KR20140106882A KR 20140106882 A KR20140106882 A KR 20140106882A KR 1020130021104 A KR1020130021104 A KR 1020130021104A KR 20130021104 A KR20130021104 A KR 20130021104A KR 20140106882 A KR20140106882 A KR 2014010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resin
biodegradabl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억
정근우
이민범
Original Assignee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882A/ko
Publication of KR2014010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개량 및 작물의 생육 증진효과가 있는 기능성 생분해성 멀칭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멀칭필름은 폴리유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전분, 및 토양 기능 개선제가 포함함으로써, 생분해 시 토양개량 및 작물의 생육을 활성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Biodegradable Mulching Film U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유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전분, 및 토양 기능 개선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 시 토양개량 및 작물의 생육을 활성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필름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멀칭 필름은 농작물을 재배할 때 밭고랑과 같은 농작물 재배지의 표면을 덮어주는 필름으로서,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린 또는 폴리 염화비닐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농업용 멀칭 필름은 농작물 재배지의 잡초 발생을 억제하거나, 토양의 수분 유지 또는 지온 조절을 위하여 사용되며, 또한 우천 시 빗물에 의해 토양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농작물의 생장에 알맞은 최적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농업용 멀칭 필름은 우리나라 농업 생산성 증대에 크게 기여했지만 사용 후 수거 재활용에 따른 어려움 때문에 토양에 방기된 채 농촌의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수지 필름을 밭농사나 논농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 필름 또한 베이스 폴리머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틸렌 등의 합성수지류를 사용하고 여기에 생분해성 자연성분을 첨가제로서 혼합한 것이라, 자연성분의 분해는 가능할지 몰라도 베이스 폴리머 자체의 생분해는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토양에 피복하여 사용하면 추후 베이스 폴리머가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생분해성 수지필름은 생분해과정에 있어 분해시간이 너무 길어지거나 분해 효율이 떨어져 실질적으로 친환경적인 생분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폴리유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전분, 및 토양 기능 개선제가 포함된 수지 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을 활성시키고 생분해 속도가 빠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유산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열가소성 전분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 및
토양 기능 개선제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는 CaCO3 P205, K2O, Ca, Mg, Mn, S, Fe, Mo, Zn, 게르마늄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또는 제올라이트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천연고분자, 또는 가공 기능제, 또는 천연고분자 및 가공 기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쌀, 왕겨,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타피오카, 또는 이들의 변성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입경이 10 ~ 300 ㎛인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공 기능제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및 탈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작물 생육 개선제로서 SiO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은,
폴리유산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열가소성 전분 0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 및 토양 기능 개선제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생분해성 멀칭필름은 LDPE, HDPE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생분해성 화합물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및 열가소성 전분(TPS)를 이용하여 베이스 폴리머를 제조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있거나 토양 속에 매립되어 있어도 토양의 미생물 등에 의해 베이스 폴리머까지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농업용 멀칭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부가되는 토양 기능 개선제는 작물의 생장 및 발달에 도움을 주어 수확량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며, 제올라이트 성분이 포함된 토양 기능 개선제는 토양의 습기량을 조절하여 입단조직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고, 게르마늄 성분이 포함된 토양 기능 개선제는 작물의 항상성을 유지하여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유산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열가소성 전분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 및 토양 기능 개선제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종래와 같이 합성수지,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열가소성 전분(Themoplastic Starch, TPS),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유산 (Poly lactic acid, PLA) 및 토양 개선 기능제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 폴리머까지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PBAT의 가공성을 높이고, 분해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TPS를 사용할 수 있는 바, 상기 TPS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TPS가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PBAT와의 혼련성이 원활하지 않아 필름 성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필름 성형 이후에도 물성의 저하 및 필름의 급격한 분해로 인하여, 원하는 기간 동안 필름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TPS가 첨가되지 않을 경우, 다시 말해 PBAT가 50 중량%가 초과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필름은 과도한 연신으로 인하여 압출 성형이 불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후, 분해속도가 느려져 다음 파종 시까지 필름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PS는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진 천연의 중합체이다. 아밀로오스는 주로 100,000 내지 5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선형 중합체인 한편, 아밀로펙틴은 수백만에 이르는 분자량을 갖는 고도로 분지화된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당 분야에 공지된 전형적인 공정(예를 들어,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산화, 산 가수분해, 효소 가수분해 등)에 의해 화학적으로 개질된 개질 전분이 종종 사용된다. 히드록시알킬 전분, 카르복시 메틸 전분 등과 같은 전분 에테르 및/또는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히드록실알킬 전분의 히드록시 알킬기는 예를 들면,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대표적인 히드록시알킬 전분은 히드록시에틸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히드록시부틸 전분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것이다. 전분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다양한 산무수물(예를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 유기산, 산 염화물, 또는 여타의 에스테르화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분에 용융-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열가소성 전분에 가소제가 또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전분은, 통상적으로, 과립의 내부에 더욱 수용성인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사슬을 감싸는 피복 또는 외부막을 갖는 과립의 형태로 존재한다. 가열시, 극성 용매("가소제")가 외부막을 연화 및 침투하여 내부 전분 사슬로 하여금 물을 흡수하여 팽윤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가소제는 포도당, 자당, 과당, 라피노오스, 말토덱스테로오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오스, 말토오스, 유당, 만노오스 및 에리트로오스 등의 당류; 에리트리톨, 크실리톨, 말리톨, 만니톨,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 등의 당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헥산 트리올 등의 폴리올류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PS에 사용된 전분 및 가소제의 상대적인 양은 다양한 요인, 예를 들면 전분의 분자량, 전분의 종류(예, 개질되거나 개질되지 않은), 가소제의 전분에 대한 친화성 등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전분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40 중량% 내지 약 95 중량%, 일부 구현예에서 약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바람직한 예에서는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소제는 전형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BAT는 연질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PBAT를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포함한다. PBAT가 30 중량% 미만일 경우, 필름의 연질성이 결여되어 가공 시 와인딩(Winding) 및 필름 피복 시에도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70 중량% 초과일 경우, 필름의 연질성이 심해져 필름 컨트롤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PBAT 및 PBS만으로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PLA를 추가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위한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한다.
PLA는 생분해가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생체 흡수성 봉합사 혹은 보철 용구나 의수, 의족용품, 약물 전달(drug delivery) 등에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으며 최근 그 우수한 물성을 이용하여 필름이나 섬유 등과 같은 보편적 용도의 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의 이용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PLA는 높은 강도 및 열가소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분해성, 인체 적합성이 우수하지만, 쉽게 깨지거나(brittle) 쉽게 가수분해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PLA를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포함한다. PLA는 가공성 및 유연성(Flexibility)이 취약하므로 10중량%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가공 불안정을 야기할 뿐 아니라 필름의 바스러짐(Brittleness) 특성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PLA는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착성이 높아져 가공 시 필름의 부착 현상(Blocking)이 일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토양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토양 기능 개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는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이 생분해되는 과정 중 땅을 뒤집어 엎는 등 밭갈이를 하거나 토양을 혼합하면서 토양의 비옥화를 위한 것으로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내에 토양 기능 개선제가 포함될 경우, 비료를 뿌리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동력이 경감되고 최종 수확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것의 바람직한 예로는, CaCO3, P205, K2O, Ca, Mg, Mn, S, Fe, Mo, Zn, 게르마늄(Ge)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양 기능 개선제가 포함된 농업용 멀칭필름은 상기 조성 중 각 작물에 맞게 성분, 또는 혼합물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의 P205 는 다량원소 중 P(인)를 제공하며 K2O는 다량원소 중 K(칼륨)을 제공한다. 또한 Ca, Mg,S, CaCo3는 다량원소, Mn, Fe, Mo, Zn 은 미량원소로서 작물의 생장을 활성화 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양 기능 개선제로서 제올라이트 또는 게르마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올라이트는 실리콘(Si)과 알루미늄(Al)으로 이뤄진 다공성 결정으로 사면체가 입체망상으로 결합하고 있는 구조로 중앙부에 큰 틈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올라이트는 이 망상구조가 올바른 규칙이 깨어져 골격에 수십 만개 이상의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가지고 있어 흡착제, 탈취제, 토양 개질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기능이 탁월하여 지면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게르마늄은 작물의 면역기능, 뿌리생육을 증진시키며 작물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다량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농작물을 통과할 때 진동을 일으켜 세포 성분 및 분열을 활성화시켜 농작물에 병충해 예방 및 수확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가 10 중량%을 초과할 경우, 토양의 기능은 향상될 수 있으나, 분해속도 등을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비닐의 물성이 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가공에 적합한 물성을 제공하거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천연 고분자, 또는 가공 기능제, 또는 천연 고분자 및 가공 기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쌀, 왕겨,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타피오카, 또는 이들의 변성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천연 고분자 성분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천연 고분자의 적합한 분말 크기는 10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 형태의 천연 고분자를 베이스 수지로 하여 컴파운딩 후 펠렛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는 바, 천연 고분자를 10 중량% 초과할 경우 생분해는 촉진될 수 있으나, 필름 성형시 버블 성형 자체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공 기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안티블로킹제 또는 슬립제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 기능제가 10 중량%를 초과하게 될 경우, 과도한 가공 기능성 향상으로 인하여 가공성 자체가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필름 성형시 닙롤(Nip-Roll) 단계를 거친 후 버블이 압착되는데, 그때 필름의 내면이 서로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고 서로 잘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가공 기능제 중 하나인 안티 블로킹제는 필름의 슬립성을 개선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가공 기능제를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 포함한다. 본 발명에 안티 블로킹제로서 적용 가능한 가공 기능제로는 무기 광물질의 미세한 입자인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및 탈크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활제, 무기물 및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천연 고분자 성분 사이에 침투하여 분자간 수소결합을 약하게 하고 천연 고분자 성분 고유의 결정성을 잃게 함으로써 무정형 상태로 전환시킨다. 얻어지는 천연 고분자 성분의 히드록시기는 상기 상용화제의 말단기와 반응하여 친유성이 증가됨으로써, 폴리락트산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솔비톨, 1,4-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포도당, 프로필렌글리콜, 우레아,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다.
상기 활제로는 왁스, 에틸렌비스스테아라마이드, 미네랄오일, 및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미네랄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로는 탈크, 탄산칼륨,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점토, 활석 및 납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과황산칼륨, 및 디큐밀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농작물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작물 생육 개선제로서 SiO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 생육 개선제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초과 2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는 바, 상기 함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효과의 발현이 미미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물 시비량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고, 필름상태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이용함에 있어 적정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의 혼합물을 압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조건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200~400 rpm, 바람직하게는 약 300 rpm의 압출속도 및 10~100 rpm, 바람직하게는 약 40 rpm의 투입속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로는 통상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단의 배럴을 갖는 트윈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배럴의 온도는 50~2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30~2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생분해성 멀칭 필름을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폴리유산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열가소성 전분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 및 토양 기능 개선제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분해성 수지인 TPS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거나 토양 속에 매립되어 있어도 토양의 미생물 등에 의해 베이스 폴리머까지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에 부가되는 토양 기능 개선제는 작물의 생장 및 발달에 도움을 주어 수확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제올라이트 성분이 포함된 토양 기능 개선제는 토양의 습기량을 조절하여 입단조직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고, 게르마늄 성분이 포함된 토양 기능 개선제는 작물의 항상성을 유지하여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멀칭 필름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상기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필름 성형시의 조건은 예를 들어, 성형 온도(즉, 배럴 온도 및 다이의 온도) 130~230, 바람직하게는 150~200, 압출속도 약 500 rpm, 원료투입속도 약 100 rpm, 롤속도 약 200 rpm 등의 조건으로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지는 필름의 주 용도는 농업용 멀칭 필름이며, 1회용 식품용기, 육모용 포트, 포장용 케이스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가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PLA 10중량%, PBAT 60 중량%, TPS 25 중량% 및 토양 기능 개선제인 게르마늄 5 중량%를 혼합한 후, 압출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한 압출기는 스크류 직경이 44 mm인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압출속도는 300 rpm, 원료투입속도는 40 rpm, 배럴온도는 180로 하였다. 얻어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성상은 펠렛 형태를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압출성형기로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필름 성형시 배럴온도는 140~180로 하고, 다이 온도는 150~200로 하였다. 압출속도는 500 rpm, 원료투입속도는 100 rpm, 롤속도는 200 rpm으로 하여 두께 0.03 mm인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토양 기능 개선제를 제올라이트 5 중량%를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PLA 10중량%, PBAT 65 중량%, TPS 20 중량%, 및 토양 기능 개선제인 게르마늄 5 중량%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토양 기능 개선제를 제올라이트 5 중량%를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TPS를 사용하지 않고 PBAT 70 중량%, PLA 20 중량%, 및 게르마늄 10 중량% 만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토양 기능 개선제를 사용하지 않고 PLA 10 중량%, PBAT 60 중량%, TPS 30 중량% 만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TPS 및 토양 기능 개선제를 사용하지 않고 PLA 20 중량%, PBAT 80 중량% 만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1. 물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압출성형기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압출 성형시 온도는 200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사용하여 농업용 폴리에틸렌 필름 규격 KS M 3503:2002의 7.6 인장강도 및 신장율 시험방법에 명시된 1호형을 사용하여 물성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시편을 사용하여 물성, 즉 절단하중, 인열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절단하중은 KSD351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신장율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인열강도는 ASTMD 1922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물성 측정 결과
구분
절단하중(N) 인열강도(N/cm) 신장율(%)
TD MD TD MD TD MD
실시예 1 3.43 8.07 2.67 2.79 648 542
실시예 2 2.40 4.49 2.22 2.32 584 488
실시예 3 3.71 6.31 2.99 2.68 667 514
실시예 4 2.01 4.13 2.62 2.71 562 399
비교예 1 2.76 3.06 2.17 2.21 567 216
비교예 2 2.31 4.30 2.29 2.40 573 266
비교예 3 2.73 3.74 1.65 1.44 590 198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PS를 사용하지 않고 PBAT, PLA 및 토양 기능 개선제 만으로 제작된 비교예 1의 경우 전반적으로 물성이 낮아 농업용 멀칭 필름으로 활용하기 곤란하였다. 반면, 물성 개선을 위해 TPS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절단하중, 인열강도 및 신장율 등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생분해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준비된 필름을 실제 토양에 피복하여 생분해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피복 초기, 피복 후 90일, 피복 후 180일 경과 후 피복된 시트의 분해 진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해보는 방법으로 생분해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과, 실시예 1 내지 4를 비교하여 분해속도를 비교해본 결과, 비교예 1 내지 3은 180일이 경과한 후에 분해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토양에 피복 후 180일이 경과한 후에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필름은 분해 진행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반면, 실시예 1 내지 4의 필름은 토양 미생물의 작용으로 곰팡이가 번식되고 있었다.
3. 작물의 생육 측정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2 내지 3을 통해 준비된 필름을 실제 토양에 피복하여 생분해된 후 토양에서 자라는 작물의 생육도를 측정하였다. 토양 기능 개선제가 포함되지 않고 TPS, PBAT, PLA 만으로 제작된 비교예 2의 경우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작물의 생장이 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2)

  1. 폴리유산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열가소성 전분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 및
    토양 기능 개선제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는 CaCO3 P205, K2O, Ca, Mg, Mn, S, Fe, Mo, Zn, 게르마늄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기능 개선제는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기능개선제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천연고분자, 또는 가공 기능제, 또는 천연고분자 및 가공 기능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쌀, 왕겨,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타피오카, 또는 이들의 변성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입경이 10 ~ 300 ㎛인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기능제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기능제는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및 탈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작물 생육 개선제로서 SiO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12. 폴리유산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열가소성 전분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 및
    토양 기능 개선제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KR1020130021104A 2013-02-27 2013-02-2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KR20140106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04A KR20140106882A (ko) 2013-02-27 2013-02-2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04A KR20140106882A (ko) 2013-02-27 2013-02-2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82A true KR20140106882A (ko) 2014-09-04

Family

ID=5175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104A KR20140106882A (ko) 2013-02-27 2013-02-2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6882A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934B1 (ko) * 2016-07-04 2017-02-22 (주)세진바이오 고구마 재배용 배색 생분해성 멀칭필름
KR101875603B1 (ko) * 2017-09-19 2018-07-06 양태권 토양개량 및 비료 기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CN108276745A (zh) * 2018-02-05 2018-07-13 东莞市鑫海环保材料有限公司 可生物降解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00808A (ko) 2019-06-25 2021-01-06 한국화학연구원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207871B1 (ko) * 2020-03-17 2021-01-26 다윈그룹(주) 쌀 플라스틱 원료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 장치
KR102277340B1 (ko) * 2020-12-04 2021-07-15 주식회사 코리아에어캡 가공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에어캡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0448B1 (ko) 2020-03-17 2021-09-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폐석고를 활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WO2021194440A1 (en) * 2020-03-24 2021-09-30 Pelsan Tekstil Urunleri San. Ve Tic. A.S. The content of a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breathable film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film
KR102326756B1 (ko) * 2021-05-20 2021-11-16 최다솜 축분을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55548B1 (ko) * 2020-12-29 2022-02-08 다윈그룹(주) 쌀 분말을 함유한 생분해성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
KR102430487B1 (ko) 2021-10-25 2022-08-08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430489B1 (ko) 2021-10-25 2022-08-08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220325039A1 (en) * 2021-03-25 2022-10-13 Tbm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WO2022220513A1 (ko) 2021-04-16 2022-10-2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 적층체, 및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KR20220143524A (ko) 2021-04-16 2022-10-2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KR20220155148A (ko) 2021-05-14 2022-11-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IT202100021239A1 (it) * 2021-08-06 2023-02-06 Global Bio Paper S R L Composizione biocompostabile
KR20230124376A (ko) 2022-02-18 2023-08-25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KR102599541B1 (ko) * 2022-09-15 2023-11-08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작물재배후 토양조건에서 생분해성이 향상된 멀칭필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멀칭필름
CN117382285A (zh) * 2023-10-10 2024-01-12 山东农业大学 一种多功能可控多层共挤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KR20240042705A (ko) 2022-09-26 2024-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리그노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멀칭 필름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934B1 (ko) * 2016-07-04 2017-02-22 (주)세진바이오 고구마 재배용 배색 생분해성 멀칭필름
KR101875603B1 (ko) * 2017-09-19 2018-07-06 양태권 토양개량 및 비료 기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CN108276745A (zh) * 2018-02-05 2018-07-13 东莞市鑫海环保材料有限公司 可生物降解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00808A (ko) 2019-06-25 2021-01-06 한국화학연구원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207871B1 (ko) * 2020-03-17 2021-01-26 다윈그룹(주) 쌀 플라스틱 원료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 장치
KR102300448B1 (ko) 2020-03-17 2021-09-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폐석고를 활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210116184A (ko) * 2020-03-17 2021-09-27 다윈그룹(주) 천연물 유래 분체를 포함하는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장치
WO2021194440A1 (en) * 2020-03-24 2021-09-30 Pelsan Tekstil Urunleri San. Ve Tic. A.S. The content of a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breathable film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film
KR102277340B1 (ko) * 2020-12-04 2021-07-15 주식회사 코리아에어캡 가공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에어캡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5548B1 (ko) * 2020-12-29 2022-02-08 다윈그룹(주) 쌀 분말을 함유한 생분해성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
US11680136B2 (en) * 2021-03-25 2023-06-20 Tbm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20220325039A1 (en) * 2021-03-25 2022-10-13 Tbm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WO2022220513A1 (ko) 2021-04-16 2022-10-2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 적층체, 및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KR20220143524A (ko) 2021-04-16 2022-10-2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KR20220155148A (ko) 2021-05-14 2022-11-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756B1 (ko) * 2021-05-20 2021-11-16 최다솜 축분을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필름 및 그 제조방법
IT202100021239A1 (it) * 2021-08-06 2023-02-06 Global Bio Paper S R L Composizione biocompostabile
KR102430489B1 (ko) 2021-10-25 2022-08-08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23075300A1 (ko) 2021-10-25 2023-05-04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23075301A1 (ko) 2021-10-25 2023-05-04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430487B1 (ko) 2021-10-25 2022-08-08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230124376A (ko) 2022-02-18 2023-08-25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이축연신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KR102599541B1 (ko) * 2022-09-15 2023-11-08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작물재배후 토양조건에서 생분해성이 향상된 멀칭필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멀칭필름
KR20240042705A (ko) 2022-09-26 2024-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리그노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멀칭 필름
CN117382285A (zh) * 2023-10-10 2024-01-12 山东农业大学 一种多功能可控多层共挤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CN117382285B (zh) * 2023-10-10 2024-05-17 山东农业大学 一种多功能可控多层共挤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6882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KR101294346B1 (ko) 생분해성 멀칭 필름
JP5669906B2 (ja) 成形可能な生分解性ポリマー
AU2007281047B2 (en) Mouldable biodegradable polymer
US5910520A (en) Melt processable biodegradabl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366695B1 (ko) 멀칭필름용 조성물 및 다기능 생분해성 멀칭필름
KR101062012B1 (ko) 왕겨 및 쌀겨를 함유한 생분해성, 광분해성 바이오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L174799B1 (pl) Kompozycja polimerowa
KR20170075052A (ko) 멀칭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멀칭 필름
JP2002523598A5 (ko)
EP4379000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biodegradable film and biodegradable mulching film each using same
KR102599541B1 (ko) 작물재배후 토양조건에서 생분해성이 향상된 멀칭필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멀칭필름
JPH0649276A (ja) 糊化澱粉を含む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Sriroth et al. Biodegradable plastics from cassava starch
KR102579310B1 (ko)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2265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RU2691988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разрушаема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JPH11275986A (ja) 分解性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
JPH09294482A (ja) 生分解性育苗用ポット
JPH1148436A (ja) 農業用生分解性シート
AU2005291831B2 (en) Mouldable biodegradable polymer
KR102669421B1 (ko) 생분해성 조절 멀칭필름 컴파운드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조절 멀칭 필름
JP3154766B2 (ja) 易崩壊性付与剤および組成物
JP2000256471A (ja) 生分解性フィルム
JP2001017008A (ja) 幅方向不均一生分解性農業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