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114A -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114A
KR20140106114A KR1020130020228A KR20130020228A KR20140106114A KR 20140106114 A KR20140106114 A KR 20140106114A KR 1020130020228 A KR1020130020228 A KR 1020130020228A KR 20130020228 A KR20130020228 A KR 20130020228A KR 20140106114 A KR20140106114 A KR 2014010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eight
unit
lifting
ele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439B1 (ko
Inventor
이도용
Original Assignee
(주)비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비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2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39B1/ko
Priority to CN201310409585.8A priority patent/CN103708321B/zh
Publication of KR2014010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구비되는 작업자 수용함; 상기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 중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 수용함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 및 제2 승강유닛;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제1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유닛;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1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승강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2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높이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가 제공되며,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위치감지유닛과 높이제어부에 의해 작업자 수용함의 기울어짐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HAVING LEVEL COMPENSATOR}
본 발명은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반도체 제조 설비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를 수용하는 작업자 수용함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기술이 적용된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반도체 생산라인에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여러 종류의 반도체 제조 설비가 구비되며 생산성 향상 및 유지를 위해 정기적 또는 수시로 반도체 제조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요하게 된다.
그런데 반도체 제조 설비의 크기는 유지 보수를 하는 작업자의 신장에 비해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필요로 한다.
리프팅 장치는 일반적으로 작업자를 수용하는 작업자 수용함, 작업자 수용함을 승강시키는 구동 설비, 작업자 수용함과 구동 설비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공통된 구성으로 한다.
다만 리프팅 장치마다 구동 설비에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구동 설비의 차이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 승하강 높이 제어의 정확도가 달라지게 된다.
종래 리프팅 장치는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구동 설비에 의해 작업자 수용함이 승강하게 되는데, 하나의 구동 설비는 작업자 수용함이 승강되는 방향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되는 스프로켓과 두 개의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며, 작업자 수용함은 체인에 고정된다. 따라서 서보모터에 의해 스프로켓이 회전되면 체인의 구동되고 그에 연동되어 작업자 수용함이 승강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리프팅 장치는 작업자 수용함의 높이 제어가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에 위치되는 별개의 서보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회전속도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 수용함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구동 설비의 고장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 수용함의 승강과정에서 체인이 계속적인 장력을 받는 상태이므로 체인의 교체주기가 짧고 체인이 끊어지는 경우 작업자의 추락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작업자 수용함 양측의 승강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 되는 작업자 수용함의 기울어짐을 보정 하여 작업자 수용함을 수평으로 복원할 수 있는 높이보정수단이 구비된 리프팅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설비의 구성으로 사용되는 체인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구동 설비의 고장 위험성을 감소시킨 높이보정수단이 구비된 리프팅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구비되는 작업자 수용함; 상기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 중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 수용함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 및 제2 승강유닛;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제1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유닛;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1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승강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2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높이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위치감지유닛이, 상기 제1 승강유닛과 상기 제1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높이에 구비되는 제1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1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감지유닛이, 상기 제2 승강유닛과 상기 제2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높이에 구비되는 제2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2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2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높이가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와 같게 설정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3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4 위치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제어부가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3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승강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4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3 위치감지유닛이, 상기 제1 승강유닛과 상기 제1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3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3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3 위치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위치감지유닛이, 상기 제2 승강유닛과 상기 제2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4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4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4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높이가 상기 제2 위치와 같게 설정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와 제2 위치감지센서가 말굽센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표시부와 제2 위치표시부가 상기 말굽센서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제1 승강부재 또는 상기 제2 승강부재의 위치를 감지시키도록 돌기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승강유닛이,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제1 승강부재가 결합되는 제1 승강 안내축;과,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을 축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외면에 연속된 나사 홈으로 형성되는 제1 승강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제2 승강부재가 결합되는 제2 승강 안내축;과,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을 축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외면에 연속된 나사 홈으로 형성되는 제2 승강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부재는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승강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제2 승강부재는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승강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제1 승강 안내축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구동모터는 그 회전축이 상기 제2 승강 안내축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가 각각 상기 제1 승강 가이드홈 및 제2 승강 가이드홈과 볼 스크류 결합, 나사결합 및 볼 부쉬 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의 일 예에 따르면,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위치감지유닛과 높이제어부에 의해 작업자 수용함의 기울어짐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작업자 수용함의 승강을 종래의 체인을 대신하여 승강 안내축과 승강부재의 볼스크류 결합에 의하므로 고장 위험성 및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감소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를 좌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A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B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4에서 C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및
도 8은 도 2에서 D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각좌표로봇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를 좌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A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B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4에서 C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및 도 8은 도 2에서 D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100)는 작업자 수용함(110),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 두 개의 위치감지유닛(140a,140b) 및 높이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자 수용함(110)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바닥판(111)과,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펜스(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작업자가 선 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펜스(115)는 작업자의 편리한 탑승과 하차를 위해 바닥판(111)에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펜스(115)의 탈착을 위해 도 8과 같이 플런저(117)가 사용될 수 있다. 플런저(117)는 도 8의 a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펜스(115)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게 된다.
한편,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높이제어부(C)는 펜스(115)가 결합 되지 않은 경우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수용함(110)은 수용된 작업자의 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바닥면의 테두리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차단막(11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는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구비된다. 동시에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는 각각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나의 승강부재(120a)는 그 일 측이 작업자 수용함(110)의 일 측에 고정되며, 타 측은 승강부재(120b)에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는 작업자 수용함(110)의 바닥판(111)과 대략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 후술하는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는 작업자 수용함(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은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데,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가 결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와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은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를 최저하강 가능 높이와 최고상승 가능 높이 사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킨다. 결과적으로 작업자 수용함(110)이 승강 된다.
여기서,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은 각각 최저하강 가능 높이와 최고상승 가능 높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외면에 연속된 나사 홈으로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홈(135a,135b)이 구비되는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과,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의 일 단에 각각 결합되며 축 회전력을 인가하는 두 개의 구동모터(131a,131b)로 구비된다.
한편,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는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에 각각 결합되며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의 회전에 따라 승강 가이드홈(135a,135b)을 타고 승강 되는데, 그 결합방식은 볼스크류 결합, 볼 부쉬 결합 및 나사결합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체인을 이용하여 승강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한 높이 제어와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두 개의 승강유닛(130a,130b)이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150a,150b)이 구비된다.
두 개의 프레임(150a,150b)은 각각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의 양단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1a,131b)가 각각 설치된다. 두 개의 프레임(150a,150b)은 제작단가의 절감 및 강도 확보를 위해 철재 앵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경우, 철재 앵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이곳으로 작업자의 신체가 삽입되는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철재 앵글 사이의 간극을 차폐하는 차폐부재(153a,153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153a,153b)는 연신이 가능하고 탄성을 가지며, 간극을 차폐하는 폭으로 구비되는 고무밴드로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구동모터(131a,131b)는 각각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며, 두 개의 승강 안내축(133a,133b)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구동모터는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어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 수용함(110)이 설치면 또는 지면에 근접한 높이까지 하강 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승강 안내축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로 구동모터로부터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는 승강 안내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 기어박스 또는 방향전환 기어박스 등의 추가 설치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두 개의 위치감지유닛(140a,140b)은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 또는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이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위치감지유닛(140a,140b)은 각각 위치감지센서(141a,141b)와 위치표시부(143a,143b)로 구성된다. 즉 두 개의 위치감지센서(141a,141b)와 두 개의 위치표시부(143a,143b)가 구비된다.
두 개의 위치감지센서(141a,141b)는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대응하는 프레임(150a,150b)에 각각 설치되며, 제작자가 설정한 높이, 즉 설정된 높이에 위치된다. 즉 두 개의 위치감지센서(141a,141b)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두 개의 위치표시부(143a,143b)는 각각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반대로, 두 개의 위치표시부(143a,143b)가 프레임(150a,150b)에 각각 구비되고, 두 개의 위치감지센서(141a,141b)가 작업자 수용함(110)의 양측 또는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말굽센서로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141a,141b) 및 말굽센서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돌기형상의 부재로 구비되는 위치표시부(143a,143b)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치표시부(143a,143b)가 말굽센서에 수용됨과 동시에 작업자 수용함(110)의 일 측이 설정된 높이 위치됨을 감지하게 되며, 동시에 작업자 수용함(110)의 타 측에 위치된 위치감지유닛(미도시)을 통하여 작업자 수용함(110)의 수평 여부 또는 기울어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가 동시에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작업자 수용함(110)이 지면(또는 설치면)에 평행하지 않게 기울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위치감지유닛(140a,140b)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감지유닛(140a)이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였으나, 나머지 하나의 위치감지유닛(140b)이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승강유닛(130b)을 나머지 하나의 위치감지유닛(140b)이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할 때까지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자 수용함(110)이 기울어진 상태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설정된 높이는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가 최대로 하강될 수 있는 높이인 최저하강 가능 높이 또는 최대로 상승될 수 있는 높이인 최고상승 가능 높이와 같은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된 높이가 최저하강 가능 높이와 최고상승 가능 높이 사이인 경우, 어느 하나의 위치감지유닛이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그것에 대응되는 승강부재의 일단이 승강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과정 중 그 방향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지나친 상태인지 아니면 못 미친 상태인지 식별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위치감지유닛(140a,140b)은 도 1과 같이 2개의 쌍, 즉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한 쌍은 최저하강 가능 높이와 같은 높이로 위치시키고, 나머지 한 쌍은 최고상승 가능 높이와 같은 높이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위치감지유닛은 하나의 승강부재에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같이 프레임(150a,150b)의 폭 방향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위치감지유닛이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작업자 수용함(110)이 프레임(150a,150b)의 폭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발생 되는 것도 감지하여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개의 위치감지유닛(140a,140b)은 앞서 설명한 것과 달리 작업자 수용함(110)의 하면에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예: 수광부와 발광부를 구비하며 기준면(설치면 또는 바닥면)으로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수광부로 되돌아 오는 시간과 조사된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거리감지센서는 작업자 수용함(110)의 하면 양측 단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되거나, 작업자 수용함(110)의 하면의 코너 네 곳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높이제어부(C)는 작업자 수용함(110)의 기울어짐을 보정하여 지면 또는 설치면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승강부재(120a,120b) 중 어느 하나(120a)가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이 감지되는 경우 그것과 대응하는 승강유닛(130a)의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하며,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승강부재(120b)가 설정된 높이에 위치됨이 감지될 때까지 그것과 대응하는 승강유닛(130b)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높이제어부(C)는 외부로부터 높이 보정에 대한 입력신호를 받은 상태에서 위와 같은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본 예에 따른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정리하면, 작업자 수용함(110)에 작업자가 승차한 후 펜스(115)를 설치하고 플런저(117)를 이용하여 펜스(115)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승을 위한 전원이 인가되어 작업자 수용함이 승강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플런저(117)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전원의 인가가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 수용함(110)의 승강과 하강 과정이 반복되면서 위치감지유닛이 작업자 수용함(110)의 기울어짐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기울어짐이 감지되는 경우 외부 제어 신호의 입력(예: 상승신호, 하강신호 등)이 제한되며, 높이보정을 위한 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추가로,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높이 보정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높이 보정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개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물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0)

  1.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구비되는 작업자 수용함;
    상기 작업자 수용함의 양측 중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 수용함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 및 제2 승강유닛;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제1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유닛;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1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승강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2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높이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감지유닛은, 상기 제1 승강유닛과 상기 제1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높이에 구비되는 제1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1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감지유닛은, 상기 제2 승강유닛과 상기 제2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높이에 구비되는 제2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됨을 상기 제2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2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와 같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3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4 위치감지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제어부는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3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승강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4 위치감지유닛이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감지유닛은, 상기 제1 승강유닛과 상기 제1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3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3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3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위치감지유닛은, 상기 제2 승강유닛과 상기 제2 승강부재 중 일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4 위치감지센서;와 타 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승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을 상기 제4 위치감지센서에 인식시키는 제4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위치와 같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와 제2 위치감지센서는 말굽센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표시부와 제2 위치표시부는 상기 말굽센서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제1 승강부재 또는 상기 제2 승강부재의 위치를 감지시키도록 돌기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제1 승강부재가 결합되는 제1 승강 안내축;과,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을 축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외면에 연속된 나사 홈으로 형성되는 제1 승강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제2 승강부재가 결합되는 제2 승강 안내축;과,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을 축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외면에 연속된 나사 홈으로 형성되는 제2 승강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부재는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승강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제2 승강부재는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승강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터는 그 회전축이 상기 제1 승강 안내축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승강 안내축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구동모터는 그 회전축이 상기 제2 승강 안내축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승강 안내축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재 및 제2 승강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승강 가이드홈 및 제2 승강 가이드홈과 볼 스크류 결합, 나사결합 및 볼 부쉬 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KR1020130020228A 2012-09-28 2013-02-26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KR10145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28A KR101457439B1 (ko) 2013-02-26 2013-02-26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CN201310409585.8A CN103708321B (zh) 2012-09-28 2013-09-10 升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28A KR101457439B1 (ko) 2013-02-26 2013-02-26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14A true KR20140106114A (ko) 2014-09-03
KR101457439B1 KR101457439B1 (ko) 2014-11-04

Family

ID=5175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228A KR101457439B1 (ko) 2012-09-28 2013-02-26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57A (ko) *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KR102465545B1 (ko) * 2022-07-25 2022-11-11 (주)에스제이오토메이션 스크류잭을 이용한 리프터
KR20230015699A (ko) * 2021-07-23 2023-01-31 (주)티이디 리프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794B1 (ko) 2021-12-16 2022-11-11 (주)에스비에프에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 설치 및 유지보수용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3106A (ja) * 1988-02-04 1989-08-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昇降装置
JP2740128B2 (ja) * 1994-09-30 1998-04-15 株式会社大井製作所 昇降装置
JP2007290799A (ja) * 2006-04-21 2007-11-08 Shimizu Corp 揚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着床管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57A (ko) *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KR20230015699A (ko) * 2021-07-23 2023-01-31 (주)티이디 리프팅 장치
KR102465545B1 (ko) * 2022-07-25 2022-11-11 (주)에스제이오토메이션 스크류잭을 이용한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439B1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5844B (zh) 一种打磨机器人及其工作方法
KR101457439B1 (ko)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JP2008174369A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WO2016027558A1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111924766A (zh) 一种基于倾角检测堆垛机的歪斜检测载货台
CN105565204B (zh) 一种搬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101022069B1 (ko) 승강 암의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로봇
JP2013136451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238100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건널다리
JP5105174B2 (ja) 物品搬送装置
KR20160076199A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KR102413317B1 (ko) 자동반송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30052744A (ko) 단적재 리프트 장치
KR102411231B1 (ko) 기판이송장치의 가이드롤러
CN210982234U (zh) 一种自动下上料扫描检测仪
JP2002293409A (ja) 物品保管設備
CN211003010U (zh) 一种基于测距设备的货架内托盘歪斜检测装置
KR102524406B1 (ko) 리프팅 장치
KR102051601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엘리베이터 이송시스템
KR101293170B1 (ko) 밸트, 롤러 컨베이어와 승강 장치를 이용한 판넬의 낙하식 적재장치
KR101979075B1 (ko) 클린룸용 스택커
KR102233802B1 (ko) 이동 리프트
CN211108366U (zh) 一种基于ppbox的首片确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