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699A -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699A
KR20230015699A KR1020210097147A KR20210097147A KR20230015699A KR 20230015699 A KR20230015699 A KR 20230015699A KR 1020210097147 A KR1020210097147 A KR 1020210097147A KR 20210097147 A KR20210097147 A KR 20210097147A KR 20230015699 A KR20230015699 A KR 2023001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nsor
frames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406B1 (ko
Inventor
조상용
Original Assignee
(주)티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이디 filed Critical (주)티이디
Priority to KR102021009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0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4Jacks with screw and n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체결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부;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구동부 또는 작업부에 배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APPARATUS FOR LIFTING}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에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여러 종류의 설비가 구비되며, 설비의 생산성 향상 및 유지를 위해 정기적 또는 수시로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요하게 된다.
그런데, 설비의 크기가 유지 보수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신장에 비해 큰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필요로 한다.
리프팅 장치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함, 작업함을 승강시키는 구동 설비, 작업함과 구동 설비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공통된 구성으로 한다.
종래 리프팅 장치는 작업함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구동 설비에 의해 작업함이 승강하게 된다.
구동 설비는 작업자 수용함이 승강되는 방향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되는 스프로켓(sprocket)과 두 개의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며, 작업함은 체인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 리프팅 장치는 서보모터에 의해 스프로켓이 회전되면 체인이 구동되고 그에 연동되어 작업함이 승강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리프팅 장치는 작업함의 높이 제어가 작업함의 양측에 위치되는 별개의 서보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회전속도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는 경우 작업함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리프팅 장치는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저해시키고 작업의 위험성을 키우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한 쪽으로 치우친 무게로 구동 설비의 고장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리프팅 장치는 작업함의 승강과정에서 체인이 계속적인 장력을 받는 상태이므로 체인의 교체주기가 짧고, 체인이 끊어지는 경우 작업자의 추락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한 작업부 지지력을 가짐으로써, 리프팅 장치의 내구성,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을 하기 위해 탑승하는 작업부의 수평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체결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부;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구동부 또는 작업부에 배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하측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하는 모터;와,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수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산 체결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너트; 및 상기 이송너트에 체결되어 상, 하 이동되는 LM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M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지면과 수직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이송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 하 이동되는 이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이송블록에 체결되어, 상, 하 이동되는 이송브라켓;과, 상기 이송브라켓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부는, 상기 바닥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바닥판에 힌지 연결되는 연장판(340);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판(340) 양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닥판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어 상기 펜스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써 상기 펜스가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롤러샤프트에 권취되어 일측면이 상기 이송브라켓에 고정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이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작업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 또는 하나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센서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 또는 하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로써 상기 작업부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센서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3 센서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가 가압되었을 때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송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수평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센서로써 감지된 상기 바닥판의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실시간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된 상기 모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박스, 커플링, 볼스크류, LM 가이드 및/또는 이물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파티클 제로(Particle ZERO)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리프팅 장치에 포함된 구동부의 안정적인 승, 하강을 구현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M 가이드가 한 쌍의 레일 및 이송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작업부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수평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바닥판의 수평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피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구동부, 센서부 및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미트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구동부, 센서부 및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10)는 한 쌍의 프레임(100), 구동부(200), 작업부(300), 센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장치(10)는 구동부(200)의 구성 및 구조로 인해 강인한 내구성을 가지며,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장치(10)는 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업부(300)의 수평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은 상호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은 지면 또는 유지 보수하고자 하는 설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에 각각 배치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모터(210), 기어박스(220), 커플링(230), 볼스크류(240), 이송너트(250), 및 LM 가이드(Linear-Motion Guide; 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물방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21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의 하측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21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21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의 상측,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210)는 기어드 모터로 구현되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220)는 상기 모터(210)의 샤프트와 체결되어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어박스는 기어를 내부에 수용하기 때문에, 기어의 구동에 의한 파티클 제로(Particle ZERO)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반도체 설비와 같은 정밀기계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플링(230)은 상기 기어박스(220)의 구동력을 상기 볼스크류(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240)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에 수용되어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210)와 상기 볼스크류(240)가 상기 기어박스(220) 및 상기 커플링(230)을 통해 직연결됨으로써, 강인한 내구성을 가지며, 파티클 제로(Particle ZERO)화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너트(250)는 상기 볼스크류(240)에 나사산 체결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너트(250)는 상기 볼스크류(240)가 회전함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LM 가이드(260)는 상기 이송너트(250)에 체결되어 상, 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LM 가이드(260)는 한 쌍의 레일(261) 및 이송블록(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261)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에 지면과 수직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블록(262)은 상기 이송너트(250)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261)을 따라 상, 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LM 가이드(260)가 한 쌍의 레일(261) 및 이송블록(262)을 포함함으로써, 작업부(300)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이물방지부(27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내에 배치되는 구동부(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파티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방지부(27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샤프트(271)와, 상기 한 쌍의 롤러샤프트(271)에 권취되는 밴드(2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272)는 내구성 및 집진성을 위해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이송브라켓(310)에 일측면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브라켓(310)이 상, 하로 이동될 때, 상기 한 쌍의 롤러샤프트(271)에 권취된 상기 밴드(272) 또한 상, 하로 이동되는 것과 같이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구동부(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부(30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부(300)는 이송브라켓(310), 바닥판(320), 펜스(330), 연장판(340), 한 쌍의 수직프레임(350)), 및 한 쌍의 와이어(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브라켓(310)은 상기 이송블록(262)에 체결되어, 상, 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20)은 상기 이송브라켓(310)에 배치(또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20)은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20)은 상기 이송 브라켓(310)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펜스(330)는 상기 바닥판(320) 상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펜스(330)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펜스(330)는 작업자가 바닥판(320)에서 미끄러져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측부가 상측부 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340)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50) 사이에서 상기 바닥판(3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50)은 상기 바닥판(320)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360)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50) 각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판(340)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와이어(360)는 작업자가 상기 연장판(340)에 위치하여 유지 보수 작업 시 상기 연장판(340)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조하여 상기 바닥판(320)에 힌지 연결된 상기 연장판(3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구동부(200) 및/또는 작업부(3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제1 센서(410), 제2 센서(420), 제3 센서(430), 제4 센서(440), 제1 리미트스위치(450) 및/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410)는 상기 바닥판(32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어 상기 펜스(330)의 착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410)는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420)는 상기 작업부(300)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 또는 하나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420)는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430) 상기 작업부(300)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각각 또는 하나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430)는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440)는 상기 이송브라켓(310)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320)의 수평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440)는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440)가 상기 바닥판(320)의 수평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작업부(300)가 수평이 아닐 시 한 축에 더 크게 전달될 수 있는 하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부(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450)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에서 상기 제2 센서(42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450)는 상기 작업부(3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450)가 가압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5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460)는 상기 제3 센서(43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460)는 상기 작업부(3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450)가 가압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5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450) 및/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460)는 각각 상기 제2 센서(420)와 제3 센서(430)와 같은 별도의 감지센서로써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부(400)의 센싱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 센서(410)로써 상기 펜스(330)가 상기 바닥판(32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2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 센서(420) 또는 제3 센서(430)로써 상기 작업부(300)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모터(2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4 센서(440)로써 감지된 상기 바닥판(320)의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실시간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에 각각 배치된 상기 모터(21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작업부(3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450) 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460)가 가압되었을 때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박스, 커플링, 볼스크류, LM 가이드 및/또는 이물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파티클 제로(Particle ZERO)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리프팅 장치에 포함된 구동부의 안정적인 승, 하강을 구현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M 가이드가 한 쌍의 레일 및 이송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작업부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수평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바닥판의 수평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리프팅 장치 100: 한 쌍의 프레임
200: 구동부 210: 모터
220: 기어박스 230: 커플링
240: 볼스크류 250: 이송너트
260: LM 가이드 261: 한 쌍의 레일
262: 이송블록 270: 이물방지부
271: 롤러샤프트 272: 밴드
300: 작업부
310: 이송브라켓 320: 바닥판
330: 펜스 340: 연장판(340)
350: 한 쌍의 수직프레임 360: 와이어
400: 센서부 410: 제1 센서
420: 제2 센서 430: 제3 센서
440: 제4 센서 450: 제1 리미트 스위치
460: 제2 리미트 스위치 500: 제어부

Claims (10)

  1. 상호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체결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구동부 또는 작업부에 배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하측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하는 모터;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수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산 체결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너트; 및
    상기 이송너트에 체결되어 상, 하 이동되는 LM 가이드;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M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지면과 수직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이송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 하 이동되는 이송블록;을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이송블록에 체결되어, 상, 하 이동되는 이송브라켓;
    상기 이송브라켓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펜스;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바닥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바닥판에 힌지 연결되는 연장판(340);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판(340) 양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롤러샤프트에 권취되어 일측면이 상기 이송브라켓에 고정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이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닥판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어 상기 펜스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써 상기 펜스가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리프팅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작업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 또는 하나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센서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 또는 하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로써 상기 작업부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리프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센서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3 센서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가 가압되었을 때 전원을 오프시키는 리프팅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송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수평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센서로써 감지된 상기 바닥판의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실시간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된 상기 모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리프팅장치.
KR1020210097147A 2021-07-23 2021-07-23 리프팅 장치 KR10252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47A KR102524406B1 (ko) 2021-07-23 2021-07-23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47A KR102524406B1 (ko) 2021-07-23 2021-07-23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699A true KR20230015699A (ko) 2023-01-31
KR102524406B1 KR102524406B1 (ko) 2023-04-21

Family

ID=8510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147A KR102524406B1 (ko) 2021-07-23 2021-07-23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4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798A (ja) * 1994-09-30 1996-04-16 Oi Seisakusho Co Ltd 昇降装置
JP2007290799A (ja) * 2006-04-21 2007-11-08 Shimizu Corp 揚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着床管理方法
KR100867238B1 (ko) * 2008-05-07 2008-11-10 코벡주식회사 상하 분리가 가능한 전동 이동대차
KR101363051B1 (ko) * 2013-07-15 2014-02-17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발전설비용 터빈 케이스 리프팅 장치
KR20140057756A (ko) * 2012-11-05 2014-05-14 김병찬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KR101435911B1 (ko) * 2014-05-16 2014-09-01 (주)티보텍 실린더의 밸런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KR20140106114A (ko) * 2013-02-26 2014-09-03 (주)비티엔지니어링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798A (ja) * 1994-09-30 1996-04-16 Oi Seisakusho Co Ltd 昇降装置
JP2007290799A (ja) * 2006-04-21 2007-11-08 Shimizu Corp 揚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着床管理方法
KR100867238B1 (ko) * 2008-05-07 2008-11-10 코벡주식회사 상하 분리가 가능한 전동 이동대차
KR20140057756A (ko) * 2012-11-05 2014-05-14 김병찬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KR20140106114A (ko) * 2013-02-26 2014-09-03 (주)비티엔지니어링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KR101363051B1 (ko) * 2013-07-15 2014-02-17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발전설비용 터빈 케이스 리프팅 장치
KR101435911B1 (ko) * 2014-05-16 2014-09-01 (주)티보텍 실린더의 밸런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406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5844B (zh) 一种打磨机器人及其工作方法
KR102210063B1 (ko) 실용적 리프팅시스템을 응용한 조립라인용 부품공급 무인운반차
KR101466906B1 (ko) 무인반송대차
JPH09165106A (ja) 自動倉庫用貨物入出庫装置
KR102524406B1 (ko) 리프팅 장치
KR101457439B1 (ko)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KR20170029820A (ko) 계란 적층용 승강기
CN210191462U (zh) 一种绳索轨道巡检机器人防脱落装置
CN208471053U (zh) 一种可行走带板料定位功能的升降拆垛台车
CN110605521B (zh) 焊接装置
CN106391515B (zh) 瓷砖在线分拣装置
JP4175638B2 (ja) 鉄道車輌の車体分離・移動装置
JP5105174B2 (ja) 物品搬送装置
CN212500367U (zh) 一种智能巡检机器人的越障装置
JP2002293409A (ja) 物品保管設備
CN110077426B (zh) 一种绳索轨道巡检机器人防脱落装置
KR20210025886A (ko) 태양광 패널 청소 로봇
KR101899392B1 (ko) 중량물 승강장치
CN211108366U (zh) 一种基于ppbox的首片确认装置
KR102010930B1 (ko) 루퍼 캐리지의 강판 조정 장치
JPH0493130A (ja) 組立装置
CN220118994U (zh) 一种轮式监测装置
US5588506A (en) Aircraft maintenance elevator system
JPH047299A (ja) 立体倉庫用クレーンの制御装置
CN218433537U (zh) 输送系统及其提升机和主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