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817A -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817A
KR20140104817A KR1020130018774A KR20130018774A KR20140104817A KR 20140104817 A KR20140104817 A KR 20140104817A KR 1020130018774 A KR1020130018774 A KR 1020130018774A KR 20130018774 A KR20130018774 A KR 20130018774A KR 20140104817 A KR20140104817 A KR 2014010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yro sensor
call
user
unautho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선미
Original Assignee
진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선미 filed Critical 진선미
Priority to KR102013001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817A/ko
Publication of KR2014010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사용자 텃치에 의한 스마트폰 무단 발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을 검출하여 발신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폰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 b)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의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지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이 인지될 경우 통상의 발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를 벗어난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발신을 금지하도록 소프트웨어적 록(LOCK)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은 주머니에 휴대하고 있는 경우 무단 발신이 차단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스마트폰의 기능성을 추가하여 스마트폰의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RECALLING FROM A WORKING TROUBLE BY TOUCH MODE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휴대 상태를 인지하고 휴대 상태에서만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무단 터치로 인한 무단 발신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단말기와 휴대폰이 결합된 단말기를 말한다. 개인정보단말기는 휴대용 컴퓨터 기능, 전자수첩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휴대폰은 일반 무선 전화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서 개인정보단말기의 기능 수행 중 임의 전화번호를 발견하고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를 암기하거나, 메모를 해야 한다. 이후 수행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전화걸기 프로그램으로 이동한 다음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개인정보단말기의 기능 수행 중에 선택된 번호의 다이얼링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개인정보단말기의 기능 수행 중에 선택된 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 실현되고 있다.
첨부되는 특허문헌은 휴대폰의 무단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반지,팔찌,목걸이,신분증,카드 등의 형태로 자이로센서(10)를 몸에 지니고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100)에 근접하여 자이로센서의 판독 가능 범위내(A)에 있을 때에는 휴대폰(100)은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자이로센서(10)를 판독할 수 있다. 이때 정당한 자이로센서(10)가 판독되면 사용자가 휴대폰(100)은을 평상시처럼 정상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자이로센서의 판독가능 범위 바깥(B)에 있거나, 판독가능 범위내(A)에 있는 자이로센서가 정당한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휴대폰(100)은 특정전화번호의 특정정보가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화나 데이터 정보가 휴대폰에 수신되면 발신자번호를 확인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양자가 일치하면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 판독 동작을 수행하고, 정당한 자이로센서가 판독되면, 사용자에게 전화나 데이터 정보가 수신 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정당한 자이로센서가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화나 데이터 정보가 수신 되었음을 알리지 않고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정당한 사용자가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로부터 휴대폰에 저장된 특정정보의 조회 요청이 있으면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 판독 동작을 수행하고,정당한 자이로센서가 판독되면 요청 받은 조회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당한 자이로센서가 판독되지 않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를 판독하고, 조회 요청된 정보내에 특정전화번호에 대한 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하여, 특정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는 표시하지 않고 나머지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만 표시해 준다.
자이로센서를 휴대폰에 등록하는 방법으로는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자이로센서를 판독하여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자이로센서의 등록요청이 있으면 이미 등록되어 있는 자이로센서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자이로센서가 없는 경우에는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를 판독하고, 판독된 자이로센서를 정당한 자이로센서로 등록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자이로센서의 등록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자이로센서가 있으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를 판독하고,판독된 자이로센서를 정당한 자이로센서로 등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자이로센서값을 입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판독 및 기입이 가능한 자이로센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폰의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값을 자이로센서에 기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인 정보 단말기와 핸드폰이 결합된 스마트폰에서 발신하는 방법으로, 개인 정보 단말기로 동작하는 중에 화면상에 적어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들 중에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발신 모드와 링크되어 있는 발신 아이콘을 선택하여 발신 모드로 전환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발신 알고리즘은 스마트폰을 주머니에 휴대할 경우에 무의식 중 화면 터치로 인해 무단으로 발신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무단 발신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무단 터치로 인한 무단 발신을 사전에 방지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안전성과 시스템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휴대 상태를 인지하고 휴대 상태에서만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은,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을 검출하여 발신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폰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 b)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의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지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이 인지될 경우 통상의 발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를 벗어난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발신을 금지하도록 소프트웨어적 록(LOCK)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 상기 d) 단계에서 발신이 금지된 경우, 스마트폰의 암호 키 또는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발신 가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 상기 d) 단계에서 발신이 금지된 경우, 스마트폰을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여 발신 가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 상기 d) 단계에서 발신이 금지된 경우,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발신 가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은, 스마트폰은 주머니에 휴대하고 있는 경우 무단 발신이 차단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스마트폰의 기능성을 추가하여 스마트폰의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무단 발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구성으로 정상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구성으로 스마트폰 록(LOCK)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정상상태에서의 통화 가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법은 스마트폰의 자체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되는 알고리즘이다. 즉, 스마트폰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자세를 검출한다. 이는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의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지 검출하고, 이러한 범위의 기울어짐이 인지될 경우 통상의 발신 기능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를 벗어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원천적으로 발신이 금지되어 록(LOCK)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발신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암호 키 또는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발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100)은 발신자번호 표시기능과 자이로센서(10)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기위한 자이로센서(110)를 구비한다. 자이로센서(110)는 자이로센서(10)의 판독(read)만 가능한 것과, 판독(read) 및 기입(write)이 가능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의 자이로센서값을 자이로센서에 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나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정당한 자이로센서(10)값과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100)에서 수,발신된 음성 및 데이터 정보들도 저장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기능조작이나 각종 정보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며,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정당한 자이로센서값 및 특정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피커(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소리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수단으로 사용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으로 전화나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종 소리로 수신알림기능을 수행한다.
진동부(160)는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휴대폰(100)에서 스피커(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각종 소리 정보 대신 진동을 사용하게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100)으로 전화나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신알림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170)는 기지국(200)으로 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제어부(19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송신하거나, 제어부(190)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마이크(18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제어부(190)는 휴대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100)의 무단사용시, 특정전화번호의 특정정보 표시를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일실시예에서는, 휴대폰(100)으로 전화나 데이터정보가 수신되면 발신자 번호를 판독하고, 판독된 발신자 번호와 메모리(120)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할 경우에는, 자이로센서(110)를 사용하여 자이로를 판독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당한 자이로센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수신 알림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당한 자이로센서값이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알림 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메모리(120)에 저장된 특정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있으면 자이로센서(110)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10)를 판독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당한 자이로센서값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요청된 조회기능을 수행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특정전화번호의 정보는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특정정보로서 전화나 데이터 정보가 수신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무단 사용시 특정전화번호로 부터 전화가 수신될 경우 수신알림을 방지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휴대폰(100)의 무선 송,수신부(170)로 전화가 수신되면(S310), 제어부(190)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판독한다(S315). 판독된 발신자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S320), 양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피커(150)를 통해 수신벨 울림 , 진동부를 통한 진동울림 그리고 표시부(140)에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와 같은 정상적인 전화수신알림기능을 수행한다(S325). 수신알림기능(S325) 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전화수신신호가 휴대폰(100)으로 입력되는 동안에 반복 수행되며 이 동안에 통화가 이루워지는지를 판단하여(S330), 통화가 이루워지면 통화종료(S335)후에 수신통화내역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340). 수신통화내역은 발신자 전화번호,통화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통화가 이루워지지 않은 채 더 이상 전화수신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90)는 수신알림기능 수행(S325)을 종료하고 부재중 전화내역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345). 부재중 전화내역은 발신자 전화번호,전화수신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발신자 전화번호를 판독하여(S315), 판독된 발신자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가 일치하면, 자이로센서(110)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10)를 판독한(S350)후,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당한 자이로센서값과 비교(S355)하여 일치하면 정상적인 수신알림기능을 수행한다(S325). 반면에, 정당한 태그값이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벨 울림, 진동 및 표시부에 발신자번호 표시등과 같은 전화가 수신되었다는 어떠한 표시도 하지 않는 수신알림 방지모드를 설정하여(S360), 휴대폰 무단 사용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수신알림 방지모드 설정(S360)후 제어부(19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전화수신신호가 휴대폰(100)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독하여(S365), 전화수신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는 정당한 자이로센서가 동작되는지를 판독하는 동작(S350)부터 다시 반복 수행하고, 전화수신신호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알림모드 기능을 해제하고 부재중 전화내역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345).
도 5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무단 사용시 특정전화번호로 부터 데이터정보가 수신될 경우 수신알림을 방지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휴대폰(100)의 무선 송,수신부(170)로 데이터정보가 수신되면(S410), 제어부(190)는 발신자번호를 판독한다(S420). 판독된 발신자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S430), 양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피커(150)를 통해 수신벨 울림 , 진동부를 통한 진동울림 그리고 표시부(140)에 발신자번호 및 데이터정보 내용 등을 표시하는 것과 같은 정상적인 데이터정보 수신알림 기능을 수행한(S440)후,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450).
한편, 판독된 발신자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S430), 양자가 일치하면 자이로센서(110)를 사용하여 자이로센서(10)를 판독한(S460)후,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당한 자이로센서값과 비교하여(S470) 일치하면 정상적인 수신알림기능을 수행한다(S440). 반면에, 정당한 태그값이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벨 울림, 진동, 표시부에 발신자번호 및 데이터정보 내용 표시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었다는 어떠한 표시도 하지 않는 수신알림 방지모드를 설정하여(S480), 휴대폰 무단 사용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수신알림 방지모드 설정(S480)후 제어부(190)는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하고(S450) 수신알림 방지기능을 해제한다.
즉,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스마트폰의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고, 기울기 각도가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에 존재할 경우에는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발신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기울어진 각도가 30°에서 80°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신이 정지된다. 이러한 각도에서 발신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암호 또는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발신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은 주머니에 휴대하고 있는 경우 무단 발신이 차단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스마트폰의 기능성을 추가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100 : 스마트폰 110 : 자이로센서
120 : 제어모듈 130 :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발신 회로부
160 : 진동부 17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4)

  1.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을 검출하여 발신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폰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
    b)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의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지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이 인지될 경우 통상의 발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30°에서 80° 범위를 벗어난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발신을 금지하도록 소프트웨어적 록(LOCK)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에서 발신이 금지된 경우, 스마트폰의 암호 키 또는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발신 가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에서 발신이 금지된 경우, 스마트폰을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여 발신 가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에서 발신이 금지된 경우,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발신 가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KR1020130018774A 2013-02-21 2013-02-21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KR20140104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774A KR20140104817A (ko) 2013-02-21 2013-02-21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774A KR20140104817A (ko) 2013-02-21 2013-02-21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817A true KR20140104817A (ko) 2014-08-29

Family

ID=5174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774A KR20140104817A (ko) 2013-02-21 2013-02-21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8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2391A (zh) * 2016-10-13 2017-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防止对终端误操作的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2391A (zh) * 2016-10-13 2017-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防止对终端误操作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5777B (zh) 用于检测并指示移动设备之间的接近度的丢失的方法、系统及装置
JP5224381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7282208A (ja) 携帯端末機におけるサービス制限装置及び方法
JP2012114906A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接続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49519B1 (ko)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201020666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61654A (ja)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5407522B2 (ja) 通信機器
JP6229367B2 (ja) 携帯装置、紛失抑制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43561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4817A (ko) 스마트폰의 무단 발신 방지 방법
JP2013085053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3176000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352842A (ja) 携帯情報機器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JP2009224876A (ja) 携帯端末装置、そ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6072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통화를 제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3692958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
JP4395524B2 (ja) 携帯端末
JPWO2007094032A1 (ja) 通信装置、その管理方法、その管理装置、通信管理システム及び回路装置
KR100692433B1 (ko) 휴대폰 무단 사용시 특정전화전호의 특정정보 표시방지방법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JP4395525B2 (ja) 携帯端末
JP2007257235A (ja) 携帯型情報処理端末及びそのセキュリティ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71550B2 (ja) 情報保秘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