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445A - 연료 분사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445A
KR20140104445A KR1020147016801A KR20147016801A KR20140104445A KR 20140104445 A KR20140104445 A KR 20140104445A KR 1020147016801 A KR1020147016801 A KR 1020147016801A KR 20147016801 A KR20147016801 A KR 20147016801A KR 20140104445 A KR20140104445 A KR 20140104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uel injection
injection valve
zones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190B1 (ko
Inventor
마르크-장 데렌탈
요한 바이어
랄프 이틀링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0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02M51/0682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body being hollow and its interi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61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press-fit, i.e. interference or friction f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84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welding or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장치용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분사 밸브는 자기 코일(1), 코어(2) 및 밸브 케이싱(5)을 가진 전자기 작동 소자와 밸브 시트 바디(15)에 할당된 밸브 시트면(16)과 상호 작용하는 이동 가능한 밸브 폐쇄 바디(19)를 포함한다. 코어(2)와 연결관(44)은 얇은 벽의 밸브 슬리브(6)의 내부 개구(11) 내에서 그리고 밸브 케이싱(5)은 슬리브(6)의 외주에서 압입/가압에 의해 밸브 슬리브(6)에 고정 결합된다. 연료 분사 밸브의 상기 2개의 금속 부품(2, 5, 6, 44)의 고정 가압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 파트너가 가압 영역(a, b, c, a')에 적어도 2개의 연속하는 구역 또는 부분 구역(I, II, III)을 포함하고, 상기 구역들은 홈(61)을 가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개별 구역 또는 부분 구역(I, II, III)의 홈들(61)의 프로파일 깊이는 상이하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밸브{FUEL INJECTION VALV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 199 00 405 A1호에 자기 코일, 내극 및 외부 자기 회로 소자를 가진 전자기 작동 부재 및 밸브 시트 바디에 할당된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이동 가능한 밸브 폐쇄 바디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가 공개되어 있다. 밸브 시트 바디와 내극은 얇은 벽의 밸브 슬리브의 내부 개구에 배치되고, 자기 코일과 외부 자기 회로 소자는 밸브 슬리브의 외주에 배치된다. 밸브 슬리브 내에 및 상에 개별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해, 먼저 자기 포트 형태로 형성된 자기 회로 소자는 밸브 슬리브 위로 이동되고, 이어서 밸브 시트 바디가 밸브 슬리브의 내부 개구 내로 압입되므로, 밸브 시트 바디의 압입만으로 밸브 슬리브와 자기 회로 소자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밸브 슬리브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니들을 장착한 후에 내극은 압입에 의해 밸브 슬리브 내에서 고정된다. 밸브 시트 바디의 압입만으로 밸브 슬리브에 자기 회로 소자의 가압 시, 가압 연결부가 분리될 위험이 매우 크다. 밸브 슬리브 내로 내극의 압입은 가압 영역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냉간 용접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전하고 확실하게 긴 지속 시간 동안 냉간 용접이 방지되면서 고정 및 밀봉 방식으로 지지하고, 가압 연결부를 형성하는 금속 부품 파트너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는,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연료 분사 밸브의 적어도 2개의 금속 부품들의 고정 가압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 파트너가 가압 영역에서 연속하는 적어도 2개의 구역 또는 부분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역들은 홈을 가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개별 구역 또는 부분 구역의 홈들의 프로파일 깊이는 상이하다.
바람직하게, 디프 드로잉 가공 부품 또는 선반 가공 부품으로서 제공되는 저렴한 부품들에 의해 안전하고 확실하게 오랜 지속 시간 동안 냉간 용접이 방지되면서 고정 및 밀봉 방식으로 지지하는 금속 부품 파트너들 사이의 가압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연결부는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바람직하게 공지된 일반적인 별도의 필수 작업 과정, 예컨대 부품 파트너들의 개선된 결합을 위한 코팅 또는 윤활, 또는 수축을 위한 부품 파트너들의 가열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가압 후에 재료 결합 방식의 결합 방법에 의한 2개의 부품들의 추가 결합 시, 이러한 연결부의 밀봉성과 안정성의 완전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 보장된다. 가압 영역의 상이한 구역에서 그루우브형 홈들의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프로파일 깊이는 다공이 없는 용접을 가능하게 한다.
종속 청구항에 명시된 조치에 의해 청구범위 제 1 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 및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품 파트너의 가압 영역은 연속해서 챔퍼, 원통형 가압 섹션 및 용접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 챔퍼 영역에 홈의 최대 프로파일 깊이가 제공되고, 가압 섹션의 대향 배치된 측면에 있는 용접 영역에 홈의 최소 프로파일 깊이가 제공된다. 가압 섹션은 그 축방향 길이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일한 프로파일 깊이의 하나의 구역 또는 상이한 프로파일 깊이의 다수의 부분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간단히 도시되고 하기에 설명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밸브 슬리브의 확대도.
도 3은 연결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링 전의 연결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링 전의 대안적 연결관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로파일링을 포함하는 연결관의 확대도.
도 7은 방지되어야 할 방해 숄더를 포함하는 도 6에 따른 도면의 부분도.
도 8은 밸브 슬리브 내의 장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프로파일링을 포함하는 연결관의 확대도.
본 발명에 따른 조치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하기에서 도 1을 참고로 선행기술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가 기본적인 어셈블리로 설명된다.
도 1에 예를 들어 도시된, 혼합물 압축형 외부 점화식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장치용 분사 밸브 형태의 전자기 작동식 밸브는 자기 코일(1)로 둘러싸인 내극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연료 통로로서 이용되는 전체적으로 관형인 코어(2)를 포함한다. 자기 코일(1)은 슬리브 형태의, 단계식으로 구현된, 예컨대 강자성의 외부 밸브 케이싱(5)으로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밸브 케이싱은 외극으로 사용되는, 자석 포트 형태의 외부 자기 회로 소자이다. 자기 코일(1), 코어(2) 및 밸브 케이싱(5)은 함께 전기 여기식 작동 부재를 형성한다.
코일 바디(3)에 매립된 자기 코일(1)은 밸브 슬리브(6)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한편, 코어(2)는 밸브 슬리브(6)의, 밸브 종축선(10)을 향해 동심으로 연장되는 내부 개구(11) 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계 밸브 슬리브(6)는 길게 연장되고 얇은 벽으로 구현된다. 개구(11)는 밸브 종축선(10)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니들(14)을 위한 가이드 개구로서도 이용된다. 밸브 슬리브(6)는 축방향으로, 예를 들어 연료 분사 밸브의 축방향 전체 길이의 절반 이상에 걸쳐 연장된다.
코어(2)와 밸브 니들(14) 외에, 개구(11) 내에 또한 밸브 시트 바디(15)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 바디는 밸브 슬리브(6)에 예를 들어 용접 시임(8)에 의해 고정된다. 밸브 시트 바디(15)는 밸브 시트로서 고정 밸브 시트면(16)을 포함한다. 밸브 니들(14)은 예를 들어 관형 아마추어 섹션(17), 마찬가지로 관형 니들 섹션(18) 및 볼 형태의 밸브 폐쇄 바디(19)로 형성되고, 이 경우 밸브 폐쇄 바디(19)는 예를 들어 용접 시임에 의해 니들 섹션(18)에 고정 결합된다. 밸브 시트 바디(15)의 하류측 단부면에 예를 들어 포트 형태의 분사홀 디스크(21)가 배치되고, 상기 분사홀 디스크의 밴딩된, 원주를 따른 환형 지지 에지(20)는 유동 방향과 반대로 위로 향한다.
밸브 시트 바디(15)와 분사홀 디스크(21)의 고정 결합은 예를 들어 환형 밀봉 용접 시임에 의해 이루어진다. 밸브 니들(14)의 니들 섹션(18)에 하나 이상의 가로방향 개구(22)가 제공되므로, 내부 길이방향 보어(23) 내의 아마추어 섹션(17)을 관류하는 연료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밸브 폐쇄 바디(19)에서, 예를 들어 편평부(24)를 따라 밸브 시트면(16)까지 유동할 수 있다.
분사 밸브의 작동은 공지된 방식으로 전자기식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니들(14)의 축방향 이동을 위해 그리고 밸브 니들(14)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25)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분사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자기 코일(1), 내부 코어(2), 외부 밸브 케이싱(5) 및 아마추어 섹션(17)을 가진 전자기 회로가 이용된다. 밸브 폐쇄 바디(19)로부터 떨어져 있는 아마추어 섹션(17)의 단부는 코어(2)를 향한다.
볼 형태의 밸브 폐쇄 바디(19)는 유동 방향으로 원뿔대 형상으로 테이퍼링되는, 밸브 시트 바디(15)의 밸브 시트면(16)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밸브 시트면은 축방향으로 가이드 개구의 하류에 밸브 시트 바디(15) 내에 형성된다. 분사홀 디스크(21)는 적어도 하나의, 예를 들어 침식, 레이저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된 4개의 분사구(27)를 포함한다.
분사 밸브 내 코어(2)의 삽입 깊이는 특히 밸브 니들(14)의 행정에 중요하다. 밸브 니들(14)의 하나의 단부 위치는 자기 코일(1)이 여기되지 않은 경우에 밸브 시트 바디(15)의 밸브 시트면(16)에 밸브 폐쇄 바디(19)의 접촉함으로써 정해지는 한편, 밸브 니들(14)의 다른 단부 위치는 자기 코일(1)이 여기된 경우에 하류측 코어 단부에 아마추어 섹션(17)이 접촉함으로써 제공된다. 행정 조절은 예를 들어 선반 가공 같은 절삭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어(2)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소정의 위치에 따라 후속해서 밸브 슬리브(6)에 고정 결합된다.
밸브 종축선(10)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되고 밸브 시트면(16)의 방향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어(2)의 유동 보어(28) 내로 리턴 스프링(25) 외에 조절 스리브(29) 형태의 조절 부재가 삽입된다. 조절 슬리브(29)는 조절 슬리브(29)에 접촉하는 리턴 스프링(25)의 스프링 예비 응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스프링은 대향 배치된 측면에 의해 밸브 니들(14)에 지지되고, 이 경우 동적 분사량의 조절도 조절 슬리브(29)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료 필터(32)는 밸브 슬리브(6) 내에 조절 슬리브(29) 상부에 배치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분사 밸브는 특히 콤팩트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므로, 매우 작고 취급이 용이한 분사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부품들은 예비 조립된 독립적인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하기에서 기능부(30)라고 한다. 기능부(30)는 실질적으로 전자기 회로(1, 2, 5)와 후속하는 제트 형성 부재(분사홀 디스크(21))를 가진 밀봉 밸브(밸브 폐쇄 바디(19), 밸브 시트 바디(15)) 및 베이스 바디로서 밸브 슬리브(6)를 포함한다.
기능부(30)와 무관하게 하기에서 연결부(40)라고 하는 제 2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연결부(40)는 특히, 연료 분사 밸브의 전기 및 유압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부로 구현된 연결부(40)는 연료 유입관으로 이용되는 관형 베이스 바디(42)를 포함한다. 밸브 종축선(10)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바디(42) 내의 내부 연결관(44)의 유동 보어(43)는 연료 유입부로서 이용되고, 연료 분사 밸브의 유입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료에 의해 관류된다.
연결부(40)와 기능부(30)의 유압 연결은 연료 분사 밸브가 완전히 조립된 경우에, 연료의 방해 받지 않는 관류가 보장되도록 2개의 어셈블리의 유동 보어들(43, 28)이 서로 마주 놓임으로써 달성된다. 기능부(30)에 연결부(40)의 장착 시 연결관(44)의 하단부(47)는 연결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밸브 슬리브(6)의 개구(11) 내로 돌출한다. 플라스틱 베이스 바디(42)는 기능부(30)에 사출 성형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은 직접 밸브 슬리브(6) 및 밸브 케이싱(5)의 부분들을 둘러싼다. 기능부(30)와 연결부(40)의 베이스 바디(42) 사이의 확실한 밀봉은 밸브 케이싱(5)의 원주에서 예를 들어 래비린스 실(labyrinth seal;46)에 의해 달성된다.
베이스 바디(42)는 함께 사출 성형된 전기 접속 플러그(56)를 포함한다. 콘택 부재들은 접속 플러그(56)에 대향 배치된 단부에서 자기 코일(1)에 전기 접속된다.
도 2 내지 도 8에 연료 분사 밸브의 금속 부품들이 도시되고, 상기 부품들은 가압에 의해 적어도 각각 하나의 다른 금속 부품에 고정 결합된다. 특히 부품은 밸브 슬리브(6) 및 연결관(44)이고, 이 경우 강조하건대, 도시되고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연료 분사 밸브 내의 2개의 금속 부품들의 모든 가압 영역에 적절하게 전용될 수 있다.
연료 분사 밸브 내의 금속 부품들을 서로 고정 결합하기 위해, 고정될 2개의 부품들 사이에 가압 끼워맞춤이 제공된다. 그러나 가압 끼워맞춤은 일반적으로 공차 위치, 재료 및 부품 형상에 따라, 부품 내에 소성 또는 탄성 방식의 압축 또는 팽창을 일으킨다. 부품 파트너가 강성으로 인해 팽창 또는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재료와 관련해서 예컨대 연자성 크롬강처럼 너무 연성인 경우에, 압입 결합 과정 중에 냉간 용접("스커핑(scuffing)")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부품 파트너의 장착 조건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 연결부에 내부 압력이 가해지면, 이는 팽창 및 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때 다시 가압 연결부가 느슨해질 위험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연결부가 분리될 위험이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가능한 충분한 가압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러나 이로 인해 부품들의 냉간 용접 경향이 커진다. 정밀 연삭 또는 호닝과 같은 복잡하고 정밀하고 비용 집약적인 가공 방법에 의해 공차는 물론 제한될 수 있고, 가압 연결은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목적은, 선반 가공 부품으로서 제공되는 가능한 저렴한 부품들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긴 지속 시간 동안 냉간 용접이 방지되면서 고정 및 밀봉 방식으로 지지하는 금속 부품 파트너들 사이의 가압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압 연결부는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코팅 또는 윤활의 별도의 작업 과정 또는 수축을 위한 부품 파트너들의 가열이 생략된다.
도 2에 예를 들어 얇은 벽의 밸브 슬리브(6)가 도시되고, 상기 밸브 슬리브는 연료 분사 밸브의 축방향 길이의 상당 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밸브 슬리브 내로 영역(a)에 있는 연결관(44; 도 3)과 영역(b)에 있는 코어(2)가 압입될 수 있고, 영역(c)에 있는 밸브 케이싱(5)은 상기 밸브 슬리브로 가압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연결관(44)은 상응하게 외부 가압 영역(a')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밸브 슬리브(6)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 연결을 위한 영역(a)에 상응한다. 기본적으로 가압 연결 시 재료 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영역들은 a와 a'로 도시된다. 그러나 도 4 내지 도 8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a와 a'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압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연결관(44)은 가능한 한 최소 압입력으로 밸브 슬리브(6) 내에 장착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2개의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섹션으로 가압 영역(a')의 이행부 내의 유입 램프(59)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링 전에 연결관(44)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4)에서 가압 영역(a')은 3개의 구역으로 세분된다. 구역(I)은 경사지거나 또는 약간 아치형으로 구현된 환형으로 둘러싸는 재료 감소부로서 형성된 챔퍼(50)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퍼(50)는 서로 가압될 부품 파트너(6, 44)의 센터링된, 절삭을 저지하는 더 안전한 장착에 이용된다. 구역(I)에 실제로 원통형 가압 섹션(51)을 형성하는 구역(II)이 연결된다. 챔퍼(50)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서 챔퍼(50)와 유사하게 뒤로 물러나 연장되고 용접 영역(52)을 규정하는 구역(III)이 상기 원통형 가압 섹션(51)에 이어진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접 영역(52)은 각도 α로 경사져 원통형 가압 섹션(51)의 외부면에 대해 뒤로 물러나 연장된다. 각도 α는약 1°내지 5°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링 전에 대안 연결관(44)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역(III)은 가압 섹션(51)으로 이용되는 구역(II)에 대해 숄더(53)에 의해 급격하게 후퇴되므로,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용접 영역(52)의 외부 면은 대부분 원통형 가압 섹션(51)의 외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선반 가공된 연결관(44)은 과도하게 냉간 용접을 야기한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가압 영역(a')에 그루우브형 홈(61)을 형성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부품 파트너들의 가압, 여기에서는 밸브 슬리브(6) 내로 연결관(44)의 실제 가압을 위해 가압 영역(a')의 이러한 프로파일링은 전술한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조치이다. 그러나, 2개의 부품(6, 44)이 추가로 재료 결합 방식의 결합 방법, 예컨대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밀봉되는 경우에, 가압 영역(a')의 프로파일링은 경우에 따라서 완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 강도로 인해, 용접 영역(52;도 8 참조) 내의 용접 깊이는 예컨대 대략 0.8 내지 1.2 mm인 것이 필수일 수 있다. 가압 영역(a')의 용융 시 용접 시임(54)에서 강도를 떨어뜨리는 원치 않는 다공 형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용접으로부터 열 유입으로 인해 홈(61)에 의해 관통되는 가압 영역(a')에서 가열되어 챔버화된 공기의 체적 확장으로 인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가압 영역(a')의 구역(I, II, III)에 그루우브형 홈(61)의 가변 프로파일 깊이가 제공되고, 이로써 다공 없는 용접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로파일링을 포함하는 연결관(44)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여기에서 숄더(53)에 의해 뒤로 물러난 용접 영역(52)(구역 III)에 최소 프로파일 깊이가 제공된다. 가압 섹션(51)(구역 II)에서 홈(61)의 프로파일 깊이는 구역(II)에 상응하거나 약간 더 클 수 있다. 챔퍼(50)를 포함하는 구역(I)은 항상, 최대 프로파일 깊이를 갖는 홈(61)의 영역을 포함한다. 대략적 프로파일링으로부터 정밀 프로파일링으로 이행부, 예컨대 여기에서는 구역(I)으로부터 구역(II)으로 이행부는 접선으로 구현되므로, 조화로운 프로파일 깊이 이행부가 주어진다. 도 7은 이를 위해 반드시 방지되어야 할 방해 숄더(55) 또는 그 밖의 갑작스러운 돌출부를 포함하는 도 6에 따른 부분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루우브형 홈(61)의 프로파일 깊이는 축척에 따라 도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당히 과장되어 도시된다.
도 8에는 밸브 슬리브(6) 내에 장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프로파일링을 포함하는 연결관(44)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이 경우 중앙 원통형 가압 섹션(51)은 2개의 부분 구역(IIa, IIb)으로 세분된다. 구역(I)으로부터 시작하는 제 1 부분 구역(IIa)의 홈(61)은 챔퍼(50)의 홈(61)과 동일한 크기의 프로파일 깊이를 갖는 한편, 가압 섹션(51)의 부분 구역(IIb)의 홈(61)은 용접 영역(52) 내에까지 연장된 작은 프로파일 깊이를 갖는, 더 낮은 깊이의 홈(61)을 포함한다.
1, 2, 7 액추에이터
10 밸브 종축선
15 밸브 시트 바디
27 분사구
50 챔퍼
51 가압 섹션
52 용접 영역
61 홈

Claims (11)

  1.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장치용 연료 분사 밸브로서, 밸브 종축선(10), 밸브 시트 바디(15)에 제공된 밸브 시트면(16)과 상호 작용하는 밸브 폐쇄 바디(19)의 작동을 위한 여기 가능한 액추에이터(1, 2, 17),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27), 및 가압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되는 금속 부품들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의 적어도 2개의 금속 부품(2, 5, 6, 44)의 고정 가압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 파트너가 가압 영역(a, b, c, a')에서 연속하는 적어도 2개의 구역 또는 부분 구역(I, II, III)을 포함하며, 상기 구역들은 홈(61)을 가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개별 구역 또는 부분 구역(I, II, III)의 상기 홈들(61)의 프로파일 깊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영역(a, b, c, a') 내의 상기 홈들(61)은 원주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영역(a, b, c, a')은 연속해서 챔퍼(50), 원통형 가압 섹션(51) 및 용접 영역(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영역(52)은 각도 α로 경사지거나 또는 숄더(53)에 의해 상기 가압 섹션(51)에 대해 뒤로 물러나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영역(52)에서 프로파일링은, 상기 홈(61)의 최소 프로파일 깊이가 여기에 주어지도록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섹션(51)에서 상기 홈(61)의 프로파일 깊이는 상기 용접 영역(52)에서 상기 홈(61)의 프로파일 깊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섹션(51)은 2개의 부분 구역(IIa, IIb)으로 세분되고, 상기 챔퍼(50)를 향한 제 1 부분 구역(IIa)에서 상기 홈(61)의 프로파일 깊이는 상기 용접 영역(52)을 향한 제 2 부분 구역(IIb)에서 상기 홈(61)의 프로파일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50)를 포함하는 구역(I)은 최대 프로파일 깊이를 갖는 상기 홈(61)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영역(52)에서 결합될 2개의 금속 부품(2, 5, 6, 44)은 재료 결합 방식으로 서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략적 프로파일링에서 정밀 프로파일링으로의 이행부는 접선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얇은 벽의 밸브 슬리브(6)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 슬리브 내로 연결관(44) 및/또는 코어(2)가 압입되고 및/또는 상기 밸브 슬리브로 밸브 케이싱(5)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KR1020147016801A 2011-12-20 2012-10-23 연료 분사 밸브 KR102048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9247.8 2011-12-20
DE102011089247A DE102011089247A1 (de) 2011-12-20 2011-12-20 Brennstoffeinspritzventil
PCT/EP2012/070915 WO2013091936A1 (de) 2011-12-20 2012-10-23 Brennstoffeinspritz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445A true KR20140104445A (ko) 2014-08-28
KR102048190B1 KR102048190B1 (ko) 2019-11-25

Family

ID=4707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801A KR102048190B1 (ko) 2011-12-20 2012-10-23 연료 분사 밸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22749B2 (ko)
EP (1) EP2795092B1 (ko)
JP (1) JP6077564B2 (ko)
KR (1) KR102048190B1 (ko)
CN (1) CN104011367B (ko)
BR (1) BR112014014910A2 (ko)
DE (1) DE102011089247A1 (ko)
IN (1) IN2014CN04440A (ko)
WO (1) WO2013091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527B2 (en) * 2015-01-30 2019-09-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Fuel injection valve
DE102015217673A1 (de) 2015-09-15 2017-03-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inspritzvorrichtung zur Zumessung eines Fluids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Einspritzvorrichtung
WO2017109886A1 (ja) * 2015-12-24 2017-06-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弁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02112B2 (en) * 2017-09-14 2019-12-10 Vitesco Technologies USA, LLC Injector for reductant delivery unit having fluid volume reduction assembly
US10947880B2 (en) 2018-02-01 2021-03-16 Continental Powertrain USA, LLC Injector for reductant delivery unit having fluid volume reduction assembly
CN108447647B (zh) * 2018-04-16 2023-07-11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电励磁的湿式四磁柱式电磁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8066A (ja) * 2001-01-30 2004-06-17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弁
DE202008004065U1 (de) * 2008-03-25 2008-06-12 Robert Bosch Gmbh Hochdruckabdichtung
JP2009520171A (ja) * 2005-12-22 2009-05-21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プラスチック・金属結合部およびプラスチック・金属結合部を有する燃料噴射弁
JP2010519451A (ja) * 2007-02-23 2010-06-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5671A1 (de) * 1981-02-17 1982-09-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duese"
US4938193A (en) * 1987-06-15 1990-07-03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injection nozzle
US5498263A (en) * 1994-06-28 1996-03-12 Acromed Corporation Transverse connector for spinal column corrective devices
DE19900405A1 (de) 1999-01-08 2000-07-1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ntilbaugruppe eines Brennstoffeinspritzventils
DE10044933A1 (de) * 2000-09-12 2002-03-21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334785A1 (de) * 2003-07-30 2005-02-24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112004002581D2 (de) * 2004-01-12 2006-11-23 Siemens Ag Verfahren zum Festziehen einer Düsenspannmutter eines Injektors für die Kraftstoffeinspritzung sowie Injektor und Düsenspannmutter
DE102005025953A1 (de) * 2005-06-06 2006-12-07 Siemens Ag Einspritzventil und Ausgleichselement für ein Einspritzventil
DE102005040363B4 (de) * 2005-08-26 2017-09-14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US7766254B2 (en) * 2008-05-30 2010-08-03 Delphi Technologies, Inc. Heated fuel injector
US7886718B2 (en) * 2008-09-26 2011-02-15 Caterpillar Inc. Fuel injector having integral body guide and nozzle case for pressure contai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8066A (ja) * 2001-01-30 2004-06-17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弁
JP2009520171A (ja) * 2005-12-22 2009-05-21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プラスチック・金属結合部およびプラスチック・金属結合部を有する燃料噴射弁
JP2010519451A (ja) * 2007-02-23 2010-06-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弁
DE202008004065U1 (de) * 2008-03-25 2008-06-12 Robert Bosch Gmbh Hochdruckabd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11367B (zh) 2017-07-18
US20150041567A1 (en) 2015-02-12
JP2015500947A (ja) 2015-01-08
CN104011367A (zh) 2014-08-27
US9822749B2 (en) 2017-11-21
KR102048190B1 (ko) 2019-11-25
EP2795092A1 (de) 2014-10-29
EP2795092B1 (de) 2015-12-30
JP6077564B2 (ja) 2017-02-08
BR112014014910A2 (pt) 2017-06-13
IN2014CN04440A (ko) 2015-09-04
DE102011089247A1 (de) 2013-06-20
WO2013091936A1 (de)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4445A (ko) 연료 분사 밸브
US7303214B2 (en) Metallic compression joint and fuel injector having a metallic compression joint
JP3048634B2 (ja) 噴射弁及び噴射弁の製作のための方法
CN101025136B (zh) 电磁燃料喷射阀及其装配方法
JP5312350B2 (ja) 燃料噴射弁
KR20000015943A (ko) 전자기적으로 작동가능한 밸브_
JP3913841B2 (ja) 噴射弁
JP4054621B2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弁
US20040135014A1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US6679435B1 (en) Fuel injector
JP2003049747A (ja) 内燃機関の噴射弁を制御する電磁弁
JP2003506626A (ja) 燃料噴射弁及び、弁の吐出開口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04518066A (ja) 燃料噴射弁
KR101857463B1 (ko) 분사 밸브를 위한 밸브 조립체, 분사 밸브 및 분사 밸브의 밸브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JP5014090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及びその製造方法
US6543137B1 (en) Method for mounting a valve module of a fuel injector
JP2002531751A (ja) 燃料噴射弁
US20040026541A1 (en) Fuel injection valve
JP2006509139A (ja) 燃料噴射弁
JP3819741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5523476B2 (ja) 燃料噴射弁
US6915960B2 (en) Fuel-injection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same
US6435429B1 (en) Fuel injection valve
KR102225328B1 (ko) 연료 인젝터
JP4096008B2 (ja) 燃料噴射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燃料噴射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