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821A -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821A
KR20140103821A KR1020130125601A KR20130125601A KR20140103821A KR 20140103821 A KR20140103821 A KR 20140103821A KR 1020130125601 A KR1020130125601 A KR 1020130125601A KR 20130125601 A KR20130125601 A KR 20130125601A KR 20140103821 A KR20140103821 A KR 2014010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in body
base cloth
canvas
bod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1522B1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 B29C48/2883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of preformed parts, e.g. inserts fed and transported generally uninfluenced through the extruder or inserts fed directly to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 B29C48/288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in band or in strip form, e.g. rubbe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다른 마찰특성을 가지는 범포에서도 금형과 접촉하는 면의 접촉저항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를 얻는다.
[해결수단] 횡단면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16)와, 본체 수지부의 내측면에 본체 수지부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된 범포(18)를 구비하고, 범포는 본체 수지부에 마련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19)와, 기초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기초포에 마련되고, 기초포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20)를 구비한 것으로서, 본체 수지부와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27)과,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25)와,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28)를 구비하며,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범포와 함께 금형으로부터 압출된다.

Description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MANUFACTURING DEVICE OF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 등의 맨 컨베이어로 사용되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라고 하는 맨 컨베이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횡단면 'C'자 모양의 무단상(無端狀)을 나타내는 이동난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이동난간은 답단(踏段)상의 승객이 안전을 위해서 잡는 것으로, 상기 답단에 동기(同期)하도록 구동되며, 또, 안내레일 등에 의해서 그 주행이 안내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이동난간을 구비한 맨 컨베이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동난간의 구동과 주행의 안내가 그 내측면(내측면에 마련된 범포(帆布))을 통하여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난간에는 그 내측면에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높은 마찰특성(마찰계수)과, 주행시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낮은 마찰특성(마찰계수) 쌍방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맨 컨베이어의 이동난간으로서, 횡단면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와, 본체 수지부의 내측면에 본체 수지부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된 범포를 구비하고, 범포는 본체 수지부에 마련된 기초포(基礎布)와, 기초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기초포에 마련되며, 기초포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11-42413호 공보
이동난간은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의 내부에 항장체(抗張體)를 배치하고, 직선적인 안내나 굴곡부에서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내측 표면을 면포(綿布)나 폴리에스테르제의 섬유를 짠 범포로 구성하고 있지만, 마찰구동면과 가이드와의 슬라이딩면이 동일한 재질이면 구동력에 여유를 가지지 못한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이동난간의 범포를 구동면과 슬라이딩면으로 나누고, 슬라이딩면에 불소수지섬유 등의 지극히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저마찰사(絲)를 짜 넣어 범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동면을 구성하는 범포는 고마찰의 표면 특성, 슬라이딩면은 저마찰의 표면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범포를 성형하는 경우, 금형 내에서 수지의 성형압력이 작용하면, 범포의 구동부의 기초포나 슬라이딩부의 저마찰면이 금형으로 밀어 붙여진다. 범포 전체는 금형을 나온 수조 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운 저마찰면의 슬라이딩부는 작은 장력으로 인출되지만,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동부는 인출하기 위해서 큰 장력을 필요로 하므로, 범포 각 부의 접촉저항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 인출장력의 차이에 의해서, 범포 전체는 슬라이딩 포가 내측으로 밀려서 포 폭이 좁아져서, 횡단면 'C'자 모양의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다른 마찰특성을 가지는 범포에서도, 금형과 접촉하는 면의 접촉저항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는, 횡단면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와, 본체 수지부의 내측면에 본체 수지부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된 범포를 구비하며, 범포는 본체 수지부에 마련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와, 기초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기초포에 마련되고, 기초포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를 구비한 것으로서, 본체 수지부와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과,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를 구비하고,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범포와 함께 금형으로부터 압출되는 것이다.
또, 본체 수지부와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과,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와, 금형의 외측에서 또한 안내벨트의 출입구부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안내벨트를 위치결정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구비하고,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범포와 함께 금형으로부터 압출되는 것이다.
또, 본체 수지부와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과,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와, 금형의 외측에서 또한 안내벨트의 출입구부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안내벨트를 위치결정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와, 안내롤러 사이에 마련되며, 안내벨트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을 구비하고,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범포와 함께 금형으로부터 압출되는 것이다.
또,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는 금형과 접촉하는 하층을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고,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는 상층을 기초포와 동일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 내의 수지 압력이 복수의 다른 마찰특성을 가지는 범포에 작용했을 경우에도, 금형과 접촉하는 면의 범포의 접촉저항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범포의 성형 가공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맨 컨베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난간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이동난간의 난간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이동난간의 난간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이동난간에 사용되는 범포의 외관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에 의한 범포의 변형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벨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맨 컨베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난간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맨 컨베이어의 일례로서, 상하층 사이의 이동시에 이용되는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움직이는 보도 등의 다른 예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도 2에서, 1은 상하층 사이에 걸쳐진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truss)이다. 에스컬레이터의 자중(自重) 및 적재하중은 이 트러스(1)에 의해서 지지된다. 2는 승객이 상하층 사이를 이동할 때를 타는 답단(踏段), 3은 답단(2)이 연결된 무단상의 답단체인, 4는 답단체인(3)이 감겨진 답단구동용 스프로켓(sprocket), 5는 답단구동용 스프로켓(4)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동기, 6은 구동전동기(5)의 출력을 감속하고, 체인을 통하여 답단구동용 스프로켓(4)을 회전시키는 감속기, 7은 구동전동기(5)의 제어 등,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반이다.
8은 상기 답단(2)과 동기하도록 구동되는 이동난간이다. 이 이동난간(8)은 무단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상부 측이 답단(2)의 양측에 세워진 난간(9)의 상단부를 따라서 이동한다. 또, 이동난간(8)은 에스컬레이터의 상하승강구에서 상하로 반전되며, 하부 측이 답단(2)의 양측에 마련된 스커트 가이드 내 등에 배치된다.
10은 이동난간(8)을 구동하기 위한 난간구동장치이다. 이 난간구동장치(10)는 구동롤러(11) 및 가압롤러(12)를 구비한 마찰구동 방식에 의해서 이동난간(8)을 구동한다. 즉, 난간구동장치(10)는 구동롤러(11)와 가압롤러(12)에 의해서 이동난간(8)을 상하로부터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이 끼워 넣은 상태에서 구동롤러(11)를 회전시키고, 이동난간(8)과의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동난간(8)을 구동한다. 또한, 구동시, 구동롤러(11)는 이동난간(8)의 내측면에, 가압롤러(12)는 이동난간(8)의 외측면(승객이 파지(把持)하는 파지면)에 접촉한다.
또, 13은 답단구동용 스프로켓(4)과 동축에 마련된 난간구동용 스프로켓, 14는 난간구동용 스프로켓(13)의 회전력을 난간구동장치(10)에 전달하기 위한 난간체인이다. 즉, 구동전동기(5)의 구동력에 의해서 난간구동용 스프로켓(13)이 답단구동용 스프로켓(4)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 난간체인(14)을 통하여 그 구동력이 난간구동장치(10)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동난간(8)은 난간구동장치(10)에 의해서 구동되며, 답단(2)에 동기하여 상하승강구간을 순환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난간(8)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이동난간의 난간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이동난간의 난간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이동난간에 사용되는 범포의 외관도 및 단면도이다.
이동난간(8)은 횡(길이가 짧은 방향)단면이 대략 'C'자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난간구동장치(10)에 의한 구동과 안내레일(15)에 의한 주행의 안내가 내측면을 통하여 행해진다. 즉, 이동난간(8)에는 그 내측면에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높은 마찰특성(마찰계수)과, 주행시의 주행저항(안내레일(15)과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낮은 마찰특성(마찰계수) 쌍방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동난간(8)은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주요부가, 예를 들면, 본체 수지부(16), 항장체(17), 범포(1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수지부(16)는 이동난간(8)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횡단면이 대략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수지부(16)는, 예를 들면,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부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도 3, 도 4에서는 본체 수지부(16)가 2종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그 구성은 도 3, 도 4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동난간(8)에 부여하는 기능 등에 맞추어, 본체 수지부(16)를 복수의 수지층에 의해서 구성해도 된다.
항장체(17)는 이동난간(8)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부여하고, 그 늘어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항장체(17)는, 예를 들면, 스틸 테이프나 강제(鋼製)의 와이어를 꼬아 합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체 수지부(16)의 내부에 그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항장체(17)를 고정용 수지 등으로 일체화시켜도 된다.
범포(18)는 이동난간(8)에 대해서 상술한 마찰특성 쌍방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이 범포(18)는 본체 수지부(16)의 내측면에 본체 수지부(16)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범포(18)는 본체 수지부(16)에 마련된 기초포(19)와, 이 기초포(19)에 마련된 슬라이딩 포(20)와의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범포(18)의 기초포(19)는, 적어도 그 일부에, 본체 수지부(16)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접착성이 뛰어난 섬유가 이용되고 있으며, 본체 수지부(16)의 내측면 전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초포(19)는 종사(縱絲)과 횡사(橫絲)가 소정의 짜는 방법으로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사는 그 긴 쪽이 본체 수지부(16)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실, 또, 횡사는 그 긴 쪽이 본체 수지부의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배치된 실로 이루어지고, 종사 및 횡사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 이용된다. 상기 기초포(19)의 짜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슬라이딩 포(20)는 이동난간(8)이 주행할 때의 주행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이 슬라이딩 포(20)는 기초포(19)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기초포(19)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포(20)는 구동롤러(11)와 접촉하지 않고 안내레일(15)에만 접촉하도록, 구동롤러(11)가 범포(18)에 접촉하는 부분(범포(18)의 중앙부)에는 배치되지 않고, 그 양측에 본체 수지부(16)의 긴 쪽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초포(19)의 양측의 가장자리부를 본체 수지부(16)에 매립하여 범포(18)를 본체 수지부(16)의 각 이부(耳部)(횡단면 'C'자 모양의 각 단부)에 강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기초포(19)의 양측의 가장자리부에는 본체 수지부(16)의 길이에 걸쳐 슬라이딩 포(20)는 마련되지 않았다.
또, 슬라이딩 포(20)는 기초포(19)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적어도 그 일부에 상기 기초포(19)를 구성하는 섬유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소정의 섬유를 이용하여 짜여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포(20)는 종사과 횡사가 소정의 짜는 방법으로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진다. 종사는 그 긴 쪽이 본체 수지부(16)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실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불소수지섬유 등의 지극히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섬유가 이용된다. 또, 횡사는 그 긴 쪽이 본체 수지부(16)의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배치된 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포(19)와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 이용된다. 상기 슬라이딩 포(20)의 짜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이동난간(8)으로 하면, 구동롤러(11)에 대해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19)(혹은, 기초포(19)를 통과한 본체 수지부(16)의 수지)가 접촉하기 때문에,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안내레일(15)에 대해서는, 지극히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20)가 접촉하기 때문에, 주행시의 슬라이딩 저항을 충분히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종래의 이동난간(8)의 제조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에 의한 범포의 변형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에서, 21은 범포(18)를 공급하기 위한 범포공급드럼, 22는 항장체(17)를 공급하기 위한 항장체 공급드럼, 23은 용융한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hopper), 24는 본체 수지부(16)와 항장체(17)와 범포(18)를 일체 성형하기 위한 금형, 25는 금형(24)에서 성형된 이동난간(8)을 압출하는 압출기, 26은 냉각수조이다.
이동난간(8)의 구동면을 구성하는 범포(18)의 기초포(19)는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고, 슬라이딩면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포(20)는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난간(8)을 성형하는 경우, 금형(24) 내에서 수지의 성형압력이 작용하면, 범포(18)의 구동부인 높은 마찰특성의 기초포(19)와 슬라이딩부인 낮은 마찰특성의 슬라이딩 포(20)가 동시에 금형(24)에 밀어 붙여지게 된다. 이동난간(8) 전체는 금형(24)로부터 나온 후, 압출기(25) 측으로부터 수조(26) 측으로 향하여 당겨지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운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20)는 작은 장력으로 인출되지만, 미끄러지기 어려운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구동면을 구성하는 기초포(19)는 인출하기 위해서 큰 장력을 필요로 하여, 범포 각 부의 접촉저항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 인출장력의 차이에 의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러지기 쉬운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20)가 먼저 인출되고, 미끄러지기 어려운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구동면을 구성하는 기초포(19)가 늦게 인출되게 된다. 그 결과, 범포 전체는 양측의 슬라이딩 포(20)가 내측으로 밀려서 포 폭이 좁아져서, 횡단면 'C'자 모양의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난간(8)의 제조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에서, 21은 범포(18)를 공급하기 위한 범포공급드럼, 22는 항장체(17)를 공급하기 위한 항장체 공급드럼, 23은 용융한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 27은 본체 수지부(16)와 항장체(17)와 범포(18)를 일체 성형하기 위한 금형, 25는 금형(27)에서 성형된 이동난간(8)을 압출하는 압출기, 26은 냉각수조이다. 상기 금형(27)은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구동면을 구성하는 범포(18)의 기초포(19)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28)를 관통할 수 있는 안내홈(29)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안내벨트(28)는 슬라이딩면을 구성하는 범포(18)의 슬라이딩 포(20)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으로 완성되어 있고, 이동난간(8)이 성형되어 금형(27)으로부터 압출될 때에 범포(18)와 함께 압출되므로, 범포 전체는 횡단면 'C'자 모양의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30은 금형(27)의 외측에서 안내벨트(28)의 출입구부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안내롤러에 의해, 안내벨트(28)를 위치결정 안내한다. 31은 금형(27)의 외측 하부에서 또한 한 쌍의 안내롤러(30)의 사이에 마련되고, 안내벨트(28)에 안정된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이며, 안내벨트(28)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안내롤러와, 이 안내롤러를 아래쪽으로 끌어 당기는 부하용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금형(27) 내의 수지 압력이 범포(18)에 작용해도, 금형(27)과 범포(18) 사이의 마찰특성이 전면 균등하게 되어, 범포(18)의 밀림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성형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의 벨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 2에서의 안내벨트(32)는 금형(27)과 접촉하는 하면 측에 범포(18)의 슬라이딩 포(20)와 동일한 재질의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로 이루어지는 하층(32a)과, 범포(18)의 기초포(19)의 중앙부 하면(제품)과 접촉하는 상면에는 범포(18)의 기초포(19)(제품)와 동일한 재질의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로 이루어지는 상층(32b)으로 구성한 2층 구조의 한 장의 포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품과 안내벨트 사이는 미끄러지기 어렵고, 금형(27)과 안내벨트(32) 사이는 미끄러지기 쉬워져, 안정된 성형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1 트러스, 2 답단,
3 답단체인, 4 답단구동용 스프로켓,
5 구동전동기, 6 감속기,
7 제어반, 8 이동난간,
9 난간, 10 난간구동장치,
11 구동롤러, 12 가압롤러,
13 난간구동용 스프로켓, 14 난간체인,
15 안내레일, 16 본체 수지부,
17 항장체, 18 범포,
19 기초포, 20 슬라이딩 포,
21 범포공급드럼, 22 항장체 공급드럼,
23 호퍼, 24 금형,
25 압출기, 26 냉각수조,
27 금형, 28 안내벨트,
29 안내홈, 30 안내롤러,
31 부하용 스프링, 32 안내벨트,
32a 하층, 32b 상층

Claims (4)

  1. 횡단면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無端狀)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와, 상기 본체 수지부의 내측면에 상기 본체 수지부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된 범포(帆布)를 구비하고, 상기 범포는 상기 본체 수지부에 마련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基礎布)와, 상기 기초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기초포에 마련되며, 상기 기초포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를 구비한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본체 수지부와 상기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상기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상기 범포와 함께 상기 금형으로부터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2. 횡단면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와, 상기 본체 수지부의 내측면에 상기 본체 수지부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된 범포를 구비하고, 상기 범포는 상기 본체 수지부에 마련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와, 상기 기초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기초포에 마련되며, 상기 기초포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를 구비한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본체 수지부와 상기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상기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와, 상기 금형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안내벨트의 출입구부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안내벨트를 위치결정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상기 범포와 함께 상기 금형으로부터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3. 횡단면 'C'자 모양을 나타내고, 무단상으로 형성된 본체 수지부와, 상기 본체 수지부의 내측면에 상기 본체 수지부의 긴 쪽을 따라서 마련된 범포를 구비하고, 상기 범포는 상기 본체 수지부에 마련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기초포와, 상기 기초포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기초포에 마련되며, 상기 기초포보다도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포를 구비한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본체 수지부와 상기 범포를 일체 성형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이동난간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금형 내에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상기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와, 상기 금형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안내벨트의 출입구부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안내벨트를 위치결정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안내벨트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단상의 안내벨트는 상기 범포와 함께 상기 금형으로부터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단상으로 구성된 안내벨트는 금형과 접촉하는 하층을 슬라이딩 포와 동일한 낮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고, 기초포의 중앙부 하면에 접촉하는 상층을 기초포와 동일한 높은 마찰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KR1020130125601A 2013-02-18 2013-10-21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KR101991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8556 2013-02-18
JP2013028556A JP5682640B2 (ja) 2013-02-18 2013-02-18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821A true KR20140103821A (ko) 2014-08-27
KR101991522B1 KR101991522B1 (ko) 2019-06-20

Family

ID=5130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601A KR101991522B1 (ko) 2013-02-18 2013-10-21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82640B2 (ko)
KR (1) KR101991522B1 (ko)
CN (1) CN1039912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512A (ko) * 2015-02-24 2016-09-0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1415B2 (en) 2007-09-10 2018-05-29 Ehc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sion of thermoplastic handrail
KR101902085B1 (ko) * 2013-09-26 2018-11-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컬레이터 난간의 제조 방법
EP3291980B1 (en) 2015-05-07 2021-04-07 EHC Canada, Inc. Compact composite handrails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ES2894684T3 (es) 2015-06-19 2022-02-15 Ehc Canada Inc Método y aparato para la extrusión de pasamanos termoplástico
CN106738753A (zh) * 2016-12-13 2017-05-31 上海巨龙橡塑制品有限公司 聚氨酯电梯扶手带制造流水线
US11827492B2 (en) * 2019-06-03 2023-11-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ving hand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ing handrail
DE102021116000A1 (de) * 2021-06-21 2022-12-22 Semperit Ag Holding Handlauf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ndlauf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04A (ja) * 1993-07-16 1995-02-03 Hitachi Cable Ltd ハンドレールの製造方法
JP2003231174A (ja) * 2002-02-05 2003-08-19 Hitachi Cable Ltd ハンドレールの成形装置
JP2006076069A (ja) * 2004-09-08 2006-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手摺の製造方法
JP2011042413A (ja) 2009-08-19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8332A1 (en) * 2005-01-19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ving Hand-Rail of Passenger Conve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ving Hand-Rail
DE112006003868T5 (de) * 2006-04-24 2009-03-19 Otis Elevator Company, Farmington Personenbeförderungsvorrichtungs-Handlauf mit spezieller Gleitschicht
JP5098958B2 (ja) * 2008-10-31 2012-12-1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4160B2 (ja) * 2010-11-16 2015-02-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並びに移動手摺用帆布
JP2012224458A (ja) * 2011-04-21 2012-11-1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04A (ja) * 1993-07-16 1995-02-03 Hitachi Cable Ltd ハンドレールの製造方法
JP2003231174A (ja) * 2002-02-05 2003-08-19 Hitachi Cable Ltd ハンドレールの成形装置
JP2006076069A (ja) * 2004-09-08 2006-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手摺の製造方法
JP2011042413A (ja) 2009-08-19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512A (ko) * 2015-02-24 2016-09-0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난간용 범포,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1205A (zh) 2014-08-20
KR101991522B1 (ko) 2019-06-20
JP5682640B2 (ja) 2015-03-11
CN103991205B (zh) 2017-04-12
JP2014156323A (ja)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522B1 (ko) 맨 컨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제조장치
JP5098958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5842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벨트 용 인장 부재
JP5772744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US3633725A (en) Handrails for escalators and travolators
US10287133B2 (en) Compact composite handrails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US11866300B2 (en) Overbraided non-metallic tension members
US3908811A (en) Conveyor, particularly for passengers
JP5664160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並びに移動手摺用帆布
JP5612140B2 (ja) 乗客コンベア
CN107043059B (zh) 电梯张紧构件
KR102122969B1 (ko) 맨 컨베이어의 이동난간 및 맨 컨베이어용 난간
CN212402459U (zh) 一种皮带机自适应拉紧系统
JP6015790B2 (ja) 手摺用帆布、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の製造方法
US20150284906A1 (en) Method of elevator cord cleaning and heating
JP2012224458A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69770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JP6416138B2 (ja) 乗客コンベア用の移動手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00911B1 (ko) 에스컬레이터및무빙워크용핸드레일
JP2017014000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