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828A -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828A
KR20140102828A KR1020130016167A KR20130016167A KR20140102828A KR 20140102828 A KR20140102828 A KR 20140102828A KR 1020130016167 A KR1020130016167 A KR 1020130016167A KR 20130016167 A KR20130016167 A KR 20130016167A KR 20140102828 A KR20140102828 A KR 2014010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hydraulic cylinder
vent
ho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879B1 (ko
Inventor
송자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1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879B1/ko
Priority to US13/891,651 priority patent/US9358858B2/en
Priority to CN201310199344.5A priority patent/CN103993806B/zh
Publication of KR2014010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63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non-convertible vehicles
    • B60J7/1642Roof panels, e.g. sunroofs or hatches,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roof structure, e.g. by lifting or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부를 개폐하도록 벤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기부의 측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 일측을 상기 벤트에 고정하고, 타측을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부; 일측을 상기 제2 링크에 연결하고, 타측을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스톤로드부; 상기 피스톤로드부를 유압실린더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벤트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벤트는 실내 환기구로서, 모든 버스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벤트는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개폐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벤트의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60)의 하부에 4절 링크(10)(20)(30)(40) 구조로 구성하고, 중앙에 위치한 링크(20)(30) 사이에는 스프링(50)이 구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벤트의 개폐장치는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벤트(60)를 닫혀진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도 1 참조), 벤트(60)를 들어올리면 링크(20)(30)에 의해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벤트(60)를 개방할 수 있고, 스프링(5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스프링(50)은 벤트(60)는 차량의 외부와 연결되는 환기구(70)이기 때문에, 수밀, 진동방지 및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력이 강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벤트의 개폐장치는 스프링(50)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벤트(60)의 개폐시 많은 힘이 들어가며, 이에 노약자 및 여성의 힘으로는 개폐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벤트(60)의 닫힘시 벤트(60)가 차체 바디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공개번호 제1997-0034513호 "버스의 전동식 루프 벤트"가 개시되었으나, 전자 제어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고장 발생시 전문가의 수리 전까지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997-0034513호 "버스의 전동식 루프 벤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벤트를 개폐할 수 있으며, 더욱이 기계적인 구조의 이용으로 제작 및 수리가 용이한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환기부를 개폐하도록 벤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는 상기 환기부의 측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 일측을 상기 벤트에 고정하고, 타측을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부; 일측을 상기 제2 링크에 연결하고, 타측을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스톤로드부; 상기 피스톤로드부를 유압실린더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부는 일단을 상기 벤트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충진하는 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로드부는 상기 제2 링크에 연결하는 토션바와,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한 피스톤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헤드에 구비한 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홀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피스톤로드부의 회전시 제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수직면을 통해 피스톤헤드의 제1 관통홀을 차단하면, 유압실린더부에 충진된 유체가 피스톤헤드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피스톤로드부를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고정하며, 상기 조절부는 제2 관통홀을 통해 피스톤헤드의 제1 관통홀을 개방하면, 유압실린더부에 충진된 유체가 피스톤헤드를 통과하여 이동하면서 피스톤로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피스톤로드부가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면,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홀과 결합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압실린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과 유압실린더의 상호 대응하는 수직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또는 제2 관통홀은 복 수개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환기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고정하고, 상기 피스톤로드부는 제2 링크에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게 고정하여, 피스톤로드부 회전시 제2 링크부를 중심으로 비틀리면서 비틀림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로드부에는 피스톤로드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부의 양 측부에는 각각 개폐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환기부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된 개폐장치는 피스톤로드부의 손잡이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벤트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벤트의 개폐가 가능하고, 기계적인 구조의 이용으로 제작비용 및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피스톤로드부와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로드와 개폐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는 제1 및 제2 링크부, 제1 및 제2 링크부 사이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부 피스톤로드부 및 조절부를 포함하며, 이에 유압력을 통해 벤트를 현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유압력을 제거하여 적은 힘으로도 벤트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부(1)와 벤트(2) 사이에 구비하여 벤트(2)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환기부(1)를 개폐하는 것으로, 환기부(1)의 측면 양측에 각각 마련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 일측을 상기 벤트(2)에 고정하고 타측을 상기 제1 링크부(100)에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부(300), 일측을 상기 제2 링크부(200)에 연결하고 타측을 상기 유압실린더부(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스톤로드부(400), 상기 피스톤로드부(400)를 유압실린더부(300)에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고정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는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가 상 또는 하로 회전하고,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를 따라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가 상 또는 하로 이동하며, 유압실린더부(300)와 연동하여 벤트(2)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환기부(1)를 개폐한다. 이때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가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피스톤로드부(4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의 전장이 축소된다.
여기서 조절부(500)를 통해 피스톤로드부(400)를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고정하면, 피스톤로드부(400)와 유압실린더부(300)의 전장이 유지되면서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를 회전하지 못하게 지지하며, 이에 벤트를 현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조절부(500)를 통해 피스톤로드부(4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면,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 전장의 축소가 가능하며, 이에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의 지지하는 유압력이 제거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벤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환기부를 개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는 루프에 장착된 환기부(1)의 측면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즉,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는 상향으로 회전하면 벤트(2)가 상승하면서 환기부(1)를 개방하고, 하향으로 회전하면 벤트(2)가 하강하면서 환기부(1)를 닫는다.
유압실린더부(300)는 일단을 상기 벤트(2)에 고정하고 타단을 제1 링크부(100)에 연결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에 삽입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321)을 형성하는 유압실린더(320)와, 상기 유압실린더(320) 내부에 충진하는 유체(330)를 포함한다.
즉, 하우징(310)은 유압실린더(320)를 보호하는 한편, 제1 링크부(100)를 따라 벤트(2)를 상 또는 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20)는 유체가 충진되게 밀폐공간을 가지며, 가이드레일(321)에 조절부(500)가 체결되면서 직선운동한다.
한편, 유압실린더(320)는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유압실린더(320)의 외주면과 하우징(3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압실린더(320)를 하우징(3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된다.
즉, 유압실린더(320)와 하우징(310)의 전장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다양한 크기의 벤트 및 제작시 발생하는 크기 오차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이에호환성을 증대하고, 탄성부재(340)에 의해 유압실린더(32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320)와 하우징(310)는 항상 최적의 전장 상태를 유지하고, 진동 및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하우징(310)과 유압실린더(320)의 상호 밀착되는 수직면에는 완충부재(350)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부재(350)는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유압실린더(320)가 복귀하면서 하우징(310)에 충돌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진동 및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피스톤로드부(400)는 제2 링크부(200)에 연결하는 토션바(410)와, 유압실린더부(300)의 유압실린더(320)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1 관통홀(421)을 형성하는 피스톤헤드(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스톤로드부(400)에는 피스톤로드부(40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430)를 구비하며, 손잡이(430)를 통해 피스톤로드부(4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한 상태로 정지시킨다.
조절부(5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20)에 충진된 유체가 피스톤헤드(420)를 통과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여 피스톤로드부(400)의 슬라이딩여부를 조절하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하고 피스톤헤드(420)에 구비된 결합부(422)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홀(510)과, 주면에 형성하고 가이드레일(3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홈(520)과, 표면에 형성하고 피스톤로드부(400) 회전시 제1 관통홀(421)과 연결되는 제2 관통홀(5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부(500)는 피스톤로드부(400)가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면, 가이드레일(321)의 지지에 의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레일(32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한다.
즉, 조절부(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부(400)의 회전시 피스톤헤드(420)가 회전하면서 제1 관통홀(421)과 조절부(500)의 제2 관통홀(530)이 연결되고, 이에 유압실린더(320)에 충진된 유체가 제1 관통홀(421)과 제2 관통홀(530)을 통해 이동하면서 피스톤헤드(420)를 지지하는 유압력이 제거되면서 피스톤로드부(4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조절부(500)의 결합홀(510)과 피스톤헤드(420)에 형성된 결합부(522) 사이에는 베어링(540)이 구비되며, 베어링(540)에 의해 조절부(500)와 피스톤헤드(520)의 결합부(51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회전력을 증대시킨다.
한편, 제1 또는 제2 관통홀(321)(530)은 원활한 유체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피스톤헤드(420) 또는 조절부(500)에 복 수개를 마련하며, 이에 피스톤로드부(400)에 작동하는 유압력을 크게 감소시켜 벤트(2)의 신속한 개폐를 유도한다.
한편,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는 환기부(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고정하고, 피스톤로드부(400)는 제2 링크부(2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고정하여, 피스톤로드부(400) 회전시 제2 링크부(200)를 중심으로 비틀리면서 비틀림력을 발생키며, 이 비틀림력에 의해 피스톤로드부(40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피스톤로드부(400)를 회전시키면, 제2 링크부(200)를 중심으로 비틀리면서 비틀림력을 저장하며, 이때 피스톤헤드(320)의 제1 관통홀(321)과 조절부(500)의 제2 관통홀(510)는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부(400)에 작용된 외력을 제거하면, 비틀림력에 의해 피스톤로드부(400)가 원위치로 복귀하며, 이때 피스톤헤드(320)의 제1 관통홀(321)과 조절부(500)의 제2 관통홀(510)는 연결이 차단된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 없이도 피스톤로드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한편, 피스톤헤드(320)의 제1 관통홀(321)과 조절부(500)의 제2 관통홀(510)의 연결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로드부(400)의 손잡이(430)를 잡은 상태로 아래로 당기면, 피스톤로드부(400)가 회전하며, 이에 피스톤헤드(420)의 1 관통홀(421)과 조절부(500)의 제2 관통홀(520)이 연결된다. 여기서 피스톤로드부(400)는 제2 링크부(200)를 중심으로 비틀려지면서 비틀림력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벤트(2)를 밀거나 또는 당기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트(2)와 연동하며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가 회전하는데, 이때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가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를 압입하며, 이에 유압실린더부(300)의 유체(330)가 제1 관통홀(421)과 제2 관통홀(520)을 통해 이동하면서 피스톤로드부(4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의 전장이 축소되고, 유압실린더부(300)를 따라 벤트(2)가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환기부(1)를 개폐한다.
여기서 제1 관통홀(421)과 제2 관통홀(520)의 연결로 인해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의 전장이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벤트(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부(400)의 손잡이(430)를 놓으면, 피스톤로드부(400)에 저장된 비틀림력에 의해 피스톤로드부(400)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피스톤헤드(42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 관통홀(421)과 조절부(500)의 제2 관통홀(520)이 연결 차단되며, 유압실린더부(300)의 유체(330)가 제1 관통홀(421)과 제2 관통홀(520)을 통해 이동하지 못하고 차단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부(400)의 피스톤헤드(420)를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고정하고, 유압실린더부(300)와 피스톤로드부(400)의 전장을 유지하며,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를 회전되지 않게 지지하면서 벤트(2)를 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벤트(2)를 큰 힘으로 당기거나 밀어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는 제1 및 제2 링크부(100)(200) 사이에 유압실린더부(300), 피스톤로드부(400) 및 조절부(500)를 포함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벤트(2)를 개폐할 수도 있고, 벤트(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에서, 환기부(1)의 양 측부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개폐장치가 구비되되, 환기부(1)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된 개폐장치는 피스톤로드부(400)의 손잡이(430)가 상호 연결되며, 이에 연결된 하나의 손잡이(430)를 통해 환기부(1) 양 측에 구비된 개폐장치의 피스톤로드부(40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링크부 200: 제2 링크부
300: 유압실린더부 310: 하우징
320: 유압실린더 330: 탄성부재
340: 완충부재 400: 피스톤로드부
410: 토션바 420: 피스톤헤드
421: 제1 관통홀 500: 조절부
510: 결합홀 520: 가이드홈
530: 제2 관통홀

Claims (13)

  1. 환기부를 개폐하도록 벤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로서,
    상기 환기부의 측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
    일측을 상기 벤트에 고정하고, 타측을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부;
    일측을 상기 제2 링크에 연결하고, 타측을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스톤로드부;
    상기 피스톤로드부를 유압실린더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부는 일단을 상기 벤트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충진하는 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부는 상기 제2 링크에 연결하는 토션바와,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한 피스톤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헤드에 구비한 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홀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피스톤로드부의 회전시 제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수직면을 통해 피스톤헤드의 제1 관통홀을 차단하면, 유압실린더부에 충진된 유체가 피스톤헤드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피스톤로드부를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고정하며,
    상기 조절부는 제2 관통홀을 통해 피스톤헤드의 제1 관통홀을 개방하면, 유압실린더부에 충진된 유체가 피스톤헤드를 통과하여 이동하면서 피스톤로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피스톤로드부가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면,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과 결합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압실린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유압실린더의 상호 대응하는 수직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관통홀은 복 수개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환기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고정하고,
    상기 피스톤로드부는 제2 링크에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게 고정하여, 피스톤로드부 회전시 제2 링크부를 중심으로 비틀리면서 비틀림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부에는 피스톤로드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의 양 측부에는 각각 개폐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환기부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된 개폐장치는 피스톤로드부의 손잡이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벤트 개폐장치.
KR20130016167A 2013-02-15 2013-02-15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KR10150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167A KR101509879B1 (ko) 2013-02-15 2013-02-15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US13/891,651 US9358858B2 (en) 2013-02-15 2013-05-10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ir vent for vehicle
CN201310199344.5A CN103993806B (zh) 2013-02-15 2013-05-24 用于车辆的通风口的打开和关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167A KR101509879B1 (ko) 2013-02-15 2013-02-15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28A true KR20140102828A (ko) 2014-08-25
KR101509879B1 KR101509879B1 (ko) 2015-04-07

Family

ID=5130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6167A KR101509879B1 (ko) 2013-02-15 2013-02-15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8858B2 (ko)
KR (1) KR101509879B1 (ko)
CN (1) CN1039938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83B1 (ko) * 2022-02-16 2022-08-26 주식회사 성지솔루션 차량용 에어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1769A (zh) * 2015-11-03 2016-02-03 北汽银翔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顶棚出风口
CN105683668A (zh) * 2016-01-27 2016-06-15 吴鹏 一种公交车自然风空调系统
WO2017155637A1 (en) 2016-03-11 2017-09-14 Illinois Tool Works Inc. Flap-cushioning pressure reflief assembly
CN106114652B (zh) * 2016-08-18 2017-12-2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带有强制通风和自然通风的散粮运输车车厢
US10596888B2 (en) 2017-02-21 2020-03-24 Sportech, Llc Vent with integrated detent
US10683038B2 (en) * 2017-08-24 2020-06-16 Dometic Sweden Ab Caravan window with ventilation
CN108590415B (zh) * 2018-03-12 2019-09-27 长安大学 一种液压驱动客车安全逃生窗
US10960744B1 (en) * 2018-11-19 2021-03-30 Zoox, Inc. Multi-directional vehicle roof cover system
CN115946504B (zh) * 2023-03-13 2023-05-30 江苏大学扬州(江都)新能源汽车产业研究所 一种客车顶窗式空气通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5897A (en) * 1977-10-11 1978-09-26 Eaton Corporation Zero force hold open door closer
US4412404A (en) * 1982-04-19 1983-11-01 Transpec, Inc. Combined vent and escape hatch
US4433506A (en) 1982-05-12 1984-02-28 Transpec, Inc. Combined vent and escape hatch
US4964673A (en) * 1989-12-19 1990-10-23 Transpec, Inc. Vehicle hatch mounting assembly
US5137327A (en) * 1990-09-27 1992-08-11 Edmonds R Michael Vehicle vent and escape hatch
KR970028761U (ko) 1995-12-12 1997-07-24 버스의 루프 벤트 개폐장치
KR100224172B1 (ko) * 1995-12-29 1999-10-15 정몽규 버스의 전동식 루프 벤트
KR19980046555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승합차의 루프벤트 개폐구조
US6609750B1 (en) * 1998-07-30 2003-08-26 Armando Cauduro Vehicle hatch
US6317922B1 (en) * 1999-08-13 2001-11-20 Truth Hardware Corporation Door closer
KR100316952B1 (ko) * 1999-09-13 2001-12-22 이계안 차량의 환기 및 비상탈출용 해치의 결합장치
US6540288B1 (en) * 2001-11-08 2003-04-01 Specialty Manufacturing Company Low profile vehicle escape hatch assembly
CN2913065Y (zh) * 2006-06-16 2007-06-20 重庆工学院 一种运钞车通气逃生天窗
US7585016B2 (en) * 2006-06-30 2009-09-08 Deere & Company Construction machine having top door for improved ingress/egress
KR100828840B1 (ko) * 2006-12-14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벤트 개폐장치
CN201520195U (zh) * 2009-05-26 2010-07-07 重庆大学 一种客车防雨通风装置
DE102009032077B4 (de) * 2009-07-07 2013-08-01 Airbus Operations Gmbh Endlagengedämpfter Hydraulikaktuator
KR101144941B1 (ko) 2010-02-23 2012-05-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의 통기구용 차수장치
CN102837582A (zh) * 2011-06-22 2012-12-26 荣成中大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驾驶室的换气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83B1 (ko) * 2022-02-16 2022-08-26 주식회사 성지솔루션 차량용 에어벤트
KR20230123412A (ko) *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성지솔루션 향균 조성물이 코팅된 차량용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8858B2 (en) 2016-06-07
KR101509879B1 (ko) 2015-04-07
CN103993806A (zh) 2014-08-20
CN103993806B (zh) 2017-06-23
US20140235154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879B1 (ko)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CN102822436B (zh) 滑动辅助装置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CN104554126B (zh) 用于车辆的主动式发动机罩装置
JP5403294B2 (ja) ウインドデフレクタ
KR20150130365A (ko) 조작 케이블의 배선 구조
WO2002034559A1 (fr)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d"ailes pour camion
CN206875096U (zh) 一种起重机械的监控装置安装座
CN203835090U (zh) 一种车门内扣手结构
KR20150008636A (ko)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EP2977180B1 (en) Link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ie and positioning bottom die by single shaft
JP2007303077A (ja) 折り戸の開閉装置
KR20170046282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KR100942593B1 (ko) 고소작업차용 포트홀 바
CN105365609A (zh) 一种车辆座椅及其滑轨解锁机构
JP4890942B2 (ja) 開閉扉装置
CN201009940Y (zh) 一种汽车油箱门开启机构
JP2011088467A (ja) 鉄道車両の運転室の窓開閉装置
CN204701428U (zh) 拉帘式滑移门导轨槽遮挡装置及带有滑移门的汽车
CN204547938U (zh) 汽车扶手箱和车辆
KR101505192B1 (ko) 길이 조절형 가스스프링
KR101713912B1 (ko) 차량 차단기
EP1739239A1 (en) An earth moving machine
CN205130977U (zh) 一种车辆座椅及其滑轨解锁机构
CN207743681U (zh) 继电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