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83B1 - 차량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83B1
KR102436283B1 KR1020220020037A KR20220020037A KR102436283B1 KR 102436283 B1 KR102436283 B1 KR 102436283B1 KR 1020220020037 A KR1020220020037 A KR 1020220020037A KR 20220020037 A KR20220020037 A KR 20220020037A KR 102436283 B1 KR102436283 B1 KR 102436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wind vane
outer cover
wind blade
in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2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83B1/ko
Priority to KR1020220104627A priority patent/KR102620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에어벤트 및 에어벤트 코팅물질 조성물을 개시하며,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후크가 일체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벤트아우터커버와,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회전 개방되는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풍향날개는 수직의 닫힘 상태에서 수평의 개방 상태로 회전 개방되는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 및 제3풍향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 및 상기 제3풍향날개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후면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링크를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 및 상기 제3풍향날개가 일체로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작동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의 냉방을 위한 차가운 바람이나 난방을 위한 뜨거운 바람을 차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향날개의 개폐가 자동으로 가능하며, 향균 조성물이 코팅된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생성된 냉난방용 에어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차량용 에어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 사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장착되는 센터 에어벤트와, 운전석 및 조수석 전면쪽 크래쉬 패드에 장착되는 사이드 벤트 등을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센터 에어벤트는 운전석 전방 우측 및 조수석 전방 좌측 위치에 각각 1개씩 장착되고, 사이드 벤트는 운전석 전방 좌측 및 조수석 전방 우측 위치에 각각 1개씩 장착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대형 SUV차량에는 2열, 3열에도 에어벤트가 구비되고, 차종별로 풍량 확보 및 풍향 조절 기능은 물론 디자인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벤트(10)는 카니발과 같은 SUV차량에 적용되는 일 형태로서, 차량 실내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냉난방용 에어를 실내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중,하로 구획된 제1,2,3풍향날개(12)(14)(16)가 미도시된 후면의 연결링크에 의하여 일체로 90°까지 회전 개방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은 사용자가 풍향날개 중 제1풍향날개(12)를 직접 누르면, 제1,2,3풍향날개(12)(14)(16) 모두 같이 회전 개방되어 에어가 토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벤트는 풍향날개의 개폐 작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져서 불편하였으며, 더욱이 토출되는 공기가 오염된 에어벤트를 통해 토출되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21-0121465호(공개일 2021년 10월 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풍향날개들을 힌지 체결하여 연결하는 연결링크에 자동 개폐 작동이 가능한 개폐구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풍향날개의 개폐 작동이 차량 실내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에어벤트를 구성하는 벤트아우터커버와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에 코팅되는 향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후크가 일체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벤트아우터커버와,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회전 개방되는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풍향날개는 수직의 닫힘 상태에서 수평의 개방 상태로 회전 개방되는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 및 제3풍향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 및 상기 제3풍향날개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후면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링크를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 및 상기 제3풍향날개가 일체로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작동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에는 상기 벤트이너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링크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절과, 상기 링크절에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풍향날개의 자동 개폐 작동이 가능한 개폐구동수단의 설치로 하여 편의성 증대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에어벤트를 구성하는 벤트아우터커버와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에 향균 조성물을 첨가하여 코팅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배면 방향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풍향날개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장착되어 에어벤트의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배면 방향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풍향날개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장착되어 에어벤트의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차량용 에어벤트는, 크게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는 벤트아우터커버(100)와 벤트아우터커버(10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벤트이너커버(2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벤트아우터커버(10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제작되며, 배면 방향 즉, 차량 실내측으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환형기둥(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환형기둥(110)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내측수용면(130)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내측수용면(130)의 중앙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환형기둥(110)상에는 차량 실내로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후크(112)가 금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1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4개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걸림후크(112)는 단면이 직삼각형태로 단턱부가 미도시된 차량 실내에 결합되는 형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4개의 걸림후크(112)중 어느 하나는 "ㄱ"자 형태로 후크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원주 방향을 따라 적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걸림후크(112)의 사이에 한 쌍의 요입홈부(11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요입홈부(114)에는 판스프링(120)이 설치되어 벤트이너커버(200)와 접촉되어 지지하게 된다.
판스프링(120)은 금속재가 바람직하고, 상기 판스프링(120)의 양단이 "ㄱ"자 절곡되면서 요입홈부(114)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면측의 면적은 벤트이너커버(200)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더욱이 판스프링(120)의 길이 방향 중앙으로 반원의 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차량의 운행 중 충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후크(112)와 요입홈부(114)의 사이에는 금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16)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6)은 벤트이너커버(200)가 배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소 정도에 형성되며, 걸림경사면(116a)이 형성되어 벤트이너커버(200)의 벤트아우터커버(100)의 결합 시 상기 걸림경사면(116a)을 타고 벤트이너커버(200)가 결합되며, 역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벤트이너커버(200)는 벤트아우터커버(100)와 동일한 합성수지재이면 바람직하며, 회전 개방되는 풍향날개(210)가 설치되어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풍향날개(210)는 전체적인 구 형상을 이루도록 제1풍향날개(212)과 제2풍향날개(214), 제3풍향날개(216)로 구획 설치되며, 제1풍향날개(212)는 반구형상에 가까운 형태로 내측상단에 위치하고, 제3풍향날개(216)는 반구형상에 가까운 형태로 내측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풍향날개(212)와 제3풍향날개(216)의 사이에 제2풍향날개(21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풍향날개(212), 제2풍향날개(214), 제3풍향날개(216)의 각 양단부측에는 힌지(218) 결합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 정도는 수직에서 각 날개들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90°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풍향날개(212), 제2풍향날개(214), 제3풍향날개(216)의 각 배면으로는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 개방이 가능하도록 연결링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220)는 전체 형상이 영문"E"와 같은 형상으로 수직부(222)와 수직부(222)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풍향날개(212)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23)와, 수직부(222)의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3풍향날개(216)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225)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부(222)의 중단에는 직교하는 제2연결부(224)가 제2풍향날개(214)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23)와 제2연결부(224) 및 제3연결부(225)에는 힌지핀(226)이 설치되고, 힌지핀(226)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제1풍향날개(212)에는 제1결합편(212a)이 설치되며, 제2풍향날개(214)에는 제2결합편(214a), 제3풍향날개(216)에는 제3결합편(216a)이 형성되어 각 힌지핀(226)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기 제1풍향날개(212)와 제2풍향날개(214) 및 제3풍향날개(216)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20)에 개폐구동수단(230)이 설치되어 차량 실내 온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닫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수단(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220)에서 제3연결부(225)측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절(232)과, 링크절(232)에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로드(234) 및 실린더(236)와, 실린더(23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절(232)과 링크절(232)에 연결된 실린더로드(234)의 신장에 의하여 연결링크(220)가 10°~15°정도 회전하면서 제1풍향날개(212)와 제2풍향날개(214) 및 제3풍향날개(216)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로드(234)가 실린더(236)로 압축되면서 연결링크(220)를 원위치시켜서 닫혀지게 된다.
계속해서 차량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미도시) 및 온도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실린더(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작동은, 도 5 또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에어벤트를 차량에 장착하기 전에 벤트아우터커버(100)의 내측수용면(130)으로 벤트이너커버(200)를 설치하게 된다.
벤트이너커버(200)가 환형기둥(110)의 걸림경사면(116a)을 따라 체결되어 내측수용면(130)에 위치되고, 걸림턱(116)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벤트이너커버(200)를 포함한 벤트아우터커버(100)를 차량의 실내에서 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곳에 체결시키게 되며, 환형기둥(110)의 걸림후크(112)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제1풍향날개(212)와 제2풍향날개(214) 및 제3풍향날개(216)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20)에 개폐구동수단(230)을 설치하게 된다.
링크절(232)에 실린더(236)로부터 신장되는 실린더로드(234)를 연결하게 되고, 실린더(236)에는 전원을 연결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240)는 차량 실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값(L)(또는 "기준온도값")을 비교할 수 있다. 기준값(L)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L)은 온도는 25℃에 해당될 수 있다.
차량 실내 온도 측정값이 기준값(L)을 초과하면, 전원을 차단하고, 기준값(L) 이하면 전원을 온(on)시켜서 실린더(236)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풍향날개의 자동 개폐 작동이 가능한 개폐구동수단의 설치로 하여 편의성 증대를 가진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240)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삭제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벤트를 구성하는 벤트아우터커버와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에 향균 조성물을 첨가하여 코팅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동시에 항균과 소취성을 두루 갖춘 천연물 유래 소재와 발수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수제로 인해 에어벤트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남아있는 습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조성물이 표면에 코팅되어 있으므로 악취, 호흡기 질환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물 유래 소재는 어성초, 맥문동, 구절초, 감초, 녹차,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을 분말화하여 형성한 제1분말; 및 마치현, 세신, 천궁, 박하, 쑥, 편백나무잎, 잣나무잎, 마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분말화하여 형성한 제2분말이 혼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분말은 상기 제1분말의 중량 대비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5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비하고, 30중량%가 초과되면 코팅층의 물성에 영향을 주어 쉽게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내구성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분말의 천연재료는 어성초, 맥문동, 구절초, 감초, 녹차, 프로폴리스가 각각 2:3:1:1:2: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각 재료의 특유 향이 너무 강해지거나 충분한 항균 및 소취 능을 나타낼 수 없다.
제2분말에 포함되는 마치현, 세신, 천궁, 박하, 쑥, 편백나무잎, 잣나무잎, 마늘은 모두 동일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재료들은 항균력과 소취율이 매우 뛰어나며, 악취나 세균의 번식 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천연 재료들을 혼합함으로써 특정세균에 대해 항균작용을 갖는 필수 재료들 간의 단점을 보완하고, 필수 재료들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발수제를 포함하는 바, 상기 발수처리에 사용되는 발수제는 알콕사이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실리콘 알콜사이드, 알루미늄알콕사이드, 지르코니움알콕사이드, 티타늄알콜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다른 입경의 나노입자를 혼합하였을 때 듀얼스케일의 나노구조물을 잘 형성하게 되어 소수성이 증가하므로, 발수제는 평균 입경이 다른 두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수처리는 발수제를 메탄올 등의 용매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융해물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유연제, 계면활성제, 금속이온 봉쇄제 등을 용해하여 발수 용액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와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에 발수제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본 발명 항균 코팅이 처리된 에어벤트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발수제는 전체 항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2중량% 포함될 수 있다. 8 중량%보다 적게 첨가되면 충분한 발수력이 나타나지 않으며, 12 중량%를 넘게 포함되는 경우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벤트아우터커버 110 : 환형기둥
112 : 걸림후크 114 : 요입홈부
116 : 걸림턱 116a : 걸림경사면
120 : 판스프링 122 : 돌기
130 : 내측수용면 200 : 벤트이너커버
210 : 풍향날개 212 : 제1풍향날개
212a: 제1결합편 214 : 제2풍향날개
214a : 제2결합편 216 : 제3풍향날개
216a : 제3결합편 218 : 힌지
220 : 연결링크 222 : 수직부
223 : 제1연결부 224 : 제2연결부
225 : 제3연결부 226 : 힌지핀
230 : 개폐구동수단 232 : 링크절
234 : 실린더로드 236 : 실린더
240 : 제어부

Claims (5)

  1.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후크가 일체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벤트아우터커버와,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회전 개방되는 풍향날개를 포함하는 벤트이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풍향날개는,
    수직의 닫힘 상태에서 수평의 개방 상태로 회전 개방되는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 및 제3풍향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 및 상기 제3풍향날개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후면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링크를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 및 상기 제3풍향날개가 일체로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작동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아우터커버는, 차량 실내측 결합 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환형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환형기둥 상에서 차량 실내로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는 4개로 마련되고, 상기 4개의 걸림후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호 이격 배치된 인접한 걸림후크 사이에는 한 쌍의 요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요입홈부에는 상기 벤트이너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양단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요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전면측의 면적은 상기 벤트이너커버를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반원의 돌기가 상기 벤트이너커버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환형기둥 상에서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요입홈부의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환형기둥에서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이너커버와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의 결합 시, 상기 벤트이너커버는, 상기 걸림경사면을 타고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벤트아우터커버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벤트아우터커버와 벤트이너커버에 항균 조성물이 코팅되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 소재 및 발수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항균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물 유래 소재는,
    어성초, 맥문동, 구절초, 감초, 녹차,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을 분말화하여 형성한 제1분말; 및 마치현, 세신, 천궁, 박하, 쑥, 편백나무잎, 잣나무잎, 마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분말화하여 형성한 제2분말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천연물 유래 소재는, 상기 제2분말을 상기 제1분말의 중량 대비 25 내지 30중량% 포함하며,
    상기 제1분말의 천연재료는, 어성초, 맥문동, 구절초, 감초, 녹차, 프로폴리스를 각각 2:3:1:1:2: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연결링크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절과,
    상기 링크절에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4. 삭제
  5. 삭제
KR1020220020037A 2022-02-16 2022-02-16 차량용 에어벤트 KR102436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37A KR102436283B1 (ko) 2022-02-16 2022-02-16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220104627A KR102620673B1 (ko) 2022-02-16 2022-08-22 향균 조성물이 코팅된 차량용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37A KR102436283B1 (ko) 2022-02-16 2022-02-16 차량용 에어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27A Division KR102620673B1 (ko) 2022-02-16 2022-08-22 향균 조성물이 코팅된 차량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283B1 true KR102436283B1 (ko) 2022-08-26

Family

ID=831134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037A KR102436283B1 (ko) 2022-02-16 2022-02-16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220104627A KR102620673B1 (ko) 2022-02-16 2022-08-22 향균 조성물이 코팅된 차량용 에어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27A KR102620673B1 (ko) 2022-02-16 2022-08-22 향균 조성물이 코팅된 차량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6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85B1 (ko) * 2008-11-11 2009-03-06 신형섭 천연재제를 사용한 항균 효과와 소취 효과가 있는 무독성 섬유 날염용 조성물
KR20140102828A (ko) * 2013-02-15 2014-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KR20200017069A (ko) * 2018-08-08 2020-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KR20210059458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루프 에어벤트
KR20210121465A (ko) 2020-03-30 2021-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85B1 (ko) * 2008-11-11 2009-03-06 신형섭 천연재제를 사용한 항균 효과와 소취 효과가 있는 무독성 섬유 날염용 조성물
KR20140102828A (ko) * 2013-02-15 2014-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벤트 개폐장치
KR20200017069A (ko) * 2018-08-08 2020-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KR20210059458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루프 에어벤트
KR20210121465A (ko) 2020-03-30 2021-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412A (ko) 2023-08-23
KR102620673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1294B1 (de) Luftdüse
US6464579B1 (en) Rotatable air vent
EP2085258B1 (de) Vorrichtung zur Beduftung eines Innenraumes
EP2521660B1 (de) Komfort-luftausströmerdüse
KR10243628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DE102016115365A1 (de) Windrichtungsregler
EP2594857B1 (de) Luftentfeuchter
DE112013004228T5 (de) Struktur mit drei Klappen für eine teilweise Rezirkulation in einem Klimatisierungssystem
CN207190734U (zh) 车载香氛及车辆
WO2007018402A1 (en) Anion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s
CN107672421A (zh) 一种新型汽车空调风门
CN108698483A (zh) 用于调节空气流的设备和用于车辆的通风设备
DE19953258C2 (de) Vorrichtung zur Ausgabe eines fließfähigen Produktes aus einem Behälter
EP3428544A1 (de) Gargerät
ITMI20081241A1 (it) Diffusore di essenze profumate per autoveicoli migliorato
CN207328062U (zh) 车载香氛及车辆
CN212827806U (zh) 一种用于香薰装置的香薰载体
CN209706312U (zh) 用于空调室内机的百叶组件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AU642274B2 (en) An arrangement in valve dampers
ITMI20020145U1 (it) Dispositivo deodorante-profumante per veicoli
KR101859758B1 (ko) 에어벤트 장치
CN206543007U (zh) 汽车香水
CN210474457U (zh) 一种自动喷漆循环风控制系统
CN208993463U (zh) 空调出风口及具有其的车辆
CN207040499U (zh) 一种家庭用可杀菌除臭型狗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