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658A - 분류 장치 및 컴포넌트들을 분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분류 장치 및 컴포넌트들을 분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658A
KR20140102658A KR1020147014519A KR20147014519A KR20140102658A KR 20140102658 A KR20140102658 A KR 20140102658A KR 1020147014519 A KR1020147014519 A KR 1020147014519A KR 20147014519 A KR20147014519 A KR 20147014519A KR 20140102658 A KR20140102658 A KR 2014010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mponent
transfer
along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만 메릴 페더센
더글러스 제이. 가르시아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Abstract

분류 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컴포넌트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 제1 분류통, 제2 분류통, 제1 이송 위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제2 이송 위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 위치와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분류통 및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분류 장치 및 컴포넌트들을 분류하는 방법{SOR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ORTING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서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포넌트를 복수의 분류통 중 하나로 효율적으로 운반 및 분류할 수 있는 자동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포넌트들을 분류통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들은 자동 테스트 시스템에 의해 제조과정에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하여 테스트된다. 전형적인 자동 분류 장치는 디바이스의 정확한 전기적 또는 광학적 특성을 사용하고, 측정된 값에 따라 그것들을 합격 또는 불합격시키거나 또는 하나의 출력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소형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동 분류 장치는 종종 대량 적재를 취급하도록 설계되는데, 제조 프로세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가지지만 대체로 일정 범위 내에서 전기적 또는 광학적 속성이 상이한 한 세트의 디바이스들을 만들어내며,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다른 컴포넌트들을 담고 있는 분류통으로 컴포넌트들을 분류하기 위해 테스트에 의존한다. 몇몇 컴포넌트에 대하여, 컴포넌트가 분류될 수 있는 그룹의 수는 클 수 있다. 컴포넌트가 분류될 수 있는 가능한 그룹의 수가 커질수록 분류 장치의 크기가 바람직하지 않게 커질 수 있고, 분류 장치의 크기는 적어도 일부분 분류 장치 내에 포함되는 분류통의 개수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게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류 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컴포넌트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 제1 분류통, 제2 분류통, 제1 이송(transfer) 위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제2 이동 위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 위치와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분류통 및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류 장치는 제1 컴포넌트 리테이너(retainer)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를 구비한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는 컴포넌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컴포넌트 케리어는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분류 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제2 이송 스테이션과 더불어 제1 분류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 스테이션은 제1 컴포넌트 리테이너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제2 이송 스테이션은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포넌트 분류 방법은 제1 컴포넌트 및 제2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 제1 컴포넌트를 제1 이송 위치로부터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제2 컴포넌트를 제2 이송 위치로부터 이동 경로를 따라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 위치와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 분류통 및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포넌트 분류 방법은 제1 컴포넌트 및 제2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 제1 컴포넌트를 제1 이송 위치로부터 이동 경로를 따라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제2 컴포넌트를 제2 이송 위치로부터 이동 경로를 따라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라인 III-III을 따라 취해진,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 캐리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복수의 분류통 및 트랙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운반 위치에 배치된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하여, 도 4에 도시된 라인 V-V를 따라 취해진, 도 4에 도시된 운반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이동 경로를 따라 제2 운반 위치에 배치된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하여, 도 4에 도시된 라인 VI-VI을 따라 취해진, 도 4에 도시된 운반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가 빈틈없이 완성되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도면에서, 층과 지역의 크기 및 상대적 크기는 명료함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엘리먼트, 컴포넌트, 지역, 세트 등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엘리먼트, 컴포넌트, 지역, 세트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다른 엘리먼트, 컴포넌트, 지역, 세트 등으로부터 하나의 다른 엘리먼트, 컴포넌트, 지역, 세트 등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하기의 제1 엘리먼트, 컴포넌트, 지역, 세트 등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엘리먼트, 컴포넌트, 지역, 세트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특정한 예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목적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는 문맥이 분명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다면,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용어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때, 언급된 피처, 정수, 단계, 동작, 엘리먼트, 및/또는 컴포넌트가 존재한다는 것을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피처, 정수, 단계, 동작, 엘리먼트,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더욱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라인 III-III을 따라 취해진,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 캐리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류 장치(100)와 같은 분류 장치는 컴포넌트(102)의 하나 이상의 측정된 특성(즉, “컴포넌트 특성”)을 기초로 복수의 그룹 중 하나로 컴포넌트(102)를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분류 장치(100)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컴포넌트(102)의 종류의 예는 커패시터(예컨대,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 등), 발광 다이오드(LED), 칩 스케일 패키지(CSP: chip-scale package)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나의 분류 절차에서 분류 장치(100)에 의해 분류되는 컴포넌트(102)는 동일한 종류이다.
개략적으로 설명하자면, 분류 장치(100)는 컴포넌트(102)를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104),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1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류통(106), 및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분류통(106)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시스템(108)을 포함한다. 도 1이 3개의 컴포넌트 캐리어(104)만 포함하는 것으로 분류 장치(100)를 도시하였으나, 분류 장치(100)는 1, 2, 4 또는 다른 개수의 컴포넌트 캐리어(104)를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104)는 컴포넌트(102)가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될 때 컴포넌트(10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컴포넌트 캐리어(104)는 컴포넌트 리테이너(202)와 같은, 복수의 컴포넌트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컴포넌트 리테이너는 하나의 컴포넌트(10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컴포넌트 캐리어(104)의 컴포넌트 리테이너(202)는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컴포넌트 리테이너(202)는 컴포넌트 캐리어(104)의 몸체(204) 내에 형성되고 컴포넌트(1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컴포넌트(102)가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될 때 오목부 내에 수용된 컴포넌트(102)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오목부의 측벽의 길이 및 폭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의 바닥면은 컴포넌트(102)가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될 때 컴포넌트(102)가 오목부 밖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컴포넌트 캐리어(104)의 중심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컴포넌트 캐리어(102)는 미국 특허출원 제12/732,002호(이하에 "‘002 출원")에 예시적으로 서술된 트랙 섹션(또는 트랙의 섹션)으로서,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3/163,516호(이하에 "‘516 출원")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3/163,504호(이하에 "‘504 출원")에서 예시적으로 서술된 캐리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특허 출원 모두는 그들의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분류통(106)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102)가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함께 형성하는 측벽 또는 패널, 및 상호연결하는 바닥면 또는 패널을 포함한다. 각각의 분류통(106)의 상부는 컴포넌트(102)가 내부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입구를 형성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분류통(106)의 내부공간은 일반적으로 길이(L), 폭(W) 및 높이(H)를 가지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분류통(10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의 치수는 측면과 하부 패널의 두께보다 훨씬 더 크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분류통(106)의 길이는 분류통(106)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길이를 의미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분류통(106)의 폭과 높이는 분류통(106)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폭과 높이를 각각 의미할 것이다. 길이와 폭이 같지 않다면, 분류통(106)의 길이가 분류통(106)의 폭보다 긴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분류통(106)의 높이는 분류통(106)의 폭보다 더 큰 것이 일반적이지만, 분류통(106)의 길이보다 더 크거나, 작거나, 같을 수도 있다. 분류통(106)이 폭과 높이를 따라 일정한 길이, 길이 및 높이를 따라 일정한 폭, 그리고 길이 및 폭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 이상의 분류통(106)의 길이, 폭 및 높이는 임의의 바람직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류통(106)은 컴포넌트(102)가 분류통(106)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걸리게 될("브릿징" 또는 "윈도우 락킹"으로도 주지된 현상)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류통(106)은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보다 적어도 3배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분류통(106)은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보다 적어도 4배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분류통(106)은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보다 적어도 8배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분류통(106)의 폭(W)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은, 예컨대, 컴포넌트(102)의 파손성, 진동의 존재여부, 중력 등을 포함한다.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수 있는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는, 예컨대, 대략 2.0mm 내지 대략 1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수 있는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는 대략 3.5mm 내지 대략 7.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분류통(106)은 대략 24mm 내지 대략 40mm의 범위 내에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분류통(106)은 대략 24 mm보다 작거나, 대략 40 mm 보다 큰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이 분류 장치(100)를 4개의 분류통(106)만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분류 장치(100)는 임의의 개수의 분류통(106)을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분류 장치(100)는 8, 16, 32, 64, 128, 256, 512 또는 임의의 다른 개수의 분류통(106)을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장치(100)에 포함될 분류통(106)의 개수 및 각각의 분류통(106)의 폭은 컴포넌트(102)가 브릿징 또는 윈도우 락킹의 가능성을 줄임과 동시에 분류될 수 있는 그룹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분류 장치(100)의 분류통(106)의 개수 및 폭을 조절하는 것은 분류 장치가 설비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큰 설치면적(footprint)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분류 장치(100)는 컴포넌트(102)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측정하고, 각각의 컴포넌트(102)에 대하여 테스트 시스템(110)에 의해 측정되었던 컴포넌트(102)에 대한 컴포넌트 특성 값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테스트 시스템(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 특성의 예는 컴포넌트(102)의 물리적 치수, 컴포넌트(102)의 전기적 특성(예컨대, 충전시간, 누설전류, 포워드 오퍼레이팅(forward operating) 전압, 전류 인출, 저항값, 커패시턴스 등), 컴포넌트(102)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광속, 광도, 스펙트럼 광 출력, 주파장(dominant wavelength) 출력, 피크 파장 출력, 상관 색 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 연색지수(color rendering index)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테스트 시스템(110)은 ‘002 출원, ‘516 출원 또는 ‘504 출원에 예시적으로 서술된 임의의 테스트 스테이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이 분류 장치(100)를 하나의 테스트 시스템(110)만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분류 장치(100)는 임의의 개수의 테스트 시스템(110)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분류 장치(100)는 2개의 테스트 시스템(1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장치(110)는 컴포넌트(102)가 이동 경로를 따라 (예컨대, 테스트 시스템(110)에서 이송 시스템(108)으로) 운반되게끔 컴포넌트 캐리어(10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트랙(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112)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컴포넌트 캐리어(104)는 트랙(112)에 고정된다. 그 결과, 컴포넌트 캐리어(104)는 트랙(112)과 함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트랙(112)이 고정되고, 컴포넌트 캐리어(104)가 이동 경로를 따라 트랙(11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트랙(112)은 ‘002 출원에 예시적으로 서술된 트랙, 또는 ‘516 출원 또는 ‘504 출원에 예시적으로 서술된 컨베이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분류 장치(100)는 컴포넌트(102)가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되게끔 컴포넌트 캐리어(10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시스템(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시스템(114)은 컴포넌트(102)가 증분 거리(incremental distance)(Di)만큼 이동경로를 따라 증가하여 이동(즉, 인덱스드(indexed))되게끔, 컴포넌트 캐리어(104)를 증가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 시스템(114)은 증분 거리만큼 이동경로를 따라 트랙(112)을 증가하여 이동시키고 그로 인해 컴포넌트 캐리어(104)가 증분 거리만큼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기 위해 트랙(112)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가하는 이동은 정지(stillness) 기간만큼 분리된 이동 기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증분 거리(Di)는 첫째로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둘째로 분류통(106)의 폭(W)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증분 거리(Di)는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보다 크고, 분류통(106)의 폭(W)보다 작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증분 거리(Di)는 분류통(106)의 폭(W)의 절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증분 거리(Di)는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의 최대 치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증분 거리(Di)는 대략 12mm 내지 대략 20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증분 거리(Di)는 12mm이다. 구동 시스템(114)은 구동 시스템(114)이 증분 거리(Di)만큼 이동 경로를 따라 트랙(112)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104)를 이동시켰음을 나타내는 구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분류 장치(100)는 이송 시스템(108), 테스트 시스템(110) 및 구동 시스템(114)에 연결된 컨트롤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16)는 테스트 시스템(110)에서 측정된 컴포넌트(102)의 특성을 기초로 이송 시스템(10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16)는 테스트 시스템(110의 출력에 연결될 수 있고, 테스트 시스템(110)으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16)는 또한 테스트 시스템(110)의 출력에 연결되고, 구동 시스템(114)으로부터의 구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측정 데이터 및 구동 데이터를 기초로, 컨트롤러(116)는 측정된 컴포넌트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적합한 분류통(106)으로 이송하도록 이송 시스템(108)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적합한" 분류통(106)이란,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이송될 컴포넌트(102)의 측정된 컴포넌트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용하도록 배정된 분류통(106)을 지칭할 수 있다.
컨트롤러(116)는 다양한 제어, 관리, 및/또는 통제 기능을 정의하고, 하드와이어드 상태 머신과 같은 전용 하드웨어의 형태,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당업자들이 만들 수 있는 상이한 형태일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오퍼레이팅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 로직은 디지털 회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이 두 종류의 하이브리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오퍼레이팅 로직은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실행하도록 정렬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반도체, 자기 및/또는 광학적 변종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종류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오퍼레이팅 로직의 프로그래밍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메모리는 오퍼레이팅 로직에 의해 조종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배열에서, 오퍼레이팅 로직 및 메모리는 이송 시스템(108)의 동작 형태를 관리 및 제어하는 컨틀롤러/프로세서 형태의 오퍼레이팅 로직 내에 포함되지만, 다른 배열에서는 이들이 분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16)는 ‘002 출원, ‘516 출원 또는 ‘504 출원에 예시적으로 서술된 임의의 컨트롤러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분류통 및 트랙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이송 위치에 배치된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하여, 도 4에 도시된 라인 V-V를 따라 취해진, 도 4에 도시된 이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이동 위치를 따라 제2 이송 위치에 배치된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하여, 도 4에 도시된 라인 VI-VI을 따라 취해진, 도 4에 도시된 이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세트의 분류통을 도시하는데, 각각의 세트의 분류통은 (도 1에서 통칭하여 분류통(106)으로 도시된) 제1 분류통(106a) 및 제2 분류통(106b)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세트의 분류통(106)은 2 이상의 분류통(106)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오직 하나의 분류통(106)만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컴포넌트(102)가 컴포넌트 캐리어(104)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트랙(112)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트랙(112)의 일부분은 제2 방향으로 표기된 화살표를 따라 뻗어 있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분류통(106)의 세트에 걸쳐, 제1 분류통(106a)은 이동경로를 따라(예컨대,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고, 제2 분류통(106b)은 이동 경로를 따라(예컨대,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다. 그러나, 각각의 세트의 분류통(106) 내에서, 제1 및 제2 분류통(106a 및 106b)은 이동 경로로부터 멀어지도록 뻗은 방향(예컨대,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다. 제1 방향이 제2 방향에 수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향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분류통(106)이 임의의 바람직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분류통(106)은 단일층으로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층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의 층내의 분류통(106)이 다른 층 내의 분류통(106) 위에 수직으로 쌓여지게 된다. 분류통이 복수의 층으로 배열된 실시예에서, 위층의 분류통(106)을 지나 아래층의 분류통(106)으로 컴포넌트를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튜브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시스템(108)은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이송 스테이션의 복수의 세트(401)들을 포함하는데, 세트(401) 내의 각각의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분류통(106)의 대응하는 세트 내의 분류통(106)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컴포넌트(102)를 내보내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예컨대, 액추에이터(402a, 404a, 402b 또는 404b) 중 하나), 및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내보내진 컴포넌트(102)를 수용하고, 수용된 컴포넌트를 분류통(106)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예컨대, 가이드 부재(406a, 408a, 406b 또는 408b) 중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가이드 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이송 스테이션의 액추에이터는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내보내진 컴포넌트(102)를 바로 분류통(106)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의 세트(401) 내에서, 액추에이터(402a 및 404b)는 이동경로를 따라 (예컨대,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고, 액추에이터(404a 및 402b)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유사하게, 이송 스테이션의 세트(401)에 걸쳐, 액추에이터(402a와 404b)는 이동 경로를 따라 서로 나란하고, 액추에이터(404a 및 402b)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액추에이터가 임의의 바람직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이송 스테이션은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 위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컴포넌트(102)를 분류통(106)의 대응하는 세트 내의 분류통(106)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104)가 (예컨대, 도 4의 라인 V-V가 지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이송 위치에 배치된 때, 액추에이터(402a) 및 가이드 부재(406a)에 의해 형성된 제1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제1 분류통(106a)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액추에이터(404a) 및 가이드 부재(408a)에 의해 형성된 제2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동일한 제1 분류통(106a)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406a 및 408a)는 컴포넌트(102)를 제1 분류통(106a)의 입구에 있는 상이한 위치로부터 동일한 제1 분류통(106a)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제1 분류통(106a)은 컴포넌트(102)로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104)가 (예컨대, 도 4의 라인 VI-VI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이동 경로를 따라 제2 이송 위치에 배치된 때, 액추에이터(402b) 및 가이드 부재(406b)에 의해 형성된 제3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제2 분류통(106b)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액추에이터(404b) 및 가이드 부재(408b)에 의해 형성된 제4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동일한 제2 분류통(106b)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406b 및 408b)는 컴포넌트(102)를 분류통(106b)의 입구에 있는 상이한 위치에서 동일한 제2 분류통(106b)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제2 분류통(106b)은 컴포넌트(102)로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위치와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증분 거리(Di)와 같다. 그러므로, 명백하게 라벨을 붙이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이송 위치는 이동 경로를 따른 인접한 이송 위치 간의 거리가 증분 거리(Di)와 동등하도록 이동 경로를 따라 뻗는다. 그러나, 이동 경로를 따른 임의의 인접한 이송 위치 간의 거리는 증분 거리(Di)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을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이동 경로를 따라 서로 인접한 이송 위치의 상이한 쌍들은 서로 일정한 거리 또는 일정하지 않은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테이션의 각각의 세트(401)는 이송 스테이션의 복수의 서브셋(40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서브셋(403) 내의 각각의 이송 스테이션은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동일한 분류통(106)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러므로, 도 5는 (액추에이터(402a) 및 가이드 부재(406a)에 의해 형성된)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액추에이터(404a) 및 가이드 부재(408a)에 의해 형성된) 제2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이송 스테이션의 하나의 서브셋(403)을 도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6은 액추에이터(402b) 및 가이드 부재(406b)에 의해 형성된 제3 이송 스테이션 및 액추에이터(404b) 및 가이드 부재(408b)에 의해 형성된 제4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이송 스테이션의 다른 서브셋(403)을 도시한다. 이송 스테이션의 서브셋(403) 내에서, 액추에이터(402a 및 404a)는 이동 경로로부터 멀어지도록 뻗은 방향으로 (예컨대,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고, 액추에이터(404b 및 402b)도 마찬가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 스테이션의 세트(401)의 수는 분류통(106)의 세트 수에 대응하고 그와 같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송 스테이션의 세트(401)의 수가 분류통(106)의 세트 수에 대응하지 않거나, 그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 스테이션의 세트(401) 내의 이송 스테이션의 서브셋(403)의 수는 분류통(106)의 세트 내의 분류통(106)의 개수에 대응하고, 그와 같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송 스테이션의 세트(401) 내의 이송 스테이션의 서브셋(403)의 수는 분류통(106)의 세트 내의 분류통(106)의 수에 대응하지 않거나, 그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임의의 이송 스테이션의 임의의 액추에이터(402a, 402b, 404a 또는 404b)는 전기 모터, 공압 액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 선형 액추에이터, 압전 액추에이터, 전기활성 폴리머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이송 스테이션의 액추에이터는 '002 출원에 예시적으로 서술된 이젝트 블록(eject block)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가이드 부재(406a, 406b, 408a 또는 408b)는 임의의 적절한 가이드 부재(예컨대, 튜브, 도관, 덕트, 호스 등 또는 이들의 조합)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컴포넌트 캐리어(104)가 컴포넌트(102)를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 위치(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제1 이송 위치 또는 도 6에 도시된 제2 이송 위치)로 운반할 때, 액추에이터가 (예컨대, 컨트롤러(11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내보낼 수 있도록, 트랙(112) 부근에 동작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가이드 부재는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내보내진 컴포넌트(102)를 수용하고 그 수용된 컴포넌트(102)를 분류통(106)으로 안내하기 위해 트랙(112) 부근에(또는 인접하게) 동작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 스테이션의 액추에이터는 컴포넌트를 이송 스테이션의 가이드 부재로의 궤도상에 런칭함으로써 컴포넌트(102)를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내보내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가이드 부재는 그 컴포넌트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내려올 때 런칭된 컴포넌트(102)를 분류통(106)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112)은 분류통(106) 위에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적절한 설치 구조에 의해 분류통 위에서 적소에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트랙(112)이 일부 또는 모든 분류통(106) 옆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이 이송 스테이션을 제1 분류통(106a) 및 제2 분류통(106b) 위에 놓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임의의 다른 이송 스테이션은 오직 하나의 분류통(106)(예컨대, 제1 분류통(106a) 및 제2 분류통(106b)) 위에만 놓이거나, 분류통(106) 위에 놓이지 않을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분류 장치(100)는 분류통(106)을 지지하고, 분류통(106)이 이송 시스템(108)과 적합하게 나란함을 보장하도록 구성된 (도시되지 않은)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플랫폼은 분류통(106)에 대한 상대적 이동량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분류통(106)을 맞닿게 하도록 구성된 분류통 결합 피처(예컨대, 핀, 디텐트(detent), 채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플랫폼은 앞서 언급된 설치 구조의 플랫폼 결합 피처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예시적으로 서술된 이송 시스템(108)을 제공함으로써, 컴포넌트 캐리어(104)가 임의의 분류통(106)으로 분류될 컴포넌트(102)를 이동시키는 거리가 감소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분류될 수 있는 컴포넌트(102)의 그룹 수를 증가하는데 도움을 주고, 분류 장치(100)가 설비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큰 설치면적을 차지하지 않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가이드 부재(예컨대, 가이드 부재(406a, 408a, 406b, 408b))의 구성은 컴포넌트(102)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컴포넌트 캐리어(104)로부터 내보내지는 방법, 컴포넌트(102)와 분류통(106)의 입구 사이의 이격 거리(Ds), 앞서 언급한 분류통(106)의 치수, 분류통에 대한 트랙(112)의 상대적인 위치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존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부재는 파손없이 또는 바람직하지 않게 파손되지 않고, 튜브의 일단이 튜브의 타단에 대하여 많이(예컨대, 대략 5mm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실질적으로 단단한 튜브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튜브가 유연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의 튜브들은 (예를 들면, 그들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함께 연결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하나의 튜브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분리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부재의 튜브는 단일 호스형 구조로 형성된 재료(예컨대, 무정전(anti-static) 폴리머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가이드 부재의 튜브는 멀티피스(multi-piec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406a 또는 406b)와 같은 가이드 부재의 튜브는 채널(706 및 708)의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튜브 블록(704) 부근에 튜브 블록(702)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가이드 부재(408a 또는 408b)와 같은 가이드 부재의 튜브는 채널(714 및 716)의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튜브 블록(712) 부근에 튜브 블록(710)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튜브 블록(702, 704, 710 및 712)은 단일체의 조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또는 여러 조각들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튜브 블록(702 및 704)은 분리가능하게 함께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튜브 블록(710 및 712)은 분리가능하게 함께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튜브 블록(702와 704, 또는 710과 712)은 이송 스테이션의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튜브 블록(702 및 710)은 분리가능하게 함께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튜브 블록은 한 쌍의 튜브 블록(702와 704 및 710과 712)이 이송 스테이션의 동일한 세트(401) 내에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이송 스테이션들의 서브셋(403)에 대한 가이드 부재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튜브 블록은 한 쌍의 튜브 블록(702와 704 및 710과 712)이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이송 스테이션들의 서브셋(401)에 걸쳐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이송 스테이션들의 서브셋(403)에 대한 가이드 부재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서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독창적인 교시 및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다양한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모든 그런 수정은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개시된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수정은 물론, 다른 실시예들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며, 청구항의 동등물도 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4)

  1. 분류 장치로서,
    이동 경로를 따라 컴포넌트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
    제1 분류통 및 제2 분류통;
    제1 이송 위치에 있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제2 이송 위치에 있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이송 위치와 상기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및 상기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은 것인 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류통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분류통과 나란하고,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은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과 나란한 것인 분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것인 분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제1 분류통 및 상기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 위에 놓인 것인 분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위치와 상기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및 상기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의 절반인 것인 분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위치와 상기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대략 20mm인 것인 분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류통 및 상기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대략 40mm 초과인 것인 분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3 분류통; 및
    제3 이송 위치에 있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제3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3 이송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이송 위치와 상기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상기 제2 분류통 및 상기 제3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것인 분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 위치와 상기 제1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상기 제2 분류통 및 상기 제3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인 분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4 분류통; 및
    제4 이송 위치에 있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제4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4 이송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이송 위치와 상기 제3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상기 제2 분류통, 상기 제3 분류통 및 상기 제4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은 것인 분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송 위치와 상기 제1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상기 제2 분류통, 상기 제3 분류통, 및 상기 제4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큰 것인 분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 상기 컴포넌트를 내보내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분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보내진 컴포넌트를 분류통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은 각각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분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의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분류 장치.
  16. 분류 장치로서,
    제1 컴포넌트 리테이너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를 구비한 제1 컴포넌트 캐리어로서, 상기 제1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가 각각 컴포넌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상기 제1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를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제1 분류통; 및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1 이송 스테이션 및 제2 이송 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컴포넌트 리테이너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분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리테이너 및 상기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는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것인 분류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류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제2 분류통; 및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3 이송 스테이션 및 제4 이송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컴포넌트 리테이너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이송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로부터의 컴포넌트를 상기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분류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류통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분류통과 인접하고,
    상기 제3 및 제4 이송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이송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한 것인 분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연결된 구동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컴포넌트 리테이너가 증분 거리(incremental distance)만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증가하여 이동가능하게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분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분류통 및 상기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은 것인 분류 장치.
  23. 컴포넌트 분류 방법으로서,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컴포넌트 및 제2 컴포넌트를 운반하는 단계;
    제1 이송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제1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제2 이송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제2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송 위치와 상기 제2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분류통 및 상기 제2 분류통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은 것인 컴포넌트 분류 방법.
  24. 컴포넌트 분류 방법으로서,
    제1 컴포넌트 및 제2 컴포넌트를 이동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
    제1 이송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특정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제2 이송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컴포넌트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분류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분류 방법.
KR1020147014519A 2011-12-09 2012-10-18 분류 장치 및 컴포넌트들을 분류하는 방법 KR20140102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15,786 2011-12-09
US13/315,786 US20130146418A1 (en) 2011-12-09 2011-12-09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orting components
PCT/US2012/060876 WO2013085628A1 (en) 2011-12-09 2012-10-18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orting compon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658A true KR20140102658A (ko) 2014-08-22

Family

ID=4857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519A KR20140102658A (ko) 2011-12-09 2012-10-18 분류 장치 및 컴포넌트들을 분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46418A1 (ko)
JP (1) JP2015501772A (ko)
KR (1) KR20140102658A (ko)
CN (1) CN104010741A (ko)
TW (1) TW201325740A (ko)
WO (1) WO201308562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079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녹갈색 점박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5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회색 구름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6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비취색 돌담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3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황색 바탕에 해초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8952A1 (en) * 2015-03-04 2016-09-0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in insert for binning of light emitting devices, binning arrangement for binning of light emitting devices, and use of a binning arrangement for binning of light emitting devices
CN107377425B (zh) * 2017-07-11 2023-04-21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分拣设备及其方法
CN108557457B (zh) * 2018-05-18 2024-01-02 湖北理工学院 一种废弃微处理器芯片质量检测与自动分拣装置
CN110153017A (zh) * 2019-06-06 2019-08-23 扬州市职业大学(扬州市广播电视大学) 一种快递自动分拣运输设备
CN111573037B (zh) * 2020-05-16 2022-02-25 邵丽丹 一种住宅社区用便于垃圾分类回收的智能垃圾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193A (en) * 1994-05-06 1996-04-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burn-in boards
US5842579A (en) * 1995-11-16 1998-12-01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Electrical circuit component handler
US6229323B1 (en) * 1998-04-23 2001-05-08 Micron Technology, Inc. Automated multi-chip module handler, method of module handling, and module magazine
US6521853B1 (en) * 2000-05-08 2003-02-18 Micro Compon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0491304B1 (ko) * 2003-09-18 2005-05-24 미래산업 주식회사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
US6967475B2 (en) * 2004-01-22 2005-11-22 Asm Assembly Automation Ltd. Device transfer mechanism for a test handler
US7374293B2 (en) * 2005-03-25 2008-05-20 Vishay General Semiconductor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electronic elements
KR100739223B1 (ko) * 2006-04-05 2007-07-13 (주)제이티 소팅 트래이를 별도로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한 소팅 트레이적재부를 포함하는 번인 테스트용 소팅 핸들러 및 이를이용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소팅 방법
KR100804674B1 (ko) * 2006-04-27 2008-02-20 미래산업 주식회사 번인 소터 및 이를 이용한 번인 소팅 방법
KR101188841B1 (ko) * 2006-06-13 2012-10-08 미래산업 주식회사 번인 소터 및 이를 이용한 번인 소팅 방법
US7973259B2 (en) * 2007-05-25 2011-07-05 Asm Assembly Automation Ltd System for testing and sorting electronic components
JP2010092954A (ja) * 2008-10-06 2010-04-22 Panasonic Corp 電子部品実装装置
US7851721B2 (en) * 2009-02-17 2010-12-14 Asm Assembly Automation Ltd Electronic device sorter comprising dual buffers
US8305104B2 (en) * 2009-03-26 2012-11-06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Testing and sorting system having a linear track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598888B2 (en) * 2010-05-04 2013-12-03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testing of electronic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079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녹갈색 점박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5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회색 구름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6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비취색 돌담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3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황색 바탕에 해초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5740A (zh) 2013-07-01
WO2013085628A1 (en) 2013-06-13
JP2015501772A (ja) 2015-01-19
CN104010741A (zh) 2014-08-27
US20130146418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2658A (ko) 분류 장치 및 컴포넌트들을 분류하는 방법
JP6916237B2 (ja) 物品除去装置を有する選別コンベヤ
KR102225206B1 (ko) 전기 구성요소들을 처리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95937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핸들러,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20020153735A1 (en) Variable-pitch pick and place device
KR20110132572A (ko) 전자 디바이스의 개선된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399608A (zh) 全自动吸塑转运机
KR101372240B1 (ko) 피치변경장치,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1909315B1 (ko)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를 위한 얕은 각의 수직형 회전식 적재기
JP2010101691A (ja) 樹脂成型品の外観検査装置及びその外観検査方法
WO2008120881A1 (en) System for vision inspe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KR101960662B1 (ko) 물품분류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20050063359A (ko) 반도체 패키지 이송 메카니즘 및 이송방법
KR20130054787A (ko) 반도체 테스트 장비
CN107640357B (zh) 血袋承载座及血袋传送装置
KR101689023B1 (ko) 이중 트레이 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반도체 검사 및 분류시스템
JP5630300B2 (ja) 振り分け装置
US20120249172A1 (en) Alignmen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testing
KR20100006989A (ko) 비전검사장비의 픽커 유니트
KR20090053303A (ko) 테스트 핸들러용 트레이 공급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트레이 이송방법
KR20080097516A (ko) 테스트 핸들러
CN112640075A (zh) 元件分类装置
CN111868536A (zh) 元件检查装置
KR101333399B1 (ko) 기판 언로드 장치
KR101333455B1 (ko) 기판 로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