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641A - 서포터 - Google Patents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641A
KR20140102641A KR1020147009620A KR20147009620A KR20140102641A KR 20140102641 A KR20140102641 A KR 20140102641A KR 1020147009620 A KR1020147009620 A KR 1020147009620A KR 20147009620 A KR20147009620 A KR 20147009620A KR 20140102641 A KR20140102641 A KR 2014010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and portion
auxiliary band
main body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타카 오카다
히토시 오지마
히데노리 가세노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디엠체인 교도쿠미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디엠체인 교도쿠미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싱구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여,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선장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한다. 서포터(100)는, 등접촉부(11)를 구비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양단의 표지면에 형성되는 루프(21)와, 일단(31a)이 등접촉부(11)의 좌측 변(11c)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31b)이 등접촉부(11)의 우측 변(11d)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1 보조 밴드부(31)와 쌍을 이루는 제2 보조 밴드부(32)와,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 및 타단(32b)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링부(41)와, 제1 링부(41)와 쌍을 이루는 제2 링부(42)와, 일단(51a)이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에 고정되고, 타단(51b)이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에 파스닝 가능한 제1 조절 밴드부(51)와, 제1 조절 밴드부(51)와 쌍을 이루는 제2 조절 밴드부(5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서포터{SUPPOR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腹腔)의 압력을 높여 요추(腰椎)를 지지하는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여, 허리 부분의 후굴(後屈)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선장(仙腸)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요추대(lumbar band)는, 밴드형 본체부와, 체결 벨트(fastening belt)와, 수하 벨트(sling belt)로 이루어지고, 밴드형 본체부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신축부(패드가 고정되어 있는)와, 신축부에 이어서, 양 여유단부(free ends)까지 실질적으로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된 비(非)신축부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체결 벨트의 각각의 단부(端部)는 비신축부의 중앙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1999―104159호 공보
종래의 요추대는, 좌우의 제1 벨트가 패드의 중심 가까이의 상하 2개소에서 교차하고, 각 제1 벨트의 양쪽의 단부가, 동일 측의 비신축부의 중앙측 단부에 고정되고, 링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있으므로, 제2 벨트를 전방[면 파스너 측; hook-and-loop fastener side]으로 당긴 경우에, 링을 기준으로 하여 제1 벨트의 위쪽의 벨트와 아래쪽의 벨트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 제1 벨트가 패드의 중심 가까이의 상하를 균등하게 압압(押壓)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착용자의 뒤쪽은 만곡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요추대와 같이, 제1 벨트가 패드의 중심 가까이의 상하를 균등하게 압압하는 것으로서는, 패드의 위쪽에 있어서 착용자의 뒤쪽으로부터 요추대의 들뜸(separate)이 생겨, 착용자의 요추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패드의 상변에서의 착용자의 뒤쪽으로부터 서포터의 들뜸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요추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고,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선장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부에 접촉되는 등접촉부(back-contact section)와, 상기 등접촉부의 양측으로부터 좌우에 선단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에 환형(環形)의 링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한 쌍의 보조 밴드부와, 상기 보조 밴드부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조절 밴드부를 구비한 서포터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등접촉부에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밴드부의 양단은, 상기 등접촉부의 상변과 측변의 하단에 상기 2개의 밴드형체가 교차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조절 밴드부는, 별개로 상기 보조 밴드부에 배치한 환형의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일단을 좌우의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에 고정시키고, 타단에 파스닝부(fastening portion)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등접촉부의 상변에서의 착용자의 뒤쪽으로부터 서포터의 들뜸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요추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表地面; front surface)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lining surface)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상측면도이며, (f)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제1 조절 밴드부 및 제1 조절 밴드부의 파스닝(fastening)을 푼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1의 (b)에 나타낸 등접촉부에 수납하는 압압부(押壓部)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c)는 도 2의 (b)에 나타낸 압압부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은 (a)는 허리 부분 근방의 골격의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골격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d)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V자형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복강압 상승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후굴 억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5의 (b)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5의 (c)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7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7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7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상측면도이며, (f)는 도 7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다.
도 8은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상측면도이며, (f)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며, (d)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9의 (b)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9의 (c)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며, (d)는 도 9의 (d)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1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 및 제2 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c)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d)는 도 1의 (a), 도 7의 (a) 또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제1 링부 및 제2 링부를 도 11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로 교환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제1 링부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며, (e)는 도 11의 (d)에 나타낸 부분 확대도에 있어서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서포터(100)는, 허리용의 서포터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별하면, 본체부(10)와, 파스닝부[예를 들면, 면 파스너(20)]와, 한 쌍의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와, 한 쌍의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와, 한 쌍의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구비한다.
본체부(10)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대략 중앙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부에 접촉되는 등접촉부(11)와, 등접촉부(11)의 양측의 양단 부분에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양단 부분의 상변(12a) 및 하변(12b)을 대략 평행하게 하고, 등접촉부(11)의 하변(11b)과 상변(12a) 및 하변(12b)과의 이루는 각을 θ1(예를 들면, θ1= 12°∼14°)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부(10)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중점(中点)과 하변(11b)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의 평면 형상이며,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안감면[도 1의 (b) 참조]을 맞닿아 주회(周回)한다.
그리고, 등접촉부(11)와 돌출부(12)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그로그랭 테이프(grosgrain tape)(13)에 의해 본체부(10)의 표지면 및 안감면으로부터 협지하여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에지 단부를 봉제함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10)의 표지면 및 안감면으로부터 협지한 그로그랭 테이프(13)에 대한 내층은, 등접촉부(11)의 소재와 돌출부(12)의 소재를 중첩시키지 않고 평탄하게 함으로써, 서포터(100)의 박지화(薄地化)를 도모하여, 상쾌한 장착감을 실현하는 동시에, 서포터(100) 상에 중착(重着)을 행해도 아우터 웨어에 영향을 주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등접촉부(11) 및 돌출부(12)의 소재끼리를 지그재그에 의해 봉제함으로써, 서포터(100)의 얇음을 유지하면서, 서포터(100)의 격한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耐久性)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등접촉부(11), 돌출부(12) 및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에지(커트 에지)를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 봉제하고 있지만(바인더로), 에지 봉제나 바이어스 프레임 봉제 등에 의해, 등접촉부(11), 돌출부(12) 및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커트 에지에서의 흐트러짐 또는 풀림 방지나 장식(裝飾)을 행해도 된다. 특히, 돌출부(12)의 커트 에지의 바인더는, 지그재그 봉제에 의해 바인더 테이프(14)를 봉제함으로써, 인접하는 봉제한 자리가 밀집하지 않기 때문에, 돌출부(12)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억제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상변(11a)과 돌출부(12)의 상변(12a)을 대략 S자형으로 연속시키도록, 상변(11a)[상저(上底)]의 양단에 있는 코너부를 만곡시킨 대략 등각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이며, 평행이 아닌 대향변[좌측 변(11c), 우측 변(11d)]과 등접촉부(11)의 하변(11b)[하저(下底)]과의 이루는 각 θ2이, 90°―θ1(예를 들면, θ1= 12°∼14°의 경우에는, θ2= 76°∼78°)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안감면에 개구부(11e)를 가지는 백형체(bag-like body)이며, 강성(剛性)이 높고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질의 판형체로 이루어지는 압압부(60)를 안창(insole)으로 하여 상기 백형체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지만, 등접촉부(11)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면, 압압부(60)를 삽입할 필요가 없고, 백형체일 필요도 없다.
그리고, 등접촉부(11)를 백형체로 하여, 압압부(60)의 삽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압압부(60)의 유무나 압압부(60)의 재질의 변경 등에 의해, 등접촉부(11)의 경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등접촉부(11)로부터 압압부(60)를 떼어냄으로써, 서포터(100)를 세탁할 수 있어, 위생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등접촉부(11)를 백형체로 하는 것은, 착용자의 요구에 따른 부속품을 수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포켓 히터를 수납하여 서포터(100)의 보온력을 높이는 등, 서포터(100)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나일론사를 사용하여 더블 라셀(double raschel) 경편기(經編機; warp knitting machine)에 의해 니팅(knitting)되는 메쉬 소재[라셀 메쉬(11f)]를 표지(表紙)에 사용함으로써, 백형체의 내부에 모이는 섬유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스티치(stitch)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동시에, 등접촉부(11)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라셀 메쉬(11f)의 마무리에 수지 가공을 행하여, 경편지(warp-knitted fabric)의 경도를 높여, 착용자의 등부에 대한 서포터(10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폴리우레탄사 및 내열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크로쉐 경편기(crochet warp knitting machine)에 의해 니팅할 수 있는 크로쉐 니팅 소재[크로쉐 편지(編地)(11g)]를 안감에 사용함으로써, 감촉이 부드럽고, 착용자의 등부에 대한 촉감이 양호하고, 2개의 크로쉐 편지(11g)를 개구부(11e)와 중첩시킴으로써, 백형체의 내부에 수납한 포켓 히터(pocket heater) 등의 부속품이 개구부(11e)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안감으로서 수지 가공을 행하지 않은 경편지를 사용함으로써, 편지를 재단해도 편사(編絲)가 커트 에지로부터 풀리지 않아, 자유로운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동시에, 백형체에 부속품을 삽입 가능한 원하는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경편기는, 침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패턴으로 특화한 니트(라셀 니트)를 형성하는 라셀 경편기와, 패턴을 상정(想定)하지 않고 고생산으로 특화한 니트[트리코트(tricot) 니트]를 형성하는 트리코트 경편기로 대별된다. 또한, 라셀 경편기는, 더블 라셀 경편기, 랏세리나(RASSERINA) 경편기, 레이스 경편기 또는 크로쉐 경편기 등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경편기는, 세로 방향(니팅 방향)으로 스티치를 만들어가 1개씩 평행하게 배열된 수많은 날실(warp threads)[정경사(整經絲); warping yarn]을 사용하고, 이것을 각각 결합시켜 편지를 만든다.
결합 방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서, 근처끼리의 날실을 서로 엮어 맞추면서 전체로서 편지를 만드는 방법이나, 날실의 각각 1개씩으로, 독립된 많은 쇄편(鎖片)을 만들고, 이에 대하여 별도로 준비한 1조(組)의 날실을 삽입하여, 쇄편의 수개씩을 모아가면서 가로 방향으로 연락(連絡)하여, 전체로서 편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편은, 흐트러짐 또는 풀림이 어렵고, 가로 방향(니팅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신장이 적은 데다가, 고생산성이 있어, 편폭이 큰 등의 특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압압부(60)는, 용융점이 105℃∼120℃ 폴리에틸렌 소재보다 내열성이 우수한, 용융점이 150℃∼160℃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제의 수지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등접촉부(11)에 포켓 히터를 수납하는 경우에, 포켓 히터의 발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압압부(60)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평면 형상에 따른 대략 등각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이며, 4개의 코너부를 둥글게, 상저(61) 및 하저(62)의 중앙에 오목부(63)를 형성한 형상인 것에 의해, 상저(61)의 중점과 하저(62)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기준으로 압압부(60)가 비틀리기 쉬워, 비틀림에 대하여 반발력이 생겨, 착용자의 동작에 대하여 축을 보조하여, 착용자의 보행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압압부(60)에 오목부(63)를 형성하지 않는 수지 패널이면, 상저(61)의 중점과 하저(62)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기준으로 하여 압압부(60)가 만곡되었을 경우에, 상저(61) 중 중앙이 가장 높게 돌출함으로써, 압압부(60)의 돌출 부분이 착용자의 등부에 닿아 통증이 생기게 되므로, 상저(61)의 중앙에 오목부(6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는, 등접촉부(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신축성을 가지는 영역[이하, 신축부(12d)라고 함]과, 신축부(12d)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영역[이하, 비신축부(12e)라고 함)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신축성을 가지는 기재(基材) 상에 비신축성의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돌출부(12)는, 기재로 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어 폴리우레탄사 및 폴리에스테르사에 더하여, 생지(fabric)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나일론제의 모노필라멘트[단섬유(單纖維)]사를 짠 파워 네트 생지(12c)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S)의 신축성을 억제한 직지(織地)이다.
그리고, 통상의 모노필라멘트사[예를 들면, 1개당 600 데니어(denier)]를 돌출부(12)에 사용한 경우에는, 1개의 모노필라멘트사가 굵고, 철사와 같은 날실이므로, 모노필라멘트사의 선단이 커트 에지로부터 튀어나와, 착용자에게 꽂힐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는, 로우 카운트(낮은 번수)의 모노필라멘트사(예를 들면, 1개당 50 데니어)의 집합사(예를 들면, 10개)를 사용하여, 원하는 경도 및 통기성을 유지한 채, 모노필라멘트사의 선단이 커트 에지로부터 뛰쳐나오는 것을 억제하고, 모노필라멘트사가 만일 튀어나왔다고 해도, 1개의 모노필라멘트사의 굵기가 가늘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사의 선단이 착용자에게 꽂히지 않아,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는, 돌출부(12)의 마무리에 수지 농도가 높은 수지 가공을 행하여, 직지의 경도를 더욱 높여 착용자의 앞복부 및 측복부에 대한 서포터(100)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직지 자체가 메쉬 구조이므로 통기성이 양호하다.
파스닝부는, 본체부(10)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의 표지면 및 본체부(10)의 좌측단(10a) 또는 우측단(10b)의 안감면에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상이한 면을 파스닝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스닝부로서 면 파스너(20)를 사용한 서포터(10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체부(10)의 양단 부분을 파스닝할 수 있는 것이면 파스너(20)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버튼, 도트 버튼, 스냅, 훅(hook), 고리, 파스너[지퍼, 척(chuck)], 전면훅(front hook)이나, 또는 스핀들 스토퍼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도 1의 (a)에 나타낸 표지면에서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 측에 면 파스너(20)의 루프(loop)(21)가 형성되고, 도 1의 (b)에 나타낸 안감면에서의 우측단(10b) 측에 면 파스너(20)의 훅(22a)이 형성되어 있지만, 훅(22a)을 표지면에 형성하여 루프(21)를 안감면에 형성해도 되고, 안감면에서의 훅(22a)을 형성하는 측을 우측단(10b) 측으로부터 좌측단(10a) 측으로 변경하여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면 파스너(20)의 루프(21)의 에지(커트 에지)를, 돌출부(12)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바인더 테이프(14)의 일단을 본체부(10)의 우측단(10b)에 형성하고, 본체부(10)를 주회한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을 본체부(10)의 안감면 측에 형성하고, 면 파스너(20)의 훅(22a) 및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사이에서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을 끼워넣고,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에 대한 훅(22a)이 봉제와 동시에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을 봉제한다. 이 구성에 의해, 서포터(100)의 제조 단계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이 서포터(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억제하여, 서포터(100)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본체부(10)의 양단의 면 파스너(20)[루프(21)]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본체부(10))[돌출부(12)]의 상변(12a) 및 하변(12b) 사이를 횡단하여 등접촉부(11)[그로그랭 테이프(13)]의 양측에 형성되는, 등접촉부(11)[그로그랭 테이프(13)] 및 루프(21) 사이의 영역만이, 돌출부(12)에 있어서 신축성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즉, 돌출부(12)에 있어서는, 루프(21)가 형성되는 영역이 비신축부(12e)에 상당하여, 루프(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그로그랭 테이프(13) 및 루프(21) 사이의 영역]이 신축부(12d)에 상당한다. 그리고, 돌출부(12)의 신축부(12d)는, 후술하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축성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한 쌍의 보조 밴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2 보조 밴드부(32)]로 이루어지고, 등접촉부(11) 상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밴드형체가 교차하도록 고정된다.
제1 보조 밴드부(31)는, 제1 보조 밴드부(31)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3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예를 들면, 좌측 변(11c)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3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우측 변(11d)]의 하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좌측 변(11c)의 상단]에 있어서, 일부가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우측 변(11d)]의 하단에 있어서,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2 보조 밴드부(32)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3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예를 들면, 우측 변(11d)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3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좌측 변(11c)]의 하단에 고정되고, 제1 보조 밴드부(31)와 쌍을 이룬다.
특히, 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2 보조 밴드부(32)는, 등접촉부(11)의 평면 형상이 대략 등각 사다리꼴이며, 등접촉부(11)의 상변(11a)(상저)의 길이가 하변(11b)(하저)의 길이보다 짧은 것에 의해,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의 상변(11a) 근방에서 교차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으로서, 제2 보조 밴드부(32)가 제1 보조 밴드부(31) 상을 걸치는 구성을, 도 1의 (a), 도 1의 (e) 및 도 1의 (f), 도 2의 (a), 도 5의 (b) 및 도 5의 (c), 및 도 6의 (b) 및 도 6의 (c)에 도시하고 있지만, 제1 보조 밴드부(31)가 제2 보조 밴드부(32) 상을 걸치는 구성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우측 변(11d)의 상단]에 있어서, 일부가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좌측 변(11c)]의 하단에 있어서,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폴리우레탄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製織)되는 봉제 고무(woven rubber)이며, 탄성 섬유의 소재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내열성)이 우수한 동시에, 탄성 섬유의 소재로서 생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 생기는 알레르기 반응(과민성 반응)을 억제하므로, 착용자의 피부에 좋다.
제1 링부(41)는, 환형이며,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 및 타단(32b)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링부(42)는, 환형이며,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 및 타단(32b)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 링부(41)와 쌍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는, 금형 성형기에 의해 성형되는 평링(flat ring)이며, 소재로서 폴리아세탈을 사용함으로써, 고경도, 유연성 및 내열성을 겸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한 쌍의 조절 밴드부는,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제1 조절 밴드부(51)와 제2 조절 밴드부(52)]로 이루어진다.
제1 조절 밴드부(51)는, 제1 링부(41)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제1 보조 밴드부(31)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5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5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 이외로 파스닝 가능하다.
또한,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의 고정 위치 및 타단(51b) 측의 파스닝 위치는, 서포터(100)의 평 배열 상태[도 1의 (a) 참조]에서의, 자연 길이(natural length)의 제1 보조 밴드부(31)에 속박되는 제1 링부(41)의 가동역 중, 상기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 및 타단(31b)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굴곡부(31c)에 대하여,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는, 폴리프로필렌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PP 테이프를 기재로 하고, 돌출부(12)의 폭 방향(S)의 대략 중앙에서의 면 파스너(20)의 루프(21) 및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사이에서 제1 조절 밴드부(51)(기재)의 일단(51a)을 끼워넣고,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에 대한 루프(21)가 봉제와 동시에 일단(51a)이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는, 제1 조절 밴드부(51)(기재)의 타단(51b)에서의,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파스닝부[예를 들면, 면 파스너(20)의 루프(21)]에 대향하는 면에,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파스닝부에 파스닝하는 파스닝부[예를 들면, 면 파스너(20)의 훅(22b), 도 2의 (a) 참조)]를 봉제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측의 파스닝부로서 면 파스너(20)의 훅(22b)을 사용하고,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면 파스너(20)의 루프(21)에 파스닝하는 구성이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체부(10)의 상이한 면을 파스닝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스닝부로서, 면 파스너(20)의 루프(21) 및 훅(22a)을 사용하지는 않고, 전술한 버튼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측의 훅(22b)에 파스닝하는 면 파스너(루프)를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 이외[예를 들면, 제1 조절 밴드부(51) 상]에 새롭게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상이한 면을 파스닝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스닝부와,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을 본체부(10)의 돌출부(12)에 파스닝하는 파스닝부를 공통시키는 것은, 서포터(100)의 부재 점수 및 제조 단계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는, 타단(51b)으로 되는 기재의 단부를 되접고(리턴 구조), 면 파스너(20)의 훅(22b)을 되접음 부분(리턴 구조)에 중첩시켜 봉제함으로써, 타단(51b)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제1 링부(41)로부터의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가 타단(51b)을 파지하기 쉬워, 사용하기 쉬운 서포터(100)를 얻을 수 있다.
제2 조절 밴드부(52)는, 제2 링부(42)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5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5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 이외로 파스닝 가능하며, 제1 조절 밴드부(51)와 쌍을 이룬다.
또한,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의 고정 위치 및 타단(52b) 측의 파스닝 위치는, 서포터(100)의 평 배열 상태[도 1의 (a) 참조]에서의, 자연 길이의 제2 보조 밴드부(32)에 속박되는 제2 링부(42)의 가동역 중, 상기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 및 타단(32b)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굴곡부(32c)]에 대하여,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는, 폴리프로필렌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PP 테이프를 기재로 하고, 돌출부(12)의 폭 방향(S)의 대략 중앙에서의 면 파스너(20)의 루프(21) 및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사이에서 제2 조절 밴드부(52)(기재)의 일단(52a)을 끼워넣고,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에 대한 루프(21)가 봉제와 동시에 일단(52a)이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는, 제2 조절 밴드부(52)(기재)의 타단(52b)에서의,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파스닝부[예를 들면, 면 파스너(20)의 루프(21)]에 대향하는 면에,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파스닝부에 파스닝하는 파스닝부[예를 들면, 면 파스너(20)의 훅(22c), 도 2의 (a) 참조]를 봉제에 의해 형성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 측의 파스닝부로서 면 파스너(20)의 훅(22c)을 사용하고,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면 파스너(20)의 루프(21)에 파스닝하는 구성이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체부(10)의 상이한 면을 파스닝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스닝부로서, 면 파스너(20)의 루프(21) 및 훅(22a)을 사용하지는 않고, 전술한 버튼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 측의 훅(22c)에 파스닝하는 면 파스너(루프)를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 이외[예를 들면, 제2 조절 밴드부(52) 상]에 새롭게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상이한 면을 파스닝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스닝부와,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을 본체부(10)의 돌출부(12)에 파스닝하는 파스닝부를 공통시키는 것은, 서포터(100)의 부재 점수 및 제조 단계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는, 타단(52b)으로 되는 기재의 단부를 되접고(리턴 구조), 면 파스너(20)의 훅(22c)을 되접음 부분(리턴 구조)에 중첩시켜 봉제함으로써, 타단(52b)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제2 링부(42)로부터의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가 타단(52b)을 파지하기 쉬워, 사용하기 쉬운 서포터(100)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의 자연 길이가,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좌측 변(11c)]의 상단) 및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우측 변(11d)]의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길고, 제2 보조 밴드부(32)의 자연 길이가,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우측 변(11d)의 상단] 및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좌측 변(11c)]의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길다.
그러므로, 제1 보조 밴드부(31)는, 제1 조절 밴드부(51)[제1 링부(41)]로부터의 인장(引張)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이완 상태)에 있어서도, 만곡 부분 [제1 링부(41)에 걸어맞추어지는 굴곡부(31c)]가 생겨 있고, 서포터(100)를 착용해 제1 조절 밴드부(51)를 전방으로 압출(押出)하는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의 신장(伸長) 방향이 특정되어, 제1 보조 밴드부(31)의 신장 초기의 저항이 작아,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보조 밴드부(32)는, 이완 상태에 있어서도, 만곡 부분[제2 링부(42)에 걸어맞추어지는 굴곡부(32c)]이 생겨 있고, 서포터(100)를 착용해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경우에,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장 방향이 특정되어,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장 초기의 저항이 작아,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다음에, 서포터(100)의 본체부(10) 및 파스닝부[면 파스너(20)]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의 (b) 내지 도 3의 (d)에 있어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도시를 생략하고, 서포터(100)의 본체부(10)[돌출부(12)]의 신축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허리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뼈가 적층된 요추(201)와 골반(2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추(201)는, 복부에 있는 측복근 및 후복근 등의 복근군이나 뒤쪽에 있는 천배근(淺背筋) 및 심배근(深背筋) 등의 배근군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요통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허리 주위를 지지하고,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려 복강(203)의 압력을 높여, 요추(201)를 지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복강압 상승 효과).
또한,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요추(201)를 안정시키기도 하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부분에 가장 부담이 가는 후굴의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요추(201)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후굴 억제).
또한, 양 측면 측으로부터 장골(205)에 압력을 가하여 선장 관절(206)을 조임으로써, 요추(201)의 베이스인 선골(仙骨; sacrum)(204)의 요동(搖動)을 억제할 수 있다(선장 관절의 안정).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상저)의 양단에 있는 코너부를 만곡시킨 대략 등각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이며, 등접촉부(11)의 좌측 변(11c) 및 우측 변(11d)에 대하여 좌우의 돌출부(12)의 길이 방향(L)이 대략 수직이다. 이로써, 착용자가 서포터(100)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가 착용자의 등부에서의 요추(201)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돌출부(12)[상변(12a)]이 착용자의 앞복부에서의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아래쪽과 착용자의 측복부에서의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장골(205)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체부(10)의 등접촉부(11)가 착용자의 요추(201)를 지지하면서, 본체부(10)의 돌출부(12)가 늑골(207)에 방해받지 않고 복강(203)을 압압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는 동시에, 허리 부분의 후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00)는, 본체부(10)의 돌출부(12)가 착용자의 앞복부에서의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고, 늑골(207)을 압압하지 않으므로, 허리 부분의 전굴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아, 전굴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일상 동작에 지장이 없는 동시에), 착용자의 위를 압압하지 않으므로, 위(胃)에 대한 압박감이 없어, 서포터(100)의 장착감이 양호하다.
특히, 서포터(100)는,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S)의 신축성을 억제한 돌출부(12)를 사용한다. 이로써, 도 3의 (b) 및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신축력이 전복부로부터 측복부에 걸쳐 경사 위쪽(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복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리고, 늑골(207) 내부의 내장(內臟)을 더 밀어올리고, 내장에 가해진 압력을 등뼈에 전파하여, 등뼈를 내측으로부터도 지지함으로써, 복강압 상승 효과 및 후굴 억제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0)의 돌출부(12)는, 좌우의 신축부(12d) 측으로부터 장골(205)을 압압하여, 선장 관절(206)을 조여, 선장 관절(206)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서포터(100)를 착용한 경우에, 본체부(10)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은, 착용자의 앞복부에 위치하므로, 본체부(10)의 양단이 착용자의 앞복부를 압압하게 된다. 이 본체부(10)[돌출부(12)]의 양단에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면 파스너(20)[루프(21)]가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복강(203)에 주어지는 압력이 돌출부(12)의 신장에 의해 돌출부(12)의 길이 방향(L)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강(203)에 대하여 압력을 집중하여 부여할 수 있어, 복강압 상승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상변(12a)[하변(12b)]과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상변(12a)[하변(12b)]이 대략 V자 형상으로 되도록 착용하는 것(V자형 착용 상태)에 의해, 착용자의 하복부를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가 있어, 복강압 상승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서포터(100)가, 본체부(10) 및 파스닝부[면 파스너(20)]에 더하여,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서포터(100)의 착용 수순과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는, 등접촉부(11)의 내부에 개구부(11e)를 통하여 압압부(60)를 삽입하고, 제1 조절 밴드부(51)의 훅(22b)과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와의 파스닝을 풀어, 제2 조절 밴드부(52)의 훅(22c)과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와의 파스닝을 푼 상태로 한다.
그리고, 착용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등접촉부(11)를 착용자의 뒤쪽(제5 요추 근방)에 지지시킨 후, 돌출부(12)의 신축부(12d)를 길이 방향(L)의 신장의 한계까지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10)를 좌측단(10a) 측으로부터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권취시킨 후에, 우측단(10b) 측으로부터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권취시켜,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훅(22a)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파스닝한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1 조절 밴드부(51)[제1 링부(4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제2 링부(42)]로부터의 인장 하중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이완 상태(자연 길이)이며, 등접촉부(11)를 압압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착용자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을 한 손으로 각각 파지하여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한다.
이 경우에, 제1 링부(41)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의 동작에 추종하여 제1 조절 밴드부(51) 상을 미끄러져, 제1 보조 밴드부(31)가 신축성을 가지므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 보조 밴드부(31)는, 제1 링부(41)의 동작에 추종하여 신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링부(42)는,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의 동작에 추종하여 제2 조절 밴드부(52) 상을 미끄러져, 제2 보조 밴드부(32)가 신축성을 가지므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2 링부(42)의 동작에 추종하여 신장된다.
또한,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는, 제1 보조 밴드부(31), 제1 링부(41)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제2 링부(4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에 의해, 등접촉부(11)[그로그랭 테이프(13)] 및 면 파스너(20)[루프(21)]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에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축성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부(12d)를 길이 방향(L)의 신장의 한계까지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훅(22a)을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파스닝하고 있으므로, 신장된 신축부(12d)가 줄어들기 시작하기 전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신장하기 시작하게 되어, 신축부(12d)의 신장의 분만큼 등접촉부(11) 및 루프(21)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가 있어, 신축부(12d)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는, 굴곡부(31c) 및 타단(31b) 사이의 봉제 고무의 신장이 한계값에 도달하면, 제1 링부(41)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굴곡부(31c) 및 일단(31a) 사이의 봉제 고무를 타단(31b) 측으로 송출하여, 일단(31a) 측의 봉제 고무와 타단(31b) 측의 봉제 고무가 서로 보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조 밴드부(32)는, 굴곡부(32c) 및 타단(32b) 사이의 봉제 고무의 신장이 한계값에 도달하면, 제2 링부(42)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굴곡부(32c) 및 일단(32a) 사이의 봉제 고무를 타단(32b) 측으로 송출하여, 일단(32a) 측의 봉제 고무와 타단(32b) 측의 봉제 고무가 서로 보완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는, 허리 부분에 대한 원하는 체결 감을 얻을 수 있었던 단계에서, 제1 조절 밴드부(51)의 훅(22b)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에 파스닝하여, 제2 조절 밴드부(52)의 훅(22c)과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파스닝한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1 조절 밴드부(51)[제1 링부(4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제2 링부(42)]로부터의 인장 하중을 받고 있으므로, 긴장(緊張) 상태이며, 일단(31a, 32a), 타단(31b, 32b) 및 굴곡부(31c, 32c)의 3점 지지에 의한 등접촉부(11) 상에서 교차함으로써,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전체로 등접촉부(11)를 압압하고, 착용자의 허리 전체를 등접촉부(11)로 지지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이,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에 대하여,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에 있고,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이,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에 대하여,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등접촉부(11)의 중심으로부터 위쪽, 즉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서 교차하게 된다(크로스 테이핑 구조).
그리고,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은, 본체부(10)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의 면 파스너(20)[루프(21)]로부터 착용자의 복강(203)에 대하여 경사 위쪽으로 부여하는 압압력(押壓力)을 받는 지지체로서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서 교차하고, 교차 부분에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중첩되어 큰 압압력을 등접촉부(11)를 통하여 착용자의 하복부를 향해 경사 아래쪽에 부여하고, 교차 부분과 면 파스너(20)[루프(21)]와의 샌드위치 구조에 의해, 서포터(100)에 의한 허리 부분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에 대하여,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맞닿아 있지 않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에 의한 직접적 압압력이 등접촉부(11)에 부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은, 등접촉부(11)에 인장 하중을 더하고, 이 인장 하중은, 등접촉부(11)의 면에서 분산되어,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의 폭넓은 범위에 작은 압압력으로서 착용자의 등부에게 주어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등접촉부(11)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착용자의 등부에 있어서 가장 압압해야 할 부분(제5 요추 근방)을 효율적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대한 착용자의 체표(體表)로부터의 서포터(100)의 들뜸을 억제하면서,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도 약간의 압압력을 부여하여, 서포터(100)의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로서, 일단(3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좌측 변(11c)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3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우측 변(11d)의 하단에 고정되고, 또한 제2 보조 밴드부(32)로서, 일단(3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우측 변(11d)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3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좌측 변(11c)의 하단에 고정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포터(100)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로서, 일단(3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좌측 변(11c)]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3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좌측 변(11c)]의 하단)에 고정되고, 또한 제2 보조 밴드부(32)로서, 일단(3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우측 변(11d)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3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우측 변(11d)]의 하단)에 고정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으로서, 제2 보조 밴드부(32)가 제1 보조 밴드부(31) 상을 걸치는 구성을, 도 7의 (a), 도 7의 (e) 및 도 7의 (f)에 도시하고 있지만, 제1 보조 밴드부(31)가 제2 보조 밴드부(32) 상을 걸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의 교차 부분에서 제1 보조 밴드부(31)가 제2 보조 밴드부(32) 상을 걸치고,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의 교차 부분에서 제2 보조 밴드부(32)가 제1 보조 밴드부(31) 상을 걸치는 구성이라도 되고, 그 반대의 구성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포터(100)를 허리용의 서포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부용 서포터, 골반용 서포터, 또는 장골용(腸骨用) 서포터 등의 서포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8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c)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도 8의 (d)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도 8의 (e)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상측면도이며, 도 8의 (f)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의 (b)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9의 (c)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며, 도 9의 (d)는 도 8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0의 (b)는 도 9의 (b)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10의 (c)는 도 9의 (c)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며, 도 10의 (d)는 도 9의 (d)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도 1, 도 5 및 도 6과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은,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하변(12b) 측에 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은,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하변(12b) 측에 접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이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하변(12b) 측에 접하여 고정되는 곳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이며, 후술하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의 고정 위치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상태에서, 착용자가,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을 한 손으로 각각 파지하여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하고, 서포터(100)를 착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착용자에 따라서는,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에 힘을 가하기 쉬워,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하변(12b)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하변 교차 방향이라고 함)으로 압출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서포터(100)에 있어서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 및 제1 링부(41) 사이에서의 제1 조절 밴드부(51)의 연장 방향과 제1 조절 밴드부(51)를 압출하는 방향[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및 제1 링부(41) 사이에서의 제1 조절 밴드부(51)의 연장 방향]이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서포터(100)에 있어서는,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 및 제2 링부(42) 사이에서의 제2 조절 밴드부(52)의 연장 방향과 제2 조절 밴드부(52)를 압출하는 방향[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 및 제2 링부(42) 사이에서의 제2 조절 밴드부(52)의 연장 방향]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압출하는 동작에 추종하여,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가 회전하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가 비틀려져 버려, 등접촉부(11)에 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에 의한 압압력이나 인장 하중이 불충분(불균일)하게 되어,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이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하변(12b) 측에 접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 및 제1 링부(41) 사이에서의 제1 조절 밴드부(51)의 연장 방향과 제1 조절 밴드부(51)를 압출하는 방향[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및 제1 링부(41) 사이에서의 제1 조절 밴드부(51)의 연장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이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하변(12b) 측에 접하여 고정됨으로써,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 및 제2 링부(42) 사이에서의 제2 조절 밴드부(52)의 연장 방향과 제2 조절 밴드부(52)를 압출하는 방향[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 및 제2 링부(42) 사이에서의 제2 조절 밴드부(52)의 연장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압출하는 동작에 추종하여,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가 회전하지 않고, 제1 링부(41)가 제1 조절 밴드부(51) 상을 미끄러지고, 제2 링부(42)가 제2 조절 밴드부(52) 상을 미끄러지게 되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가 비틀리지 않고,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11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 및 제2 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도 11의 (c)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11의 (d)는 도 1의 (a), 도 7의 (a) 또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제1 링부 및 제2 링부를 도 11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로 교환한 경우에서의 제1 링부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1의 (e)는 도 11의 (d)에 나타낸 부분 확대도에 있어서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41)는,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하여 병설되는 2개의 관통공[제1 장공(長孔)(41a), 제2 장공(41b)]을 가진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한 관통공이란, 제1 링부(41)의 슬라이딩 이동에 영향이 없고, 관통공[제1 장공(41a), 제2 장공(41b)] 내에서, 밴드부[제1 보조 밴드부(31), 제1 조절 밴드부(51)] 자체가 비틀림 없는 구멍의 크기인 것을 의미한다. 즉, 관통공의 길이를 밴드부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로부터 제1 링부(41)에 생기는 합력(合力)을 균형잡히게 할 수 있고, 관통공의 폭을 밴드부의 두께에 대하여 1.5배∼2.0배로 함으로써,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폭을 약 50㎜로 하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두께를 약 1.5㎜로 한 경우에는, 제1 링부(41)에서의 제1 장공(41a) 및 제2 장공(41b)의 길이를 약 50㎜로 하고, 제1 링부(41)에서의 제1 장공(41a) 및 제2 장공(41b)의 폭을 약 2.5㎜로 함으로써, 서포터(100)의 착용 시에, 제1 조절 밴드부(51)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압출하는 경우에도,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가 비틀리지 않고, 제1 조절 밴드부(51)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의 (d) 및 도 11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를, 제1 링부(41)의 2개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예를 들면, 제1 장공(41a)에 느슨하게 삽입된 경우에는, 제1 조절 밴드부(51)는, 제1 링부(41)의 2개의 관통공 중 다른 관통공[제2 장공(41b)]에 느슨하게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링부(42)는,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하여 병설되는 2개의 관통공[제1 장공(42a), 제2 장공(42b)]을 가진다.
그리고,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한 관통공이란, 제2 링부(42)의 슬라이딩 이동에 영향이 없고, 관통공[제1 장공(42a), 제2 장공(42b)] 내에서, 밴드부[제2 보조 밴드부(32), 제2 조절 밴드부(52)] 자체가 비틀림 없는 구멍의 크기인 것을 의미한다. 즉, 관통공의 길이를 밴드부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로부터 제2 링부(42)에 생기는 합력을 균형잡히게 할 수 있고, 관통공의 폭을 밴드부의 두께에 대하여 1.5배∼2.0배로 함으로써,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폭을 약 50㎜로 하고,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두께를 약 1.5㎜로 한 경우에는, 제2 링부(42)에서의 제1 장공(42a) 및 제2 장공(42b)의 길이를 약 50㎜로 하고, 제2 링부(42)에서의 제1 장공(42a) 및 제2 장공(42b)의 폭을 약 2.5㎜로 함으로써, 서포터(100)의 착용 시에, 제2 조절 밴드부(52)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압출한 경우에도,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가 비틀리지 않고, 제2 조절 밴드부(52)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보조 밴드부(32)를, 제2 링부(42)의 2개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예를 들면, 제1 장공(42a)]에 느슨하게 삽입한 경우에는, 제2 조절 밴드부(52)는, 제2 링부(42)의 2개의 관통공 중 다른 관통공[제2 장공(42b)]에 느슨하게 삽입된다.
제2 실시형태로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에 따라서는,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압출하는 경우도 고려되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가 비틀리는 것에 의해,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가 2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1 조절 밴드부(51)가 제1 링부(41)의 상이한 관통공[제1 장공(41a), 제2 장공(41b)]에 각각 느슨하게 삽입되고, 제2 보조 밴드부(32)와 제2 조절 밴드부(52)가 제2 링부(42)의 상이한 관통공[제1 장공(42a), 제2 장공(42b)]에 각각 느슨하게 삽입된다.
그러므로, 보조 밴드부[제1 보조 밴드부(31), 제2 보조 밴드부(32)]와 조정 밴드부[제1 조절 밴드부(51), 제2 조절 밴드부(52)]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도 회전하지 않고, 각 관통공 내에서 밴드부[제1 보조 밴드부(31), 제1 조절 밴드부(51), 제2 보조 밴드부(32), 제2 조절 밴드부(52)] 자체가 비틀리는 경우도 없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를 만족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가 2개의 관통공을 가지는 곳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이며, 상기한 2개의 관통공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조합함으로써,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를 더욱 만족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는, 상기한 2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으면, 링부 전체의 형상이나, 제1 장공과 제2 장공의 위치나 형상 등이 좌우 대칭일 필요는 없지만, 생산 효율이나 저비용 등의 이유에서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우 대칭인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가 3개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는,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에 봉제된 제1 봉제부를 가진다.
제1 봉제부의 형성 위치는, 제1 보조 밴드부(31)가 자연 길이인 서포터(100)의 평 배열 상태[도 1의 (a), 도 7의 (a), 도 8의 (a) 참조]에 있어서, 타단(31b)과 굴곡부(31c)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굴곡부(31c) 근방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굴곡부(31c)로부터 약 20㎜ 부근에, 제1 링부(41)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제1 보조 밴드부(31)를 횡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봉제부에 사용되는 실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우레탄사, 폴리프로필렌사 및 나일론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봉제부는, 제1 링부(41)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제1 보조 밴드부(31)를 횡단하도록 형성되지만, 제1 링부(41)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선 상에 형성되는 것이면, 산점형(散点形; scattered-dot shape)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제1 보조 밴드부(31)를 횡단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는,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에 봉제된 제2 봉제부를 가진다.
제2 봉제부의 형성 위치는, 제2 보조 밴드부(32)가 자연 길이인 서포터(100)의 평 배열 상태[도 1의 (a), 도 7의 (a), 도 8의 (a) 참조]에 있어서, 타단(32b)과 굴곡부(32c)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굴곡부(32c) 근방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굴곡부(32c)로부터 약 20㎜ 부근에, 제2 링부(42)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제2 보조 밴드부(32)를 횡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봉제부에 사용되는 실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우레탄사, 폴리프로필렌사 및 나일론 이토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봉제부는, 제2 링부(42)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제2 보조 밴드부(32)를 횡단하도록 형성되지만, 제2 링부(42)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선 상에 형성되는 것이면, 산점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제2 보조 밴드부(32)를 횡단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에 따라서는,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하변 교차 방향으로 압출하는 경우도 고려되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가 비틀리는 것에 의해,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신축부(12d)에 각각 봉제되어 있어,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의 가동역이 제한되므로,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의 회전을 억제하여,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가 비틀리지 않아,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신축부(12d)에 각각 봉제되어 있는 곳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이며, 제1 봉제부 및 제2 봉제부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 및/또는 제3 실시형태와 조합함으로써, 서포터(100)에 의한 원하는 효과를 더욱 만족하게 얻을 수 있다.
10 본체부
10a 좌측단
10b 우측단
11 등접촉부
11a 상변
11b 하변
11c 좌측 변
11d 우측 변
11e 개구부
11f 라셀 메쉬
11g 크로쉐 편지
12 돌출부
12a 상변
12b 하변
12c 파워 네트 생지
12d 신축부
12e 비신축부
13 그로그랭 테이프
14 바인더 테이프
20 면 파스너
21 루프
22a, 22b, 22c 훅
31 제1 보조 밴드부
31a 일단
31b 타단
31c 굴곡부
32 제2 보조 밴드부
32a 일단
32b 타단
32c 굴곡부
41 제1 링부
41a 제1 장공
41b 제2 장공
42 제2 링부
42a 제1 장공
42b 제2 장공
51 제1 조절 밴드부
51a 일단
51b 타단
52 제2 조절 밴드부
52a 일단
52b 타단
60 압압부
61 상저
62 하저
63 오목부
100 서포터
201 요추
202 골반
203 복강
204 선골
205 장골
206 선장 관절
207 늑골

Claims (7)

  1.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부에 접촉되는 등접촉부(back-contact section);
    상기 등접촉부의 양측으로부터 좌우에 선단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에 환형(環形)의 링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보조 밴드부; 및
    상기 보조 밴드부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조절 밴드부;
    를 포함하는 서포터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등접촉부에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밴드부의 양단은, 상기 등접촉부의 상변과 측변의 하단에 상기 2개의 밴드형체가 교차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조절 밴드부는, 각각 상기 보조 밴드부에 배치한 환형의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좌우의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에 고정되고, 타단에 파스닝부(fastening portion)를 구비하는,
    서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접촉부 및 상기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안감면(lining surface)에 맞닿아 주회(周回)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비(非)신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밴드부가,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表地面)에서의 상기 등접촉부의 좌측 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등접촉부의 측변의 한쪽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보조 밴드부와,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등접촉부의 우측 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등접촉부의 측변의 다른 쪽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 보조 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의 링부가, 상기 제1 보조 밴드부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1 링부와, 상기 제2 보조 밴드부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2 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조절 밴드부가, 상기 제1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우단측의 상기 돌출부의 비신축부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우단측의 상기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로 파스닝(fastening) 가능한 제1 조절 밴드부와, 상기 제2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좌단측의 상기 돌출부의 비신축부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좌단측의 상기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로 파스닝 가능한 제2 조절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서포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밴드부의 자연 길이(natural length)가, 상기 등접촉부의 좌측 변의 상단 및 상기 등접촉부의 측변의 한쪽의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길고,
    상기 제2 보조 밴드부의 자연 길이가, 상기 등접촉부의 우측 변의 상단 및 상기 등접촉부의 측변의 다른 쪽의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긴, 서포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 밴드부가, 상기 등접촉부의 상변 근방에서 교차하는, 서포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판형체로 이루어지는 압압부(押壓部)를 구비하고,
    상기 등접촉부가 개구부를 가지는 백형체(bag-like body)이며, 상기 백형체의 내부에 상기 압압부를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서포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밴드부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의 하변 측에 접하여 고정되는, 서포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링부가, 상기 보조 밴드부 및 조절 밴드부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하여 병설되는 2개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보조 밴드부가, 상기 2개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절 밴드부가, 상기 2개의 관통공 중 다른 관통공에 느슨하게 삽입되는, 서포터.
KR1020147009620A 2011-12-09 2012-12-07 서포터 KR20140102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0553 2011-12-09
JP2011270553 2011-12-09
JP2012087298A JP5777557B2 (ja) 2011-12-09 2012-04-06 サポーター
JPJP-P-2012-087298 2012-04-06
PCT/JP2012/081775 WO2013085027A2 (ja) 2011-12-09 2012-12-07 サポータ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676A Division KR101894346B1 (ko) 2011-12-09 2012-12-07 서포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641A true KR20140102641A (ko) 2014-08-22

Family

ID=485750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676A KR101894346B1 (ko) 2011-12-09 2012-12-07 서포터
KR1020147009620A KR20140102641A (ko) 2011-12-09 2012-12-07 서포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676A KR101894346B1 (ko) 2011-12-09 2012-12-07 서포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335306B2 (ko)
EP (1) EP2789316B1 (ko)
JP (1) JP5777557B2 (ko)
KR (2) KR101894346B1 (ko)
CN (2) CN103987344A (ko)
EA (1) EA027631B1 (ko)
ES (1) ES2664623T3 (ko)
HK (1) HK1216138A1 (ko)
MY (2) MY193178A (ko)
PH (1) PH12014501248A1 (ko)
SG (1) SG11201402469YA (ko)
TW (1) TWI551264B (ko)
WO (1) WO201308502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18B1 (ko) * 2015-03-25 2016-07-05 이성종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2809B1 (fr) * 2009-11-25 2011-12-23 Gibaud Ceinture de soutien lombaire
MX2016011564A (es) 2014-03-07 2017-01-12 Aspen Medical Partners Llc Soporte teniendo porciones elasticas e inelasticas.
JP6544774B2 (ja) * 2014-07-01 2019-07-17 興和株式会社 サポーター
JP6489470B2 (ja) * 2014-09-30 2019-03-27 株式会社 アドヴァンシング 腰用サポーター
JP6462362B2 (ja) * 2015-01-08 2019-01-30 ダイヤ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腰ベルト
JP1541684S (ko) * 2015-06-26 2016-01-18
WO2017163303A1 (ja) * 2016-03-22 2017-09-28 ダイヤ工業株式会社 腰ベルト
JP6757161B2 (ja) * 2016-03-31 2020-09-16 中山式産業株式会社 骨盤補強ベルト
JP6534182B1 (ja) * 2019-04-15 2019-06-26 株式会社ホスピタリティホールディングス 骨盤矯正帯およびそれを用いた骨盤矯正具
TW202106186A (zh) 2019-04-25 2021-02-16 日商興和股份有限公司 護具及芯部
USD946156S1 (en) * 2019-09-12 2022-03-15 Bauerfeind Ag Back support
USD947389S1 (en) * 2019-10-29 2022-03-29 The New Genius (Sz) Technology Co., Limited Belt
USD937428S1 (en) * 2019-12-12 2021-11-30 Hoi Ming Michael HO Multi-functional back relief belt
US11606995B1 (en) * 2020-08-14 2023-03-21 Aspen Defense LLC Dynamically expandable rigid waistband system
USD1013182S1 (en) * 2021-03-02 2024-01-30 Hexin Holding Limited Waist band
USD947391S1 (en) * 2021-05-12 2022-03-29 Guangzhou Zeqin Trading Co., Ltd. Back brace belt
USD1001292S1 (en) * 2021-06-21 2023-10-10 Direct Global Suppliers Ltd. Sacroiliac belt
USD967444S1 (en) * 2021-12-07 2022-10-18 Haiying Fu Hip bel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309A (en) * 1936-10-20 1938-05-17 Lewis A Fritsch Belt support
US3096760A (en) * 1960-10-31 1963-07-09 H G Entpr Sacroiliac support
GB956754A (en) * 1963-01-28 1964-04-29 Henry G Nelkin Sacroiliac support
US3603316A (en) * 1970-05-08 1971-09-07 Ira S Lehman Abdominal belt
ES188538Y (es) * 1973-02-09 1974-09-16 Eurocorset, S. A. Faja-pantalon perfeccionada.
US3927665A (en) * 1974-06-21 1975-12-23 Jerome R Wax Lumbo-sacral support
US3920008A (en) * 1974-08-08 1975-11-18 Ira S Lehman Support belt
US3926183A (en) * 1974-11-27 1975-12-16 All Orthopedic Appliances Inc Dorsal lumbo sacral support
US4836194A (en) * 1986-08-29 1989-06-06 Safeguard Industrial Corporation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JP2589402B2 (ja) * 1990-07-25 1997-03-12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リッププリンタ
US5147261A (en) * 1991-03-06 1992-09-15 Florida Orthopedics, Inc. Lifting belt
US5334134A (en) * 1991-06-21 1994-08-02 The Saunders Group Lumbosacral back support releasably secured to a stabilizing belt
JPH0637316U (ja) 1992-10-23 1994-05-17 カルタス株式会社 腰保護帯具
JP3067532B2 (ja) * 1994-07-14 2000-07-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及び窒素酸化物濃度測定装置
JPH08182794A (ja) * 1994-12-28 1996-07-16 Nichiban Co Ltd 腰部用サポ−タ−
US5722940A (en) * 1996-07-16 1998-03-03 Medical Specialties, Inc. Industrial back support
JPH10277075A (ja) * 1997-04-08 1998-10-20 Dia Corp:Kk 腰部用保護ベルト
JP3793778B2 (ja) * 1997-10-03 2006-07-05 ダイヤ工業株式会社 腰椎帯
JP3067532U (ja) * 1999-09-20 2000-04-07 育夫 萩原 サポ―タ
FR2932082B1 (fr) * 2008-06-09 2011-11-25 Thuasne Dispositif de soutien, notamment lombaire
TWM350339U (en) * 2008-06-17 2009-02-11 Yi-Hua Shen Human body support structure
US8057417B2 (en) * 2009-03-09 2011-11-15 Daiya Industry Co., Ltd. Lower back supporter
JP2010207436A (ja) * 2009-03-11 2010-09-24 Seraphic Kk 腰用サポータ
US8633993B2 (en) 2009-04-30 2014-01-21 Hoya Corporation Flexible wiring board mounting structure of an image shake correcting apparatus
JP5515395B2 (ja) * 2009-05-01 2014-06-11 株式会社ワコール 姿勢改善サポート衣類
DE102009029804B4 (de) * 2009-06-18 2013-09-19 Otto Bock Healthcare Gmbh Stützeinrichtung
JP5597384B2 (ja) 2009-11-18 2014-10-01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TWM416451U (en) * 2011-05-30 2011-11-21 qing-yao Lin Improvement of belt for tying wai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18B1 (ko) * 2015-03-25 2016-07-05 이성종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8474A1 (en) 2014-09-25
EP2789316A2 (en) 2014-10-15
WO2013085027A3 (ja) 2013-09-26
CN103987344A (zh) 2014-08-13
MY193178A (en) 2022-09-26
KR20170118974A (ko) 2017-10-25
KR101894346B1 (ko) 2018-09-04
EP2789316B1 (en) 2018-02-28
ES2664623T3 (es) 2018-04-20
CN105361987B (zh) 2018-01-09
EA027631B1 (ru) 2017-08-31
PH12014501248A1 (en) 2014-09-08
JP5777557B2 (ja) 2015-09-09
TWI551264B (zh) 2016-10-01
HK1216138A1 (zh) 2016-10-21
MY168802A (en) 2018-12-04
SG11201402469YA (en) 2014-09-26
EA201491141A1 (ru) 2014-12-30
EP2789316A4 (en) 2015-08-12
TW201328652A (zh) 2013-07-16
WO2013085027A2 (ja) 2013-06-13
US10335306B2 (en) 2019-07-02
CN105361987A (zh) 2016-03-02
JP2013138823A (ja)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346B1 (ko) 서포터
TWI516253B (zh) Support
JP6544774B2 (ja) サポーター
JP6489470B2 (ja) 腰用サポーター
JP6018673B2 (ja) サポーター
JP6994708B2 (ja) サポーター
TW202106186A (zh) 護具及芯部
JP2005113311A (ja) ガ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R Withdrawal of patent application after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