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452A -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 - Google Patents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452A
KR20140101452A KR1020127033506A KR20127033506A KR20140101452A KR 20140101452 A KR20140101452 A KR 20140101452A KR 1020127033506 A KR1020127033506 A KR 1020127033506A KR 20127033506 A KR20127033506 A KR 20127033506A KR 20140101452 A KR20140101452 A KR 2014010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yeing machine
air flow
con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추이 탁 밍
Original Assignee
팔머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팔머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팔머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14Containers, e.g. v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air flow dye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색기는 메인 키어, 다수의 리프팅 릴들, 2 세트 이상의 공기 블로어들, 및 그들의 독립적 노즐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블로어들은 키어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그들의 유출부는 각각의 노즐 조립체의 공기 유입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블로어는 최단 경로를 갖는 노즐 조립체에 연결된다. 각각의 블로어는 전자 제어 시스템들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노즐 조립체 내측의 하부 노즐 콘과 상부 노즐 콘 사이의 공간은 제 1 노즐 갭을 형성하며, 차단 링 및 하부 노즐 콘의 테일(tail) 사이의 공간은 제 2 노즐 갭을 형성한다. 하부 노즐 콘과 차단 링 사이에는 편자형 차단판(horseshoe block plate)이 존재하여, 공기가 노즐의 하단부에서 블로우 아웃(blow out)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혁신적인 스프레이 노즐 장치 및 다수의 스프레잉 모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염색의 효율성 및 품질을 크게 개선시키고, 전기 소비를 저감시키며, 보다 큰 작업적 융통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AIR FLOW DYEING MACHINE WITH INDIVIDUAL BLOWER PER CHAMBER}
본 발명은 대체로 일 종류의 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염료 챔버 마다 개별 공기 블로어들이 구비된 새로운 종류의 공기 유동 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환경 보호 정책들의 심화 및 강화에 의해, 전통적인 염색 응용예들 및 방법들은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발전을 필요로 한다. 본 공기 유동 염색기(본 발명)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개발되었다. 이는 적은 욕비(liquor ration), 높은 효율성 및 괄목할만한 염색 성능으로 유명하다.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는 폐쇄-루프 공기 블로어로부터의 높은 공기압에 의하여 패브릭(fabric)이 움직인다. 이 타입의 기구의 작동 공정에는, 리쿼 기화(liquor vaporization) 및 가압 침투(pressurized penetration)에 의해 패브릭을 염색하는 2 가지 형태의 주요 기술들이 존재한다. 액체 증발의 공정에서, 염색 리쿼는 펌프에 의해 스프레이 노즐들을 통해 유도되고 기화된다. 그 다음, 증기가 고압 제트 스트림으로 패브릭 상에 분사되고, 패브릭에 침투하여 균등하게 확산된다(가압 침투). 염색 공정에서, 패브릭은 리쿼 내에 담궈지는 대신 리쿼를 수용한다(carry). 초과 리쿼는 키어(kier)의 바닥에서 수집되는 한편, 패브릭은 테프론 튜브들 또는 컨베이어 상에 쌓아 올려지고(piling up) 서서히 전진 이동한다.
공기 유동 염색기는 염색 동안의 욕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나, 그것의 높은 전기 소모는 사용자들을 주저하게 한다. 몇몇 제조자들은 단순히 덜 강력한 블로어들을 선택하고는 그들이 에너지를 덜 소비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 그 염색기의 적응성은 떨어진다. 블로어의 파워는 염색 공정들의 대부분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블로어의 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은, 특히 고 GSM(Gram per Square Meter) 패브릭 상에서의 염색의 수준 및 품질에 불가피하게 영향을 미친다.
오늘날, 공기 유동 염색기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염료 챔버들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하나의 블로어 디자인에 맞추어져 있다. 이는, 불균일한 공기압 분배, 및 저급한 품질의 염색을 초래한다. 또한, 긴 분배 덕트는 마찰을 유발시키고 공기 유동에 손실을 야기하며, 이는 블로어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단일 뱃치에서의 패브릭 루프의 상이한 속도 요건들, 예를 들어 상이한 패브릭 길이들이 존재할 경우, 현재의 구조로는 염색기에 단 하나의 단일 블로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없다.
단일 블로어 구조에서는, 추가적인 증가는 블로어의 능력을 초과하기 때문에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의 염료 챔버들의 최대 수는 6 개이다.
단일 블로어 구조에서는, 염색기가 저감된 부하(loading)를 가지고 작동되고 있는 경우에도, 로딩되든 로딩되지 않든 공기가 염료 챔버들에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하기 때문에 블로어의 파워는 여전히 저감될 수 없다.
단일 블로어 구조에서는, 하나의 챔버가 멈추어야 할 경우, 다른 챔버들도 함께 멈추어야 한다. 이는 염색 결과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된 문제들은 현재의 공기 유동 염색기의 발전과 효율성을 크게 제한한다. 더욱이, 상기 문제들은 이용에 있어서의 융통성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현대의 염색 기술들을 충족시키는 에너지-절약형 공기 유동 염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인 키어, 리프팅 릴들, 및 파이프들을 포함하는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염색기는 적어도 2 개의 블로어들 및 그에 이웃하는 노즐 조립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든 단일 블로어의 일 단부는 개별 흡입 파이프에 연결되는 한편, 다른 단부는 대응되는 노즐 조립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블로어들이 하향하는 유입부를 갖는 메인 키어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메인 키어에 연결되며, 유출부가 노즐 조립체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블로어들은 각각의 시동, 정지 및 유출 압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전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가능하다.
본 발명은 모든 블로어가 자체 공기 필터를 구비한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노즐 조립체가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최상부에서는 리프팅 릴 하우징에 연결되고 바닥에서는 메인 키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술된 노즐 조립체가 노즐 하우징, 상부 노즐 콘, 하부 노즐 콘, 편자형 차단판, 차단 링, 연결 파이프들을 갖는 2 세트 이상의 스프레잉 노즐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부 노즐 콘 및 하부 노즐 콘이 연결 판을 이용하여 노즐 하우징 내측에 동심적으로 설치된다. 상부 노즐 콘과 하부 노즐 콘 사이의 공간은 제 1 노즐 갭이다. 갭의 폭은 노즐 콘들 간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노즐 하우징의 후방에 차단 링이 존재하고, 차단 링과 하부 노즐 콘 사이의 공간이 제 2 노즐 갭을 형성한다. 하부 노즐 콘과 차단 링 사이에는 편자형 차단판이 존재하여, 노즐의 하단부에서 공기가 블로우 아웃(blow out)되게 한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노즐 조립체에 상이한 유량(flow volume)을 갖는 2 세트 이상의 스프레잉 노즐들이 존재한다. 각 세트의 스프레잉 노즐들은 연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된다. 각 세트의 파이프의 개방/폐쇄는 개별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은 개별 블로어들을 갖는 다중-튜브 공기 유동 염색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스프레이어 노즐이, 유입부, 제 1 채널, 제 2 채널, 제 3 채널, 및 유출부로 이루어진다. 제 1 채널은 제 2 채널을 통해 제 3 채널에 연결된다. 제 3 채널의 바닥에는 다수의 기화 차단부들(vaporising blocks)이 고정되어 있다. 유출부는 제 3 채널에 연결된다.
기존의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는, 블로어가 염색기의 측부분에 배치되는 반면, 본 발명의 블로어들은 그들이 최단 경로로 노즐 조립체들에 연결되도록 노즐 조립체 옆의 챔버들 사이에 배치된다. 기존의 기계들과 비교하여, 연결 경로가 단축되어, 저항으로 인한 압력 손실이 최소화된다. 또한, 공기 소스는 메인 키어로부터 구성되어(draw) 공기 순환의 폐쇄 루프를 형성하며 열 손실을 방지하고 효율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 다수 블로어들의 설치된 파워는 기존 염색기의 파워보다 훨씬 작고, 심지어 모든 작은 블로어들의 파워의 전체 합도 기존 염색기의 힘보다 훨씬 더 작지만, 순환하는 패브릭을 이동시키기에 적정한 파워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모든 블로어 상에는 개별 공기 필터들이 존재하여, 필터링 효과가 기존 염색기에서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다.
기존의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는, 블로어가 높은 파워로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블로어의 파워가 훨씬 더 작지만, 그럼에도 바람직한 염색 결과들을 달성한다. 이는 전기 및 에너지를 절감시킨다. 기존의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는, 모든 염료 챔버들이 단일 블로어에 의하여 기능하기 때문에, 부하가 저감된 경우, 즉 단일 뱃치 내에 1 이상의 빈 염료 챔버들을 갖는 경우에도 블로어의 파워가 여전히 아래로 조정될 수 없어서 비효율성과 에너지의 낭비를 야기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염료 챔버가 개별 블로어에 의해 기능을 하며, 단일 챔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것의 각각의 블로어의 스위치가 꺼져 값비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의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는, 챔버들이 단일 블로어에 의해 기능을 하기 때문에 하나의 챔버에서 엉킴(tangling)이 발생할 경우, 다른 챔버들 모두가 정지되어야 한다. 이는 모든 챔버들의 정상적인 염색 절차에 영향을 미치며 저급한 염색 품질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염료 챔버가 개별 블로어에 의해 기능을 하므로 단일 챔버가 정지될 필요가 있을 경우, 다른 챔버들 모두는 중단 없이 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공기 유동 염색기에서는, 모든 염료 챔버들이 단일 블로어에 의해 기능을 하기 때문에, 공기 유동 염색기의 염료 챔버들의 최대 개수는 6 개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염료 챔버가 개별 블로어에 의해 기능을 하므로, 염색기가 가질 수 있는 챔버들의 수에 대한 제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공기 유동 염색기에 대해 보다 큰 융통성 및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 세트의 트랜스미션 파이프들 및 스프레잉 노즐들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스프레잉 시스템을 포함한다. 2 세트의 스프레잉 노즐들의 순환 경로들은 대략 같다. 2 세트의 스프레잉 노즐들은 상이한 유량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세트는 제어 밸브를 통해 제어되어, 염색기에 상이한 스프레잉 모드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스프레잉 노즐은 노즐 하우징에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그것이 속한 세트를 변경할 수 있다. 맞춤가공(customization)을 병용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각각의 염료 챔버는 개별 블로어에 의해 기능을 하고, 각각 2 세트 이상의 스프레잉 노즐들 - 스프레잉 유량은 염색 레시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을 가지며, 이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작동 융통성(operation flexibility)을 증대시키며, 염색 품질 및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인 공기 유동 염색기를 구성하는 열 교환 시스템, 분배 시스템(dosing system), 및 염료 순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는 완전하고(full-featured) 충실한 기능의 공기 유동 염색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2는 노즐 조립체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
도 3은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노즐 조립체 및 그를 둘러싼 구조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스프레잉 노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인 키어, 2. 리프팅 릴, 3. 블로어, 4. 블로어 유입부, 5. 노즐 조립체, 6. 제 1 트랜스미션 파이프, 7. 제 2 트랜스미션 파이프, 8.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 9. 스프레잉 노즐(L), 10. 스프레잉 노즐(S), 11. 노즐 하우징, 12. 상부 노즐 콘, 13. 하부 노즐 콘, 14. 차단 링, 15. 편자형 차단판, 16. 공기 유동 유입부, 17. 패브릭 유입부, 18. 패브릭 유출부, 19. 제 1 노즐 갭, 20. 제 2 노즐 갭, 21. 염료 리쿼 채널, 22.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의 홀, 23. 시일(seal), 24. 트랜스미션 파이프의 홀, 25. 스프레잉 노즐 본체, 26. 스프레잉 노즐 유입부, 27. 스프레잉 노즐 유출부, 28. 제 1 채널, 29. 제 2 채널, 30. 제 3 채널, 31. 기화 차단부.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도 1은 메인 키어(1), 리프팅 릴(2), 블로어(3), 및 블로어(3)가 메인 키어(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연결 파이프를 통해 노즐 조립체(5) 내로 보내는 블로어 유입부(4)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린트(lint)가 블로어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키어(1) 내에는 공기 필터가 존재한다.
도 2는 노즐 조립체의 외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제 1 트랜스미션 파이프(6), 제 2 트랜스미션 파이프(7),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8), 및 2 가지 타입의 스프레잉 노즐들(9, 10)로 이루어진다. 작업 동안, 염료 리쿼는 순환 시스템으로부터 트랜스미션 파이프들로 펌핑되며, 밸브는 트랜스미션 파이프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여, 염료 리쿼가 제 1 트랜스미션 파이프(6) 및 제 2 트랜스미션 파이프(7)로부터 스프레잉 노즐들로 유입되어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제 1 트랜스미션 파이프(6) 및 제 2 트랜스미션 파이프(7)는 분리 후 교차(cross)하지 않으며, 2 세트의 상이한 스프레잉 노즐들(9, 10)에 각각 연결된다.
도 3은 노즐 하우징(11), 상부 노즐 콘(12), 하부 노즐 콘(13), 차단 링(14), 편자형 차단판(15)으로 이루어지는 노즐 조립체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 상에는 2 개의 트랜스미션 파이프들(6, 7)이 존재한다. 하우징(11)은 공기 유입부(16), 패브릭 유입부(17), 및 패브릭 유출부(18)를 더 포함한다.
노즐 하우징 내측에는 제 1 노즐 갭(19) 및 제 2 노즐 갭(20)이 존재한다. 공기 유동은 공기 유동 유입부(16)를 통해 노즐 조립체로 들어가고 기화된 리쿼와 혼합된 다음, 노즐 갭들을 통해 패브릭 상에 도포된다. 상기 노즐 갭들은 원형이고 동등한 갭 간격을 공유한다. 상부 노즐 콘(12)은 노즐 하우징(11) 내측에서 하부 노즐 콘(13)과 동심적으로 설치된다. 상부 노즐 콘(12)과 하부 노즐 콘(13) 사이의 공간은 제 1 노즐 갭(19)으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그것의 치수는 노즐 콘들 간의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통상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부 노즐 콘(13)은 상부 노즐 콘(12)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이것을 디자인에 있어서의 제약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공기 유동 유입부(16)는 공기가 하우징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노즐 하우징(11)의 측 상에 놓인다. 노즐 하우징은 원통형이다. 패브릭 유입부 및 패브릭 유출부는 원통의 단부들 상에 놓인다. 연결의 용이성을 위해 공기 유입부(16)의 양 측에 플랜지들이 적용된다. 하우징과 하부 노즐 콘(13) 간의 갭을 좁히기 위하여 노즐 하우징(11)의 바닥에는 차단 링(14)이 설치되며, 차단 링(14)과 하부 노즐 콘(13) 간의 갭은 제 2 노즐 갭(20)으로서 정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2 노즐의 주된 기능은 패브릭을 들어올리려는 것이므로, 갭 상에 편자형 차단 판(15)이 고정되어 상기 노즐 갭의 섹션을 차단함으로써 유동이 집중되고 바닥에서 분사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패브릭이 들어올려진다. 이 새로운 디자인 이면의 의미는 매우 중요하며, 그것은 염색기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공기 유입부(16)와 더불어 노즐 하우징(11)의 측 상에는 다수의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들(8)이 존재한다. 도 4는 스프레잉 노즐 및 그를 둘러싼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8) 및 스프레잉 노즐들(9, 10) 모두는 원형이나, 이러한 구조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시, 각각의 스프레잉 노즐들(9, 10)은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8) 내측에 설치된다. 스프레잉 노즐은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22)의 홀이 스프레잉 노즐(21)의 홀과 정렬될 때까지 연결부(8) 내로 나사결합된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레잉 노즐 연결부들과 스프레잉 노즐들 사이에는 다수의 시일들(seals; 23)이 배치된다. 이 구조에서, 트랜스미션 파이프들(6, 7)은 노즐 하우징을 둘러싸며, 각각, 염료 리쿼가 스프레잉 노즐들(9, 10)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지정된 위치들(24)에 홀들을 갖는다. 유동 방향은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세트의 스프레잉 노즐들(9, 10)은 상이한 세트의 트랜스미션 파이프들(6, 7)에 연결된다. 상이한 트랜스미션 파이프들(6, 7) 내의 리쿼는 서로 교차하지 않는 그들의 서로 대응되는 세트의 스프레잉 노즐들(9, 10)로 지향된다. 사용자들은 하나의 컨덕팅 파이프(conducting pipe) 상에 동일한 스프레잉 노즐들을 연결하고 상이한 스프레잉 노즐 세트들의 컨덕팅 파이프의 밸브들(도시 안됨)을 제어함으로써 그들의 원하는 스프레잉 속도(spraying rate)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예시에서는 2 가지 상이한 타입의 스프레잉 노즐들이 채택되는데, 그들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더 빠른 스프레잉 속도를 갖는다. 사용자는 트랜스미션 파이프의 밸브를 개방하여 많은-유동의(high-flow)의 스프레잉 노즐들을 유도하는 한편, 다른 하나를 닫음으로써 빠른 스프레잉 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그와 반대의 설정도 가능하다. 두 밸브 모두가 동시에 개방되어 최대 스프레잉 속도를 얻을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 및 도 6은 2 개의 상이한 스프레잉 노즐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스프레잉 속도는 제어될 수 있으며 제 1 채널(28), 제 2 채널(29), 제 3 채널(30), 기화 차단부(31), 및 스프레잉 노즐 유출부(27)의 치수 조정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부(27)에 대한 유입부(26)의 방향은 그들 각각의 트랜스미션 파이프들(7, 8)에 연결하기 위해 완전히 반대이다. 염료는 그 직경이 스프레잉 속도를 정의하는 스프레잉 노즐 본체(25)의 채널을 통해 유출부(27)에 도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도를 도시하고 있다. 염색기의 다른 측에는 서비스 도어가 존재한다. 염색 공정 동안, 패브릭은 서비스 도어를 통해 내부에 놓이고, 공기 유동에 의해 이동되어 메인 키어 내측에서 순환 움직으로 나아가고, 리프팅 릴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노즐 조립체에 도달하며, 공기 유동에 의해 패브릭 상에 리쿼가 스프레잉 된다. 이 공정은 염색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Claims (10)

  1. 다수의 염료 챔버들(dye chambers)을 갖는 하나의 메인 키어(kier), 및 리프팅 릴들(lifting reels)을 포함하는 공기 유동 염색기(air flow dyeing machine)에 있어서, 상기 염색기는,
    적어도 2 개의 블로어들과 그에 이웃하는 노즐 조립체들을 더 포함하며,
    모든 단일 블로어의 일 단부는 개별 흡입 파이프에 연결되는 한편, 다른 단부는 대응되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연결되는 공기 유동 염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는 하향 유입부를 갖는 상기 메인 키어의 최상부에서 설치되고, 상기 메인 키어에 연결되며, 유출부는 상기 노즐 조립체들에 연결되는 공기 유동 염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는 각각의 시동, 정지 및 유출 압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전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가능한 공기 유동 염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는 모두 자체 공기 필터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조립체는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최상부에서는 리프팅 릴 하우징에 연결되며 바닥에서는 상기 메인 키어에 연결되는 공기 유동 염색기.
  6. 제 1 항에 따른 공기 유동 염색기를 위한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노즐 하우징, 상부 노즐 콘, 하부 노즐 콘, 편자형 차단판, 차단 링, 및 연결 파이프들을 갖는 2 세트 이상의 스프레잉 노즐들로 이루어지는 노즐 조립체.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공기 유동 염색기를 위한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 노즐 콘 및 상기 하부 노즐 콘은 연결판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 하우징 내측에 동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노즐 콘과 상기 하부 노즐 콘 사이의 공간은 제 1 노즐 갭을 형성하고, 상기 갭의 폭은 상기 노즐 콘들 간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노즐 조립체.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공기 유동 염색기를 위한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후방에는 차단 링이 존재하고, 상기 차단 링과 상기 하부 노즐 콘 사이의 공간은 제 2 노즐 갭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노즐 콘과 상기 차단 링 사이에는 편자형 차단판이 존재하여 공기가 상기 노즐 하단부에서 블로우 아웃(blow out)되게 하는 노즐 조립체.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공기 유동 염색기를 위한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노즐 조립체에는 상이한 유량(flow volume)을 갖는 2 세트 이상의 스프레잉 노즐들이 존재하고, 각각의 세트의 상기 스프레잉 노즐들은 연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며, 각각의 세트의 파이프의 개방 및 폐쇄는 개별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노즐 조립체.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공기 유동 염색기를 위한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어 노즐은 유입부, 제 1 채널, 제 2 채널, 제 3 채널, 및 유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3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채널의 바닥에는 다수의 기화 차단부들(vaporising blocks)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부는 상기 제 3 채널에 연결되는 노즐 조립체.
KR1020127033506A 2011-12-14 2011-12-14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 KR20140101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83995 WO2013086709A1 (zh) 2011-12-14 2011-12-14 多管独立供风气流染色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452A true KR20140101452A (ko) 2014-08-20

Family

ID=4861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506A KR20140101452A (ko) 2011-12-14 2011-12-14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792778A4 (ko)
KR (1) KR20140101452A (ko)
WO (1) WO2013086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9125B (zh) * 2014-11-13 2017-07-21 无锡同华染整机械有限公司 一种高温喷气液染机
CN109338614B (zh) * 2018-09-21 2020-11-20 绍兴柯桥展望印染有限公司 一种气流染色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23180Z2 (it) * 1991-05-08 1995-06-13 Flainox Srl Macchina per la tintura di tessuto raccolto in corda
DE19548862C2 (de) * 1995-12-27 1999-07-29 Then Masch & App Behandlungseinrichtung für Textilgut
CN2359312Y (zh) * 1998-10-16 2000-01-19 杨永硕 多泵型染色机
JP4511005B2 (ja) * 2000-08-30 2010-07-28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乾燥装置
DE10349384B4 (de) * 2003-10-21 2007-10-31 Then Maschinen (B.V.I.) Ltd., Road Town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DE102005022453B3 (de) * 2005-05-14 2006-11-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EP1908872A1 (en) * 2006-10-02 2008-04-09 Falmer Investments Limited Blower for a textiles processing machine
CN201209205Y (zh) * 2008-06-04 2009-03-18 唐佳伟 高温高压气流染色机
CN101591845A (zh) * 2009-03-17 2009-12-02 浙江卓信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气雾染色机
CN101613919B (zh) * 2009-07-14 2013-10-30 无锡东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流染色机的喷嘴
CN102080318B (zh) * 2011-02-28 2012-05-23 广州番禺高勋染整设备制造有限公司 高温高压气流染色机的雾化喷嘴结构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2778A1 (en) 2014-10-22
EP2792778A4 (en) 2016-02-10
WO2013086709A1 (zh)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20961B (zh) 喷雾染色机
CN101974834B (zh) 用于织物染整的喷淋加工方法及喷淋机
KR20140101452A (ko) 챔버 마다 개별 블로어를 갖는 공기 유동 염색기
CN108004690B (zh) 一种气液喷染系统内置式多功能染色设备
CN218890706U (zh) 一种雾化芯、喷嘴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07604553A (zh) 一种布料染色机
CN104047135A (zh) 一种染色机用的气液分流喷嘴
WO2019214517A1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KR101521586B1 (ko) 에너지 절감형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WO2020032714A1 (ko) 식기세척기
CN202430467U (zh) 多管独立供风气流染色机
CN102899826A (zh) 气流染色机
CN1493729A (zh) 气液式染液喷涂装置的改进
US2022021363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6853036U (zh) 一种篮球清洗及烘干装置
CN105964436B (zh) 一种多功能低压喷灌喷头
CN205980841U (zh) 一种冷却塔节水节能系统
WO2019201117A1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CN216427623U (zh) 一种喷射均匀的喷射染色装置
TW201329311A (zh) 多管獨立供風氣流染色機
KR200338129Y1 (ko) 기체-액체 염료-분사 장치
KR101887865B1 (ko) 분사효율이 개선된 스팀다리미
CN215136930U (zh) 一种干燥塔加料出料自动切换装置
WO2024037639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111485388B (zh) 洗衣机及其脱水桶组件和喷瀑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