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855A - 주기신호생성회로 - Google Patents

주기신호생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855A
KR20140100855A KR1020130014156A KR20130014156A KR20140100855A KR 20140100855 A KR20140100855 A KR 20140100855A KR 1020130014156 A KR1020130014156 A KR 1020130014156A KR 20130014156 A KR20130014156 A KR 20130014156A KR 20140100855 A KR20140100855 A KR 20140100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mperature
level
signal
ampl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현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855A/ko
Priority to US13/965,793 priority patent/US8994428B2/en
Priority to CN201310364466.5A priority patent/CN103985406B/zh
Publication of KR2014010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855A/ko
Priority to US14/626,338 priority patent/US9130544B2/en
Priority to US14/627,016 priority patent/US91305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1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voltage,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3Sources providing an output which depends on tempera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4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disturbances due to temperature effec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7Bi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4Shaping pulses by increasing duration; by decreasing duration
    • H03K5/05Shaping pulses by increasing duration; by decreasing duration by the use of clock signals or other time re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전압으로 출력하는 제어전압생성부; 및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내부노드에서 방출되는 전류량을 결정하고,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의 레벨에 따라 주기가 결정되는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기신호생성회로{PE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
본 발명은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집적회로는 내부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주기신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집적회로는 주기신호를 내부에서 생성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받아 내부동작을 수행한다. 주기신호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므로, 집적회로에서 반복적인 내부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램 등의 반도체메모리장치는 휘발성 메모리이므로, 내부에 포함된 메모리셀들에 저장된 데이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실된다. 따라서, 메모리셀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시간, 즉 보유시간(retention time)이 경과되기 전에 반도체메모리장치에 포함된 모든 메모리셀들에 대한 리프레쉬가 수행되어야 한다. 리프레쉬는 반도체메모리장치에 대한 모든 메모리셀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므로, 주기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주기신호가 필요하다.
한편, 집적회로의 내부동작은 온도에 따라 속도가 가변된다. 즉, 온도가 낮아질수록 집적회로의 내부동작이 수행되는 속도가 감소되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집적회로의 내부동작이 수행되는 속도가 증가한다. 온도에 따라 집적회로의 내부동작이 수행되는 속도가 가변하는 경우 신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온도에 따라 가변하거나 고정된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전압으로 출력하는 제어전압생성부; 및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내부노드에서 방출되는 전류량을 결정하고,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의 레벨에 따라 주기가 결정되는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제어부를 포함하는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전압으로 출력하는 구동전압생성부; 내부노드의 전하를 방출하는 전하방출부;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주기신호의 논리레벨을 결정하는 레벨검출부; 및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전압으로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어스전압에 응답하여 내부노드의 전하를 방출하는 전하방출부;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생성부;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주기신호의 논리레벨을 결정하는 레벨검출부; 및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가변하는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집적회로의 신뢰성을 확보할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가변하거나 고정된 주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전압을 증폭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의 주기 변화률에 대한 해상도를 높일 수 있고, 주기신호의 주기 변화가 선형적으로 가변하여 주기신호를 이용하는 집적회로의 동작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기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증폭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기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레벨검출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제어전압생성부(1) 및 주기제어부(2)로 구성된다. 제어전압생성부(1)는 온도전압증폭부(11) 및 선택부(12)로 구성된다. 온도전압증폭부(11)는 온도전압생성부(111) 및 증폭부(112)로 구성된다. 주기제어부(2)는 전하방출부(21), 레벨검출부(22), 구동부(23) 및 리셋부(24)로 구성된다.
온도전압생성부(111)는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온도전압(V1) 및 제2 온도전압(V2)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V3)을 생성한다. 제1 온도전압(V1)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상승하고, 제2 온도전압(V2)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하강한다. 온도전압생성부(111)는 온도에 따라 일정한 전압 레벨을 생성하거나 선형적으로 가변하는 레벨을 생성하는 widlar 회로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증폭부(112)는 제1 온도전압(V1), 제2 온도전압(V2) 및 제3 온도전압(V3)을 증폭하여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을 생성한다. 제1 증폭전압(VTP)은 제1 온도전압(V1)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상승하는데, 제1 온도전압(V1)보다 레벨 상승폭이 크다. 제2 증폭전압(VTN)은 제2 온도전압(V2)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하강하는데, 제2 온도전압(V2)보다 레벨 하강폭이 크다. 제3 증폭전압(VTC)은 제3 온도전압(V3)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증폭부(112)를 통해 온도 변화에 따라 레벨 변환폭이 큰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을 생성하여 주기신호(OSC)의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 변화를 큰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다.
선택부(12)는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에 응답하여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 중 하나를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을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을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며,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을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는 집적회로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집적회로 외부의 테스트장치 등에서 인가될 수 있다.
전하방출부(21)는 제어전압(V_CNT)에 응답하여 내부노드(ND1)의 전하를 방출한다.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는 제어전압(V_CNT)의 온도 특성에 의존한다. 즉, 제1 증폭전압(VTP)이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된 경우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 경우 내부노드(ND1)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하강한다. 또한, 제2 증폭전압(VTN)이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된 경우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한다. 이 경우 내부노드(ND1)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느린 속도로 하강한다. 또한, 제3 증폭전압(VTC)이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된 경우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는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경우 내부노드(ND1)의 레벨은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속도로 하강한다.
레벨검출부(22)는 내부노드(ND1)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와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주기신호(OSC)의 논리레벨을 검출한다. 즉, 레벨검출부(22)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하고,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한다.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은 전하방출부(21)에 의한 내부노드(ND1)의 전하방출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내부노드(ND1)의 전하방출 속도가 증가할수록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진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된다.
구동부(23)는 주기신호(OSC)가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경우 내부노드(ND1)를 전원전압(VDD)으로 구동한다. 구동부(23)가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시점은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구동부(23)가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구동력은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전원전압(VDD)의 레벨에 따라 결정된다.
리셋부(24)는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주기신호(OSC)를 초기화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리셋부(24)는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접지전압(VSS)으로 구동한다. 리셋신호(RST)는 주기신호(OSC)의 생성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선택부(12)는 제1 전달소자(121), 제2 전달소자(122) 및 제3 전달소자(123)로 구성된다. 제1 전달소자(121)는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을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 전달소자(122)는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을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3 전달소자(123)는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을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레벨검출부(22)는 전류원부(221) 및 신호입력부(222)로 구성된다. 전류원부(221)는 커런티미러(current mirror)로 구현되어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신호입력부(222)는 내부신호(INTS)와 기준전압(VREF)을 입력받아 주기신호(OSC)의 논리레벨을 결정한다. 레벨검출부(22)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하고,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이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된다. 제어전압(V_CNT)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상승하므로,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1)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의 레벨이 하강하는 속도가 증가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진다. 주기신호(OSC)의 레벨 천이시점이 빨라지는 경우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시점이 빨라져 주기신호(OSC)가 다시 로직하이레벨로 구동되는 시점도 빨라진다. 결국,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한편, 제어전압(V_CNT)의 레벨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하강하므로,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1)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의 레벨 하강 속도는 감소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주기신호(OSC)의 레벨 천이시점이 느려지는 경우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시점이 느려져 주기신호(OSC)가 다시 로직하이레벨로 구동되는 시점도 느려진다. 결국,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다음으로,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이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된다. 제어전압(V_CNT)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하강하므로,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1)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의 레벨 하강 속도는 감소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주기신호(OSC)의 레벨 천이시점이 느려지는 경우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시점이 느려져 주기신호(OSC)가 다시 로직하이레벨로 구동되는 시점도 느려진다. 결국,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한편, 제어전압(V_CNT)의 레벨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상승하므로,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1)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의 레벨 하강 속도는 증가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진다. 주기신호(OSC)의 레벨 천이시점이 빨라지는 경우 내부노드(ND1)를 구동하는 시점이 빨라져 주기신호(OSC)가 다시 로직하이레벨로 구동되는 시점도 빨라진다. 결국,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제3 선택신호(SEL<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이 제어전압(V_CNT)으로 선택된다. 제어전압(V_CNT)의 레벨은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하므로, 내부노드(ND1)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내부노드(ND1)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의 레벨 하강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주기신호(OSC)의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ㄷ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결국, 제3 선택신호(SEL<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나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를 가변할 수 있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감소하고,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증가하며,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온도에 따라 가변하는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OSC)를 생성하므로, 주기신호(OSC)에 따라 내부동작을 수행하는 집적회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형적으로 가변하는 온도전압들을 증폭하여 제어전압으로 사용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 변화를 큰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구동전압생성부(3) 및 주기제어부(4)로 구성된다. 구동전압생성부(3)는 온도전압증폭부(31) 및 선택부(32)로 구성된다. 온도전압증폭부(31)는 온도전압생성부(311) 및 증폭부(312)로 구성된다. 주기제어부(4)는 전하방출부(41), 레벨검출부(42), 구동부(43) 및 리셋부(44)로 구성된다.
온도전압생성부(311)는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온도전압(V1) 및 제2 온도전압(V2)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V3)을 생성한다. 제1 온도전압(V1)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상승하고, 제2 온도전압(V2)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하강한다. 온도전압생성부(311)는 온도에 따라 일정한 전압 레벨을 생성하거나 선형적으로 가변하는 레벨을 생성하는 widlar 회로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증폭부(312)는 제1 온도전압(V1), 제2 온도전압(V2) 및 제3 온도전압(V3)을 증폭하여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을 생성한다. 제1 증폭전압(VTP)은 제1 온도전압(V1)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상승하는데, 제1 온도전압(V1)보다 레벨 상승폭이 크다. 제2 증폭전압(VTN)은 제2 온도전압(V2)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하강하는데, 제2 온도전압(V2)보다 레벨 하강폭이 크다. 제3 증폭전압(VTC)은 제3 온도전압(V3)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증폭부(112)를 통해 온도 변화에 따라 레벨 변환폭이 큰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을 생성하여 주기신호(OSC)의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 변화를 큰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다.
선택부(32)는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에 응답하여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 중 하나를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을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을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며,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을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는 집적회로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집적회로 외부의 테스트장치 등에서 인가될 수 있다.
전하방출부(41)는 내부노드(ND2)에서 전하를 방출한다. 전하방출부(41)는 다이오드로 동작하는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속도로 내부노드(ND2)에서 전하를 방출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타당하다.
레벨검출부(42)는 내부노드(ND2)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와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주기신호(OSC)의 논리레벨을 검출한다. 즉, 레벨검출부(42)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하고,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한다.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은 구동부(43)에 의한 내부노드(ND2)를 구동하는 구동전압(VDRV)의 레벨에 따라 결정된다. 즉, 구동전압(VDRV)의 레벨이 상승할수록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반대로, 구동전압(VDRV)의 레벨이 감소할수록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감소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진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구동부(43)는 주기신호(OSC)가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경우 내부노드(ND2)를 구동전압(VDRV)으로 구동한다. 구동부(43)가 내부노드(ND2)를 구동하는 시점은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구동부(43)는 구동전압(VDRV)으로 내부노드(ND2)를 구동하므로, 구동전압(VDRV)의 레벨이 증가할수록 내부노드(ND2)의 레벨은 상승한다.
리셋부(44)는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주기신호(OSC)를 초기화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리셋부(44)는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접지전압(VSS)으로 구동한다. 리셋신호(RST)는 주기신호(OSC)의 생성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이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된다. 구동전압(VDRV)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상승하므로, 구동부(43)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노드(ND2)의 레벨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2)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로 감소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결국,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한편, 구동전압(VDRV)의 레벨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하강하므로, 구동부(43)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노드(ND2)의 레벨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2)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로 감소되는 시간이 감소되어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결국,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다음으로,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이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된다. 구동전압(VDRV)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하강하므로, 구동부(43)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노드(ND2)의 레벨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2)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로 감소되는 시간이 감소되어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결국,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한편, 구동전압(VDRV)의 레벨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상승하므로, 구동부(43)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노드(ND2)의 레벨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내부노드(ND2)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로 감소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결국,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제3 선택신호(SEL<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이 구동전압(VDRV)으로 선택된다. 구동전압(VDRV)의 레벨은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하므로, 구동부(43)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노드(ND2)의 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내부노드(ND2)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INTS)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주기신호(OSC)의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결국, 제3 선택신호(SEL<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나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를 가변할 수 있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증가하고,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감소하며,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온도에 따라 가변하는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OSC)를 생성하므로, 주기신호(OSC)에 따라 내부동작을 수행하는 집적회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형적으로 가변하는 온도전압들을 증폭하여 제어전압으로 사용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 변화를 큰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전하방출부(5), 구동부(6), 기준전압생성부(7) 및 레벨검출부(8)로 구성된다. 기준전압생성부(7)는 온도전압증폭부(71) 및 선택부(72)로 구성된다. 온도전압증폭부(71)는 온도전압생성부(711) 및 증폭부(712)로 구성된다.
전하방출부(5)는 바이어스전압(VBIAS)에 응답하여 내부신호(INTS)가 출력되는 내부노드에서 전하를 방출한다. 바이어스전압(VBIAS)의 레벨은 전하방출부(41)가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속도로 내부신호(INTS)가 출력되는 내부노드에서 전하를 방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동부(6)는 주기신호(OSC)가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경우 내부신호(INTS)를 구동전압(VDRV)으로 구동한다. 구동부(6)가 내부신호(INTS)를 구동하는 시점은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온도전압생성부(711)는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온도전압(V1) 및 제2 온도전압(V2)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V3)을 생성한다. 제1 온도전압(V1)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상승하고, 제2 온도전압(V2)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하강한다. 온도전압생성부(711)는 온도에 따라 일정한 전압 레벨을 생성하거나 선형적으로 가변하는 레벨을 생성하는 widlar 회로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증폭부(712)는 제1 온도전압(V1), 제2 온도전압(V2) 및 제3 온도전압(V3)을 증폭하여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을 생성한다. 제1 증폭전압(VTP)은 제1 온도전압(V1)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상승하는데, 제1 온도전압(V1)보다 레벨 상승폭이 크다. 제2 증폭전압(VTN)은 제2 온도전압(V2)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선형적으로 하강하는데, 제2 온도전압(V2)보다 레벨 하강폭이 크다. 제3 증폭전압(VTC)은 제3 온도전압(V3)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증폭부(112)를 통해 온도 변화에 따라 레벨 변환폭이 큰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을 생성하여 주기신호(OSC)의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 변화를 큰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다.
선택부(72)는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에 응답하여 제1 증폭전압(VTP), 제2 증폭전압(VTN) 및 제3 증폭전압(VTC) 중 하나를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을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을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며,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을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는 집적회로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집적회로 외부의 테스트장치 등에서 인가될 수 있다.
레벨검출부(8)는 내부신호(INTS)와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주기신호(OSC)의 논리레벨을 검출한다. 즉, 레벨검출부(8)는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하고,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주기신호(OSC)를 생성한다.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은 기준전압(VREF)의 레벨에 따라 결정된다. 즉, 기준전압(VREF)의 레벨이 상승할수록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감소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진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반대로, 기준전압(VREF)의 레벨이 하강할수록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하므로,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진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증폭전압(VTP)이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된다. 기준전압(VREF)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상승하므로,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지므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한편, 기준전압(VREF)의 레벨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하강하므로,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지므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다음으로,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증폭전압(VTN)이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된다. 기준전압(VREF)의 레벨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하강하므로,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느려지므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증가한다. 한편, 기준전압(VREF)의 레벨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상승하므로,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빨라지므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제3 선택신호(SEL<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3 증폭전압(VTC)이 기준전압(VREF)으로 선택된다. 기준전압(VREF)의 레벨은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하므로, 내부신호(INTS)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레벨될 때까지의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주기신호(OSC)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나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일정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SEL<1:3>)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를 가변할 수 있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OSC)의 주기는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제1 선택신호(SEL<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감소하고, 제2 선택신호(SEL<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증가하며, 제3 선택신호(SEL<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기신호생성회로는 온도에 따라 가변하는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OSC)를 생성하므로, 주기신호(OSC)에 따라 내부동작을 수행하는 집적회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형적으로 가변하는 온도전압들을 증폭하여 제어전압으로 사용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주기신호(OSC)의 주기 변화를 큰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다.
1: 제어전압생성부 2: 주기제어부
11: 온도전압증폭부 12: 선택부
111: 온도전압생성부 112: 증폭부
21: 전하방출부 22: 레벨검출부
23: 구동부 24: 리셋부
121: 제1 전달소자 122: 제2 전달소자
123: 제3 전달소자 221: 전류원부
222: 신호입력부
3: 구동전압생성부 4: 주기제어부
31: 온도전압증폭부 32: 선택부
311: 온도전압생성부 312: 증폭부
41: 전하방출부 42: 레벨검출부
43: 구동부 44: 리셋부
5: 전하방출부 6: 구동부
7: 기준전압생성부 8: 레벨검출부
71: 온도전압증폭부 72: 선택부
711: 온도전압생성부 712: 증폭부

Claims (28)

  1.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전압으로 출력하는 제어전압생성부; 및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내부노드에서 방출되는 전류량을 결정하고,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의 레벨에 따라 주기가 결정되는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제어부를 포함하는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전압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온도전압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하강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전압은 온도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레벨이 가변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생성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전압을 생성하는 온도전압생성부;
    상기 제1 온도전압 및 제2 온도전압의 온도변화에 따른 레벨 변화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증폭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온도전압의 레벨을 증폭하여 제3 증폭전압을 생성하는 증폭부; 및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증폭전압 중 하나의 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에서 인가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제1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
    제2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 및
    제3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3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제어부는
    상기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의 전하를 방출하는 전하방출부;
    기준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주기신호의 레벨을 결정하는 레벨검출부; 및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방출부의 전하 방출량은 상기 제어전압의 레벨이 상승할수록 증가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부는 상기 내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경우 제1 논리레벨의 상기 주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경우 제2 논리레벨의 상기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기신호가 상기 제2 논리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1. 제 7 항에 있어서,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초기화하는 초기화소자를 더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2.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전압으로 출력하는 구동전압생성부;
    내부노드의 전하를 방출하는 전하방출부;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주기신호의 논리레벨을 결정하는 레벨검출부; 및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전압으로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전압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온도전압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하강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전압은 온도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레벨이 가변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생성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전압을 생성하는 온도전압생성부;
    상기 제1 온도전압 및 제2 온도전압의 온도변화에 따른 레벨 변화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증폭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온도전압의 레벨을 증폭하여 제3 증폭전압을 생성하는 증폭부; 및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증폭전압 중 하나의 전압을 상기 구동전압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에서 인가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제1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
    제2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 및
    제3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3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부는 상기 내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경우 제1 논리레벨의 상기 주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경우 제2 논리레벨의 상기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기신호가 상기 제2 논리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0. 바이어스전압에 응답하여 내부노드의 전하를 방출하는 전하방출부;
    온도에 따라 레벨이 가변하는 제1 및 제2 온도전압과 온도에 따라 레벨이 일정한 제3 온도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생성부;
    상기 내부노드에서 출력되는 내부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주기신호의 논리레벨을 결정하는 레벨검출부; 및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전압은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레벨을 갖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전압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온도전압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레벨이 하강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전압은 온도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레벨이 가변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생성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전압을 생성하는 온도전압생성부;
    상기 제1 온도전압 및 제2 온도전압의 온도변화에 따른 레벨 변화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증폭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온도전압의 레벨을 증폭하여 제3 증폭전압을 생성하는 증폭부; 및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증폭전압 중 하나의 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에서 인가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제1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
    제2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 및
    제3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증폭전압을 상기 제어전압으로 전달하는 제3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부는 상기 내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경우 제1 논리레벨의 상기 주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경우 제2 논리레벨의 상기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기신호가 상기 제2 논리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노드를 구동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KR1020130014156A 2013-02-07 2013-02-07 주기신호생성회로 KR20140100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156A KR20140100855A (ko) 2013-02-07 2013-02-07 주기신호생성회로
US13/965,793 US8994428B2 (en) 2013-02-07 2013-08-13 Pe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s
CN201310364466.5A CN103985406B (zh) 2013-02-07 2013-08-20 周期信号发生电路
US14/626,338 US9130544B2 (en) 2013-02-07 2015-02-19 Pe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s
US14/627,016 US9130545B2 (en) 2013-02-07 2015-02-20 Pe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156A KR20140100855A (ko) 2013-02-07 2013-02-07 주기신호생성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855A true KR20140100855A (ko) 2014-08-18

Family

ID=5125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156A KR20140100855A (ko) 2013-02-07 2013-02-07 주기신호생성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994428B2 (ko)
KR (1) KR20140100855A (ko)
CN (1) CN103985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855A (ko) * 2013-02-07 2014-08-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주기신호생성회로
US10037045B2 (en) * 2016-10-03 2018-07-31 Micr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apparatuses for a configurable temperature dependent reference voltage generator
DE102016124962A1 (de) * 2016-12-20 2018-06-21 Infineon Technologies Ag Speich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peicherunterstützungsfunktion
US11892862B2 (en) * 2021-08-30 2024-02-06 Micron Technology, Inc. Power supply circuit having voltage switch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9571A (en) * 1997-03-11 1999-01-12 Aplus Integrated Circuits, Inc. Frequency trimmable oscillator and frequency multiplier
JP2000091890A (ja) * 1998-09-11 2000-03-31 Oki Electric Ind Co Ltd 発振回路
KR100347349B1 (ko) * 2000-05-23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파워 저항-캐패시터 발진기
US6348842B1 (en) * 2000-10-25 2002-02-19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accurate temperature-invariant sampling frequencies in a multiple message non-volatile multilevel analog signal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JP4021643B2 (ja) * 2001-10-29 2007-12-12 富士通株式会社 温度検出機能を備えた半導体装置
KR100446305B1 (ko) * 2002-08-20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가능한 슈미트 트리거를 이용한 전원 전압 및 온도에무관한 rc 오실레이터
US7271790B2 (en) * 2002-10-11 2007-09-18 Elcos Microdisplay Technology, Inc. Combined temperature and color-temperature control and compensation method for microdisplay systems
US7123105B2 (en) * 2003-12-19 2006-10-17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n Corporation Oscillator with temperature control
US7385453B2 (en) * 2006-03-31 2008-06-10 Silicon Laboratories Inc. Precision oscillator having improved temperature coefficient control
JP4991193B2 (ja) * 2006-07-04 2012-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周波数可変発振器
KR100886993B1 (ko) 2006-12-27 2009-03-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온도 보상 기능을 갖춘 cmos 발진기 및 그 보상 방법
US7771115B2 (en) * 2007-08-16 2010-08-10 Micron Technology, Inc. Temperature sensor circuit, device, system, and method
US8067992B2 (en) * 2008-06-06 2011-11-2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TWI355804B (en) * 2008-09-22 2012-01-01 Etron Technology Inc A voltage control oscillator without being affecte
FR2938070B1 (fr) * 2008-11-06 2012-03-23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Circuit de mesure du courant efficace d'un signal a controler
JP2011135349A (ja) * 2009-12-24 2011-07-07 Fujitsu Semiconductor Ltd 発振装置
JP5263791B2 (ja) * 2010-02-08 2013-08-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20110286281A1 (en) 2010-05-21 2011-11-24 Yield Microelectronics Corp. Reference current generator used for programming and erasing of non-volatile memory
JP5451541B2 (ja) * 2010-06-28 2014-03-26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発振回路
TWI452459B (zh) * 2011-07-07 2014-09-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溫度係數電流觸發產生器及溫度係數電流觸發產生模組
US8373502B1 (en) * 2011-09-20 2013-02-12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Gm-C filter tuning circuit based on relaxation oscillator
US8988159B2 (en) * 2011-12-09 2015-03-24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Oscillator and IC chip
US9316542B2 (en) * 2012-09-27 2016-04-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hermal sensor system and method based on current ratio
KR20140100855A (ko) * 2013-02-07 2014-08-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주기신호생성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4428B2 (en) 2015-03-31
US9130544B2 (en) 2015-09-08
US20150160665A1 (en) 2015-06-11
US9130545B2 (en) 2015-09-08
US20150171831A1 (en) 2015-06-18
CN103985406A (zh) 2014-08-13
CN103985406B (zh) 2018-04-27
US20140218101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604B1 (ko) 기준전위발생회로와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집적회로
KR20140100855A (ko) 주기신호생성회로
US1076383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for detecting voltage-drop level
KR10084577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 업 신호 트립 포인트 측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업 신호 트립 포인트 레벨 측정 방법
KR101153803B1 (ko) 반도체 장치의 퓨즈 회로
US20060132195A1 (en) Controller for driving current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815183B1 (ko) 내부전원 생성장치
KR20080043500A (ko) 내부전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내부전압 발생장치
KR2019005947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20115852A (ko) 파워업신호 생성회로
KR100772711B1 (ko) 내부전원 생성장치
KR20160115484A (ko)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1428718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900378B1 (ko) 리프레쉬회로
KR100613445B1 (ko) 고전압 감지회로 및 이를 이용한 고전압 펌핑장치
TWI584302B (zh) 用於半導體記憶體的控制裝置
KR20150093084A (ko) 레벨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반도체장치
KR20120042273A (ko) 파워업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0838396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내부전압 발생기 및 발생방법
KR20150108174A (ko) 반도체 장치
KR20130015941A (ko) 내부전압생성회로
KR100316053B1 (ko) 고전위 발생장치의 Vpp 레벨 감지기
KR20080029635A (ko) 백 바이어스 전압의 생성방법 및 생성회로
KR20070003046A (ko) 자동 온도 보상 셀프 리프레쉬(tcsr) 회로
KR20070119214A (ko) 반도체 장치의 초기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