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186A - 자기 응답 완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 - Google Patents

자기 응답 완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186A
KR20140099186A KR1020140006607A KR20140006607A KR20140099186A KR 20140099186 A KR20140099186 A KR 20140099186A KR 1020140006607 A KR1020140006607 A KR 1020140006607A KR 20140006607 A KR20140006607 A KR 20140006607A KR 20140099186 A KR20140099186 A KR 2014009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magnetic
toy
self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이치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4009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9Toy swords or similar toy weapons; Toy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자석 등의 자기 발생 부재를, 센서 바로 위가 아니라도, 센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자기 검지부에 접근시키면, 이를 검지하여, 그 자기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기 응답 완구(1)는 주완구체(2)와, 자기 발생 부재(17)를 갖는 부완구체(3)를 포함하고, 주완구체(2)는 사용자가, 부완구체(3)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부완구체(3)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한 자기 검지부(23)와, 동작부(20, 21)와,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22)와, 자기 검지부(23)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부(20, 21)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24)를 구비하고, 자기 검지부(23)는 자계를 검지 가능한 자계 센서(30)와, 자계 센서(30)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31)를 갖는다.

Description

자기 응답 완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MAGNETIC RESPONSE TOY, MAIN TOY MEMBER AND SUB TOY MEMBER TO BE USED IN MAGNETIC RESPONSE TOY}
본 발명은 자석 등의 자기 발생 부재의 자기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구 자석이 설치된 인형, 청소기 또는 조리기의 형태를 이룬 이동체의 접근을 검지 가능한 센서를 갖고, 센서에 의한 이동체의 검지에 수반하여 음성 신호가 판독되어, 스피커로부터 음성이 출력되는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27726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구의 경우, 이동체의 영구 자석이 센서 바로 위에 배치되지 않으면 센서는 이동체를 검지할 수 없었다. 그로 인해, 완구 상의 소정의 범위에 영구 자석을 접근시키면 반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당해 범위를 커버하도록 센서를 복수 설치해야만 해, 결과적으로 완구가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자석 등의 자기 발생 부재를, 센서 바로 위가 아니라도, 센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자기 검지부에 접근시키면, 이를 검지하여, 그 자기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는 주완구체와, 사용자가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 가능하며, 자기 발생 부재를 갖는 부완구체를 포함하는 자기 응답 완구이며, 상기 주완구체는 사용자가, 상기 부완구체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완구체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접근 또는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자기 검지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와,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동작 기억부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지부는 자계를 검지 가능한 자계 센서와, 당해 자계 센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자기 검지부의 자계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부완구체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완구체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상기 자기 검지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부완구체의 자기 발생 부재의 자계를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주완구체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갖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자기 검지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센서는 동작 자계 방향을 갖고, 당해 동작 자계 방향을 상기 파지부의 축심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수렴 부재는 상기 자계 센서의 동작 자계 방향으로 당해 자계 센서에 인접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동작부는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이고, 또한 동작 기억부는 상기 연출 출력부에 의해 연출로서 출력되는 연출 데이터를 기억한 연출 기억부이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연출 기억부로부터 연출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연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하도록 상기 연출 출력부를 제어하는 연출 제어부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부완구체는 반지 형상 또는 카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주완구체는 검, 도끼, 창, 도끼창, 총, 활과 화살, 간틀릿 등의 무구, 휴대 전화, 화장 용구, 팔찌, 인형체, 동물 인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물을 나타내는 형상을 이루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이며, 상기 주완구체는 자기 검지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와,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동작 기억부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지부는 자계를 검지 가능한 자계 센서와, 당해 자계 센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갖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에 있어서는, 상기 자기 검지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센서는 동작 자계 방향을 갖고, 당해 동작 자계 방향을 상기 파지부의 축심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수렴 부재는 상기 자계 센서의 동작 자계 방향으로 당해 자계 센서에 인접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에 있어서는, 상기 동작부는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이고, 또한 상기 동작 기억부는 상기 연출 출력부에 의해 연출로서 출력되는 연출 데이터를 기억한 연출 기억부이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연출 기억부로부터 연출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연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하도록 상기 연출 출력부를 제어하는 연출 제어부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는 검, 도끼, 창, 도끼창, 총, 활과 화살, 간틀릿 등의 무구, 휴대 전화, 화장 용구, 팔찌, 인형체, 동물 인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물을 나타내는 형상을 이루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부완구체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당해 파지부에 설치된 자기 검지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와,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동작 기억부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지부는 소정의 동작 자계 방향을 따른 자계를 검지 가능하고, 당해 동작 자계 방향을 상기 파지부의 축심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계 센서와, 당해 자계 센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를 갖고 있는 주완구체와 함께 자기 응답 완구로서 사용되는 부완구체이며, 사용자가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 가능하고, 또한 자기 발생 부재를 갖고, 당해 자기 발생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부완구체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완구체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상기 자기 검지부에 접근 또는 접촉시켰을 때, 상기 자계 센서의 동작 자계 방향을 따른 자계를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부완구체는 반지 형상 또는 카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 등의 자기 발생 부재를, 센서 바로 위가 아니라도, 센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자기 검지부에 접근시키면, 이를 검지하여, 그 자기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를 포함하는 자기 응답 완구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의 (a)는 도 1의 자기 응답 완구의 제1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b)는 도 1의 자기 응답 완구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의 자기 응답 완구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주완구체의 동작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1의 주완구체의 동작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의 (a)는 도 1의 주완구체의 자기 검지부의 정면도이고, (b)는 상기 자기 검지부의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주완구체의 변형예의 동작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자기 응답 완구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2의 (a)는 도 1의 자기 응답 완구의 제1 사용 형태를 도시하고, 도 2의 (b)는 도 1의 자기 응답 완구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자기 응답 완구(1)는 주완구체(2)와, 부완구체(3)를 포함한다.
주완구체(2)는 전체적으로 검을 모방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검신부(10)와 자루부(11)를 구비하고, 자루부(11)는 파지부(12), 검신부(10)와 파지부(12) 사이에 개재하는 플랜지부(13), 및 플랜지부(13)와 파지부(12)의 기단부 사이에 걸쳐진 손 보호부(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 보호부(14)는 도끼의 날을 모방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주완구체(2)는 검신부(10)와 자루부(11)의 천지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도끼를 모방한 형상으로도 된다.
사용자는 주완구체(2)를 검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12)를 파지하고, 또한 주완구체(2)를 도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신부(10)를 파지하여 주완구체(2)를 사용하게 된다.
이 주완구체(2)는 검으로서의 사용 형태 및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에서 각각의 사용 형태마다 다른 동작을 하는 동작부와,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트리거 버튼(15, 16)을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동작부는 음성 및 광을 사용하여 사용 형태에 따른 연출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트리거 버튼(15)은 주완구체(2)가 검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성에 배려하여, 그 경우에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파지부(12)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트리거 버튼(16)은 주완구체(2)가 도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성에 배려하여, 그 경우에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검신부(10)의 기단부[자루부(11)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완구체(2)에는 상기한 동작부의 동작을 사용 형태에 따라서 전환하기 위한 검 연출 모드 및 도끼 연출 모드의 동작 모드가 설치되어 있고, 동작 모드의 전환은 부완구체(3)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부완구체(3)는 반지 형상을 이루고 있고, 예를 들어 파지부(12)나 검신부(1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파지 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또한, 부완구체(3)는 사용자의 파지 손과는 다른 손이나, 그 밖의 신체상의 부위에 보유 지지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부완구체(3)는, 예를 들어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자기 발생 부재(17)를 갖고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자기 발생 부재(17)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지(包持)하는 환상의 아암부(18)에 지지된 장식부(19)에 설치되어 있다.
주완구체(2)에 있어서는,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발하는 자기가 검지됨으로써 동작 모드가 전환된다.
도 3은 자기 응답 완구(1)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주완구체(2)는 상기한 동작부로서의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와, 검 연출 모드 및 도끼 연출 모드의, 각각의 동작 모드마다의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의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22)와,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발하는 자기를 검지하는 자기 검지부(23)와, 동작 제어부(24)와, 주완구체(2)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동작 제어부(24)는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자기를 검지한 경우에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본 예에서는, 동작 제어부(24)는 전원부(25)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26)가 ON 조작되어 주완구체(2)가 기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우선 동작 모드를 검 연출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검 연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자기를 검지한 경우에, 동작 모드를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하고, 도끼 연출 모드로의 이행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동작 모드를 검 연출 모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트리거 버튼(15, 16)이 압박 조작된 경우에, 그들의 조작을 검출하여,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 및 동작 기억부(22)에 기억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를 동작시킨다.
음성 발생부(20)는 스피커 등의 발음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작 제어부(24)에 의한 제어를 기초로, 동작 모드에 따른 음성을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는, 음성 발생부(20)는, 검 연출 모드에 있어서는, 검의 가르기 소리를 모방한 음성(예를 들어, 「즈바」의 음성)을 발생시키고, 도끼 연출 모드에 있어서는, 도끼의 가르기 소리를 모방한 음성(예를 들어, 「자크」의 음성)을 발생시킨다.
발광부(21)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작 제어부(24)에 의한 제어를 기초로, 동작 모드에 따른 형태로 발광한다. 본 예에서는, 발광부(21)는 도끼의 날을 모방한 형상의 손 보호부(14)에 설치되어 있고, 도끼 연출 모드에 있어서만 발광한다.
자기 검지부(23)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부완구체(3)가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었을 때에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발하는 자기를 검지한다. 따라서, 자기 검지부(23)는 주완구체(2) 상의, 사용자가 부완구체(3)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신체상의 부위를 상대적으로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분에 설치된다. 본 예에서는,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자기를 검지한 경우에 동작 모드가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되므로, 자기 검지부(23)는 주완구체(2)가 도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검신부(10)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부완구체(3)를 장착한 파지 손에 의해 파지하고 있는 파지 위치를, 주완구체(2)를 도끼로서 사용하기 위해, 파지부(12)로부터 검신부(10)로 변경했을 때, 부완구체(3)는 이 파지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검신부(10)에 설치된 자기 검지부(23)에 접근 또는 접촉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 자기 검지부(23)가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를 검지하여, 동작 제어부(24)는 주완구체(2)의 동작 모드를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완구체(2)를 검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파지 위치를 검신부(10)로부터 파지부(12)로 변경했을 때에는, 부완구체(3)는 파지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자기 검지부(23)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 자기 검지부(23)는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를 검지하지 않게 되고, 동작 제어부(24)는 주완구체(2)의 동작 모드를 검 연출 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동작 제어부(24)는, 검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여 설치된 제1 트리거 버튼(15) 및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여 설치된 제2 트리거 버튼(16) 중,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그 동작 모드로부터 통상 상정되는 사용 형태에 있어서 조작하기 쉬운 한쪽의 트리거 버튼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조작하기 어려운 다른 쪽의 트리거 버튼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가 도끼 연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일 때에 조작하기 쉬운 제2 트리거 버튼(16)의 조작은 유효로 하고, 검으로서의 사용 형태일 때에 조작하기 쉬운, 반대로 말하면,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일 때에 조작하기 어려운 제1 트리거 버튼(15)의 조작은 무효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그 동작 모드로부터 통상 상정되는 사용 형태일 때에 조작하기 쉬운 트리거 버튼의 조작만을 유효로 함으로써, 주완구체(2)의 사용 형태와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에 의한 연출 사이에서 불일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완구체(2)가 검으로서 사용되어 있고, 그 동작 모드도 또한 검 연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예를 들어 주완구체(2)의 파지부(12)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파지 손과는 다른 손에 부완구체(3)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고 부완구체(3)를 보유 지지한 손을 자기 검지부(23)에 접근시켜 버린 경우에, 자기 검지부(23)가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를 검지하여, 주완구체(2)의 동작 모드가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주완구체(2)의 동작 모드가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알아차리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부(12)를 파지하여 주완구체(2)를 검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파지부(12)에 설치된 제1 트리거 버튼(15)을 조작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제1 트리거 버튼(15)의 조작이 여전히 유효하다면, 사용자가 검으로서 사용하고 있음에도,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의 연출이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트리거 버튼(15)의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주완구체(2)의 사용 형태와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에 의한 연출 사이에 불일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동작 제어부(24)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우를 도시한다.
주완구체(2)의 동작 제어부(24)는 주완구체(2)가 기동되는 데 수반하여, 우선 동작 모드를 검 연출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1).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의 자기의 검지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2).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자기가 검지된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동작 모드를 검 연출 모드로부터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3). 도끼 연출 모드로 이행한 경우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자기가 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검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버튼(15)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버튼(16)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스텝 S4).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제1 트리거 버튼(15)의 압박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5).
제1 트리거 버튼(15)의 압박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동작 기억부(22)에 기억된 검 연출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스텝 S6),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를 구동(동작)시킨다(스텝 S7).
동작 제어부(24)는 전원 스위치(26)가 OFF 조작되어 주완구체(2)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한 스텝 S2 내지 S7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도끼 연출 모드에 있어서의 주완구체(2)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제어부(24)는 타이머를 리셋하여 계시를 개시한다(스텝 S10).
또한, 동작 제어부(24)는 검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버튼(15)의 조작을 무효로 하고,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버튼(16)의 조작을 유효로 한다(스텝 S11).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2).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동작 제어부(24)는 동작 기억부(22)에 기억된 도끼 연출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스텝 S13),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를 구동(동작)시킨다(스텝 S14).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타이머를 참조하여, 도끼 연출 모드로 이행한 후의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0(예를 들어, 30초)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0 이하인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도끼 연출 모드를 계속하여, 상기한 스텝 S12 내지 S15의 처리를 반복한다.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0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작 제어부(24)는 계시를 정지하여 도끼 연출 모드를 종료한다(스텝 S16).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상기한 스텝 S1(도 4 참조)로 복귀된다. 단, 만약 계속해서 사용자가 도끼로서 사용하고 있고, 부완구체(3)를 보유 지지한 파지 손으로 검신부(10)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단 스텝 S1에서 검 연출 모드로 복귀되지만, 스텝 S2에서, 즉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자기가 검지되므로, 동작 제어부(24)는 동작 모드를 다시 도끼 연출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부완구체(3)를 보유 지지한 파지 손으로 검신부(10)를 파지하고 있는 한, 항시 도끼 연출 모드에 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자기 검지부(23)의 구성을 도시한다.
자기 검지부(23)는 자계 센서(30)와, 자계 수렴 부재(31)를 갖고 있다.
자계 센서(30)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저항 효과 소자(MR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소자는 일반적으로 동작 자계 방향을 갖고 있고, 자계 센서(30)는 그 동작 자계 방향을, 주완구체(2)가 도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검신부(10)의 축심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자계 수렴 부재(31)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자계 센서(30)를 동작시킬 수 있는 동작 자계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자기 센서(30)에 인접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2개의 자계 수렴 부재(31)가 사용되어 있고, 이들 자계 수렴 부재(31)가 자계 센서(30)를 동작 자계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자계 수렴 부재(31)는 자계 센서(30)를 동작시킬 수 있는 동작 자계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자계 수렴 부재(31) 각각의 자계 센서(30)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자계 센서(30)에 자계의 자력선을 수렴시키도록, 자계 센서(30)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자기 검지부(23)에서는 자계 수렴 부재(31)가,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형성하는 자계의 자력선 φ를 수집하고, 이를 자계 센서(30)의 동작 자계 방향을 따라서 자계 센서(30)를 통과하도록 수렴시킨다. 그것에 의해, 자계 센서(30)는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구체적으로는, 자기 발생 부재(17)가 형성하는 자계]를 검지한다.
자계 센서(30) 단일 부재에서의 자계 검지 가능 범위 A1은 자계 센서(30)의 바로 위가 극히 좁은 범위에 그친다. 한편, 2개의 자계 수렴 부재(31)에서 자계 센서(30)의 동작 자계 방향으로 자계 센서(30)를 사이에 두고 구성된 자기 검지부(23)의 자계 검지 가능 범위 A2는 자계 수렴 부재(31)의 주위까지 및 검신부(10)의 축심을 따라서 확대되어 있고, 자계 검지 가능 범위 A1에 비해 확대되어 있다.
사용자가 부완구체(3)를 자기 검지부(23)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대었을(접근시켰을) 때에,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자계 센서(30)의 바로 위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자계 검지 가능 범위 A2 내에 있는 한에 있어서, 자기 검지부(23)는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구체적으로는, 자기 발생 부재(17)가 형성하는 자계]를 검지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아이인 것 등의 이유로부터, 검신부(10)를 파지할 때에, 정확하게 부완구체(3)가 자계 센서(30)의 바로 위가 되도록 파지할 수 없어, 축심 방향으로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자계 감지 가능 범위 A2 내에 파지 손의 부완구체(3)가 있으면, 자기 검지부(23)에 자기를 검지시킬 수 있어, 주완구체(2)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비교적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에 의한 검신부(10)의 파지 위치는 사용자가 주완구체(2)를 도끼로서 사용할 때마다, 검신부(10)의 축심 방향으로 변동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자기 검지부(23)의 자계 검지 가능 범위 A2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검신부(10)의 축심을 따라서 확대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신부(10)를 파지하는 파지 손에 부완구체(3)를 장착하고 있으면, 파지 위치의 다소의 변동에 관계없이 자기 검지부(23)는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구체적으로는, 자기 발생 부재(17)가 형성하는 자계]를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계 수렴 부재(31)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자계 센서(30)를 사용하지 않아도 자기 검지부(23)의 자계 검지 가능 범위를 자계 센서(30)를 단일 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확대할 수 있어, 자기 응답 완구(1)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자계 센서(30)의 편측에만 자계 수렴 부재(31)를 설치해도 되고, 그 경우에도 자기 검지부(23)의 자계 검지 가능 범위를 자계 센서(30)를 단일 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확대할 수 있다.
자계 수렴 부재(31)를 형성하는 자성 재료는 투자율이 높고, 잔류 자속 밀도가 작은(보자력이 작은) 연자성 재료가 바람직하고, 전자 강판이나 퍼말로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잔류 자속 밀도가 작은 연자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자계 수렴 부재(31) 자체가 영속적으로 자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의 자기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완구체(2)와 부완구체(3)가 동일한 장소(장난감 상자 등)에 보관되어, 부완구체(3)가 자기 검지부(23)에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된 상태로 된 경우에, 가령 자계 수렴 부재(31)를 형성하는 자성 재료가 잔류 자속 밀도가 큰 경자성 재료이면, 자계 수렴 부재(31) 자체가 영속적으로 자화되어 버려, 사용 시에 부완구체(3)를 주완구체(2)로부터 이격한 후에도, 자화된 자계 수렴 부재(31)가 발하는 자계를 자계 센서(30)가 항상 검지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의 자기 발생 부재(17)의 자기의 검지에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자계 수렴 부재(31)를 형성하는 자성 재료에 연자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경우에도 자계 수렴 부재(31) 자체가 영속적으로 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발하는 자기를 자기 검지부(23)에 있어서 적절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자성 재료라 함은, 초기 투자율이 650 내지 100,000μi, 최대 투자율이 10,000㎛ 내지 500,000㎛ 정도, 또한 포화 자속 밀도가 0.38 내지 2.45T, 보자력이 0.32 내지 80A/m 정도의 자성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하고, 보다 구체적인 재료 명칭으로서는 전자 강판(규소 강판)이나 퍼말로이 등이 이에 해당하지만, 완구에 사용하는 경우, 저렴하고, 또한 비교적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성질이 양호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초기 투자율이 14,000μi 정도, 최대 투자율이 40,000㎛ 정도, 포화 자속 밀도가 2.00T 정도, 보자력이 8A/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응답 완구(1)에 따르면,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발하는 자기는 자계 수렴 부재(31)에 의해 수렴되어 자계 센서(30)를 통과하므로, 자기 검지부(23)의 자계 검지 가능 범위가 자계 센서(30)의 바로 위 이외로도 넓어진다. 그로 인해, 자계 센서(30)에 엄밀하게 위치를 맞추어 부완구체(3)를 접근시키도록 하지 않아도 자계 검지 가능 범위에 있으면, 자기 검지부(23)는 부완구체(3)의 자기 발생 부재(17)가 발하는 자기를 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가령 아이이고, 검신부(10)의 파지 위치가 축심 방향으로 변동되었다고 해도 비교적 확실하게 자기 검지부(23)에 자기를 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자계 수렴 부재(31)에 잔류 자속 밀도가 작은(보자력이 작은) 연자성 재료를 사용하고 있어, 자계 수렴 부재(31)가 영속적으로 자화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자계 수렴 부재(31)가 영속적으로 자화되고, 그 자계를 자계 센서(30)가 검지한 상태로 되어, 부완구체(3)를 자기 검지부(23)로부터 이격시켰다고 해도 동작 모드가 전환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주완구체(2)의 변형예의 동작 제어부(24)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도끼 연출 모드에 있어서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에 행하게 하는 연출로서, 통상 연출과 필살기 연출이 설치되어 있고, 동작 기억부(22)에는 이들의 연출마다의 동작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하에, 본 변형예의 도끼 연출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검 연출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 플로우는 상술한 주완구체(2)의 동작 플로우(도 4 참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제어부(24)는 타이머를 리셋하여, 계시를 개시한다(스텝 S10).
또한, 동작 제어부(24)는 검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버튼(15)의 조작을 무효로 하고, 도끼로서의 사용 형태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버튼(16)의 조작을 유효로 한다(스텝 S11).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사용자에 의한 필살기 연출로의 이행 지시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20). 또한, 필살기 연출로의 이행 지시는, 예를 들어 스위치 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이 스위치는 주완구체의 적절한 부분에 설치된다.
필살기 연출로의 이행 지시가 없는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의 유무를 판정하고(스텝 S12),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통상 연출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동작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스텝 S13),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를 구동(동작)시킨다(스텝 S14).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타이머를 참조하여, 도끼 연출 모드로 이행한 후의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0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5),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0을 초과할 때까지 도끼 연출 모드를 계속한다.
필살기 연출로의 이행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소정 시간 t1(예를 들어, 30초) 동안, 제2 트리거 버튼(16)이 압박 조작되는 것을 대기하고, 그 사이에 제2 트리거 버튼(16)이 압박 조작된 타이밍에서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에 의한 필살기 연출을 실행하여 도끼 연출 모드를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동작 제어부(24)는 일단 타이머를 리셋하여, 계시를 개시한다(스텝 S21).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22).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이 없는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타이머를 참조하여, 필살기 연출로 이행한 후의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1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3).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1 이하인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상기한 스텝 S22 내지 S23의 처리를 반복한다.
상기의 스텝 S22 내지 S23의 처리를 반복하는 동안에 제2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동작 제어부(24)는 필살기 연출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동작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스텝 S24),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발생부(20) 및 발광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25).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경과 시간 t에 관계없이, 계시를 정지하여 도끼 연출 모드를 종료한다(스텝 S16).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상기한 스텝 S1(도 4 참조)로 복귀된다.
또한, 트리거 버튼(16)의 압박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경과 시간 t가 소정 시간 t1을 초과한 경우에도, 동작 제어부(24)는 계시를 정지하여 도끼 연출 모드를 종료한다(스텝 S26). 그리고, 동작 제어부(24)는 상기한 스텝 S1(도 4 참조)로 복귀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도끼 연출 모드에만 복수의 연출이 설치되어 있지만, 검 연출 모드에도 복수의 연출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설치되는 연출의 선택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부완구체(3)의 종별을 나타내는 ID 정보를 보유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부완구체(3)에 설치하고, RFID 수신부를 주완구체(2)에 설치해 두고, 그리고, 동작 제어부(24)가, 부완구체(3)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부완구체(3)의 종별에 대응한 연출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검 및 도끼를 모방한 형상의 주완구체(2) 및 반지를 모방한 형상의 부완구체(3)를 포함하는 자기 응답 완구(1)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주완구체는 검이나 도끼를 모방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창, 도끼창, 총, 활과 화살, 간틀릿 등의 무구, 휴대 전화, 화장 용구, 팔찌, 인형체, 동물 인형 등의 형상물을 모방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부완구체는 반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부로서는, 음성이나 광을 사용하여 연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모터나 서보 등의 작동 장치를 구비하여, 당해 작동 장치에 의해 주완구체의 일부가 움직이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1 : 자기 응답 완구
2 : 주완구체
3 : 부완구체
10 : 검신부(파지부)
11 : 자루부
12 : 파지부
13 : 플랜지부
14 : 손 보호부
17 : 자기 발생 부재
20 : 음성 발생부(동작부)
21 : 발광부(동작부)
22 : 동작 기억부
23 : 자기 검지부
24 : 동작 제어부
30 : 자계 센서
31 : 자계 수렴 부재

Claims (18)

  1. 주완구체와, 사용자가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 가능하며, 자기 발생 부재를 갖는 부완구체를 포함하는 자기 응답 완구이며,
    상기 주완구체는,
    사용자가, 상기 부완구체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완구체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접근 또는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자기 검지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와,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동작 기억부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지부는 자계를 검지 가능한 자계 센서와, 당해 자계 센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를 갖는, 자기 응답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검지부의 자계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부완구체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완구체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상기 자기 검지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부완구체의 자기 발생 부재의 자계를 검지하는, 자기 응답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완구체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갖고 있는, 자기 응답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검지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응답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센서는 동작 자계 방향을 갖고, 당해 동작 자계 방향을 상기 파지부의 축심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응답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수렴 부재는 상기 자계 센서의 동작 자계 방향으로 당해 자계 센서에 인접 설치되어 있는, 자기 응답 완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이고,
    또한, 상기 동작 기억부는 상기 연출 출력부에 의해 연출로서 출력되는 연출 데이터를 기억한 연출 기억부이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연출 기억부로부터 연출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연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하도록 상기 연출 출력부를 제어하는 연출 제어부인, 자기 응답 완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완구체는 반지 형상 또는 카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자기 응답 완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완구체는 검, 도끼, 창, 도끼창, 총, 활과 화살, 간틀릿을 포함하는 무구, 휴대 전화, 화장 용구, 팔찌, 인형체, 동물 인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물을 나타내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자기 응답 완구.
  10.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이며,
    상기 주완구체는,
    자기 검지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와,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동작 기억부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지부는 자계를 검지 가능한 자계 센서와, 당해 자계 센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를 갖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갖고 있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검지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센서는 동작 자계 방향을 갖고, 당해 동작 자계 방향을 상기 파지부의 축심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수렴 부재는 상기 자계 센서의 동작 자계 방향으로 당해 자계 센서에 인접 설치되어 있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이고,
    또한, 상기 동작 기억부는 상기 연출 출력부에 의해 연출로서 출력되는 연출 데이터를 기억한 연출 기억부이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연출 기억부로부터 연출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연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또는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연출을 출력하도록 상기 연출 출력부를 제어하는 연출 제어부인,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완구체는 검, 도끼, 창, 도끼창, 총, 활과 화살, 간틀릿을 포함하는 무구, 휴대 전화, 화장 용구, 팔찌, 인형체, 동물 인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물을 나타내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17.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당해 파지부에 설치된 자기 검지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데이터를 기억한 동작 기억부와, 상기 자기 검지부가 자기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동작 기억부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지부는 소정의 동작 자계 방향을 따른 자계를 검지 가능하고, 당해 동작 자계 방향을 상기 파지부의 축심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계 센서와, 당해 자계 센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연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계 수렴 부재를 갖고 있는 주완구체와 함께 자기 응답 완구로서 사용되는 부완구체이며,
    사용자가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 가능하고, 또한 자기 발생 부재를 갖고,
    당해 자기 발생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부완구체를 신체에 장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완구체를 장착 또는 파지한 신체상의 부위를 상기 자기 검지부에 접근 또는 접촉시켰을 때, 상기 자계 센서의 동작 자계 방향을 따른 자계를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부완구체.
  18. 제17항에 있어서, 반지 형상 또는 카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부완구체.
KR1020140006607A 2013-02-01 2014-01-20 자기 응답 완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 KR20140099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8977A JP5509355B1 (ja) 2013-02-01 2013-02-01 磁気応答玩具、磁気応答玩具に用いられる主玩具体および副玩具体
JPJP-P-2013-018977 2013-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86A true KR20140099186A (ko) 2014-08-11

Family

ID=5039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07A KR20140099186A (ko) 2013-02-01 2014-01-20 자기 응답 완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09355B1 (ko)
KR (1) KR20140099186A (ko)
CN (1) CN103706128B (ko)
TW (1) TWI507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7794A (ja) * 2014-03-19 2014-08-21 Bandai Co Ltd 磁気応答玩具、磁気応答玩具に用いられる主玩具体および副玩具体
JP2017018188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バンダイ 磁気応答玩具
CN105749563B (zh) * 2016-04-25 2017-11-07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可穿戴式航模无线遥控系统
JP6166450B1 (ja) * 2016-11-29 2017-07-19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912282B2 (ja) * 2016-11-29 2021-08-04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US20210339159A1 (en) * 2018-08-17 2021-11-0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Toy system, casing, separate toy, separate toy assessment method, and program
JP6661818B1 (ja) * 2019-07-09 2020-03-11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7095051B2 (ja) * 2020-10-23 2022-07-04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263A (ja) * 1992-04-02 1993-10-26 Takara Co Ltd ごっこハウス玩具
JP3877981B2 (ja) * 2001-06-29 2007-02-07 株式会社スタッフ 音声出力玩具
JP2003071141A (ja) * 2001-09-04 2003-03-11 Sanei Boeki Kk 動物鳴き声おもちゃ
CN2652477Y (zh) * 2003-09-24 2004-11-03 张逸夫 浮力磁动玩具
CN100544184C (zh) * 2006-04-18 2009-09-23 王晓冰 具有垂向移动控制机构的磁斥型悬浮装置
EP2286401B1 (en) * 2008-05-07 2019-11-06 E.V.T.T Ltd. A responsive book system and method therefor
TWI410267B (zh) * 2010-05-25 2013-10-01 Nat Univ Chung Hsing 可隔空充電之飄浮式遙控飛機
JP5391235B2 (ja) * 2011-06-23 2014-01-15 京楽産業.株式会社 発光遊技具
CN102353913B (zh) * 2011-07-13 2013-06-12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单轴压电驱动的弱磁场测量传感器
JP5122014B1 (ja) * 2012-06-26 2013-01-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06128A (zh) 2014-04-09
JP2014147598A (ja) 2014-08-21
TW201438799A (zh) 2014-10-16
TWI507235B (zh) 2015-11-11
CN103706128B (zh) 2016-08-17
JP5509355B1 (ja)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9186A (ko) 자기 응답 완구, 자기 응답 완구에 사용되는 주완구체 및 부완구체
WO2014087733A1 (ja) 動作玩具
JP6787338B2 (ja) 力覚提示装置、力覚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4316A5 (ja) 動作応答玩具
JP2013061176A5 (ko)
EP3530328B1 (en) Game controller
JP5939691B2 (ja) 応答玩具および主玩具体
KR101901366B1 (ko)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자기 제어기
WO2010018486A1 (en) Programmable device and programming method
KR20210058871A (ko) 교체가능 제어 수단을 갖는 핸드헬드형 제어기
EP2881851A1 (en) Paper medium,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program
CA2772398A1 (en) Input device with haptic feedback
US10440172B2 (en) Terminal-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JP2016137403A (ja) 応答玩具および主玩具体
KR20170007128A (ko) 자기 응답 완구
CN109963631B (zh) 演出输出玩具
JP2014147794A (ja) 磁気応答玩具、磁気応答玩具に用いられる主玩具体および副玩具体
JP2018119948A (ja) 導体追跡装置
JP2005309695A (ja) コードレス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JP7361623B2 (ja) 動作玩具
US20180097927A1 (en) Control apparatus
JP6661818B1 (ja) 動作玩具
JP4293928B2 (ja) 目覚し時計
WO2019111604A1 (ja) 第1の情報処理装置、第2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6724283A (zh) 用于在用户设备中产生触觉效果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