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361A -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361A
KR20140097361A KR1020147016126A KR20147016126A KR20140097361A KR 20140097361 A KR20140097361 A KR 20140097361A KR 1020147016126 A KR1020147016126 A KR 1020147016126A KR 20147016126 A KR20147016126 A KR 20147016126A KR 20140097361 A KR20140097361 A KR 20140097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ner
opening
fill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균터 운트흐
페터 라이스
마르틴 코흐
Original Assignee
플레코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레코텍 아게 filed Critical 플레코텍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9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75Emptying system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컨테이너(1)가 베이스 몸체(10) 안으로 방출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10)의 충전 개방부(11)를 동봉하는 라이너(20)가 상기 베이스 몸체(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라이너(20)의 충전 단부(21)는 안으로 접혀져서 수용 영역이 상기 컨테이너(1)를 형성한다. 나이프(15)에 의해서 형성된 방출 개방부가 상기 컨테이너(1)가 방출될 수 있게 하면서 외부에 대해서 완전히 밀봉되는 방식으로 상기 수용 영역이 밀봉된다.

Description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DISCHARGE METHOD AND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AN AT LEAST PARTIALLY FLEXIBLE CONTAINER WITHOUT CONTAMINATION}
본 발명은 각각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의 전제부에 따른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미가공 재료의 물질들과 함께 작업하는 작업자들에 대한 심각한 건강상 해로움이 가해지는, 미가공 재료들을 추가 처리할 때, 많은 산업들, 예를 들어 제약 또는 화학 산업에서 청결성을 증가시키고 절대적으로 오염없는 작업을 보장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오염으로부터의 자유도의 관점에서 필요성이 작은 경우에 조차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들을 생산 유닛 또는 추가의 가요성 컨테이너 안으로 방출할 때 상당한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적당한 공유 영역에서 공지된 절연체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DE 10 2009 017 545 A1호 또는 DE 10 2006 057 760 B3호에는 공지된 방법 또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DE 10 2006 057 760 B3호로부터 공지된 장치의 경우에, 베이스 몸체의 충전 개방부를 동봉하는 라이너가 베이스 몸체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 방식은 밀봉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들의 결합(docking)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은 특히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들을 처리 시스템에 환경 밀봉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비용 효과적이고, 취급이 용이하면서 절대적으로 청결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 형태를 갖는 방법에 의해서 또는 청구항 5의 형태를 갖는 장치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각각의 종속 청구항들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환경적으로 밀봉된 연결부를 만들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 몸체에 충전 개방부를 갖는 처리시스템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의 오염없는 결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의해서 절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영역을 갖는 임의의 컨테이너, 예를 들어 가열 밀봉된 필름 저부를 갖는 금속 컨테이너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컨테이너의 가요성 영역은 충전 개방부를 대면하게 배향된다. 만약 컨테이너가 백과 같이 완전히 가요성이라면, 상기 방법은 특정 배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컨테이너가 라이너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당업자는 용어 "라이너(liner)"는 일종의 튜브 또는 튜브형 필름을 지칭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라이너는 예를 들어 라이너 카세트에서 연속 라이너로서 제공된다. 라이너는 공간 절약 방식으로 라이너 카세트에서 함께 접혀진다. 공지된 충전 개방부들의 경우에, 라이너 카세트는 충전 개방부를 동봉하도록 베이스 몸체에 부착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 공정 단계들을 포함한다:
라이너는 본 방법이 개시되기 전에 충전 개방부 위로 밀봉된 충전 단부에서 특정 개시 길이에서 라이너 카세트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라이너는 그때 안으로, 특히 충전 단부가 접혀진다. 따라서, 라이너는 여전히 충전 개방부를 밀봉한다. 컨테이너가 안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수용 영역이 생성된다.
컨테이너는 수용 영역 안으로 삽입되고, 그후에 라이너의 적어도 이중벽 단부는 대부분 컨테이너 위로 연장된다. 필요하다면, 라이너는 라이너 카세트 외부로 더욱 인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컨테이너와 함께 적어도 이중벽 단부를 크림프하거나 또는 가열 밀봉할 수 있을 때 적어도 이중벽 단부가 돌출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라이너는 수용 영역이 밀봉되도록 차후에 밀봉된다.
라이너는 충전 개방부를 대면하는 측부에서, 특히 양호하게는 안으로 접혀지는 충전 단부에서 특히 절취 개방으로, 차후에 개방된다. 동시에,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대체로 대응하는 방출 개방부 뿐 아니라 라이너의 방출 개방부가 다른 것의 상단에 놓여지도록 절취 개방된다. 컨테이너의 내용물들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백 개방부(bag opening)가 그에 의해서 컨테이너 및 충전 개방부 사이에 생성된다. 충전 개방부에 대해서 개방되는 수용 영역은 그에 의해서 외부에 대해서 폐쇄 상태로 잔류한다.
마지막으로, 컨테이너가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라이너 및 컨테이너의 절취 개방 이후에, 라이너는 충전 개방부로부터 후퇴하고, 컨테이너를 라이너와 함께 운반한다. 이는 절취 개방 직후 및 방출 중에 행해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방법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방출 후에, 라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영역에서 컨테이너 및 충전 개방부 사이에 밀봉된다. 이는 가열 밀봉에 의해서 또는 크림프에 의해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영역 내에 또는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생성되는, 2개의 밀봉 영역들 사이에 밀봉한 후에, 상기 라이너는 절취 지점에서 분리되어서, 밀봉 단부가 충전 단부로서 상기 충전 개방부의 측부 상에서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컨테이너를 오염 없는 방식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절열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지된 방법들보다 더욱 비용 효과적이다. 상기 컨테이너에 최초에 수용된 재료는 항상 밀봉 상태로 유지된다. 종종 완전하게 방출되지 않은, 방출 컨테이너도 처분을 위하여 완전히 밀봉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방법을 위한 방출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서, 충전 개방부가 베이스 몸체 상에 라이너를 구비한 라이너 카세트를 방사상 동봉하도록 배치된다. 라이너가 충전 단부에 밀봉되면, 전체 베이스 몸체는 베이스 몸체에 대한 라이너 카세트의 대응하는 부착에 의해서 완전하게 밀봉된다. 라이너는 특히 리프팅 및 고정 장치(lifting and gripping device)에 의해서 상기 충전 개방부로부터 멀리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충전 개방부는 고리 격자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밀봉된다.
컨테이너가 수용 영역에서 분리되고 컨테이너가 컷팅에 의해서 생성된 방출 개방부를 통하여 충전 개방부 안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이러한 종류의 고리 격자는 처리 시스템의 폐색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컷팅 장치, 특히 컨테이너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갖는 리프팅 및 컷팅 장치는 충전 개방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블레이드는 컨테이너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고리 격자의 측부 상에 배치되고, 고리 격자는 블레이드에 일치하도록 배치된 개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블레이드는 컨테이너를 향하여 이동하여서 고리 격자를 관통한다.
원칙적으로 블레이드에 의해 가해지는 상해의 위험성은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거된다. 마찬가지로, 컨테이너에 대한 비의도적인 손상도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기초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공정 단계들은 단면도로 각각 도시되고, 장치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절취 쐐기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대략 1/4을 절취한다.
도 1은 라이너의 밀봉 충전 단부를 갖는 실시예에 이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아래에 배치된 방출 장치 및 컨테이너의 단순화된 개략도.
도 2는 안으로 접혀진 충전 단부를 갖는 도 1의 방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삽입된 컨테이너를 갖는 도 2의 방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컨테이너 주위에 밀봉된 수용 영역을 갖는 도 3의 방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충전 단부 및 컨테이너를 관통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도 4의 방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후퇴한 컨테이너를 갖는 도 5의 방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후퇴한 컨테이너 및 절취 지점을 갖는 도 5의 방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분리된 충전 단부를 갖는 도 7의 방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기 방출 장치의 내부의 도면은 절개된 쐐기에 의해서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연속적으로 관측된 방출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방법을 위하여 제공된 방출 장치가 일종에 처리 시스템의 연결 부재, 예를 들어 파이프 또는 컨테이너의 연결 부재로 통합된다. 방출 장치는 충전 개방부(11)가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베이스 몸체(10)를 가진다. 컨테이너(1)가 베이스 몸체(10)의 위에 도시되어 있고, 컨테이너의 내용물(2)은 충전 개방부(11) 안으로 부어져야 한다.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 시스템의 충전(완전히 도시된 것은 아님) 또는 컨테이너(1)의 비움동작은 각각 환경으로부터 밀봉되게 실행된다.
라이너 카세트(liner cassette;12)는 충전 개방부(11)를 동봉하도록 배치되고, 라이너 카세트로부터 라이너(20)가 컨테이너(1)로 유인된다. 튜브와 같은 라이너는 연속 라이너 카세트(12)에 의해서 환경으로부터 밀봉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10)와 연결된다. 라이너는 라이너 카세트(12)로부터 상향으로 컨테이너(1)를 향하여 유인된다.
라이너 카세트(12)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라이너(20)의 단부는 충전 단부(21)로서 기술된다. 이 충전 단부는 가열 밀봉 이음매에 의해서 밀봉된다. 대안으로, 충전 단부는 크림프(crimp)될 수 있다.
도 2는 충전 단부(21)가 수용 영역(22)을 형성하기 위하여 어떻게 안으로 접혀지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컨테이너(1)가 수용 영역(22) 안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컨테이너(1)의 윤곽부 뿐 아니라 볼 수 없는 라이너(20)의 윤곽부는 모든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의 내용물(2), 통상적으로 유체 또는 입자형 재료는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컨테이너 위로 돌출하는 이중벽 단부(23)가 밀봉된 이후의 수용 영역(22)을 도시한다. 컨테이너(1)는 수용 영역(22)에서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폐쇄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특히 가열 밀봉에 의해서 이중벽 단부(23)를 밀봉함으로써 수용 영역(22)에 고정된다.
도 5는 블레이드(15)가 충전 개방부(11)로부터 고리 격자(13)를 통하여 충전 단부(21) 안으로 그리고 컨테이너(1) 안으로 연장되어서, 원으로 표시된 내용물(2)이 컨테이너(1)에서 처리 시스템으로 방출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방출 후에 또는 방출 중에, 라이너(20)는 이중벽 단부(23)에서 라이너 카세트(12)로부터 더욱 상향으로 인출된다. 자유 영역이 충전 단부(21) 및 충전 개방부(11) 사이의 밀봉 영역(24)으로서 형성된다. 밀봉 영역(24)은 크림프 또는 가열 밀봉, 특히 천공을 갖는 이중 이음매에 의해서 생성된다. 천공은 밀봉 영역(24)에서 절취 지점(25)의 특수한 형태이다. 절취 지점(25)은 생성된 2개의 밀봉 영역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1. 컨테이너
2. 내용물들
3. 방출 개방부
10. 베이스 몸체
11. 충전 개방부
12. 라이너 카세트
13. 고리 격자
14. 컷팅 장치
15. 블레이드
16. 개방부
20. 라이너
21. 충전 단부
22. 수용 영역
23. 이중벽 단부
24. 밀봉 영역
25. 절취 지점

Claims (9)

  1.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으로서, 상기 컨테이너(1)가 베이스 몸체(10) 안으로 방출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10)의 충전 개방부(11)를 동봉하는 라이너(20)가 상기 베이스 몸체(10)에 부착되는, 상기 방출 방법에 있어서,
    하기의 연속적인 공정 단계들:
    a. 상기 라이너(20)를 안으로 접는 단계(folding)로서, 상기 라이너는 충전 단부(21)에 의해서 밀봉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라이너(20)는 상기 컨테이너(1)가 안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수용 영역(22)이 생성되도록 상기 충전 개방부(11)를 밀봉하는, 상기 접는 단계,
    b. 상기 수용 영역(22) 안으로 상기 컨테이너(1)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이너(20)의 적어도 이중벽 단부(23)가 상기 컨테이너(1) 위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이중벽 단부(23)가 상기 컨테이너(1)를 완전히 동봉하는, 상기 삽입 단계,
    c. 상기 수용 영역(22)이 밀봉되도록 상기 라이너(20)를 밀봉하는 단계,
    d. 상기 수용 영역(22)에서 상기 라이너(20)를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를 개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컨테이너(1) 및 상기 충전 개방부(11) 사이에 방출 개방부(3)가 생성되고, 상기 방출 개방부는 상기 컨테이너(1)의 충전 재료(2)가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용 영역(22) 및 상기 충전 개방부(11)가 외부에 대해서 밀봉되는, 상기 개방 단계,
    e. 상기 컨테이너(1)의 방출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 개방 단계(d) 후에, 상기 라이너(20)는 상기 충전 개방부(11)로부터 후퇴하여, 특히 상기 컷팅 개방 단계(d) 직후 그리고 아직 상기 방출 단계(e) 중에 상기 컨테이너(1)를 라이너와 함께 운반하는(take)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단계(e) 후에, 상기 라이너(20)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영역(24)에서 상기 컨테이너(1) 및 상기 충전 개방부(11) 사이에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24) 내에 또는 밀봉 영역들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생성되는, 2개의 밀봉 영역들 사이에 밀봉한 후에, 상기 라이너(20)는 절취 지점(25)에서 분리되어서, 밀봉 단부가 충전 단부(21)로서 상기 충전 개방부의 측부 상에서 이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출 방법을 위한 방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충전 개방부가 라이너 카세트(12), 특히 연속 라이너 카세트를 방사상 동봉하도록 상기 충전 개방부(11)가 배치되고, 상기 라이너 카세트 외부로 라이너(20)가, 특히 리프팅 및 고정 장치(lifting and gripping device)에 의해서 상기 충전 개방부(11)로부터 멀리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방부(11)는 고리 격자(13)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방부의 영역에 컷팅 장치(14), 특히 컨테이너(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리프팅 및 컷팅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상기 고리 격자(13)의 측부 상에 블레이드(15)가 배치되고 상기 고리 격자(13)는 개방부가 상기 블레이드(15)에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개방부(16)를 구비하여, 상기 블레이드(15)는 상기 컨테이너(1)를 향하여 이동해서, 상기 고리 격자(13)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장치.
KR1020147016126A 2011-11-14 2012-11-13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 KR20140097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6278A DE102011086278A1 (de) 2011-11-14 2011-11-14 Entleerverfahren und Entleervorrichtung für ein kontaminationsfreies Entleeren eines zumindest teilweise flexiblen Gebindes
DE102011086278.1 2011-11-14
PCT/DE2012/100346 WO2013071924A1 (de) 2011-11-14 2012-11-13 Entleerverfahren und entleervorrichtung für ein kontaminationsfreies entleeren eines zumindest teilweise flexiblen gebin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361A true KR20140097361A (ko) 2014-08-06

Family

ID=4729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126A KR20140097361A (ko) 2011-11-14 2012-11-13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511884B2 (ko)
EP (1) EP2780232B1 (ko)
JP (1) JP6224607B2 (ko)
KR (1) KR20140097361A (ko)
CN (1) CN104093634B (ko)
AU (1) AU2012339257A1 (ko)
BR (1) BR112014011580A2 (ko)
CA (1) CA2855769C (ko)
DE (1) DE102011086278A1 (ko)
IN (1) IN2014KN00974A (ko)
MX (1) MX2014005850A (ko)
RU (1) RU2014123771A (ko)
SG (1) SG11201402284YA (ko)
WO (1) WO2013071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6304B2 (ja) * 2015-10-02 2019-02-06 鹿島建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破袋システム及び方法
IT201600078602A1 (it) * 2016-07-27 2018-01-27 I M A Industria Macch Automatiche S P A In Sigla Ima S P A Gruppo di estrazione del contenuto di una busta per settori farmaceutico e chimico
US20180027764A1 (en) * 2016-10-11 2018-02-01 Jack Coleman Bag Breaker
EP3807155A2 (de) * 2018-06-15 2021-04-21 Andocksysteme G. Untch GmbH Vorrichtung zum lagern und transportieren, insbesondere von pharmazeutischem schüttgut
EP3909880A1 (en) 2020-05-13 2021-11-17 Lugaia AG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ion between two reg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2761A1 (de) * 1992-04-16 1993-10-21 Paals Packpressen Fabrik Gmbh Einrichtung zum Öffnen von Säcken, Beuteln oder dergleichen flexiblen Packmitteln
US5405053A (en) 1993-08-04 1995-04-11 Uneco Engineering, Inc. Bulk bag opener and dispenser
US5484247A (en) * 1994-05-16 1996-01-16 Bulk Handling Systems, Inc. Bag breaker
GB2306376B (en) * 1995-10-25 1998-12-23 Extract Technology Ltd Glove box
DE19937700A1 (de) * 1999-08-10 2001-02-15 Degussa Entleerstation für Bulk-Bags und deren Verwendung
DE102004005961B4 (de) * 2003-12-11 2005-11-24 Hecht Anlagenbau Gmbh Verfahren zur kontaminationsvermeidenden Entleerung bzw. Befüllung von Schüttgutbehältern
US20050232731A1 (en) * 2004-04-16 2005-10-20 Lund Virgil D Dispensing system
DE102006051513B3 (de) * 2006-10-31 2007-08-16 Hecht Anlagenbau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packungsentleerstation
DE102006057760B3 (de) 2006-12-07 2008-07-10 Hecht Anlagenbau Gmbh Lineranschlussvorrichtung und Linerbefüllvorrichtung
US20100012225A1 (en) * 2006-12-24 2010-01-21 Viktor Schnyder Device And Method For Decanting Powders And Solid Substances While Avoiding Contamination And Novel Use Of A Weldable And Peelable Tubular Film
CH699603B1 (de) * 2008-09-30 2014-03-14 Rubite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füllen von Füllgut aus einem ersten Behälter in einen zweiten Behälter.
DE102009017545B9 (de) * 2009-04-17 2017-07-20 Flecotec Ag Verfahren zum umweltdichten Verbinden zweier mindestens teilweise flexibler Gebinde
DE102010050877B4 (de) * 2010-11-09 2021-11-11 Atka Kunststoffverarbeitung Gmbh Vorrichtung zum Anheben und Entleeren von Behältern mit Schüttgütern, insbesondere von Säcken mit rieselfähigen Produk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0232B1 (de) 2017-06-14
MX2014005850A (es) 2014-10-17
RU2014123771A (ru) 2015-12-27
EP2780232A1 (de) 2014-09-24
AU2012339257A1 (en) 2014-06-19
DE102011086278A1 (de) 2013-05-16
WO2013071924A1 (de) 2013-05-23
US9511884B2 (en) 2016-12-06
CA2855769A1 (en) 2013-05-23
CN104093634B (zh) 2016-04-20
CN104093634A (zh) 2014-10-08
JP6224607B2 (ja) 2017-11-01
BR112014011580A2 (pt) 2017-05-09
SG11201402284YA (en) 2014-09-26
JP2015500783A (ja) 2015-01-08
US20140314527A1 (en) 2014-10-23
IN2014KN00974A (ko) 2015-10-09
CA2855769C (en)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7361A (ko) 오염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컨테이너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방법 및 방출 장치
FI62504B (fi) Kopplingsanordning foer anslutning av ett materialuttag till en foerpackning
US7637449B1 (en) Pill crusher pouch
EP2896581A1 (en) Disposable unit
JPH0735171B2 (ja) 閉鎖可能なバツグ及びその無菌的な充填方法と装置
JP2007514626A (ja) 汚染を防止した形でばら荷を容器から排出する、或いは容器に充填する方法
CN108349637B (zh) 袋式包装物以及用于适配此类包装物的相关联方法
US20110142574A1 (en) Method of transferring an object into a clean room
EP1656311B1 (en) Connection assembly for flexible containers
US20160031586A1 (en) Flexible container and filling device for such a flexible container and corresponding filling method
RU24509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сключающего загрязнение пересыпания порошков и твердых веществ, а также новое применение свариваемого и отслаивающегося пленочного рукава
EP2856970B1 (en) Bag containing semen for artificial animal insemination
CN102448836B (zh) 用于与环境隔离地将两个至少部分柔性的包装相连接的方法
EP1381548B1 (en) Flexibl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045156A (ja) 液体包装用容器の口栓
EP1939094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for pourable products
CN217436499U (zh) 一种袋子
WO1998052832A9 (en) A flexible container, a use of a container, a cartridge with a powdered fil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JP2004161367A (ja) フレキシブル容器の開袋機
DE102012220791A1 (de) Darreichungseinheit für tablettenförmige Körper
EP1719710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ontainers of sheet material
JP2004115068A (ja) 内層袋を押し出して反転させる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及び内容物の取り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