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038A - 폐쇄유니트 - Google Patents

폐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038A
KR20140097038A KR1020140010731A KR20140010731A KR20140097038A KR 20140097038 A KR20140097038 A KR 20140097038A KR 1020140010731 A KR1020140010731 A KR 1020140010731A KR 20140010731 A KR20140010731 A KR 20140010731A KR 20140097038 A KR20140097038 A KR 20140097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old
mounting plate
frame bar
mold mounting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674B1 (ko
Inventor
헤르베르트 차이들호퍼
안톤 로흐넥커
Original Assignee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 B29C45/670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withou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clamping device during the mould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29C45/671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withou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clamping device during the mould opening or closing movement using a separate element transmitting the mould clamping force from the clamping cylinder to the mould
    • B29C45/6728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withou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clamping device during the mould opening or closing movement using a separate element transmitting the mould clamping force from the clamping cylinder to the mould the separate element consisting of coupling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용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가동형 몰드취부판(2)과, 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에 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고정하기 위한 구속장치(4)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쇄유니트 {CLOSURE UNIT}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사출성형기용의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안전을 이유로, 만약 예를 들어 신속작동기구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사출성형기의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는 가동형 몰드취부판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장치를 가져야 한다. 종래에 이들 구속장치는 신속작동장치에 착설되었다. 특히 유압형의 신속작동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구속장치는 요구된 경우 신속작동실린더에 직접 작용하는 클램핑장치의 형태이다. 이러한 구속장치의 기본적인 문제점은 예를 들어 고정핀이 파단되는 경우와 같이 신속작동장치 또는 구속장치의 어떠한 구성요소에서 구조적인 결함이 나타나는 경우에 가동형 몰드취부판이 낙하하는 것에 있다. 이는 이러한 구성요소가 안전한 완충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자연적으로 이러한 폐쇄유니트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고 보다 신뢰가능한 구속장치가 구비된 사출성형기용의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사출성형기용의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frame bar)에 가동형 몰드취부판을 잠금고정하기 위한 구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 바아는 가동형 몰드취부판을 고정하기에 충분히 강한 구조를 갖는 형태이므로 안전여유(safety margin)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안전보장성이 증가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최적한 공간이용을 위하여 구속장치는 가동형 몰드취부판에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에 대한 구속장치의 적극적인 잠금연결에 의하여 잠금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클램핑장치와 같은 강제잠금형 구속장치는 한편으로 고가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매월 정기적으로 체크해주어야 한다. 자연적으로 이러한 점이 생산성에 해가 된다. 이러한 결점은 적극잠금형의 잠금작동(positively locking locking action)에 의하여 해소된다.
특별히 유리한 실시형태는 구속장치가 폐쇄압력의 발생시에 가동형 몰드취부판을 고정하는 잠금기구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잠금기구의 이중용도(doubled use)에 의하여 특별히 저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용도는 특히 잠금기구가 적어도 하나의, 좋기로는 분할형 잠금너트의 형태인 경우에 간단히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특별히 유리한 실시형태는 잠금구동장치가 고장난 경우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잠금상태에서 잠금구동장치가 스위치 오프(switch off)될 때 구속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적극잠금형 잠금작동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경우 특히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가 외면요철부(outside profile)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이 외면요철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의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대형기계인 경우 특별히 증가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는 구속장치가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에 고정되고, 특히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어느 위치에서나 구속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의 길이 까지 외면요철부가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새로운 사출성형 몰드기구를 설치할 때 작업자의 작업이 간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은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여러 위치, 특히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최상부위치에 제공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최상부위치는 신속작동장치에 의하여 도달할 수 있는 몰드취부판의 최대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신속작동장치나 잠금구동장치의 종류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유압작동형, 전기작동형, 자기작동형 또는 공압작동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쇄유니트를 갖는 사출성형기도 본 발명의 보호대상이다.
더욱이, 작업자가 폐쇄유니트의 영역에 대하여 안전하게 접근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가동형 몰드취부판을 상부에서 구속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보호대상이다. 이는 고정되는 본 발명의 구속장치, 신속작동장치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감소된 인상력과, 인상력이 한계값 이하로 떨어질 때 작업자에게 알리는 접근허가 신호의 발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가동형 몰드취부판은 최상부위치 또는 어느 중간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유니트에서 단 하나의 버튼이 작동되면 여러 방법의 단계들이 기계제어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에 관하여, 기계제어장치에 의한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버튼은 작동상태로 남아 있어야 한다. 즉, 작업자의 손가락이 버튼 상에 놓여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동형 몰드취부판은 구속장치에 의하여 고정되기 전에 최상부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형 프레임 바아를 갖춘 기계장치에서 순전히 기계적인 구속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신호가 발생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가 수정된 스트로크운동의 최저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신호는 좋기로는 폐쇄영역의 액세스 도어(access door)에서 광학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최상부위치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를 통한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상태가 적극잠금형의 잠금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2는 중간위치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최상부위치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를 갖는 사출성형기를 보인 사시도.
먼저, 도 1a에서 보인 폐쇄유니트에서, 고정형 몰드취부판(12), 가동형 몰드취부판(2), 프레임 바아(3), 신속작동장치(9), 압력쿠션(13) 및 상부구속장치(4)를 볼 수 있다. 이 경우에서, 구속장치(4)는 각 프레임 바아에 대하여 각각의 분할형 잠금너트(6)와 두개의 각 잠금너트(6)를 작동시키기 위한 잠금구동장치(7)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잠금구동장치(7)는 유압작동형이다. 잠금너트(6)는 가동형 몰드취부판(2)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지지면(5)이 프레임 바아(3)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는 도 1b에서 상세히 보이고 있는 바, 이 도면에서는 잠금너트(6)의 내측요철부(inside profile)의 측면이 프레임 바아(3)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서, 신속작동장치(9)는 최상부위치에 놓여 있다.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바아(3)가 외면요철부(8)를 가지므로 가동형 몰드취부판(2)은 중간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분할형 잠금너트(6)의 각 두개의 절반부분은 연결봉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5)이 프레임 바아(3)의 외면요철부(8)의 하부측 측면에 형성된다. 다른 모든 도면부호들은 도 1의 도면부호와 동일하므로 이후 다시 언급하지는 않는다.
도 3은 프레임 바아(3)의 외면요철부(8)에 잠금너트(6)가 결합됨으로써 최상부위치(도시한 바와 같이)에서 구속이 이루어진 다른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는 특별히 안전하지만 프레임 바아가 앞의 실시형태 보다 길어야 하므로 약간 비용이 더 소요되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폐쇄유니트(10)와 사출유니트(11)를 갖는 사출성형기(1)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속장치는 별도의 잠금장치에 의하여, 예를 들어 프레임 바아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프레임 바아의 통공을 통하여 결합되는 볼트형태의 잠금부재에 의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구동장치가 유압작동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작동형 구동장치 또는 다른 어떠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사출성형기, 2: 가동형 몰드취부판, 3: 프레임 바아, 4: 구속장치, 5: 지지면, 6: 분할형 잠금너트, 7: 잠금구동장치, 8: 외면요철부, 9: 신속작동장치, 10: 수직폐쇄유니트, 11: 사출유니트, 12: 고정형 몰드취부판, 13: 압력쿠션.

Claims (17)

  1. 가동형 몰드취부판(2), 및 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1)용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에 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고정하기 위한 구속장치(4)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구속장치(4)가 가동형 몰드취부판(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5)에 대하여 구속장치(4)의 적극적인 잠금연결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구속장치(4)가 폐쇄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고정하는 잠금기구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잠금기구가 적어도 하나의, 좋기로는 분할형의 잠금너트(6)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구속장치(4)가 잠금고정될 수 있는 잠금구동장치(7)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잠금고정상태에서 잠금구동장치(7)가 스위치 오프되었을 때 구속장치(4)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5)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의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9.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가 외면요철부(8)를 가지는 제1항 내지 제8항의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폐쇄유니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5)이 외면요철부(8)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는 구속장치(4)가 가동형 몰드취부판(2)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에 고정되고, 특히 가동형 몰드취부판(2)의 어느 위치에서나 구속장치(4)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의 길이 까지 외면요철부(8)가 연장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11. 가동형 몰드취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최상부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속작동장치(9)가 제공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의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폐쇄유니트에 있어서, 가동형 몰드취부판(2)이 최상부위치에 있을 때 구속장치(4)가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신속작동장치(9) 및/또는 잠금구동장치(7)가 유압작동형, 전기작동형, 자기작동형 또는 공압작동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유니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폐쇄유니트(10)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
  14. 제1항 내지 제12항의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10)의 가동형 몰드취부판(2)을 상부에서 구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구속장치(4)가 고정되는 단계, 신속작동장치(9)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인상력이 감소되는 단계, 및 인상력이 한계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 작업자에게 알리는 접근허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구속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구속장치(4)가 고정되기 전에 가동형 몰드취부판(2)이 최상부위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구속방법.
  16. 폐쇄유니트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가 가동형인 제14항 또는 제15항에 기재된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구속방법에 있어서, 신호가 발생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바아(3)가 수정된 스트로크운동의 최저위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구속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좋기로는 패쇄영역의 액세스 도어에서 이루어지는 신호가 광학적으로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폐쇄형 폐쇄유니트의 가동형 몰드취부판의 구속방법.
KR1020140010731A 2013-01-28 2014-01-28 폐쇄유니트 KR101737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5/2013A AT513131B1 (de) 2013-01-28 2013-01-28 Schließeinheit für eine Spritzgießmaschine
ATA55/2013 2013-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038A true KR20140097038A (ko) 2014-08-06
KR101737674B1 KR101737674B1 (ko) 2017-05-18

Family

ID=5006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31A KR101737674B1 (ko) 2013-01-28 2014-01-28 폐쇄유니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52559B2 (ko)
KR (1) KR101737674B1 (ko)
CN (1) CN103963249B (ko)
AT (1) AT513131B1 (ko)
DE (1) DE102014000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5405B2 (ja) * 2016-12-21 2020-12-23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割ナット開閉装置
JP6830846B2 (ja) * 2017-03-30 2021-02-1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AT520593B1 (de) 2017-11-07 2020-12-15 Engel Austria Gmbh Zug- oder Druckstange oder Verriegelungsmutter für eine Formgebungsmaschine
HUE051405T2 (hu) * 2017-11-17 2021-03-01 Nemak Sab De Cv Öntõberendezés öntvények fémolvadékból történõ elõállítására
DE102017129117A1 (de) * 2017-12-07 2019-06-13 Moo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ylinderumschaltung mit einem mechanisch verriegelbaren Kraftaufbauzylinder
DE102018117586A1 (de) * 2018-06-08 2019-12-12 Bbg Gmbh & Co. Kg Formenträgersystem
AT521382B1 (de) * 2018-11-14 2020-01-15 Engel Austria Gmbh Schließeinheit für eine Formgebungsmaschine
CN112477034A (zh) 2019-09-12 2021-03-12 日精树脂工业株式会社 具有对开螺母的合模装置以及注射成型装置
CN112140464A (zh) * 2020-08-24 2020-12-29 佛山市宝塑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滑脚组件及注塑机
CN114379045A (zh) * 2020-10-22 2022-04-22 苏州杰玛森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注塑机生产安全的保护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2819B (ko) 1902-11-22 1903-08-10 Fernand Hendrickx
US2689978A (en) * 1950-02-14 1954-09-28 Albert J Roger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molds
US3561063A (en) * 1968-06-24 1971-02-09 Danly Machine Corp Vertically oriented injection molding machine
FR2355647A1 (fr) * 1976-03-31 1978-01-20 Poncet Pierre Perfectionnements aux presses, notamment pour le moulage des matieres plastiques
US4318682A (en) * 1980-09-05 1982-03-09 Ex-Cell-O Corporation Press locking apparatus
US4304540A (en) * 1980-09-15 1981-12-08 Hammon Carl K Hydraulic press
US4504208A (en) * 1982-07-14 1985-03-1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old clamp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4453902A (en) * 1983-08-04 1984-06-12 Mcneil-Akron, Inc. Tire curing press
US4944669A (en) * 1989-03-03 1990-07-31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tonnage rim press
US5091124A (en) * 1989-03-03 1992-02-25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tonnage rim press
JP2738094B2 (ja) 1989-12-22 1998-04-08 宇部興産株式会社 成形機の型締装置
JP2926356B2 (ja) * 1990-07-11 1999-07-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射出プレス成形機の過負荷防止装置
US6722875B2 (en) * 2002-04-17 2004-04-20 Van Dorn Demag Corporation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JP3913198B2 (ja) * 2003-07-08 2007-05-09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縦型射出成形機
AT12819U1 (de) * 2011-01-19 2012-12-15 Engel Austria Gmbh Vertikale zwei-platten-schliesseinheit
CN202540665U (zh) * 2012-01-31 2012-11-21 上海积健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两板式锁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63249B (zh) 2017-09-22
US20140212531A1 (en) 2014-07-31
CN103963249A (zh) 2014-08-06
US9452559B2 (en) 2016-09-27
AT513131B1 (de) 2014-02-15
KR101737674B1 (ko) 2017-05-18
AT513131A4 (de) 2014-02-15
DE102014000837A1 (de)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674B1 (ko) 폐쇄유니트
JP4854768B2 (ja) 型締装置
CN106144827B (zh) 一种防止电梯开门状态轿厢意外移动的双向安全钳系统
KR20100109211A (ko) 기계식 프레스의 슬라이드 록킹장치
US9233498B2 (en) Closing unit for an injection moulding machine
KR101494402B1 (ko) 조이스틱 파일럿밸브의 조이스틱 레버 잠금장치
CN207361742U (zh) 一种两柱举升机双侧手动解锁保险机构
CN204778122U (zh) 无机房电梯轿顶检修装置
KR100622599B1 (ko) 사출성형기의 기계식 안전장치
KR101692630B1 (ko) 프레스 슬라이드 추락 방지장치
CN101955122B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活动盖板装置
CN203317786U (zh) 一种液压机滑动梁全行程分段锁紧装置
KR101005044B1 (ko) 프레스 안전장치
CN111745917B (zh) 合模装置
CN207028978U (zh) 一种带有开关功能的自卸半挂车侧厢门
CN213767064U (zh) 一种具有双重保护功能的安全锁杆
CN204183845U (zh) 一种注塑机的自动安全踏板组件
EP3539820B1 (de) Bedienvorrichtung
CN2647553Y (zh) 注塑机双倒扣式机械安全装置
JP2002307515A (ja) 竪型射出成形機の安全装置
CN203333260U (zh) 一种叉车换向阀的防误撞锁定机构
BRPI0903196A2 (pt) prensa para a deformação de peças, dotada de dispositivo de segurança
JPH04332607A (ja) タイヤ加硫プレス
CN202405672U (zh) 高压开关柜底盘小车解锁装置
CN209259428U (zh) 一种背包架电梯用超载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