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952A - 터치패널 지지체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952A
KR20140096952A KR1020130068800A KR20130068800A KR20140096952A KR 20140096952 A KR20140096952 A KR 20140096952A KR 1020130068800 A KR1020130068800 A KR 1020130068800A KR 20130068800 A KR20130068800 A KR 20130068800A KR 20140096952 A KR20140096952 A KR 2014009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panel body
bezel
case
vertic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이와와키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Abstract

(과제)
표면이 풀 플랫하게 형성되고, 조작성이 우수한 터치패널 지지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터치패널체와 당해 터치패널체를 지지하는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널 지지체이며, 터치패널체는 가장자리 부분에 당해 터치패널체의 표면보다 낮은 단차모양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케이스체는 터치패널체를 포스피드백 수직진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부와, 당해 케이스 본체부의 개구부에 고정한 베젤을 구비하고, 베젤은 터치패널체의 결합부와 당해 터치패널체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결합하고, 터치패널체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이 하나의 면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 지지체{TOUCH PANEL SUPPORT}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조작하는데에 사용되는 터치패널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스피드백형(촉감피드백형)의 터치패널체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액정패널(液晶panel) 등의 표시장치와 터치 패드(touch pad)와 같은 위치입력장치를 조합한 전자기기로서, 터치 패드로서의 터치패널체에는 저항막방식(抵抗膜方式), 정전용량방식(靜電容量方式), 표면탄성파방식(表面彈性波方式), 적외선방식 및 전자유도방식 등 많은 방식이 제안되고 있지만,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는 입력 조작감이 얻어지도록 촉감피드백형(觸感 feedback型)이라 불리는 포스피드백(Force Feedback)형의 터치패널에 대한 요구가 높다.
최근, 손가락 선단(先端)에 의한 터치 입력과 스크롤 조작이 용이한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체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 터치패널체의 주위를 보호하는 액자모양의 베젤(bezel) 표면이 터치패널의 표면보다도 단차(段差)모양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조작의 장애가 될 우려가 발생되었다.
특허문헌1에는, 저항막방식의 촉감피드백형 터치패널의 실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2에 표면부가 플랫(flat)하게 형성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同) 공보에 개시하는 구조는, 단락(0060)에 기재되어있는 것 같이 촉감피드백형 터치패널을 프레임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서 실장하는 것이며, 본의 아니게 이 터치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11-53745호 공보
본 발명은 표면이 풀 플랫(full flat)하게 형성되고, 조작성이 우수한 터치패널 지지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 지지체는, 터치패널체와 당해 터치패널체를 지지하는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널 지지체이며, 터치패널체는 가장자리 부분에 당해 터치패널체의 표면보다 낮은 단차모양의 결합부(結合部)를 구비하고, 케이스체는 터치패널체를 포스피드백 수직진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부와 당해 케이스 본체부의 개구부에 고정한 베젤을 구비하고, 베젤은 터치패널체의 결합부와 당해 터치패널체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결합하고, 터치패널체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이 하나의 면(面)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터치패널이 수직으로 진동한다는 것은, 터치패널이 평면방향에 대하여 표리(表裏)의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포스피드백은 조작자가 터치패널의 표면을 접촉하거나 스크롤 조작을 하면, 그 접촉을 감지하고 터치패널체가 진동함으로써 조작감을 향상시킨, 소위 촉감피드백형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체는 액정패널 등의 표시장치와 중첩해서 배치한 입력장치부분을 말하고, 케이스 본체부에 표시장치를 수용하고, 그 위에 터치패널체를 수용하고, 이 케이스 본체부에 이것들을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해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베젤을 터치패널체의 주위에 배치하도록 케이스 본체부에 고정한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체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이 실질적으로 하나의 면상태가 되도록 풀 플랫하게 형성하면서, 이 터치패널체가 수직으로 진동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베젤에 결합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터치패널체를 베젤에 결합시키는 수단(手段)은, 터치패널체가 수직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체의 표면측의 가장자리 부분 및 측면과, 베젤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면서, 이 터치패널체가 베젤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터치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차모양의 결합부에 결합시킨다.
또, 상기 클리어런스를 구비하는 간격으로부터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 및 터치패널체의 본의 아닌 래틀(rattle : 덜거덕거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터치패널체와 베젤의 사이에 진동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부드러운 쿠션 재(cushion 材)를 삽입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터치패널체를 수직으로 진동시키는 수단에 제한이 없고, 피에조 소자(piezo 素子), 진동 모터, 솔레노이드, 형상기억 합금소자 등의 각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에조 소자는 전기신호를 신축변동(伸縮變動)으로 변환하는 것으로부터, 띠모양의 피에조 소자를 터치패널체의 이면(裏面)에 따라 붙여 놓으면, 피에조 소자가 축소(縮小)할 때에 터치패널체의 이면이 내측으로 만곡(彎曲)하도록 휜다.
이러한 휨 변동에 의해 용이하게 터치패널체를 수직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으로부터, 띠모양의 가늘고 긴 피에조 소자를 사용하면 구조가 간단하다.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부는 터치패널체의 네 구석에 재치(載置)하기 위한 재치부를 구비하고, 터치패널체는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체이며, 이 터치패널체의 이면에 띠모양의 피에조 소자를 붙여 놓아도 좋다.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널체는, 글라스 기판(glass 基板) 등의 패널의 표면에 ITO패턴(Indium Tin Oxide pattern) 등으로 센서부를 형성한 것이며, 이 글라스 기판의 외주부(外周部)의 판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얇게 가공함으로써 단차모양의 결합부를 글라스 기판에 직접적으로 형성하고, 터치패널체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이 하나의 면이 되도록 풀 플랫하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글라스 기판 등의 패널의 표면에 센서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오버코트(overcoat)를 실시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부터, 터치패널체를 패널 본체(panel 本體)와 의장 패널(意匠 panel)로 구성하고, 패널 본체의 표면에 당해 패널 본체의 외형보다도 작은 의장 패널을 붙여 놓은 것으로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터치패널체를 구성하는 의장 패널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이 하나의 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면으로 형성된다고 하는 것은, 터치패널체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허용하면서 실질적으로 풀 플랫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 지지체는, 터치패널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이 터치패널체의 표면보다도 낮은 단차모양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에 베젤의 내주부 이면측(內周部 裏面側)을 결합할 때에 터치패널체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했으므로, 터치패널체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에 단차가 없는 풀 플랫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베젤로부터 터치패널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 지지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a)는 전체의 단면도, (b)는 코너부의 단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는 터치패널 지지체의 부품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3은 터치패널 지지체의 부품의 코너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4의 (a)는 터치패널체를 케이스 본체부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터치패널 지지체의 풀 플랫면을 나타낸다.
도5의 (a)는 베젤의 이면을 나타내고, (b)는 코너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6의 (a)는 베젤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코너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 지지체의 구조예를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패널 지지체(10)는, 도2, 3에 부품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1에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에 터치패널체(11) 등을 수용한 것으로서, 이 케이스체는 케이스 본체부(21)와 베젤(22)로 이루어져,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을 구비하고, 내측에 오목부모양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부(21) 안에 액정패널 등의 표시장치(30)와 터치패널체(11)를 수용하고, 액자가 되는 베젤(22)을 케이스 본체부(21)의 개구부에 고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터치패널체(11)는, 투명한 글라스 기판으로 이루어진 패널 본체(11a)의 표면에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ITO막(膜)에 의한 센서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진 의장 패널(1lb)을 붙여 놓은 정전용량식 터치패널로 되어 있다.
의장 패널(1lb)의 외형은 패널 본체(11a)의 외형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붙여 놓았을 때에 가장자리 부분에 단차모양의 결합부(11c)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에 의하여,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의장 패널(1lb)의 표면(11d)과 베젤(22)의 표면(22a)이 하나의 면이 되어 풀 플랫형상이 된다.
또, 터치패널체(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단차모양의 결합부(11c)가 형성되는 것이면 좋고,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널 본체(11a)의 이면에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1a)의 길이방향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띠모양의 피에조 소자(piezo 素子)로 구성된 진동소자(12)가 대향해서 2개 붙여져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지만, 터치패널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면 그 신호를 받아서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로 피에조 소자가 신축변동하고, 이 변동에 의해 패널 본체(11a)가 만곡하도록 휨 변동한다.
이 휨 변동이 수직진동으로서 손가락 선단(先端) 등에 전달된다.
거기에서, 이 수직진동의 감쇠를 억제하면서 터치패널체(11)를 지지 및 유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무제(rubber製)의 프레임으로 된 재치 프레임(23)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재치 프레임의 네 구석에 블록모양의 재치부(23a)를 형성하고, 이 4개의 재치부(23a)간에 놓이도록 터치패널체(11)을 재치하였다.
또, 재치부(23a)는 케이스 본체부(21)에 직접 설치해도 좋다.
이렇게 터치패널체(11)를 네 구석의 재치부에 재치하면, 터치패널체(11)의 이면부에 공간이 생겨 터치패널체(11)가 수직으로 진동하기 쉽고, 또 피에조 소자 등의 배치공간이 된다.
다음에 터치패널체(11)와 베젤(22)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젤(22)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자모양으로 되어 있고, 프레임의 내주측(內周側)의 가장자리 이면을 따라 홈(groove)모양의 오목부(22b)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따라 부드러운 프레임모양의 쿠션(24)을 설치했다.
한편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패널체(1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표면보다 낮은 단차모양의 결합부(11c)가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부의 상면에 쿠션(24)이 위치하도록 베젤(22)을 케이스 본체부(21)에 나사 등으로 고정한다.
이때에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쿠션(24)은 결합부(11c)의 상면(上面)에 가볍게 접촉하지만, 베젤(22)의 이면(裏面)과 결합부(11c)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d1)를 구비하고, 베젤(22)의 내주측(內周側) 측면과 의장 패널(1lb)의 사이는 클리어런스(d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쿠션(24)이 클리어런스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진동소자(12)의 신축변동에 의한 터치패널체(11)의 수직진동(f)가 감쇠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쿠션(24)은 터치패널체(11)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부드럽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치 프레임(23)을 고무 성형체(成形體)로 형성하고, 하부(下部)에 표시장치(30)의 수용부(收容部)를 설치함과 아울러, 도2,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패널체(11)의 재치부 내주면(載置部 內周面)에 소돌기부(23b)를 형성함으로써, 터치패널체(11)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고 가로방향의 래틀(rattle)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외부제어부와 접속부(2lb)를 설치한 예로 되어 있지만, 케이스 본체부에 제어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렇게 베젤(22)의 내주측의 이면부가 터치패널체(11)의 단차모양의 결합부(11c)의 상면과 쿠션(24)을 통하여 겹쳐져 있으므로, 만일 제품의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도 터치패널체(11)가 케이스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1c)를 터치패널체(11)의 외측전주(外側全周)에 형성했지만, 반드시 전주(全周)에 걸쳐 설치할 필요는 없다.
10 터치패널 지지체
11 터치패널체
11a 패널 본체
1lb 의장 패널
11c 결합부
11d 표면
12 진동소자
21 케이스 본체부
22 베젤
22a 표면
22b 오목부
23 재치 프레임
23a 재치부
24 쿠션
30 표시장치

Claims (4)

  1. 터치패널체(touch panel體)와 상기 터치패널체를 지지하는 케이스체(case體)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널 지지체(touch panel 支持體)로서,
    터치패널체는 가장자리부에 상기 터치패널체의 표면보다 낮은 단차모양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케이스체는 터치패널체를 포스피드백 수직진동(force feedback 垂直振動)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개구부에 고정한 베젤을 구비하고,
    베젤은 터치패널체의 결합부와 상기 터치패널체의 수직으로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결합하고,
    터치패널체의 표면과 베젤의 표면이 하나의 면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체는 패널본체와 의장패널로 이루어지고, 패널본체의 표면에 상기 패널본체의 외형보다도 작은 의장패널을 붙여 놓음으로써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지지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는 터치패널체의 네 구석에 재치하기 위한 재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지지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체의 수직진동수단(垂直振動手段)은 터치패널체의 이면에 접합한 띠모양의 피에조 소자이며, 상기 터치패널체는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지지체.
KR1020130068800A 2013-01-29 2013-06-17 터치패널 지지체 KR201400969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4401A JP5716761B2 (ja) 2013-01-29 2013-01-29 タッチパネル支持体
JPJP-P-2013-014401 2013-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52A true KR20140096952A (ko) 2014-08-06

Family

ID=5122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800A KR20140096952A (ko) 2013-01-29 2013-06-17 터치패널 지지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76585B2 (ko)
JP (1) JP5716761B2 (ko)
KR (1) KR20140096952A (ko)
CN (1) CN1039703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23B1 (ko) * 2019-08-08 2020-04-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979B1 (ko) * 2011-11-10 2013-03-18 엄호섭 지주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99742A1 (ja) * 2011-12-27 2013-07-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触覚提示装置
JP6304397B2 (ja) * 2014-11-12 2018-04-0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6578414B1 (ja) * 2018-06-11 2019-09-1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2020140434A (ja) * 2019-02-28 2020-09-0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処理端末
JP7332531B2 (ja) 2020-04-27 2023-08-23 ホシデン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センサ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22001979A (ja) 2020-06-19 2022-01-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2431B2 (ja) * 2008-11-06 2013-07-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タッチパネル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816981B2 (en) * 2009-08-31 2014-08-26 Nissha Printing Co., Ltd. Mount structure of touch panel with vibration function
JP5306945B2 (ja) 2009-08-31 2013-10-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触感フィードバック型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
JP2012173955A (ja) * 2011-02-21 2012-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
US9014761B2 (en) * 2011-07-13 2015-04-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JP5909682B2 (ja) * 2012-10-09 2016-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23B1 (ko) * 2019-08-08 2020-04-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76585B2 (en) 2015-11-03
JP5716761B2 (ja) 2015-05-13
CN103970338A (zh) 2014-08-06
US20140209445A1 (en) 2014-07-31
CN103970338B (zh) 2017-12-19
JP2014146174A (ja)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6952A (ko) 터치패널 지지체
TWI567601B (zh)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touch panel
JP5618867B2 (ja) 電子機器
WO2012114761A1 (ja) 電子機器
JP2012190452A (ja) 電子機器
JP2012190450A (ja) 電子機器
JP2011096183A (ja) タッチパネルの保持構造
US9817478B2 (en) V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002126A (ko) 터치패널의 지지구조
JP4953327B2 (ja) タッチパネルの保持構造
JP5638634B2 (ja) 電子機器
JP2012173955A (ja) 電子機器
JP5809080B2 (ja) 電子機器
JP6029431B2 (ja) 振動発生部を有する表示装置
WO2013027374A1 (ja) 電子機器
JP5611078B2 (ja) 電子機器
WO2014132629A1 (ja) 触感呈示装置
JP5767995B2 (ja) 電子機器
JP5805571B2 (ja) 電子機器
JP5777552B2 (ja) 電子機器
JP2012173893A (ja) 電子機器
JP5530026B2 (ja) 電子機器
JP2012185815A (ja) 電子機器
JP5715862B2 (ja) 電子機器
JP5731227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