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308A -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308A
KR20140094308A KR1020130006974A KR20130006974A KR20140094308A KR 20140094308 A KR20140094308 A KR 20140094308A KR 1020130006974 A KR1020130006974 A KR 1020130006974A KR 20130006974 A KR20130006974 A KR 20130006974A KR 20140094308 A KR20140094308 A KR 20140094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al
water vapor
extraction vessel
liquid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수
Original Assignee
조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수 filed Critical 조창수
Priority to KR102013000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308A/ko
Publication of KR2014009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40Extractive disti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약재 추출용기에 약재(황칠)와 물을 공급하여 히터 및 마이크로파에 의해 약재(황칠)의 내외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되, 상기 액기스는 약재 추출용기에서 약재(황칠)를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약재(황칠)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일부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 추출하여 혼합 제조하므로 약재(황칠) 전체를 가열하여 얻는 액기스에 비해 약재(황칠)의 맛과 향이 더 우수하고 미세 성분 입자에 의해 체내 흡수율이 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Apparatus and methods for extracting distillate from medicine herb}
본 발명은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약재 추출용기에 약재(황칠)와 물을 공급하여 히터 및 마이크로파에 의해 약재(황칠)의 내외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되, 상기 액기스는 약재 추출용기에서 약재(황칠)를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약재(황칠)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일부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 추출하여 혼합 제조하므로 약재(황칠) 전체를 가열하여 얻는 액기스에 비해 약재(황칠)의 맛과 향이 더 우수하고 미세 성분 입자에 의해 체내 흡수율이 우수하여 약재(황칠)의 약효가 더 우수한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옛날 우리의 선조들은 약재 등을 재래식 탕기에 의해 달여 내는 방식으로 액기스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재래식 탕기는 내부 온도 상승으로 수분이 가열 증발되면, 가열 수증기는 탕기 덮개(한지)를 통해 일부는 냄새와 함께 수증기로 빠져나가고 일부는 증류수로 탱기 내부에 재 투입되는 순환 방식의 반복으로 약재의 액기스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한약의 대량 전탕이 요구되고, 이에 증탕식 압력솥을 이용한 한약 액기스 추출장치가 주로 개발되었는데, 이는 약재를 고온 고압으로 약재의 움직임 없이 달이기 때문에 약재의 귀한 성분이 무수히 파괴됨은 물론 약재의 독성과 냄새를 배출하지 못하여 약재의 약효는 물론 맛과 냄새가 떨어지고 복용 후 소화 불량, 배알이 및 설사를 하는 역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재래식 약탕기의 원리를 이용한 한약 액기스 추출장치 등이 실용신안등록 제20-198572호에 선 출원된 바 있는데, 이는 상부에 뚜껑을 갖는 약재 추출용기 내부에 물과 함께 약재가 투입되는 다공성 통체를 삽입 장착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는 약재의 가열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출관과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 내부에서 냉각 응축하는 응축관과 상기 가열 수증기의 응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유해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가스 배출관 및 상기 응축수를 약재 추출용기로 다시 회수하는 회수관을 연결 구성하여 약재를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순환시키면서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므로 약재의 독성과 독한 냄새는 배출하고 약재의 귀한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함은 물론 향과 맛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는 약재의 액기스를 단순히 가열 방식에 의해 얻기 때문에 성분 입자가 거칠어 맛과 향이 부드럽지 못함은 물론 무엇보다 복용시 체내 흡수력이 떨어져 약효를 효과적으로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는 약재를 단순히 히터에 의해 가열 증숙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에 의한 가열원이 약재의 내부까지 고르게 침투하지 못하여 약재의 내,외부를 고르게 가열 증숙하지 못하므로 약재의 유익 성분 추출 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초기 약재의 내,외부를 가열하여 유해 성분이나 냄새를 신속히 걸러야 함에도 불구하고 약재의 내부까지 신속하게 가열하지 못하므로 액기스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약재 액기스를 추출함에 있어 인체에 유익한 각종 약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각종 약재 중에 황칠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한반도 서남해안 및 도서지역에만 자생하는 두릅나무과의 천연보호림으로 최대 높이 15m에 달하며 겨울에도 낙옆이 지지않는 상록활엽교목이다.
이러한 황칠나무늬 수피에서 나오는 황칠은 찬란한 금빛을 내며, 안식향이 있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모든 사기를 편안하게 진정 시킨다. 잎은 항암제 및 면역강화제를 함유하여 생리활성물질로 사용되는 등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신비의 나무로 주목 받아 온 남부 난대 기후대의 대표적 경제수종으로 가치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황칠나무는 종래 특허등록 10-441645호에서 건강 음료료 제조하거나 특허등록 제10-1196166호에서 황칠차로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진 바 있는데, 이들은 황칠을 단순 가열하여 얻게 되는 것으로 맛과 향이 떨어지고 황칠의 유익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약재 추출용기에 약재(황칠)와 물을 공급하여 히터 및 마이크로파에 의해 약재(황칠)의 내외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되, 상기 액기스는 약재 추출용기에서 약재(황칠)를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약재(황칠)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일부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 추출하여 혼합 제조하므로 약재(황칠) 전체를 가열하여 얻는 액기스에 비해 약재(황칠)의 맛과 향이 더 우수하고 미세 성분 입자에 의해 체내 흡수율이 우수하여 약재(황칠)의 약효를 더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황칠을 이용하여 액기스를 추출하되, 상기 황칠의 잎, 줄기 및 가지에서 인체의 유익 성분을 최대화하는 액기스로 추출하므로 전술한 황칠의 맛과 향, 체내 흡수율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인체의 유익 성분을 극대화하여 황칠의 약효를 더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뚜껑을 갖는 약재 추출용기 내부에 물과 함께 약재가 투입되는 다공성 통체를 삽입 장착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는 약재의 가열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출관과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 내부에서 냉각 응축하는 응축관과 상기 가열 수증기의 응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유해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가스 배출관 및 상기 응축수를 약재 추출용기로 다시 회수하는 회수관을 연결 구성하여 약재를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순환시키면서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함에 있어서,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는 히터와 함께 약재를 가열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수단을 더 설치하고, 상기 약재 추출용기의 회수관에는 별도의 액기스 분리탱크를 분기 연결하여 제1,2 개폐변의 개폐 조작에 의해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한 액기스를 액기스 분리탱크나 약재 추출용기로 선택 공급하면서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하는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와;
약재 추출용기에 황칠과 물을 투입하여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에서 냉각 응축하여 다시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약재 추출용기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에 재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응축수를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하여 추출한 후,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서로 혼합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이러한 본 발명은 약재 추출용기에 약재(황칠)와 물을 공급하여 히터 및 마이크로파에 의해 약재(황칠)의 내외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되, 상기 액기스는 약재 추출용기에서 약재(황칠)를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약재(황칠)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일부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 추출하여 혼합 제조하므로 약재(황칠) 전체를 가열하여 얻는 액기스에 비해 약재(황칠)의 맛과 향이 더 우수하고 미세 성분 입자에 의해 체내 흡수율이 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황칠을 이용하여 액기스를 추출하되, 상기 황칠의 잎, 줄기 및 가지에서 인체의 유익 성분을 최대화하는 액기스로 추출하므로 전술한 황칠의 맛과 향, 체내 흡수율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황칠의 약효가 더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냉각수 순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전체 구서도.
먼저 본 발명의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뚜껑(12)을 갖는 약재 추출용기(10) 내부에 물과 함께 약재가 투입되는 다공성 통체(15)를 삽입 장착하여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하여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에는 약재의 가열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출관(21)과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30) 내부에서 냉각 응축하는 응축관(22)과 상기 가열 수증기의 응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유해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가스 배출관(23) 및 상기 응축수를 약재 추출용기(10)로 다시 회수하는 회수관(24)을 연결 구성하여 약재를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순환시키면서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에는 히터와 함께 약재를 가열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수단(5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의 회수관(24)에는 별도의 액기스 분리탱크(60)를 분기 연결하여 제1,2 개폐변(V1)(V2)의 개폐 조작에 의해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한 액기스를 액기스 분리탱크(60)나 약재 추출용기(10)로 선택 공급하면서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수단(50)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51)과 상기 마이크로파를 약재 추출용기(10) 내부로 유도하는 도파관(52)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탱크(30)에는 물탱크(31) 내부의 냉각수를 펌프(32)에 의해 순환 공급하고 냉각탱크 내부에서 열 교환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는 다시 물탱크로 회수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데워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36)와 팬모터(37)로 구성된 냉각 처리부(35)에 의해 냉각 처리된 상태로 물탱크에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 때 상기 수증기 배출관(21)에 외부로 관통되는 외부 배출관(25)을 더 분기 연결하여 제3,4개폐변(V3)(V4)에 의해 가열 수증기를 외부 배출관(25)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응축관(22)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6은 승하강에 의해 약재를 압착하여 액기스를 추출하기 위한 압착판, 17은 약재 추출용기 내부의 액기스를 드레인 배출하는 드레인 배출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약재 액기스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되 상기 약재는 황칠을 이용하여 황칠 액기스를 추출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약재 추출용기(10) 내부의 다공성 통체(15)에 약재(황칠)과 물을 1:1 비율로 투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약재 추출용기(10)에 뚜껑(12)을 덮고 초기에는 마이크로파 조사수단(50)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 이후에는 히터(미도시)에 의해 약재를 차례로 가열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수단(50)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는 약재의 외부는 물론 내부까지 신속히 침투하여 초기 약재의 내,외부를 고르게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약재를 가열하여 증발되는 가열 수증기는 약재 추출용기(10) 일측 상부의 증기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약재를 초기 가열한 가열 수증기는 유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전체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제3개폐변(V3)의 개방에 의해 외부 배출관(25)을 통해 외부로 모두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초기 가열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에는 제4개폐변(V4)를 개방하여 상기 증기 배출관(21)으로 배출되는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10) 내부의 응축관(22)으로 공급하면서 냉각수에 의해 냉각 응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도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는 약재(황칠)의 독성이 섞인 유해 성분 및 독한 냄새와 함께 유해가스 배출관(23)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응축수는 회수관(24)을 통해 약재 추출용기(10)로 재 투입되는 순환 과정을 반복하면서 약재(황칠)의 액기스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약재의 가열에 의해 약재의 물량이 1/2~1/3로 줄어들게 되면, 상기 응축관에서 냉각 응축된 응축수 액기스를 회수관(24)을 통해 약재 추출용기(10)가 아닌 회수관에서 분기 연결된 액기스 분리 탱크(60)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개폐변(V1)은 폐쇄하고 제2개폐변(V2)을 개방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에는 약재(황칠)를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가 잔존하고, 상기 액기스 분리탱크(60)에는 약재(황칠)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가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와 액기스 분리탱크(60)로 각각 분리 추출한 액기스를 서로 혼합하므로 최종 약재(황칠) 액기스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최종 약재(황칠) 액기스는 약재(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약재(황칠)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혼합 제조한 것으로 약재(황칠) 전체를 단순히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에 비해 약재(황칠)의 맛과 향이 더 우수하고 액기스의 미세 성분 입자에 의해 체내 흡수율이 우수하여 약재(황칠)의 약효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약재 추출용기에 황칠과 물을 투입하여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에서 냉각 응축하여 다시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약재 추출용기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에 재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응축수를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하여 추출한 후,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서로 혼합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약재로 사용되는 황칠은 혈액 내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는 반면,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는 등 피를 맑게 하여 혈류, 혈압, 동맥 기능을 증진시킨다. 또한 간의 기능을 증진하여 숙취해소, 피로회복, 각종 해독작용이 있고, 무기력하고 의욕이 없을 때도 도움이 된다. 또한, 간암, 폐암, 위암, 유방암, 백혈병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가 있어서 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며, 항균작용 효과도 있다. 그리고 항산화 작용이 있어 노화방지, 피부 미백, 주름방지 기능을 증진시키고, 뼈와 치아의 기능을 증진시켜 충치, 치주질환, 골다공증, 관절염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조골세포의 증식을 도와 어린이 성장에 도움이 된다. 또한, 면역세포 생육을 촉진시켜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에 대한 조기 면역체계 및 생체 방어체계를 강화하는 등의 인체 유익한 성분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황칠은 잎, 줄기 및 가지 부분을 모두 사용하는데, 상기 잎, 줄기 및 가지 부분을 70~80 중량%, 10~15 중량% 및 10~15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황칠의 잎이 70~8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에 황칠에서 추출되는 액기스에서 인체의 유익 성분 검출이 최소화되므로 상기의 배합비로 사용함이 황칠의 약효를 극대화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는 하기의 시험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시험 예 1]
먼저 황칠의 잎, 줄기 및 가지 부분을 5: 10: 80 중량%로 혼합한 약재 시료 1과 80: 10: 10 중량%로 혼합한 약재 시료 2 및, 20: 20: 60 중량%로 혼합한 약재 시료 3을 준비하여 각각 약재 추출용기에 물과 1: 1로 혼합 공급하여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다시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을 약재 물량이 1/2로 줄어들 때까지 반복하면서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약재 추출용기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에 재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응축수를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로 분리하여 추출한 후,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서로 5: 5로 혼합하여 시료 1,2,3의 황칠 액기스를 얻었다.
이와 같은 시료 1,2,3의 황칠 액기스를 경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에서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기(ICP)에 의해 정량 분석한 결과 아래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위 비교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료 2에서 시료 1이나 3에 비해 인체에 유익한 성분, 즉 Cu, Zn, Fe, Mn, Al, K, Ca, Mg, Na 성분이 다량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료 2에 의해 추출된 황칠 액기스가 시료 1이나 3에 의해 추출된 황칠 액기스에 비해 인체에 유익한 약효 성분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0: 약재 추출용기 12: 뚜껑
15: 다공성 통체 21: 증기 배출관
22: 응축관 23: 유해가스 배출관
30: 냉각탱크 24: 회수관
50: 마이크로파 조사수단 25: 외부 배출관
60: 액기스 분리탱크

Claims (4)

  1. 상부에 뚜껑(12)을 갖는 약재 추출용기(10) 내부에 물과 함께 약재가 투입되는 다공성 통체(15)를 삽입 장착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에는 약재의 가열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출관(21)과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30) 내부에서 냉각 응축하는 응축관(22)과 상기 가열 수증기의 응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유해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가스 배출관(23) 및 상기 응축수를 약재 추출용기(10)로 다시 회수하는 회수관(24)을 연결 구성하여 약재를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순환시키면서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에 의해 액기스를 추출하는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에는 히터와 함께 약재를 가열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수단(5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약재 추출용기(10)의 회수관(24)에는 별도의 액기스 분리탱크(60)를 분기 연결하여 제1,2 개폐변(V1)(V2)의 개폐 조작에 의해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한 액기스를 액기스 분리탱크(60)나 약재 추출용기(10)로 선택 공급하면서 액기스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관(21)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외부 배출관(25)을 더 분기 연결하여 제3,4개폐변(V3)(V4)에 의해 가열 수증기를 외부 배출관(25)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응축관(22)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3.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에 있어서,
    약재 추출용기에 황칠과 물을 투입하여 가열하고 가열 수증기를 냉각탱크에서 냉각 응축하여 다시 약재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키는 상온 상압의 증숙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약재 추출용기의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약재 추출용기에 재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응축수를 분리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각각 분리하여 추출한 후, 상기 약재 추출용기에서 황칠을 가열하여 얻은 액기스와 상기 가열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은 미세 성분 입자의 액기스를 서로 혼합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잎, 줄기 및 가지 부분을 모두 사용하되, 상기 잎, 줄기 및 가지 부분을 70~80 중량%, 10~15 중량% 및 10~15 중량%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KR1020130006974A 2013-01-22 2013-01-22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KR20140094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974A KR20140094308A (ko) 2013-01-22 2013-01-22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974A KR20140094308A (ko) 2013-01-22 2013-01-22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08A true KR20140094308A (ko) 2014-07-30

Family

ID=5174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974A KR20140094308A (ko) 2013-01-22 2013-01-22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3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3998A1 (ko) * 2014-10-21 2016-04-28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CN108463231A (zh) * 2015-12-30 2018-08-28 第三生物赞有限公司 含有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更年期疾病的预防及治疗用组合物
KR102310020B1 (ko) * 2021-05-06 2021-10-08 주식회사 찬들푸드 스팀장치
CN114028227A (zh) * 2021-11-23 2022-02-11 河南省中医药研究院 中药烹制及多级药渣处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3998A1 (ko) * 2014-10-21 2016-04-28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CN108463231A (zh) * 2015-12-30 2018-08-28 第三生物赞有限公司 含有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更年期疾病的预防及治疗用组合物
CN108463231B (zh) * 2015-12-30 2022-02-11 利后保健株式会社 含有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更年期疾病的预防及治疗用组合物
KR102310020B1 (ko) * 2021-05-06 2021-10-08 주식회사 찬들푸드 스팀장치
CN114028227A (zh) * 2021-11-23 2022-02-11 河南省中医药研究院 中药烹制及多级药渣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4308A (ko)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KR101294920B1 (ko)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KR101552764B1 (ko)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116653B1 (ko) 장어 혼합 농축액 제조방법
CN107183456A (zh) 一种牛蒡玫瑰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053405A (zh) 金银花袋泡茶
CN105192196A (zh) 金银花袋泡茶的制作方法
KR20110018977A (ko) 홍삼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음료
CN103893381B (zh) 具有排铅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41162B1 (ko) 소나무 피 추출액을 이용한 음료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119040A (zh) 一种铁皮石斛养生酒的制作工艺
CN104800525A (zh) 一种防治猪拉稀的药物
CN104222384A (zh) 一种荔枝核减肥茶
CN104522794B (zh) 樟芝解毒饮料及其制备方法
CN109566930A (zh) 一种金莲花保健饮料的加工方法
CN107375468A (zh) 一种复方黄芪白术抗肺癌口服液及其制备工艺
CN107335022A (zh) 一种复方莪术杜仲抗宫颈癌口服液及其制备工艺
CN108220104A (zh) 一种桂花茶酒
CN106819682A (zh) 一种温肾的韭菜汁及其制备方法
CN105981826A (zh) 一种草本润燥羊奶及其制备方法
CN106119046A (zh) 一种铁皮石斛保健酒的制备方法
CN203776086U (zh) 一种枣汁的高温浸渍提取用的浸渍罐
KR20040023026A (ko)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증류액 제조 방법
KR100894760B1 (ko) 미네랄을 포함하는 저온가공 쑥음료의 추출방법
CN105029579A (zh) 一种果味黑木耳枸杞复合汁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