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20B1 - 스팀장치 - Google Patents

스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20B1
KR102310020B1 KR1020210058528A KR20210058528A KR102310020B1 KR 102310020 B1 KR102310020 B1 KR 102310020B1 KR 1020210058528 A KR1020210058528 A KR 1020210058528A KR 20210058528 A KR20210058528 A KR 20210058528A KR 102310020 B1 KR102310020 B1 KR 10231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unit
container
perforat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찬들푸드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찬들푸드, 정재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찬들푸드
Priority to KR102021005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고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진액을 필터링하며 순환시켜 맛과 향이 개선된 식재료의 조리가 가능한 스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장치는 식재료를 가열하여 원액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스팀부, 상기 스팀부와 연결관들을 통해 순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원액에서 잔유물을 여과하도록 형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스팀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물로 냉각시켜 상기 스팀부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장치{STEAM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가열하는 스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포함하는 식재료를 조리하면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진액은 기름층의 하부에서 가열되면서 식재료를 익히게 되는데, 수증기를 통해 향과 일부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맛과 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식재료를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진액을 사용하여 식재료를 지속적으로 조리하면서 식재료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제거하고 수증기를 통한 맛과 향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870호는 족발 조리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829호는 육수 냉각을 위한 순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식재료의 맛과 향을 개선시키는 조리관련 장치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87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829호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고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진액을 필터링하며 순환시켜 맛과 향이 개선된 식재료의 조리가 가능한 스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팀장치는 식재료를 가열하여 원액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스팀부, 상기 스팀부와 연결관들을 통해 순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원액에서 잔유물을 여과하도록 형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스팀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물로 냉각시켜 상기 스팀부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부는 내부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수직하게 적층되는 타공용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장치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스팀부 및 여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액을 상기 여과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펌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는 상기 타공용기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용기들 사이의 공간 측면을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장치는 상기 스팀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팀부와 결합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장치는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조리되는 식재료의 맛과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액을 필터링하며 순환시켜 잔유물 배출과 함께 식재료의 맛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팀장치는 식재료를 가열하며 조리하는 스팀부의 측면에 해당되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스팀부의 내부와 파이프 형태로 연결되어 스팀부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름의 효과적인 배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3은 도 1의 스팀부 및 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스팀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장치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장치(100)는 스팀부(200), 연결관(300), 펌프부(310), 여과부(400), 냉각부(500), 배출부(600), 수거용기(700), 테이블(800) 및 추출부(900)를 포함한다.
스팀장치(100)는 육류를 포함하는 식재료를 스팀 가열하여 삶아서 추출되는 원액(육수)에서 불순물을 포함하는 잔유물을 걸러내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스팀부(200)는 용기(210), 커버(220), 타공용기(230, 240)들, 실링부재(245), 지지대(250), 실린더(260), 수직지지대(265), 링크(270), 히팅수단(280), 스페이서(290) 및 온도계(295, 297)들을 포함한다.
스팀부(200)는 상부에 개폐가 가능한 뚜껑이 설치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히팅수단(280)을 통해 내부에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식재료를 스팀 가열시킨다.
구체적으로, 용기(21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히팅수단(280)이 배치되어 용기(21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된 물을 가열시킨다.
커버(220)는 용기(210)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뚜껑 형태로 형성되고, 링크(270)를 통해 연결된 실린더(260)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어 용기(210)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킨다.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은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과 바닥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용기(210)의 내부에서 수직 적층된다.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의 하부면의 내측테두리 및 외측테두리 사이에 해당되는 링 형태의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하부홈(231)이 형성된다.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의 상부면의 내측테두리 및 외측테두리 사이에 해당되는 링 형태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상부홈(232)이 형성된다.
실링부재(245)는 십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적층된 타공용기(230, 240)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타공용기(240)에서 추출되는 원액이 타공용기(23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타공용기(230, 240)들 및 실링부재(245)가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부재(245)의 하부에 돌출된 하부돌출부(246)는 타공용기(230)의 상부홈(232)에 삽입되고, 실링부재(245)의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247)는 타공용기(240)의 하부홈(231)에 삽입된다.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은 커버(220)가 회동되어 용기(210)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210)와 분리되어 탈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타공용기(230, 240)들의 세척편의성이 개선된다.
식재료가 분리되어 타공용기(230, 240)에 각각 수납되기 때문에, 식재료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식재료들을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스팀 가열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히팅수단(280)에 의해 타공용기(230)에 수납된 식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공용기(230)에는 상대적으로 지방층이 많이 포함된 육류의 특정부위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타공용기(240)에는 타공용기(230)에 수납되는 식재료 중 육류의 특정부위들보다 상대적으로 지방층 함량이 적은 특정부위들을 수납시켜 히팅수단(280)에 의한 과도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뼈를 포함하는 육류의 원액을 추출하기 위해서 타기 쉬운 뼈는 타공용기(240)에 수납시키고, 타공용기(230)에는 육류를 수납시켜 장시간동안 효과적으로 원액이 추출되도록 식재료를 배치시킬 수 있다.
타공관(234)은 상하부로 연장된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며, 하부가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타공용기(230, 240)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결된다.
타공관(234)들은 타공용기(230, 240)에 수납되는 식재료들을 분산시켜 식재료들의 안쪽까지 스팀이 도달하도록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통로를 통해 식재료들의 안쪽에서 추출되는 원액이 하부를 향해 수월하게 이동된다.
지지대(250)는 바닥면이 지면과 수평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일부분이 용기(2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실린더(260)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실린더(260)의 일단은 지지대(25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되는 피스톤이 형성되며, 타단은 측면에 배치되는 링크(270)와 전후방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직지지대(265)의 일단은 실린더(260) 및 용기(210) 사이에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스팀부(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테이블(8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링크(270)의 일단은 호 형태로 절곡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2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수직지지대(265)의 타단 전면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27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 하부 및 상부를 향해 분기되며 스틱 형태로 연장되고,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타단 일부분은 실린더(260)의 피스톤 상부와 전후방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260)의 구동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승되면, 링크(270)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이동되고, 링크(270)의 일단은 링크(270)의 중앙부를 축으로 하부를 향해 이동되어 커버(220)를 통해 용기(210)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시킨다.
반대로, 실린더(260)의 구동으로 상기 피스톤이 하강되면, 링크(270)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이동되고, 링크(270)의 일단은 링크(270)의 중앙부를 축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되어 커버(220)를 통해 용기(210)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히팅수단(280)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구동을 통해 용기(210)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타공용기(230, 240) 내부에 배치된 식재료들을 스팀 가열시킨다.
스페이서(290)들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의 외측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타공용기(230, 240)들 각각과 결합된다.
온도계(295)는 타공용기(230)의 측면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일부분이 용기(2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용기(210)의 측면에 결합되고, 용기(210) 내부의 하부공간 온도가 측정된다.
온도계(297)는 타공용기(240)의 측면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일부분이 용기(2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용기(210)의 측면에 결합되고, 용기(210) 내부의 상부공간 온도가 측정된다.
연결관(300)의 일단은 용기(210)의 저면 중앙을 관통하여 용기(2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중앙부는 펌프부(310)와 연결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여과부(400)와 결합된다.
펌프부(310)는 연결관(30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구동을 통해 용기(210) 내부 및 연결관(300)의 일단 내부로 추출되는 육수를 연결관(300)의 타단 및 여과부(400)를 향해 이동시킨다.
여과부(400)는 여과용기(410), 상부커버(420) 및 타공용기(430)를 포함한다.
여과부(40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일부분이 펌프부(310)의 타단과 연결되어 펌프부(31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육수에서 잔유물을 걸러낸다.
구체적으로, 여과용기(41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상부 일부분은 연결관(300)의 타단과 결합되어 연결관(300)으로부터 육수가 공급된다.
상부커버(420)는 테두리 일부분이 여과용기(410)의 상부 테두리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에 의해 여과용기(4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킨다.
타공용기(430)는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원통형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여과용기(4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여과용기(410)에서 분리된다.
연결관(32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여과용기(410)의 일측 하부에서 여과용기(410)와 결합되며, 연결관(320)의 내부공간은 여과용기(4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연결관(320)의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연결관(320)의 내부가 용기(2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커버(220)의 상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관(320)의 타단은 연결관(320)의 일단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관(320)의 타단을 커버(220)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연결관(320)의 일단을 축으로 연결관(320)의 타단을 회전시켜 커버(220)가 상승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냉각부(500)는 연결관(510, 530)들 및 콘덴서(520)를 포함한다.
냉각부(500)는 스팀부(2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스팀부(200)에서 발생된 증기를 물로 냉각시켜 다시 스팀부(2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식재료에서 발생된 원액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맛과 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연결관(510)의 일단은 커버(220)의 상부 중앙에 용기(2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콘덴서(520)와 결합된다.
연결관(530)의 일단은 콘덴서(520)의 타측에 콘덴서(5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다시 용기(210)의 타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며 연장되어 용기(2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연결관(530)의 일단은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관(530)의 일단 및 타단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실린더(260)의 구동으로 커버(220)가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 연결관(530)의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분리된다.
배출부(600)는 배출부재(610, 620, 630, 640)들을 포함한다.
배출부(600)는 스팀부(200)의 측면에 스팀부(2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스팀부(200)와 결합되고, 스팀부(200) 내부에서 시간별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배출부재(610)의 일단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타공용기(240)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용기(21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된다.
배출부재(620)의 일단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부재(61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용기(21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배출부재(610)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더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된다.
배출부재(630)의 일단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부재(62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용기(21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배출부재(620)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더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된다.
배출부재(640)의 일단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부재(63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용기(21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배출부재(630)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더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된다.
배출부재(610, 620, 630, 640)들 각각에는 배출부재(610, 620, 630, 640)들들 각각의 내부에 유입되는 기름이 배출부재(610, 620, 630, 640)들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210) 내부에서 상부에 부유되는 기름들은 원액이 연결관(320)의 일단 일측면에 연결된 추출부(9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과정에서도 배출부재(610, 620, 630, 640)들을 통해 수거용기(700)로 배출이 가능하다.
수거용기(700)는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배출부(6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부(600)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수거되며, 수거용기(700)를 통해 수거된 기름은 화장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테이블(800)은 스팀부(200)의 후방에서 상부면이 수직지지대(265)의 하부와 결합되고, 스팀부(200)의 후방과 결합되어 스팀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스팀장치(100)는 식재료를 스팀가열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냉각되고 다시 재공급되어 식재료의 맛과 향이 유지되고, 식재료를 삶는 과정에서 내부의 진액을 지속적으로 여과하며 순환시켜 식재료의 내외부가 균일하게 익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팀장치(100)는 식재료들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추출되는 진액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슬러지 및 잔유물이 필터링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추출되는 진액의 품질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장치(120)는 내부연결관(350) 및 공급부(95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스팀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장치(120)는 내부연결관(350) 및 공급부(950)를 더 포함한다.
스팀장치(120)는 연결관(320)의 측면에 온수 또는 냉수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부(950)를 연결시키고 펌프부(310)를 역가동 시키며 연결관(300) 및 내부연결관(350)을 통해 타공관(234)에 세척수를 주입시켜 식재료의 핏물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내부연결관(350)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연결관(350)의 하부는 연결관(300)의 일단에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부연결관(350)은 연결관(300)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고 플렉서블한 원통형의 튜브로 제작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내부연결관(350)을 연결관(300)의 상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재료를 스팀 가열 하기전에 연결관(300)에서 내부연결관(350)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부연결관(350)의 내부공간이 타공관(234)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타공관(234)과 연통되도록 타공관(234)과 결합되면, 펌프부(310)의 역가동에 의해 세척수가 타공관(234)에 주입되고 식재료의 핏물이나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타공용기(230, 240) 내부에 배치된 타공관(234)들로 주입되는 세척수는 식재료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타공용기(230, 240)의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부재(610, 620, 630, 640)들을 통해 스팀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스팀장치(120)는 식재료를 스팀가열하기 전에 별도의 핏물이나 오염물질 제거단계가 필요없이 펌프부(310)를 역가동시키고 내부연결관(350)을 타공관(234)의 바닥에 연결하는 작업만으로 핏물이나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급부(95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는 여과부(400)를 통해 여과되고 연결관(300) 및 펌프부(310)를 통해 내부연결관(350)에 공급되므로 여과된 세척수에 의한 식재료의 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스팀장치 200: 스팀부
300: 연결관 310: 펌프부
320: 연결관 400: 여과부
500: 냉각부 600: 배출부
700: 수거용기 800: 테이블

Claims (5)

  1. 식재료를 가열하여 원액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스팀부;
    상기 스팀부와 연결관들을 통해 순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원액에서 잔유물을 여과하도록 형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스팀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물로 냉각시켜 상기 스팀부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부는,
    내부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수직하게 적층되는 타공용기들 및 상기 타공용기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용기들 사이의 공간 측면을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스팀부 및 여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액을 상기 여과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펌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팀부와 결합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장치.
KR1020210058528A 2021-05-06 2021-05-06 스팀장치 KR10231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528A KR102310020B1 (ko) 2021-05-06 2021-05-06 스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528A KR102310020B1 (ko) 2021-05-06 2021-05-06 스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20B1 true KR102310020B1 (ko) 2021-10-08

Family

ID=7811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528A KR102310020B1 (ko) 2021-05-06 2021-05-06 스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24B1 (ko) * 2021-10-26 2021-12-30 김순자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024Y1 (ko) * 2005-02-28 2005-05-24 전현규 숯불 구이장치
KR100533870B1 (ko) 2003-12-29 2005-12-07 (주)광일헬스스테이션 족발 조리장치
KR20110022955A (ko) * 2009-08-28 2011-03-08 오은수 튀김조리기
KR101194171B1 (ko) * 2012-06-19 2012-10-24 박성태 스팀 순간 가열식 홍삼원액 연속 추출장치
KR101261829B1 (ko) 2012-08-02 2013-05-14 김봉한 육수 냉각을 위한 순환장치
KR20140094308A (ko) * 2013-01-22 2014-07-30 조창수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870B1 (ko) 2003-12-29 2005-12-07 (주)광일헬스스테이션 족발 조리장치
KR200385024Y1 (ko) * 2005-02-28 2005-05-24 전현규 숯불 구이장치
KR20110022955A (ko) * 2009-08-28 2011-03-08 오은수 튀김조리기
KR101194171B1 (ko) * 2012-06-19 2012-10-24 박성태 스팀 순간 가열식 홍삼원액 연속 추출장치
KR101261829B1 (ko) 2012-08-02 2013-05-14 김봉한 육수 냉각을 위한 순환장치
KR20140094308A (ko) * 2013-01-22 2014-07-30 조창수 약재 액기스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황칠 액기스 추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24B1 (ko) * 2021-10-26 2021-12-30 김순자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958B1 (en) Heat cooking/sterilizing device
US3839951A (en) Apparatus for cooking comestibles
US10463186B2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KR102310020B1 (ko) 스팀장치
JP3415818B2 (ja) 蒸熟機能を有する家庭用湯煎器及びこれを用いた紅参エキス製造方法
KR20130102389A (ko) 곰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CN105286489A (zh) 全能厨艺机
KR101349818B1 (ko) 곰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US20060021521A1 (en) Steam cooker
US3787594A (en) Method of cooking comestibles
KR102490749B1 (ko) 분리형 그릴부를 갖는 스팀오븐
KR20120040498A (ko) 튀김유 실시간 정제장치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200141033Y1 (ko) 사이펀식 차추출기
KR102166998B1 (ko) 튀김 조리 장치
RU2728489C1 (ru) Промышл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с соблюдением строгого температурного и временного режимов
KR20150118704A (ko) 수유 튀김기
KR101905311B1 (ko) 음료 제조기
US1358048A (en) Apparatus for making soluble coffee and other products
KR102058212B1 (ko) 흑우엉 정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흑우엉 정과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흑우엉 정과
BE1006393A3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handelen van eieren.
KR20010019634A (ko) 가정용 중탕기의 가열용기
CN213129184U (zh) 用于基于空气的炸锅的附件,以及基于空气的炸锅
JP3069225U (ja) 食物用油揚げ装置
KR20170017220A (ko) 분무식 다중가열 수유식 튀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