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178A -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178A
KR20140094178A KR1020130006586A KR20130006586A KR20140094178A KR 20140094178 A KR20140094178 A KR 20140094178A KR 1020130006586 A KR1020130006586 A KR 1020130006586A KR 20130006586 A KR20130006586 A KR 20130006586A KR 20140094178 A KR20140094178 A KR 2014009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material
anchor
tensile
ang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420B1 (ko
Inventor
정성민
윤민승
Original Assignee
정성민
윤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민, 윤민승 filed Critical 정성민
Priority to KR102013000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4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은 매설된 인장재와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른 각도조절홈이 측판에 형성되고, 측판에서 각도조절홈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로 구성되며, 원호부에 안착되는 지압판은 각도조절홈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는 인장재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의 걸림홈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를 포함하여; 인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을 조정 후, 인장재를 인장하여 앵커헤드에 고정하며,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를 재인장연결기로 덮고, 고정구로 걸림홈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tensile device for tensile angle adjustment and easy to re-tensile}
본 발명은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은 매설된 인장재와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른 각도조절홈이 측판에 형성되고, 측판에서 각도조절홈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로 구성되며, 원호부에 안착되는 지압판은 각도조절홈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는 인장재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의 걸림홈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를 포함하여; 인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을 조정 후, 인장재를 인장하여 앵커헤드에 고정하며,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를 재인장연결기로 덮고, 고정구로 걸림홈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여러 흙막이 공법 중, 어스앵커 공법은 흙막이벽에 어스앵커를 박아 흙막이벽을 지지하는데, 이 어스앵커는 지중에 매설된 후, 인장되어 흙막이벽을 두루는 흙막이띠장에 인장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어스앵커는 어스앵커의 인장재가 인장되며, 이 인장재 끝의 앵커헤드는 흙막이띠장에 고정된 삼각형상의 앵커브래킷에 고정된다.
여기, 어스앵커의 인장재가 인장될 때, 앵커브래킷의 지압판을 지지점으로 하여 인장되는데, 종래에는 지압판의 위치와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어스앵커의 각도와 인장재를 인장하는 각도가 일치하지 않아 인장재가 꺾여 인장되거나, 인장재와 지압판이 수직을 이루지 않아 지압판의 일측에 하중이 집중되어 지압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장되어 지압판에 고정된 어스앵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외부적 요인에 의해 그라우팅된 어스앵커가 앵커헤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장재에 가해진 인장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기술 및 장비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로 국내실용등록 제 0372358 호에서는 한 쌍의 측면판과 앵커체의 인장 각도에 수직되게 배치되도록 측면판에 설치되고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 가능한 인출공이 구비된 지압판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용 지지 브라켓에 있어서, 측면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특허등록제 0356724 호에는 토목, 건축용 재인장형 앵커의 헤드와 재인장 장치에 있어서, 재인장형 헤드는 그것의 하부에 둥근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헤드를 재인장하기 위한 재인장 장치는 하단이 반원형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아암(arm)을 가지면서 측면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창이 형성된 두쪽의 반원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반원통의 측면에는 상기 반원통 두쪽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체결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재인장형 앵커의 헤드와 재인장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은 앵커체와 지압판의 인출공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지압판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앵커체와 지압판이 이루는 각도는 직각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데, 이로 인해 지압판을 지지점으로 삼아 앵커체의 연선을 인장하는 인장장치와 연선의 각도가 맞지 않아 인장시 연선이 꺽일 수 있으며, 지압판의 특정 지점에 하중이 집중되어 지압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토목, 건축용 재인장형 앵커의 헤드와 재인장 장치'는 두 반원통의 좌우 두 결합돌기를 서로 맞대어 볼트체결로 고정하는데, 강한 힘으로 인장 시, 두 반원통을 결합하는 결합돌기에 하중이 집중되며, 집중된 힘에 의해 파손 시, 두 반원통은 인장력의 방향을 따라 두 쪽으로 나뉘어 튕겨지며, 튕겨진 두 반원통에 의한 사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은 매설된 인장재와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른 각도조절홈이 측판에 형성되고, 측판에서 각도조절홈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로 구성되며, 원호부에 안착되는 지압판은 각도조절홈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는 인장재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의 걸림홈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를 포함하여; 인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을 조정 후, 인장재를 인장하여 앵커헤드에 고정하며,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를 재인장연결기로 덮고, 고정구로 걸림홈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구관통구멍은 재인장연결기의 외주연을 따라 균등하게 여섯 구멍 관통되며; 각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각 고정구는 허용전단력이 10tonf의 핀 또는 볼트로 구성됨으로써,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하며, 60tonf의 힘으로 재인장 시, 고정구가 전단파괴되지않도록 한다.
또, 각도조절홈의 원호는 앵커브래킷의 밑변을 기준으로 22.5°부터 67,5°사이의 원호로 형성됨으로써, 앵커브래킷 밑변을 기준으로 22.5° 내지 67,5°의 각도로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되는 각도에 대응되게 지압판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재인장수단으로 인장재가 포함되며; 재인장연결기는 인장재가 상하로 관통되는 인장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인장재관통구멍의 하부에 장착구홈이 형성되며, 장착구홈에 끼워져 인장재를 재인장연결기에 고정하는 장착구를 포함함으로써, 앵커헤드에 인장재를 연결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에 인장재를 연결하며, 앵커헤드의 인장재를 인장하던 장비로 재인장연결기에 연결된 인장재를 인장 할 수 있어, 인장재 연결이 용이하며, 재인장을 위한 구성이 간소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도조절홈을 따라 지압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인장 시, 매설된 인장재와의 각도가 맞지않아 발생되는 인장재의 꺽임 문제나, 지압판 특정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지압판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구구멍에 고정구를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와 앵커헤드를 연결하며, 60tonf의 힘으로 재인장 시, 고정구가 전단파괴되지않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앵커헤드에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연결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에 재인장용 인장재를 연결하며, 앵커헤드의 인장재를 인장하던 장비로 재인장연결기에 연결된 재인장용 인장재를 인장 할 수 있어, 인장재 연결이 용이하며, 재인장을 위한 구성이 간소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두부정리된 인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브래킷과 앵커헤드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브래킷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인장재를 인장하는 인장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인장연결기의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재인장연결기가 결합된 측단면도.
본 발명은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은 매설된 인장재와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른 각도조절홈이 측판에 형성되고, 측판에서 각도조절홈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로 구성되며, 원호부에 안착되는 지압판은 각도조절홈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는 인장재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의 걸림홈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를 포함하여; 인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을 조정 후, 인장재를 인장하여 앵커헤드에 고정하며,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를 재인장연결기로 덮고, 고정구로 걸림홈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는 통상의 어스앵커 구성인 인장재와 앵커헤드, 그리고 앵커헤드가 고정되는 앵커브래킷과, 인장재의 재인장을 위한 재인장연결기로 구성되는데, 앵커브래킷, 앵커헤드, 재인장연결기 순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앵커브래킷(110)은 흙막이벽을 두르는 흙막이띠장(300)에 밀착 고정되어 인장재(200)를 인장하는 지지점이자, 인장된 인장재(200)가 고정되는 구성으로, 두 개의 측판(111)과, 두 측판(111) 사이 상부의 지압판(112), 그리고 두 측판(111) 사이 하부의 두 받침판(113)으로 기본구성되며, 앵커브래킷(110)의 강도 강화를 위해 보강판이나 연결판 등이 추가되기도 한다.
여기서 측판(111)은 흙막이띠장(300)에 밀착되는 밑변과, 지압판(112)이 안착되며 이 밑변으로부터 일정 기울기를 가지는 원호의 변인 원호부(111a)를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판으로, 매설된 어스앵커의 인장재(200)와 측판(111)의 밑변이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라 각도조절홈(111a)이 밑변과 원호부(111a)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각도조절홈(111a) 원호의 중심과 원호부(111b) 원호의 중심은 일치하며, 각도조절홈(111a)의 원호는 측판(111)의 밑변을 기준으로 22.5°부터 67,5°사이의 원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호부(111b)는 안착된 지압판(112)이 각도조절홈(111a)의 원호를 따라 유동하는 부위므로 각도조절홈(111a)의 원호 각도와 같거나 보다 큰 각도의 원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압판(112)은 두 측판(111)의 원호부(111b)에 안착되며, 인장재(200)를 인장 시, 인장 하는 장비를 직접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인장된 인장재(200)와 연결된 앵커헤드(120)가 직접적으로 안착 고정되는 구성으로, 중심에 인장재(200)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지압판(112)의 양측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도조절홈(111a)에 연결되는 연결부(112a)가 구성된다.
이 지압판(112)의 연결부(112a)는 각도조절홈(111a)의 원주를 따라 유동되도록 고정되고, 지압판(112)에서 앵커헤드(120)와 접하는 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며, 원호부(111b)와 접하는 면은 원호부(111b)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평판으로 앵커헤드(120)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곡면으로 원호부(111b)를 원활하게 유동된다.
다음, 앵커헤드(120)는 어스앵커의 인장재(200) 끝에 구성되어 인장된 인장재(200)를 지압판(112)에 고정하는 것으로, 인장재(200)가 상하 관통하는 인장재관통구멍(122a)과, 이 인장재관통구멍(122a)에 끼워져 내부를 관통하는 인장재(200)를 압박 고정하는 장착구(122c)를 구성하며, 인장재(200)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인장재(200)는 주로 철근 또는 피씨(PC)강선으로 구성되고, 그외 인장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봉, 또는 연선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네 줄의 강연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헤드(120)는 사각통, 또는 육각통 등 다각형통이나 원통구조로 구성되어 상하로 인장재관통구멍(122a)이 관통되는데, 본 발명의 앵커헤드(12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네 줄의 강연선 인장재(200)가 각각 관통되는 네 개의 인장재관통구멍(122a)이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121)은 10㎜의 너비와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인장재(200)를 앵커헤드(120)에 고정해주는 장착구(122c)는 인장재(200)가 상하로 관통되는 원뿔형으로, 인장재관통구멍(12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인장재관통구멍(122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이 형성된다.
다음, 재인장연결기(130)는 내부로 앵커헤드(120)가 삽입 고정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어 앵커헤드(120)에 고정된 인장재(200)를 쉽게 재인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앵커헤드(120)와 같은 원통 구조이되,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120)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131)가 형성되며, 삽입된 앵커헤드(120)의 걸림홈(121)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132a)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132a)을 관통하여 걸림홈(121)에 걸리는 고정구(132b)가 구성된다.
이때, 고정구관통구멍(132a)은 직경 10㎜구멍이 외주연을 따라 60°마다 여섯 개 형성되며, 고정구관통구멍(132a)을 관통하여 앵커헤드(120)의 걸림홈(121)에 삽입되는 직경 10㎜의 각 고정구(132b)는 허용전단력이 10tonf 이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고정구관통구멍(132a)에 삽입된 모든 고정구(132b)의 허용전단력 합이 60tonf 이상되는 범위에서 고정구관통구멍(132a)과 고정구(132b)의 수나 직경 및 형태를 사용자 편의에 맞게 변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구(132b)는 핀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관통구멍(132a)에 볼트결합하여 고정구(132b)가 빠지지 않도록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재인장연결기(130)는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도록, 인장재(200)가 상하로 관통되는 인장재관통구멍(133a)이 형성되고, 인장재관통구멍(133a)의 하부에 장착구홈(133b)이 형성되며, 장착구홈(133b)에 끼워져 인장재(200)를 재인장연결기(130)에 고정하는 장착구(133c)가 포함된다.
여기서, 재인장연결기(130)에 사용되는 인장재(200)와, 구성된 장착구(133c)는 앵커헤드(120)의 인장재(200)와 장착구(122c)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재인장연결기(130)의 인장재관통구멍(133a)은 상단에서 결합부(131)까지 관통되며, 이 인장재관통구멍(133a)의 직경은 인장재(20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고, 장착구홈(133b)은 장착구(133c)에 대응되는 형태로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홈이며, 이 장착구홈(133b)은 결합부(131) 상단이자 인장재관통구멍(133a) 하부에 인장재관통구멍(133a) 외주연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는 앵커브래킷과, 앵커헤드에 의해 1차적으로 설치되며, 차 후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재인장연결기를 통해 2차적으로 재인장 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공된 흙막이벽 지중에 그라우팅되어 고정력이 형성된 어스앵커 주변의 흙막이띠장(300)에 앵커브래킷(110)을 고정시키되, 어스앵커의 인장재(200)가 앵커브래킷(110)의 지압판(112) 중심을 통과하여, 지압판(1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지압판(112)을 앵커브래킷(110) 측판(111)의 각도조절홈(111a)을 따라 각도를 조절한다.
다음, 지압판(112)에 앵커헤드(120)를 안착시키되, 앵커헤드(120)의 각 인장재관통구멍(122a)마다 인장재(200)가 삽입되며, 삽입된 각 인장재(200)마다 장착구(122c)가 끼워지고, 각 장착구(122c)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인장재관통구멍(122a)에 삽입하여 끼워진다.
다음, 유압장치와 같은 인장수단은 지압판(112)을 지지하여 인장재(200)를 인장한 후, 각 장착구(122c)를 인장재관통구멍(122a)에 바짝 끼워 인장재(200)를 앵커헤드(120)에 고정한다.
다음, 앵커헤드(120)와 인장재(200)를 두부정리하여 마무리하며, 차 후 외부적 요인에 의해 어스앵커의 인장재(200)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두부정리된 앵커헤드(120) 상부에 재인장연결기(130)를 씌워 고정한다.
이때, 재인장연결기(130)에 재인장용 인장재(200)가 연결되는데, 이는 앵커헤드(120)에 어스앵커의 인장재(200)가 연결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130)의 각 인장재관통구멍(133a)마다 재인장용 인장재(200)를 삽입하고, 재인장연결기(130)의 결합부(131)로 돌출된 각 재인장용 인장재(200)마다 장착구(133c)가 끼워지고, 각 장착구(133c)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이 인장재관통구멍(133a)을 향하도록 장착구홈(133b)에 끼워진다.
또한, 앵커헤드(120)와 재인장연결기(130)의 고정은 재인장연결기(130)에 형성된 각 고정구관통구멍(132a)마다 고정구(132b)를 삽입하여 각 고정구(132b)가 앵커헤드(120)의 걸림홈(121)에 끼워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쉽게 고정한다.
끝으로, 앵커헤드(120)와 연결된 재인장연결기(130)를 처음 인장하였던 인장수단으로 다시 재인장하여 어스앵커의 인장재(200) 인장력을 필요인장력 수치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도조절홈(111a)을 따라 지압판(1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어스앵커의 인장재(200)를 인장 시, 매설된 인장재(200)와의 각도가 맞지않아 발생되는 인장재(200)의 꺽임 문제나, 지압판(112) 특정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지압판(112)이 파손되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고정구구멍(132a)에 고정구(132b)를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130)와 앵커헤드(120)를 연결하며, 60tonf의 힘으로 재인장 시, 고정구(132b)가 전단파괴되지않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앵커헤드(120)에 어스앵커의 인장재(200)를 연결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130)에 재인장용 인장재(200)를 연결하며, 앵커헤드(120)의 인장재(200)를 인장하던 장비로 재인장연결기(130)에 연결된 재인장용 인장재(200)를 인장 할 수 있어, 인장재(200) 연결이 용이하며, 재인장을 위한 구성이 간소한 특징이 있다.
100: 인장장치 110: 앵커브래킷 111: 측판
111a: 각도조절홈 111b: 원호부 112: 지압판
112a: 연결부 113: 받침판 120: 앵커헤드
121: 걸림홈 122a,133a: 인장재관통구멍 122c,133c: 장착구
130: 재인장용연결기 131: 결합부 132a: 고정구관통구멍
132b: 고정구 133b: 장착구홈 200: 인장재
300: 흙막이띠장

Claims (4)

  1.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과,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를 포함하는 인장장치에 있어서,
    앵커브래킷(110)의 측판(111)은 매설된 인장재(200)와 앵커브래킷(110)이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라 각도조절홈(111a)이 형성되고, 각도조절홈(111a)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111b)로 구성되며;
    앵커브래킷(110)의 지압판(112)은 원호부(111b)에 안착되되, 각도조절홈(111a)에 연결되는 연결부(112a)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111a)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앵커헤드(120)는 인장재(200)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121)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120)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131)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120)의 걸림홈(121)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132a)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132a)을 관통하여 걸림홈(121)에 걸리는 고정구(132b)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130)를 포함하여,
    인장재(200)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112)을 조정 후, 인장재(200)를 인장하여 앵커헤드(120)에 고정하며, 인장재(200)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120)를 재인장연결기(130)로 덮고, 고정구(132b)로 걸림홈(121)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관통구멍(132a)은 재인장연결기(130)의 외주연을 따라 균등하게 여섯 구멍 관통되며;
    각 고정구관통구멍(132a)을 관통하여 걸림홈(121)에 걸리는 각 고정구(132b)는 허용전단력이 10tonf의 핀 또는 볼트로 구성됨으로써,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하며, 60tonf의 힘으로 재인장 시, 고정구가 전단파괴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각도조절홈(111a)의 원호는 앵커브래킷(110)의 밑변을 기준으로 22.5°부터 67,5°사이의 원호로 형성됨으로써,
    앵커브래킷 밑변을 기준으로 22.5° 내지 67,5°의 각도로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되는 각도에 대응되게 지압판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인장수단으로 인장재(200)가 포함되며;
    재인장연결기(130)는 인장재(200)가 상하로 관통되는 인장재관통구멍(133a)이 형성되고, 인장재관통구멍(133a)의 하부에 장착구홈(133b)이 형성되며, 장착구홈(133b)에 끼워져 인장재(200)를 재인장연결기(130)에 고정하는 장착구(133c)를 포함함으로써,
    앵커헤드에 인장재를 연결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재인장연결기에 인장재를 연결하며, 앵커헤드의 인장재를 인장하던 장비로 재인장연결기에 연결된 인장재를 인장 할 수 있어, 인장재 연결이 용이하며, 재인장을 위한 구성이 간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1020130006586A 2013-01-21 2013-01-21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10153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86A KR101530420B1 (ko) 2013-01-21 2013-01-21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86A KR101530420B1 (ko) 2013-01-21 2013-01-21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78A true KR20140094178A (ko) 2014-07-30
KR101530420B1 KR101530420B1 (ko) 2015-06-22

Family

ID=5174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86A KR101530420B1 (ko) 2013-01-21 2013-01-21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4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73A (ko) 2014-10-08 2016-04-18 주식회사 성우사면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CN108166493A (zh) * 2018-02-26 2018-06-15 温州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预应力锚索锚头上的角度调节装置
CN109049290A (zh) * 2018-07-27 2018-12-21 中铁大桥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可调斜度的锚穴装置及端模
KR20190050252A (ko) 2017-11-02 2019-05-10 이상원 사면 보강용 블록의 압력 분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 보강용 앵커링 구조체, 그리고 앵커 방식의 사면 보강 방법
CN113513031A (zh) * 2021-08-26 2021-10-19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锚具及锚索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87B1 (ko) * 2009-02-24 2011-08-29 주식회사그라운드이엔씨 각도조절 브래킷
KR100949196B1 (ko) * 2009-08-11 2010-03-23 김성희 강연선 재인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73A (ko) 2014-10-08 2016-04-18 주식회사 성우사면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KR20190050252A (ko) 2017-11-02 2019-05-10 이상원 사면 보강용 블록의 압력 분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 보강용 앵커링 구조체, 그리고 앵커 방식의 사면 보강 방법
CN108166493A (zh) * 2018-02-26 2018-06-15 温州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预应力锚索锚头上的角度调节装置
CN109049290A (zh) * 2018-07-27 2018-12-21 中铁大桥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可调斜度的锚穴装置及端模
CN113513031A (zh) * 2021-08-26 2021-10-19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锚具及锚索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420B1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911B2 (en) Multi-purpose anchor devices
KR101530420B1 (ko)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100757883B1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KR100906193B1 (ko)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및 천막의 장력 조절장치
KR101458973B1 (ko) 강선지지구, 강선 긴장용 유압잭 및 유압잭을 이용한 휨 부재 가변지주 공법
EA028293B1 (ru) Сборочный узел труб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1642103B1 (ko) 철근 콘크리트 고정구를 이용한 케이블 월 시스템
JP2012202032A (ja) 吊り天井の耐震構造
KR101390990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JP2007218043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金具,柱脚構造とその金具,および柱・梁接合構造とその金具
KR101253679B1 (ko) Pc 세그먼트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50192016A1 (en) Truss eye
DE20215867U1 (de) System zur Festlegung flächiger Solarkomponenten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US7162843B2 (en) Bolts with connected anchor
CN209760461U (zh) 槽式预埋件
KR20130061335A (ko) 조립식 기둥-기초 연결 구조물
KR101250473B1 (ko) 입체 언더텐션 시스템
JP7046560B2 (ja) 終端保持具
JP2017119962A (ja) 接続具
JP2015166520A (ja) 締結構造
JP6774142B2 (ja) 取付金具、木材連結金具、木材の連結方法および建築物
KR20040062485A (ko) 잭킹유닛을 이용한 구조부재(보, 슬래브)의 포트스텐셔닝 보강공법
KR102268918B1 (ko) 천막 고정 장치
CN218029213U (zh) 独立支撑架的固定装置和预制梁的支撑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