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893A - 슬랫, 슬랫 장착 방법, 슬랫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슬랫, 슬랫 장착 방법, 슬랫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893A
KR20140093893A KR1020130165786A KR20130165786A KR20140093893A KR 20140093893 A KR20140093893 A KR 20140093893A KR 1020130165786 A KR1020130165786 A KR 1020130165786A KR 20130165786 A KR20130165786 A KR 20130165786A KR 20140093893 A KR20140093893 A KR 2014009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slat
receptacle
component
retain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데메라츠
디르크 라우호프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moulding interconnected elements which are movable with respect to one another, e.g. chains or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2Vehicular structural memb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서로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14) 및 부가 부분(16)을 갖는, 특히 차량의 공기 통기구용, 슬랫(10)에서, 기계적 연결부는 베이스 몸체(14) 및 부가 부분(16)으로 이루어진 2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를 그리고 2개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유지 요소(22)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24)을 포함하고, 리셉터클(24)은 유지 요소(22)가 삽입 방향(E)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34)와, 유지 요소(22)가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 유지부(3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랫, 슬랫 장착 방법, 슬랫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방법{SLAT, METHOD FOR MOUNTING A SLAT, INJECTIO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NENT OF A SLAT}
본 발명은 슬랫, 특히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서로에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base body) 및 부가 부분(add-on part)을 갖는 차량의 공기 통기구(air vent)용 슬랫(slat) 및 이러한 슬랫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슬랫용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슬랫용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기 통기구에 고품질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 통기구의 슬랫의 전방 에지는 종종 코팅, 예를 들어 크롬 도금을 구비한다. 그러나, 단일 부품 슬랫들의 부분적 코팅은 매우 높은 제조 비용을 수반한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의 공기 통기구용 슬랫은 종종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제1 구성요소는 그 대부분이 가시화되지 않고 저가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슬랫의 후방 부분을 나타내는 슬랫의 베이스 몸체를 형성한다. 이 베이스 몸체에, 부가 부분이, 슬랫의 전방의 가시적인 부분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로서, 장착되어 있다. 이 부착 부분(attachment part)은 예를 들어 슬랫에 고품질 외관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크롬 도금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 코팅을 가질 수 있다.
2-부품 구조는, 전체 슬랫이 아니라 매우 훨씬 더 작은 표면을 갖는 부착 부분만 코팅되면 되는, 장점을 갖는다. 부착 부분은 더 작은 표면으로 인해 완전히 코팅될 수 있고, 따라서 구성요소의 부분적 코팅으로 인한 부가적인 노동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로부터, 부착 부분이 클립 연결부와 함께 베이스 몸체에 부착되는, 2-부품 슬랫들이 공지된다. 이는 슬랫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부착하는 것에 대한 신속하고 간단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클립 연결부는 극한 하중 하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슬랫 또는 공기 통기구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부착 부분의 교체는 매우 고비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 부분의 확고한 유지를 보장하고 부착 부분의 용이한 조립 및 분해를 제공하는 공기 통기구용 슬랫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이러한 슬랫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슬랫의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이러한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해결을 위해,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서로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몸체 및 부가 부분을 갖는, 특히 차량의 공기 통기구용, 슬랫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연결부는, 베이스 몸체 및 부가 부분으로 이루어진 2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를 그리고 2개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유지 요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유지 요소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 및 유지 요소가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 유지부를 포함한다. 자체에 유지 요소가 제공되는 구성요소는, 유지 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리셉터클의 삽입부 내부로 돌출하도록, 유지 요소로 제2 구성요소에 대항하도록 배치된다. 그 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에 대해 이동하여, 유지 요소가, 유지 요소가 그로부터 더 이상 빠져 나올 수 없는, 유지부 내부로 밀리게 되고, 그로 인해 구성요소들이 서로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제1 구성요소 또는 제2 구성요소의 교체는, 유지 요소가 그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삽입부 내로 유지 요소를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유지부는 예를 들어, 유지 요소가 유지부 내에 꽉 들어차게 되거나 쐐기 고정되게 되도록, 삽입부에 대해 좁아질 수 있다.
유지 요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유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유지 부분이 그 후방에 결합될 수 있는, 언더컷(undercut)이 유지부에 제공된다. 언더컷은 바람직하게, 유지 부분이 삽입 방향에 대항하여 언더컷 후방에 결합되도록 그리고 유지 부분 또는 유지 요소가 삽입 방향에 대항하여 리셉터클 내에 확고하게 고정되고 빠져나올 수 없도록, 형성된다.
유지 요소와 리셉터클은 말하자면 베이어닛 잠금(bayonet lock)의 원리에 따라 작용 하여, 2개의 구성요소의 가역적인 장착이 가능하게 되고, 베이스 몸체와 부가 부분 사이의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지만 매우 안정적인 연결이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유지부는 삽입부 옆에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베이스 몸체와 부가 부분을 장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들이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로 서로에 대항하도록 배치되도록 하고, 이어서 유지 요소를 갖는 구성요소가, 말하자면 슬라이딩 표면으로서 기능하는, 접촉 표면들과 더불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동은 단지 측방향으로만 실행되기 때문에, 구성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거리는 장착 작업 도중에 변경되지 않고, 따라서 장착된 상태에서 슬랫이 구성요소들 사이의 간극들 또는 슬롯을 갖지 않도록, 구성요소들이 제조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특히 균일하게 분포되는 유지 부분들이 자체에 제공되는,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리브(protruding rib)일 수 있다. 리셉터클은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특히 균일하게 분포되는 삽입부들 및 유지부들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일 수 있고, 삽입부들의 거리는 유지 부분들의 거리에 대응한다. 자체에 제공되는 유지 부분들을 구비하는 돌출 리브는, 유지 부분들이 각각 삽입부들 내부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유지 요소는, 유지 부분들이 유지부의 언더컷 후방에 결합되도록, 리브 또는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브 또는 홈은 바람직하게, 대략 구성요소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따라서 구성요소의 전체 길이를 따라, 확실한 연결이 베이스 몸체와 부가 부분 사이에 이루어지고, 부가 부분은 베이스 몸체에 매우 확고하게 유지된다. 홈은 예를 들어, 모든 삽입부들 및 유지부들을 위한 연속적인 개구부를 형성한다.
유지 부분들은 유지 요소로부터 측방향으로 및/또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부분들은, 유지 요소가 삽입부로부터 유지부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래치 결합 방향 또는 홈에 의존하여, 유지 요소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유지 부분들은 예를 들어 후크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지 부분이, 유지부들의 언더컷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는 더 큰 단면을 갖는, 헤드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유지 부분들은 유지 요소로부터 상이한 측면들로 돌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지 부분들을 리셉터클의 삽입부들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지 부분들은 예를 들어 삽입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유지 부분들이 리셉터클 내부로의 삽입시에 탄성적으로 항복할 수 있는 래치 결합 탭(latching tab)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유지부 뿐만 아니라 삽입부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개구부를 포함한다. 유지 부분은 마찬가지로 특히 삽입부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유지 부분이 삽입부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유지 요소를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삽입부의 폭은 바람직하게, 유지 부분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슬랫의 장착된 상태에서 또는 공기 통기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계적 연결부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적 연결부의 해제는 가능하지 않거나 단지 주된 저항에 대항하여서만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 기계적 연결부의 해제는, 공기 통기구 내의 설치 공간이 래치 결합 방향에 대항하여 제한되도록, 실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성요소들이 유지 요소가 삽입부 내부로 들어가는 그러한 정도까지 서로에 대해 이동하게 될 수 없게 된다. 대안적으로, 유지 요소에, 리셉터클 내의, 특히 유지부 내의, 위치 내부로 스냅 결합될 수 있는 래치 결합 요소가 제공되고, 따라서 증가된 저항이, 유지 부분 또는 유지 요소를 삽입부 내부로 되도록아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베이스 몸체 및/또는 부가 부분은 바람직하게,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부가 부분은 표면 코팅, 특히 크롬 도금을 구비한다.
목적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되고, 여기서 유지 요소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부 내에 도입되며, 이어서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래치 결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유지 요소가, 유지 요소가 고정되는, 유지부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베이스 몸체에의 부가 부분의 용이한 조립을 제공하고, 여기서 래치 결합 방향에 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슬랫의 분해가 또한 구성요소들을 손상시킴 없이 가능하다.
래치 결합 방향은 실질적으로 베이스 몸체 및/또는 부가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래치 결합 방향에 대항하는 유지 요소의 이동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공기 통기구 내에서의 슬랫의 설치된 상태에서, 슬랫은 길이 방향으로 양 측면에서 공기 통기구의 하우징에 대항하도록 놓이고, 공기 통기구의 측벽들에 단지 약간의 간극만을 갖는다. 이 간극은 너무 작아서, 부가 부분이 더 이상, 유지 요소들이 삽입부 내부로 들어가는 그러한 정도까지, 이동하게 될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슬랫의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몰드가 또한 제공되고, 이 사출 몰드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된 부분 및 슬라이드를 구비하며, 여기서 슬라이드는, 슬라이드가 성형된 부분과 함께 리셉터클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는, 사출 위치와 이형 위치(demold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성형된 부분은 유지 요소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유지 영역들을 텅빈 상태로 유지한다. 슬라이드는 단독으로 또는 성형된 부분과의 조합으로 삽입 영역들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여기서 슬라이드는, 사출 방향에 대항하여,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특히 구성요소로부터 멀어지게, 사출 위치로부터 이형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한 사출 몰드를 구비함에 따라, 유지부들이 언더컷들을 갖더라도, 하나의 사출 작업에서, 삽입부들 및 유지부들를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슬랫의 구성요소의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다. 성형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의 제2 구성요소의 유지 요소의 형상을 구비하며, 따라서 유지 요소가 유지 위치에서 점유하는 리셉터클의 영역들이 성형된 부분에 의해 텅빈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성형된 부분은, 유지 위치에 유지 요소를 한정하도록, 사출 몰드 내에 배열된다. 게다가, 슬라이드들은 단독으로 또는 성형된 부분과의 조합으로 삽입부를 텅빈 상태로 유지한다. 성형된 부분은 따라서 슬라이드와 함께 전체 리셉터클을 텅빈 상태로 유지한다.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한 후에, 슬라이드는 삽입 방향에 대항하여 제거되며, 따라서 삽입부들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텅빈 상태로 된다. 따라서, 성형된 부분은 유지부들로부터, 유지 요소에 유사한, 삽입부들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에, 구성요소 또는 성형된 부분은, 성형된 부분이 삽입부들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따라서 구성요소가, 성형된 부분이 삽입부들를 통해 제거됨에 따라, 성형된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이동하게 된다.
성형된 부분은 또한 제2 슬라이드로서 형성될 수 있고, 성형된 부분이 유지부들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는, 사출 위치와, 성형된 부분이 삽입부들 내부로 결합하는, 이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성형된 부분은 바람직하게, 유지 요소의 형상 및/또는 유지 부분의 단면에 대응하는 일정한 단면을 구비하며, 즉 유지 요소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 몰드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랫용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되고, 여기서 이 방법은,
- 슬라이드가, 슬라이드가 성형된 부분과 함께 리셉터클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는, 사출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
- 사출 몰드가 플라스틱으로 충전되는 단계,
- 플라스틱의 경화 후에, 슬라이드가 제1 이형 단계에서, 유지 영역이 텅빈 상태로 되는, 이형 위치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
- 다음에, 성형된 부분 또는 구성요소가, 성형된 부분이 삽입부들 내부에 결합되고 성형된 부분이 삽입 방향에 대항하여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다수의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을 갖는 공기 통기구를 관통하는 개략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슬랫의 부가 부분의 다양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슬랫의 베이스 몸체의 다양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슬랫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슬랫의 부가 부분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슬랫의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몰드의 개략적 도면 및 단면도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사출 몰드의 성형된 부분 및 슬라이드의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7에 따른 사출 몰드를 갖는 도 1의 슬랫의 제조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공기 통기구(12)용 슬랫(10)을 도시한다. 슬랫(10)은 베이스 몸체(14) 및,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베이스 몸체(14)에 부착될 수 있는, 부가 부분(16)을 갖는다. 베이스 몸체(14)에 베어링들(18)이 제공되고, 이 베어링들은 길이 방향(R)으로 돌출하는 볼트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18)들을 구비함에 따라, 슬랫(10)은 공기 통기구(12) 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가 부분(16)은 베이스 몸체(14)의 전방 에지에 장착되며, 따라서 부가 부분(16)은 슬랫(10)의 전방 에지(20)를 형성한다. 설치된 상태에서, 슬랫(10)의 이러한 전방 에지(20), 즉 단지 부가 부분만이 실질적으로 가시화된다.
그러한 차량용 공기 통기구(12)에서,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특히 슬랫(10)의 전방 에지(20)의 크롬 도금에 의해, 달성되는 고품질 외관이 요구된다. 그러나, 단일 부품 슬랫의 완전한 코팅은, 그러한 방법에서 가시화되지 않는 슬랫(10)의 부분들이 또한 코팅될 것이기 때문에, 비용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단일 부품 슬랫의 부분적 코팅은 증가된 제조 비용을 수반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러한 슬랫의 전방 에지(20)는, 제2의 분리된 구성요소, 즉 부가 부분(16)에 의해 형성된다. 이 부가 부분은 별도로 코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코팅을 위한 재료 비용이 구성요소의 더 작은 표면으로 인해 감소하게 된다. 두 구성요소는 모두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이후에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2개의 구성요소의 기계적 연결부는, 부가 부분(16)에 제공되는 유지 요소(22)에 의해 그리고 베이스 몸체(14)에 제공되는 리셉터클(24)에 의해 형성된다. 유지 요소(22)는 리셉터클(24)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하에 설명될 것으로서, 리셉터클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요소는, 유지 부분들(28)이 그로부터 규칙적인 간격으로 돌출하는, 폭(BR)을 갖고 길이 방향(R)으로 연장되는 돌출 리브(protruding rib)(26)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부분들은, 리브(26)로부터 양 측면에서 돌출하고 폭(BT)을 갖는, 직사각형 돌기들로 형성된다. 유지 부분들(28) 사이에, 절결부들(30)이 각각 형성된다(도 3c).
리셉터클(24)은, 다수의 삽입부(34) 및 유지부(36)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R)으로 연장되는 홈(32)을 갖는다. 길이 방향(R)에서, 삽입부들(34) 및 유지부들(36)은 각각 교호반복된다(도 4a).
삽입부들(34)의 길이(LE)는 유지 부분들(28)의 길이(LT)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길다. 삽입부들(34)의 폭(BE)은 마찬가지로 유지 부분들의 폭(BT)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다(도 3b). 삽입부들(34)의 거리(AE)는 유지 부분(28)의 거리(AT)에 대응한다.
유지부들(36)의 영역에서, 돌기들(37)이 홈 내에 제공되고, 이 홈에 의해 언더컷들(38)이 형성된다. 돌기들(37)의 거리 또는 유지부들 내에서의 홈(32)의 폭(BH)은 유지 부분들(28)의 폭(BT)보다 작지만, 리브(26)의 또는 유지 요소(22)의 폭(BR)보다 약간 더 크다.
이는, 유지 부분이 유지부(36) 내에 위치하게 될 때, 유지 부분(28)이 더 큰 폭(BT)으로 인해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유지부(36)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유지 부분(28)은 삽입 방향(E)에서 삽입부들(34)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삽입부들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부가 부분(16) 및 베이스 몸체(14)는 길이 방향(R)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접촉 표면(40, 42)을 갖는다. 베이스 몸체(14)에 부가 부분(16)을 장착하기 위해, 유지 요소(22)를 갖는 부가 부분(16)이 삽입 방향(E)에서 베이스 몸체(14)에 부착되고, 여기서 유지 부분들(28)을 갖는 유지 요소(22)는 홈(32)의 삽입부(34) 또는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된다(도 5a).
부가 부분(16) 및 베이스 몸체(14)가 접촉 표면(40, 42)을 갖고 서로 편평하게 놓일 때, 부가 부분(16)은 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R)에 대응하는 래치 결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불어 유지 부분(28) 또는 유지 요소(22)는, 유지 요소(22)가 유지 부분들(28)와 함께 삽입부들(34)에서 나와 측방향으로 연속되는 유지부들(36) 내부로 들어가도록, 이동하게 된다(도 5b).
이 위치에서, 유지 부분들(28)은 언더컷들(38) 후방에 위치되고, 따라서 부가 부분(16)이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리셉터클(24)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도 5c). 따라서, 부가 부분(16)은 베이스 몸체(14)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기계적 연결부는, 유지 요소(22)가 그 후방에 고정될 수 있는, 언더컷(38)을 포함하는 리셉터클(24) 내부로 유지 요소(22)가 삽입되는 것과 같은, 베이어닛 연결의 원리에 따라 작용한다. 그러나, 베이어닛 잠금에 대조적으로, 고정은 회전 이동에 의해서가 아니라, 리셉터클 내에서 유지 요소(22)를 선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공기 통기구(12) 내의 슬랫(10)의 설치 상태에서, 래치 결합 방향(R)에 대항하는 부가 부분(16)의 이동은, 공기 통기구(12)의 측벽들이 이러한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다.
게다가, 리셉터클(24) 내의 위치 내부로 스냅 결합할 수 있는, 래치 결합 요소가 유지 요소(22)에, 특히 유지 부분들(28)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 결합 요소는 또한 유지부들(36)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삽입부들(34) 또는 유지부들(36)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직사각형 개구부를 갖는다. 유지 부분들(28)은 마찬가지로 특히 삽입부(34)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며, 따라서 삽입부들(34)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들(34) 또는 유지부들(36)의 형상은 요구에 따라 맞춰질 수 있다. 유지 부분들(28)은 마찬가지로, 유지부들(36) 내부에 결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들(34)과 유지부들(36)은, 유지 요소(22) 또는 유지 부분들(28)이 삽입부들(34) 내부로 밀리게 되고 유지부들(36)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단지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요소(22)의 제2 실시예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 단지 하나의 유지 부분(28)만이 자체에 제공되는, 길이 방향(L)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후방에 위치되는, 다수의 유지 요소(22)가 제공된다.
도 6a 및 도 6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부분들(28)은 대안적으로 각각의 유지 요소(22)로부터 상이한 측면들로 돌출한다. 게다가, 유지 부분들(28)은 각각 리셉터클(24) 내부로의 유지 요소(22) 또는 유지 부분들(2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 경사면(43)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요소(22)에 대응하는 리셉터클(24)은 실질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리셉터클(24)처럼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지 부분들(28) 또는 유지 요소들이 더 작은 폭을 갖기 때문에, 삽입부들(34)의 폭은 또한 각각 더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유지 부분들(28)은 또한 유지 요소들(22)로부터 단지 일 측면으로만 돌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연속적인 리셉터클(24) 대신에, 각각의 유지 요소(22)에 대해, 각각 하나의 삽입부(34) 및 하나의 유지부(36)를 갖는 개별적인 리셉터클(24)이 제공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유지 부분들(28)은 임의의 방식으로 유지 요소들(22)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부분들(28)이 래치 결합 방향으로 또는 길이 방향(R)으로 유지 요소들(22)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말하자면 길이 방향(R)으로 유지부들(36) 내부에 결합하는 후크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유지 요소(22)는 각각 부가 부분(16)에 제공된다. 그러나, 유지 요소(22)가 베이스 몸체(14)에 제공되고 리셉터클(24)이 부가 부분(16)에 제공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유지 요소(22)가 제공되는 구성요소는, 몰드 분리면의 적합한 위치에 의해 유지 요소가 언더컷을 갖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가 없는 사출 몰드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리셉터클(24)이 제공되는 슬랫(10)의 구성요소, 즉 대부분의 경우에 베이스 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사출 몰드(44)는, 액체 플라스틱이 그 내부로 충전될 수 있고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캐비티(46)를 한정한다. 사출 몰드(44)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부분(28)의 영역에서 유지 요소(22)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캐비티(46) 내부로 돌출하는 다수의 웨브(50)를 포함하는, 성형된 부분(48)을 갖는다.
웨브들(50) 사이에, 안내통로들(guideway)(52)이 성형된 부분(48)에 제공되며, 슬라이드들(54)이 그 내부에 삽입 방향(E)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드들(54)은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도 7c). 슬라이드들(54)의 폭(BS)은 삽입부들(34)의 길이(LE)에 대응한다. 슬라이드들(54)의 높이(H)는 연속적으로 삽입부들(34)의 폭(BE) 또는 실질적으로 유지 부분들(28)의 폭(BT)에 대응한다.
도 8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들(54)은 이형 위치와 사출 위치(파선)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사출 위치에서, 슬라이드들(54)은 캐비티(46) 내부로 돌출되고, 전방 에지(56)에서 성형된 부분(48)의 웨브들(50)과 동일 높이에서 종결된다.
성형된 부분(48)은 마찬가지로 사출 위치와 이형 위치(도 8b) 사이에서 길이 방향(R)으로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제2 슬라이드를 형성한다.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성형된 부분(48)과 슬라이드들(54)은 사출 위치 내부로 이동된다. 사출 위치에서, 성형된 부분(48)의 웨브들(50)은, 유지부들(36)이 완성된 구성요소 내에 제공되도록 하는, 사출 몰드(44) 내의 위치에 배치된다. 웨브들(50)은 유지부들(36)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유지부들(36)은 따라서 성형된 부분(48)의 웨브들(50)에 의해 완전히 텅빈 상태로 유지된다.
슬라이드들(54)은 유지부들(3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삽입부들(34)의 형상을 갖고, 삽입부들을 사출 위치에서 텅빈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성형된 부분(48)과의 조합으로, 슬라이드(54)는 사출 성형 작업 도중에 전체 리셉터클(24)을 텅빈 상태로 유지한다.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및 경화 후에, 슬라이드들(54)은,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즉 구성요소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사출 위치로부터 이형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들(54)의 이러한 이형 위치에서, 슬라이드들은 구성요소 또는 리셉터클(24) 내부로 더 이상 돌출하지 않고, 따라서 구성요소의 삽입부들(34)이 텅빈 상태로 된다(도 9a).
다음에, 성형된 부분(48)은 길이 방향(R)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고, 따라서 성형된 부분(48)의 웨브들(50)이 유지부들(36)로부터 나와 텅빈 상태의 삽입부들(34) 내부로 오게 된다(도 9b).
그 후에, 웨브들(50)과 성형된 부분(48)은 삽입 방향(E)으로 리셉터클(24) 밖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성형된 부분(48)이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도 있고 또는 구성요소가 삽입 방향(E)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들(54)과의 조합에서, 언더컷들(38)을 포함하는 전체 리셉터클(24)은 따라서 성형된 부분(48)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슬라이드들 및 이동 가능한 성형된 부분(48)으로 인해, 구성요소 또는 리셉터클(24)의 용이한 제조 및 구성요소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사출 몰드의 실시예에서, 삽입 영역들은 슬라이드들(54)에 의해 완전히 텅빈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성형된 부분(48)은 길이 방향(L)으로 웨브들(50)을 연결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 즉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리브(26)를 갖는 유지 요소(22)의 형상을 갖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들(54)은 단지, 성형된 부분(48)에 의해 텅빈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삽입부(34)의 부분들을 텅빈 상태로 유지한다.
플라스틱의 경화 및 슬라이드들(54)의 배출 후에, 성형된 부분(48)이 완성된 구성요소의 삽입부들(34)를 통해 제거될 수 있도록, 성형된 부분(48) 및 완성된 구성요소가 길이 방향(R)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단지 보장되어야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성형된 부분(48)은 길이 방향(R)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성형된 부분(48)이 고정형으로 형성되고, 이형 작업 도중에 구성요소가 성형된 부분(48)에 대해 이동하게 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Claims (17)

  1.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서로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14) 및 부가 부분(16)을 갖는, 특히 차량의 공기 통기구(12)용, 슬랫(10)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결부는, 베이스 몸체(14) 및 부가 부분(16)으로 이루어진 2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를 그리고 2개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유지 요소(22)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24)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24)은, 상기 유지 요소(22)가 삽입 방향(E)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34) 및, 상기 유지 요소(22)가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 유지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2)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유지 부분(28)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분(28)이 그 후방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38)이 상기 유지부(36)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36)는 상기 삽입부(34) 옆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2)는, 여러 개의, 특히 균일하게 분포되는 유지 부분들(28)이 자체에 제공되는,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R)으로 연장되는 돌출 리브(26)이고,
    상기 리셉터클(24)은, 여러 개의, 특히 균일하게 분포되는 삽입부들(34) 및 유지부들(36)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R)으로 연장되는 홈(32)이며,
    상기 삽입부(34)들의 거리는 상기 유지 부분들(28)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분들(28)는 상기 유지 요소(22)로부터 측방향으로 및/또는 삽입 방향(E)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6. 제 3항에 있어서,
    인접한 유지 부분들(28)은 상기 유지 요소(22)로부터 상이한 측면들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분들(28)은 삽입 경사면(43) 및/또는 래치 결합 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4) 및 상기 유지부(3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개구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유지 부분(28)는 특히 삽입부(34)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4)의 폭은 상기 유지 부분(28)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10. 제 1항에 있어서,
    래치 결합 요소가 유지 요소(22)에 제공되고, 상기 래치 결합 요소는 상기 리셉터클(24) 내의, 특히 상기 유지부(36) 내의 위치 내부로 스냅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4) 및/또는 상기 부가 부분(16)은,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상기 부가 부분(16)은 표면 코팅을, 특히 크롬 도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랫(10)을 장착하기 위한 슬랫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2)가 삽입 방향(E)으로 삽입부(34) 내부에 도입되고, 이어서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래치 결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유지 요소(22)가 상기 유지부(36)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장착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결합 방향(R)은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14) 및/또는 사이 부가 부분(16)의 길이 방향(R)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장착 방법.
  14. 리셉터클(24)을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랫(10)의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몰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성형된 부분(48) 및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54)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54)는, 상기 슬라이드(54)가 상기 성형된 부분(48)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24)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는 사출 위치 및 이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성형된 부분(48)은 상기 유지 요소(22)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유지부들(36)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슬라이드(54)는 단독으로 또는 상기 성형된 부분(48)과 조합으로 상기 삽입부들(34)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54)는,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R)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특히 구성요소로부터 멀어지는,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사출 위치로부터 이형 위치 내부로 이동 가능한 것인 사출 몰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부분(48)은 제2 슬라이드로서 형성되고, 상기 성형된 부분(48)이 적어도 상기 유지부들(36)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는 사출 위치와 상기 성형된 부분(48)이 상기 삽입부들(34) 내부로 결합하는 이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몰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부분(48)은 상기 유지 요소(22)의 형상 및/또는 상기 유지 부분(28)의 단면에 대응하는 일정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몰드.
  17. 제 14항에 따른 사출 몰드(44)로, 리셉터클(24)을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슬랫(10)용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슬랫용 구성요소 제조 방법으로서,
    -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성형된 부분(48)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24)을 텅빈 상태로 유지하는 사출 위치 내부로 상기 슬라이드(54)가 이동하게 되는 단계,
    - 상기 사출 몰드(44)가 플라스틱으로 충전되는 단계,
    - 플라스틱의 경화 후에, 상기 슬라이드(54)가 제1 이형 단계에서, 상기 삽입부들(34)가 텅빈 상태로 되는, 이형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
    - 다음에, 상기 성형된 부분(48) 또는 상기 구성요소가, 상기 성형된 부분(48)이 상기 삽입부들(34)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성형된 부분(48)이 삽입 방향(E)에 대항하여 상기 리셉터클(24)로부터 제거되도록, 길이 방향(R)으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랫용 구성요소 제조 방법.
KR1020130165786A 2013-01-18 2013-12-27 슬랫, 슬랫 장착 방법, 슬랫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방법 KR20140093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0528.4 2013-01-18
DE102013100528.4A DE102013100528A1 (de) 2013-01-18 2013-01-18 Lamell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Lamelle, Spritzgussfo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einer Lam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893A true KR20140093893A (ko) 2014-07-29

Family

ID=4975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786A KR20140093893A (ko) 2013-01-18 2013-12-27 슬랫, 슬랫 장착 방법, 슬랫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06270A1 (ko)
EP (1) EP2756975B1 (ko)
KR (1) KR20140093893A (ko)
CN (1) CN103935212B (ko)
DE (1) DE102013100528A1 (ko)
ES (1) ES254344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387B1 (en) * 2015-06-04 2020-12-29 Leftcoast Diversified, Inc Replacement vent clip for use with vehicle vent louvers
JP6879141B2 (ja) * 2017-09-20 2021-06-02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フィン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768A (en) * 1961-11-15 1964-09-08 Barber Colman Co Air flow control damper
US3631790A (en) * 1969-09-23 1972-01-04 Specialties Const Automatic closing louver
US3653317A (en) * 1969-12-22 1972-04-04 Etelson Costanzo & Associates Louvers
US3897671A (en) * 1973-08-31 1975-08-05 Comptex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a load on a pallet
US4263842A (en) * 1978-08-02 1981-04-28 Moore Robert D Adjustable louver assembly
JPS5914669Y2 (ja) * 1979-11-21 1984-04-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ンチレ−シヨングリル
JPS5864438A (ja) * 1981-10-13 1983-04-16 Nissan Motor Co Ltd 風向調整装置
US4503755A (en) * 1982-09-15 1985-03-12 Idea Development Engineers Of Arizona, Inc. Louver system
US4653385A (en) * 1984-09-20 1987-03-31 Toyoda Gosei Co., Ltd. Air intake grille
US4686743A (en) * 1984-12-31 1987-08-18 Suska Charles R Hinge incorporating leaf pads and tabs of uniform thickness
US4999227A (en) * 1990-05-07 1991-03-12 Vander Togt Robbert T Bumper and process to bond ionomers to plastic
US5489186A (en) * 1991-08-30 1996-02-06 Airflow Research And Manufacturing Corp. Housing with recirculation control for use with banded axial-flow fans
US5218998A (en) * 1992-04-01 1993-06-15 Bakken Gary M Linearly adjustable
US5230654A (en) * 1992-06-30 1993-07-27 Siemens Automotive Limited Diffuser air outlet register
US5267414A (en) * 1992-07-13 1993-12-07 George Vaida Louver assembly
US5507547A (en) * 1993-08-31 1996-04-16 Rockwell Golde Gmbh Vehicle roof with glass lid and sunshield
US5462649A (en) * 1994-01-10 1995-10-31 Electroplating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 plating
US5490395A (en) * 1994-11-21 1996-02-13 Whirlpool Corporation Air baffle for a refrigerator
US5454357A (en) * 1994-12-12 1995-10-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e port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90550A (en) * 1996-04-24 1997-11-25 Manchester Plastics, Inc. Diffuser outlet assembly
US5842919A (en) * 1997-03-27 1998-12-01 Duro Dyne Corporation Damper actuator assembly
DE19727786C2 (de) * 1997-06-30 2000-01-20 Siegfried Hofmann Gmbh Werkzeu Verfahren und Werkzeug zum Spritzgießen von Gegenständen
FR2809755B1 (fr) * 2000-06-06 2003-01-10 Jean Jacques Marin Caillebotis
US7232369B2 (en) * 2003-04-04 2007-06-19 Smith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EP1734294B1 (en) * 2003-04-28 2009-07-08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Flow control assemblies having integrally formed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DE102004027914A1 (de) * 2003-06-26 2005-03-17 Behr Gmbh & Co. Kg Verschluss für mindestens eine Öffnung
DE202004008181U1 (de) * 2004-05-21 2004-07-29 Olho-Technik Oleff & Holtmann Ohg Aus Kunststoff bestehendes Lamellengitter einer Lüftungsdüse
US7137445B2 (en) * 2004-06-16 2006-11-2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center plate scoop for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JP4363283B2 (ja) * 2004-09-13 2009-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通路開閉装置
DE102004053720A1 (de) * 2004-11-06 2006-05-11 Adam Opel Ag Aufsteckbare Elemente für Kraftfahrzeugbelüftungsdüsen
DE502005002658D1 (de) * 2005-05-03 2008-03-13 Behr France Rouffach Sas Stellvorrichtung für wenigstens drei Klappen einer Belüftungs-, Heizungs-oder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02663B4 (de) * 2006-01-19 2016-09-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usströmdüse mit Lamellen und Kraftfahrzeug mit Innenraum
US7793706B2 (en) * 2006-02-23 2010-09-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dual zone temperature control with slave rear zone
JP4816381B2 (ja) * 2006-09-29 2011-11-1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US20090093207A1 (en) * 2007-10-09 2009-04-09 Seongseok Han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US8827781B2 (en) * 2007-11-30 2014-09-09 The Gsi Group, Inc. Animal house ceiling vent
WO2010108234A1 (en) * 2009-03-27 2010-09-30 World Environmental Solutions Pty Ltd A combined water extractor and electricity generator
DE202010005663U1 (de) * 2010-06-17 2010-09-30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Kunststoffteil zur Verwendung i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JP5204298B2 (ja) * 2010-06-25 2013-06-05 豊和化成株式会社 ダンパプレート
DE102010032231B4 (de) * 2010-07-26 2014-10-3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dienelements für einen Luftausströmer, Bedienelement für einen Luftausströmer, Luftausströmer
US20120118656A1 (en) * 2010-11-08 2012-05-17 Magna International Inc. Seal lip on vane
DE102011108566B4 (de) * 2011-07-27 2014-01-09 Audi Ag Belüftungsdüse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WO2013119835A1 (en) * 2012-02-07 2013-08-15 Jesse Villarreal Louver assembly
US9587850B2 (en) * 2012-05-18 2017-03-07 Denso Corporation HVAC temperature stratification improvement technique
JP6192385B2 (ja) * 2013-06-27 2017-09-0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風向調整装置
JP2016016786A (ja) * 2014-07-09 2016-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薄型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35212B (zh) 2018-01-05
EP2756975B1 (de) 2015-07-01
ES2543448T3 (es) 2015-08-19
DE102013100528A1 (de) 2014-07-24
CN103935212A (zh) 2014-07-23
US20140206270A1 (en) 2014-07-24
EP2756975A1 (de)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602B2 (en) Motor vehicle door module comprising a window regulator system
US20100263291A1 (en) Power Sliding Window Assembly With Caps
US8684479B2 (en) Refrigeration unit having a storage shelf
KR20140093893A (ko) 슬랫, 슬랫 장착 방법, 슬랫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몰드 및 방법
CN112424007B (zh) 包括遮蔽装置和导轨的车顶
DE102004014464A1 (de) Befestig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Elementen an der Innenverkleidung von Kühl- und/oder Gefriergerä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efestigungsanordnung
HU211794B (en) Ball-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all-deflecting structures of this ball-duct
KR20110101074A (ko)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 조립체
JP2013035301A (ja) レジスタ用長尺状フィン
CN107567396B (zh) 将座椅装饰罩固定到泡沫衬垫
DE19507986A1 (de) Festlegung eines Kunststoff-Formteiles an einem Absatz einer Fahrzeugkarosserie
JP4921138B2 (ja) 車両内装部材の製造方法
DE102019205875A1 (de) Haushaltskältegerä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ushaltskältegerätes
EP2639911B1 (de) Montageelement für Geräteeinbaukanäle, Geräteeinbaukanal mit einem derartigen Montageelement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derartigen Montageelements in einen Geräteeinbaukanal
EP1952080B1 (de) Kühlgerät
US11951820B2 (en) Openable vehicle roof having a wind deflector device
US9950459B2 (en) Vehicle resin part and vehicle resin part manufacturing method
US20160082899A1 (en) Roof drip molding attachment
FI105586B (fi) Kaapelointia helpottava kaapelikouru
DE102015104760A1 (de) Airbag-Schusskanaleinrichtung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Airbag-Schusskanaleinrichtung
JP4960073B2 (ja) 車両内装部材
US20140208878A1 (en) Guide Section of a Housing for a Sensor
CN217945086U (zh) 用于车辆内饰板的连接组件及车辆
CN109927636B (zh) 交通工具货舱的内部模块、货舱内饰和内部模块制造方法
KR20150058797A (ko) 사출성형용 벤트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