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495A - 견인 핀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견인 핀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495A
KR20140092495A KR1020120158079A KR20120158079A KR20140092495A KR 20140092495 A KR20140092495 A KR 20140092495A KR 1020120158079 A KR1020120158079 A KR 1020120158079A KR 20120158079 A KR20120158079 A KR 20120158079A KR 20140092495 A KR20140092495 A KR 20140092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ull pin
plate
receiving hole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138B1 (ko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remote control, e.g. for rel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facilitating connection, e.g. hitch catchers, visual guide means, signalling aids
    • B60D1/363Hitch guiding or catching elements, e.g. V-shaped plates partially surrounding a coupling member for guiding the other coupl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 B60D2001/00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for carts, scoo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견인 핀 체결 구조는 수용홀 및 수용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견인될 반송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 유닛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수용홀에 삽입되는 견인 핀과, 견인 핀의 하단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견인 핀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강할 때 수축하며 견인 핀이 수용홀에 삽입되도록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반송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무인 반송 차량에 구비되는 견인 핀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견인 핀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무인 반송 차량과 반송 차량을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 핀 체결 구조{Pulling pin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견인 핀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반송 차량과 견인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견인 핀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반송 차량은 작업자 없이 무인으로 부품 등을 이송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이송 수단으로, 소위 무인화 공장 또는 보다 협소한 개념의 자동화된 생산 라인에서 부품 등의 이송물을 각 공정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생산 완료된 제품의 입고를 위한 이송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이용되고 있다.
상기 무인 반송 차량을 상기 이송물을 보다 많이 이송하기 위해 일반 반송 차량을 견인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인 반송 차량과 상기 피 견인 반송 차량은 작업자가 견인 핀을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상기 무인 반송 차량의 후단에 구비된 제1 핀홀과 상기 피 견인 반송 차량의 전단에 구비된 제2 핀홀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견인 핀을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인 반송 차량과 상기 피 견인 반송 차량을 체결하거나 상기 체결을 해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상기 반송 차량들을 이용한 이송 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인 반송 차량과 피 견인 반송 차량의 체결과 체결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견인 핀 체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 핀 체결 구조는 수용홀 및 상기 수용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견인될 반송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 유닛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는 견인 핀과, 상기 견인 핀의 하단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 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강할 때 수축하며 상기 견인 핀이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도록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반송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무인 반송 차량에 구비되는 견인 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견인 핀이 상기 고정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견인 핀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기 견인 핀을 이탈시키기 위한 캠 및 상기 캠을 구동시키기 위한 캠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견인 핀 유닛은 상기 캠에 의해 하강되는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 핀 체결 구조는 무인 반송 차량이 피 견인 반송 차량을 향해 이동할 때 견인 핀이 고정 유닛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용홀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무인 반송 차량과 피 견인 반송 차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 핀 체결 구조는 견인 핀 유닛의 캠과 캠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기 견인 핀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무인 반송 차량과 피 견인 반송 차량의 체결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견인 핀 체결 구조는 작업자 없이 상기 무인 반송 차량과 피 견인 반송 차량의 체결과 체결 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반송 차량들의 이송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핀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핀 체결 구조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견인 핀 체결 구조의 체결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 핀 체결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핀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핀 체결 구조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견인 핀 체결 구조의 체결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견인 핀 체결 구조(100)는 견인될 반송 차량(10)과 반송 차량(10)을 견인하기 위한 무인 반송 차량(20)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송 차량(10)에 구비되는 고정 유닛(110)과 무인 반송 차량(20)에 구비되는 견인 핀 유닛(120)을 포함한다.
고정 유닛(110)은 반송 차량(10)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부재(111)와 가이드판(114)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111)는 반송 차량(10)의 하부면과 고정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111)는 반송 차량(10)의 하부면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1)는 하부면에 수용홀(112)과 경사면(113)을 갖는다. 수용홀(112)은 견인 핀(122)을 수용한다. 경사면(113)은 반송 차량(10)의 전방 방향에 형성되며, 수용홀(112)까지 하방으로 경사진다. 경사면(113)은 견인 핀(122)이 수용홀(112)에 바로 수용될 수 있도록 견인 핀(122)을 하강시킨다.
가이드판(114)은 고정 부재(111)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가이드판(114)은 고정 부재(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114)은 경사면(113)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된다. 견인 핀(122)이 경사면(113)을 따라 수용홀(112)로 이동할 때 가이드판(114)은 경사면(113)으로부터 견인 핀(12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핀(122)이 고정 부재(111)의 경사면(113)을 다라 이동하여 수용홀(112)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판(114)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홀(112)에 가까워질수록 가이드판(11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이드판(114)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핀(122)이 가이드판(11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판(114)은 서로 간격이 일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견인 핀 유닛(120)은 무인 반송 차량(2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된다. 견인 핀 유닛(120)은 무인 반송 차량(20)이 반송 차량(10)을 향해 이동하면서 고정 유닛(110)과 체결된다. 견인 핀 유닛(120)은 브라켓(121), 견인 핀(122), 플레이트(123), 코일 스프링(124), 가이드 핀(125), 캠(126), 캠 구동 모터(127) 및 가이드 핀(128)을 포함한다.
브라켓(121)은 무인 반송 차량(20)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견인 핀(122)과 코일 스프링(124)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브라켓(121)은 대략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견인 핀(122)은 브라켓(121)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견인 핀(122)이 상승하면 수용홀(112)에 삽입되어 견인 핀 유닛(120)이 고정 유닛(110)과 체결된다. 견인 핀(122)이 하강하면 수용홀(112)로부터 이탈되어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10)의 체결이 해제된다.
플레이트(123)는 견인 핀(122)의 하단에 구비된다. 플레이트의 면적은 견인 핀(122)의 단면적보다 넓다.
가이드핀(124)은 플레이트(123)를 관통하여 견인 핀(122)과 연결된다. 가이드핀(124)은 견인 핀(122)과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한다. 가이드핀(124)은 브라켓(121)의 하부를 관통한다. 견인 핀(122)과 가이드핀(124)이 연결되면서 브라켓(121)에 의해 지지되므로, 견인 핀(122)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25)은 플레이트(123)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125)은 플레이트(123)와 브라켓(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25)은 가이드핀(124)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25)이 수축될 때 탄성력에 의해 플레이트(123)와 브라켓(121)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25)은 견인 핀(12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견인 핀(122)이 경사면(113)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강할 때 코일 스프링(125)은 수축하고, 수축된 코일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견인 핀(122)이 상승하면서 수용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무인 반송 차량(20)이 반송 차량(1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견인 핀(122)이 경사면(113)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강하고 견인 핀(122)의 하강에 따라 코일 스프링(125)이 수축한 후, 코일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견인 핀(122)이 상승하면서 수용홀(112)에 삽입됨으로써, 견인 핀 유닛(120)은 고정 유닛(110)과 체결된다. 즉, 무인 반송 차량(20)이 반송 차량(10)을 향해 이동하는 힘에 의해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00)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00)이 작업자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캠(126)은 플레이트(123)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캠(126)이 하강함에 따라 플레이트(123)가 하강할 수 있다. 플레이트(123)가 하강함에 따라 플레이트(123)와 연결된 견인 핀(122)이 하강하여 수용홀(11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10)의 체결시에는 캠(126)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캠(126)은 플레이트(123)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견인 핀(122)의 상승 높이를 한정할 수 있다.
캠 구동 모터(127)는 캠(126)이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캠 구동 모터(127)는 브라켓(121)에 고정되거나, 무인 반송 차량(20)의 후단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10)이 체결된 상태에서 캠(126)과 캠 구동 모터(127)가 견인 핀(122)을 하강시킴으로써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1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핀 유닛(120)과 고정 유닛(100)의 체결이 작업자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핀(128)은 브라켓(121)에 고정되어 플레이트(1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가이드 핀(128)은 브라켓(121)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핀(128)은 플레이트(12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캠(126)이 플레이트(123)를 하강시킬 때 보조 가이드 핀(128)에 의해 플레이트(123)가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 핀(128)이 플레이트(12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견인 핀(122)의 상하 이동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견인 핀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작업자 없이 무인 반송 차량과 피 견인 반송 차량의 체결과 체결 해제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송 차량들의 이송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견인 핀 체결 구조 110 : 고정 유닛
111 : 고정 부재 112 : 수용홀
113 : 경사면 114 : 가이드판
120 : 견인 핀 유닛 121 : 브라켓
122 : 견인 핀 123 : 플레이트
124 : 가이드 핀 125 : 코일 스프링
126 : 캠 127 : 캠 구동 모터
128 : 보조 가이드 핀 10 : 피 견인 차량
20 : 무인 반송 차량

Claims (4)

  1. 수용홀 및 상기 수용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견인될 반송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 유닛;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는 견인 핀과, 상기 견인 핀의 하단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 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강할 때 수축하며 상기 견인 핀이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도록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반송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무인 반송 차량에 구비되는 견인 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핀 체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견인 핀이 상기 고정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핀 체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핀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기 견인 핀을 이탈시키기 위한 캠 및 상기 캠을 구동시키기 위한 캠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핀 체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핀 유닛은 상기 캠에 의해 하강되는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핀 체결 구조.
KR1020120158079A 2012-12-31 2012-12-31 견인 핀 체결 구조 KR10201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079A KR102015138B1 (ko) 2012-12-31 2012-12-31 견인 핀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079A KR102015138B1 (ko) 2012-12-31 2012-12-31 견인 핀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495A true KR20140092495A (ko) 2014-07-24
KR102015138B1 KR102015138B1 (ko) 2019-08-27

Family

ID=5173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079A KR102015138B1 (ko) 2012-12-31 2012-12-31 견인 핀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153A1 (fr) * 2015-10-09 2017-04-14 Renault Sas Dispositif d'escamotage d'un element d'attelage pour vehicule automatique guide pour le deplacement multidirectionnel de charges
CN108058553A (zh) * 2017-11-28 2018-05-22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半挂牵引车用脱销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8411A (ja) * 1984-05-21 1985-12-09 Koji Futamura ピントルフツク連結案内構造
JPS62137210A (ja) * 1985-12-11 1987-06-20 Hitachi Ltd 連結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8411A (ja) * 1984-05-21 1985-12-09 Koji Futamura ピントルフツク連結案内構造
JPS62137210A (ja) * 1985-12-11 1987-06-20 Hitachi Ltd 連結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153A1 (fr) * 2015-10-09 2017-04-14 Renault Sas Dispositif d'escamotage d'un element d'attelage pour vehicule automatique guide pour le deplacement multidirectionnel de charges
CN108058553A (zh) * 2017-11-28 2018-05-22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半挂牵引车用脱销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058553B (zh) * 2017-11-28 2023-04-2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半挂牵引车用脱销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138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376B2 (en) Car seat headrest mounting structure
CN110015122B (zh) 一种用于车辆的电池锁止装置、换电系统和换电方法
US10065492B2 (en) Vehicle bottom structure
KR20140092495A (ko) 견인 핀 체결 구조
CN115548453A (zh) 治具解锁装置及解锁方法
US10723594B2 (en) Coupling unit
CN204675278U (zh) 一种自动焊接生产线空调底座脚自动上料装置及上料移动小车
JP6419621B2 (ja) 台車連結構造
CN114435041A (zh) 一种机场用牵引车自动托挂钩装置
CN107672986B (zh) Agv牵引小车
JP6855995B2 (ja) 無人搬送車及び無人搬送システム
CN106335333A (zh) 一种拖车臂调节臂组件
KR20130014571A (ko) 천장 주행차와 천장 주행차로부터의 이탈 방지 방법
CN210102799U (zh) 一种定位装置
US11745814B2 (en) Transport system
JP6900045B2 (ja) 無人搬送車の台車連結装置
CN113511475A (zh) 一种全自动车载上料丝网印刷机
CN114523834A (zh) 电池托架、电池包、电动汽车、锁止方法和解锁方法
CN211664187U (zh) 一种适用于工位分隔的限位装置
CN211664049U (zh) 一种高效自动上下料系统
KR100866377B1 (ko) 자동차 제조라인의 이송 컨베이어용 트롤리
JP5057564B2 (ja) 二車両の連結構造並びに二車両の連結及び切り離し方法
CN106006270A (zh) 一种轿厢式电梯锁止装置
CN214692174U (zh) 载具对接机构、码垛机和配送站
CN219545082U (zh) 一种机场牵引车的电动挂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