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342A - 정화 시스템 및 필터 - Google Patents

정화 시스템 및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342A
KR20140092342A KR1020147013074A KR20147013074A KR20140092342A KR 20140092342 A KR20140092342 A KR 20140092342A KR 1020147013074 A KR1020147013074 A KR 1020147013074A KR 20147013074 A KR20147013074 A KR 20147013074A KR 20140092342 A KR20140092342 A KR 2014009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tubula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091B1 (ko
Inventor
마사히코 다네이케
나오야 간노
요시노부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1Two or more types of hollow fibres within one bundle or within one potting or tube-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2Encapsulating hollow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08By influencing the flow stat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Abstract

유저가 케이싱을 개폐해서 손 세척할 필요가 없고, 또한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물을 사용함으로써 중공사막의 외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정화 시스템 및 필터를 제공한다. 정화 시스템은 전용 수전(5)과, 일반 수전(3)과, 전용 수전(5)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기 위한 중공사막 모듈(29)을 갖는 정화기(1)를 구비하는 정화 시스템이며, 전용 수전(5)이 개방되었을 때에, 중공사막 모듈(29)로 정화한 정수를 전용 수전(5)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고, 일반 수전(3)이 개방되었을 때에, 중공사막 모듈(29)을 세정한 세정수를 일반 수전(3)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정화 시스템 및 필터{PURIFICATION SYSTEM AND FILTER}
본 발명은, 정화 시스템 및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는 필터가 배치된 정화 시스템 및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활성탄 및 중공사막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수중의 탁질이 특히 많은 경우에는, 활성탄 카트리지 및 중공사막 카트리지보다도 상류측에, 또한 프리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필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중공사막 모듈을 갖는 카트리지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 제421202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하는 경우, 세정액을 별도 공급할 필요가 있어, 그를 위한 설비가 복잡한 것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세정액 자체를 씻어낼 때까지 방류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세정액을 다 씻어내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는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 필터의 중공사막에 저류된 탁질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특히 입경이 작은 탁질이 많은 물을 정화하는 경우,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의 구멍 직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의 구멍 직경을 작게 하면 탁질이 더 저류되기 쉬워져 버린다. 따라서, 입경이 작은 탁질이 많은 물을 정화하는 경우, 필터의 중공사막을 세정하는 빈도가 더 높아져 버린다.
또한, 중공사막을 세정하는 경우, 케이싱으로부터 중공사막을 취출하고, 중공사막을 손 세척한 후, 다시, 중공사막을 케이싱 내로 복귀시켜 케이싱을 밀폐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중공사막을 세정하는 빈도가 높아지면 케이싱을 개폐하는 빈도도 높아져 버려, 케이싱이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대하게 된다. 또한, 유저가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물을 사용함으로써 중공사막의 외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중공사막 모듈을 갖는 카트리지를 필터에 사용한 경우, 유저가 케이싱을 개폐해서 중공사막을 손 세척할 필요가 없어지는 세정 시스템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수전과, 이 제1 수전과는 다른 제2 수전과, 제1 수전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기 위한 중공사막 모듈을 갖는 정화기를 구비하는 정화 시스템이며, 제1 수전이 개방되었을 때에,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제1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고, 제2 수전이 개방되었을 때에,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세정수를 제2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수전이 개방되었을 때에,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제1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고, 제2 수전을 개방했을 때에,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한 세정수를 제2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수전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유저가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중공사막을 취출하여 세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되는 물 및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하는 물은, 하나의 입수구로부터 당해 정화 시스템 내에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수전이 개방되어 있고, 제2 수전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정화기로 정화된 정수가 제1 수전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수전이 개방되어 있고, 제1 수전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정화기의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세정수가 제2 수전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정화기는, 입수구와, 제1 수전 및 제2 수전 사이에 배치된 제1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정화기는, 제1 필터와, 제1 수전 사이에 배치된 제2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정화기는, 제2 필터와, 제1 수전 사이에 배치된 제3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필터는,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필터는, 수중의 탁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흡착제는, 활성탄 또는 이온 교환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3 필터는, 제2 필터로 정화된 물을 더 정화하기 위한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이며, 통 형상 용기와, 이 통 형상 용기의 내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입수구와, 통 형상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을 갖고, 입수구로부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중공사막 모듈과, 이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수전과 접속되는 정수 출구와, 제1 수전과는 다른 제2 수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가 접속된 제1 수전을 개방함으로써, 통 형상 용기 내의 물을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하고, 정수를 제1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할 수 있고, 또한 제2 수전을 개방함으로써, 통 형상 용기 내의 물을 사용해서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하고, 세정수를 제2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수전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유저가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중공사막을 취출하여 세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세정수 출구는 통 형상 용기의 개방된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중공사막 모듈은 통 형상 용기의 타단부측 근방에 배치되고, 입수구로부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세정수 출구를 향해 중공사막의 주위를 나선 형상으로 흐르는 나선류로 변환하는 나선류 형성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류 형성 구조에 의해, 중공사막 모듈 내에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중공사막의 주위를 나선 형상으로 흐르는 나선류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나선류로 함으로써, 보다 중공사막의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나선류 형성 구조는, 통 형상 용기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고 내부를 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구비하고, 중공사막보다도 타단부측에 형성된 나선류 형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나선류 형성 구조는, 이 케이싱을 관통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고, 이 관통 구멍은 케이싱의 외표면에 형성된 입구와, 이 입구에 대해 케이싱의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중공사막 모듈은,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내에 배치되고, 당해 기둥 형상으로 된 중공사막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센터 튜브를 갖고, 이 센터 튜브는, 내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그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유입된 물을 중공사막을 향해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 튜브의 개구로부터 센터 튜브 내에 물을 유입시키고, 센터 튜브 내의 물을, 중공사막의 기둥 형상체의 내측으로부터 중공사막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공사막을 기둥 형상체의 내측으로부터 세정할 수 있어, 중공사막의 세정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용의 카트리지이며, 입수구를 갖는 통 형상 용기 내에 배치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을 갖고, 입수구로부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중공사막 모듈과, 이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수전과 접속되는 정수 출구와, 제1 수전과는 다른 제2 수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출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 용기 내의 물을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하고, 정수를 정수 출구로부터 흘러나오게 할 수 있고, 통 형상 용기 내의 물을 사용해서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하고, 세정수를 세정수 출구로부터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 용기 내에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유저가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중공사막을 취출하여 세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이며, 통 형상 용기와, 이 통 형상 용기의 내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입수구와, 통 형상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및 이 중공사막을 둘러싸는 케이싱을 갖고, 입수구로부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되고, 또한 통 형상 용기 내로부터 케이싱 내에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중공사막 모듈과, 정화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수 출구를 구비하고, 케이싱 내에는, 당해 케이싱 내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타고 중공사막을 흔드는 다수의 입자가 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수구로부터 통 형상 용기 내에 물을 유입시키고, 중공사막 모듈의 케이싱 내의 중공사막으로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케이싱 내에 유입시킴으로써, 다수의 입자를 케이싱 내에서 부유시킬 수 있어, 부유시킨 다수의 입자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공사막에 부착된 탁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케이싱을 개폐해서 손 세척할 필요가 없고, 또한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물을 사용함으로써 중공사막의 외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프리필터를 갖는 정수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정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프리필터의 헤더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이다.
도 5는 도 3의 V-V 단면이다.
도 6은 도 3의 VI-VI 단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내측 케이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흡착제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필터의 나선류 형성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의한 필터의 내측 케이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중공사막 모듈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나선류 형성 구조의 한층 더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의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정수기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정수기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터에 구비된 캡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프리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프리필터를 갖는 정수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정수기 시스템은,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수기(1)와, 정수기(1)에 각각 접속된 일반 수전(3) 및 전용 수전(5)을 구비한다. 정수기(1)는, 일반 수전(3)의 레버(7) 및 전용 수전(5)의 레버(9)의 상태에 따라서 입수구에 있는 밸브(11)로부터 흘러나온 물을 일반 수전(3) 및 전용 수전(5)으로 흘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용 수전(5)은, 정수기(1)를 통해서 입수구에 있는 밸브(11)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용 수전(5)의 레버(9)를 조작함으로써 전용 수전(5)이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전용 수전(5)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 정수기(1)로 정화한 정수를 흘러나오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일반 수전(3)은 정수기(1)를 통해서 입수구에 있는 밸브(11)에 접속되어 있지만, 입수구에 있는 밸브(11)로부터 일반 수전(3)에 흐르는 물은 정수기(1)로 정화되지 않고 흐르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정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정수기(1)는 프리필터(19)와, 흡착제 카트리지(21)와, 중공사막 카트리지(23)를 구비하고, 밸브(11)가 있는 상류측으로부터 전용 수전(5)이 있는 하류측을 향해, 프리필터(19), 흡착제 카트리지(21) 및 중공사막 카트리지(23)의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11)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프리필터(19), 흡착제 카트리지(21) 및 중공사막 카트리지(23)로 순차 정화되어 전용 수전(5)을 향해 흐른다.
프리필터(19)는, 밸브(11)와 접속되어 있는 헤더(25)와, 헤더(25)에 대해 착탈 가능한 통 형상 용기(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더(25)는 프리필터(19)의 하류측에 있고 프리필터(19)에 인접하는 활성탄 카트리지(21) 및 일반 수전(3)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프리필터의 헤더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3의 IV-IV 단면, V-V 단면 및 VI-VI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용기(27) 내부에는 중공사막 모듈(29)이 수용되어 있다. 통 형상 용기(27)는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가 폐쇄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1)와, 용기 본체(31)의 개방 단부에 설치된 용기 캡(33)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캡(33)은 용기 본체(31)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캡(33)을 용기 본체(31)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예를 들어 중공사막 모듈(29)의 교환 시에, 중공사막 모듈(29)을 통 형상 용기(27)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기 캡(33)의 일단부는, 헤더(25)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고, O링(35)을 통해서 헤더(25)에 대해 통 형상 용기(27)를 액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공사막 모듈(29)은 통 형상 용기(27)의 용기 캡(33) 내에 설치 가능한 캡(3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캡(37)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수구관(3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입수구관(39)은 통 형상 용기(27)를 헤더(25)에 설치했을 때에, 헤더(25) 내의 물 배출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그리고 헤더(25)를 통해서 밸브(11)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화살표 A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수구관(39)을 통해서 통 형상 용기(27) 내부에 유입된다. 또한, 캡(37)은 입수구관(39)의 하부에 수용부(41)를 갖고 있고, 수용부(41)는 입수구관(39)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을 받아, 화살표 B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을 통 형상 용기(27)의 주위 방향으로 흘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37)은 정화된 물을 화살표 C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25)를 향해 흘리기 위한 정수 출구관(43)을 갖고 있다. 또한 캡(37)의 입수구관(39)의 측에는, 후술하는 방법에서 중공사막 모듈(29)로부터 흘러나온 세정수를, 화살표 D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흘리기 위한 세정수 출구관(45)이 설치되어 있다.
중공사막 모듈(29)은, 기둥 형상으로 묶인 다수개의 중공사막(47)과, 묶인 중공사막(47)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내측 케이싱(49)과, 내측 케이싱(49)보다도 외주측에 배치된 외측 케이싱(51)을 더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중공사막(47)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그 양단부가 포팅재(53)에 의해 내측 케이싱(49)의 일단부 근방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중공사막(47)을 U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그 단부를 포팅재(51)에 고정함으로써 다수의 중공사막(47)이 기둥 형상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공사막(47)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중공사막(47)으로 정화한 물을 포팅재(53)보다도 일단부측에 있는 공간(55)을 향해 흐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55)은 정수 출구관(43)과 연결되어 있고, 정화한 물은 공간(55)을 통과해서 정수 출구관(43)에 흐른다.
중공사막(47)으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계,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테르계,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계, 폴리술폰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불화에틸렌[테플론(등록 상표)]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종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 중에서도, 특히, 막의 강신도나 내굴곡성, 세정성, 취급성이나 내약품성이 높은 것 등을 고려하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올레핀계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량 및 탁도 여과 성능을 고려하면, 폴리술폰계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내측 케이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49)은 중공사막(47)을 둘러싸는 통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내측 케이싱(49)의 일단부측에는, 케이싱 캡(57)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 캡(57)은 캡(37)에 액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측 케이싱(49)의 타단부측은 중공사막 모듈(29)보다도 통 형상 용기(27)의 폐쇄 단부측에 있는 물을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내측 케이싱(45)의 측면에는, 다수의 개구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케이싱(51)은 내측 케이싱(49)을 둘러싸는 통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외측 케이싱(51)과, 내측 케이싱(49)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케이싱(51)의 일단부는, 내측 케이싱(49)보다도 주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캡(37)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케이싱(51)의 타단부는 내측 케이싱(49)의 타단부와 동일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외측 케이싱(51)과, 내측 케이싱(49) 사이의 간극은, 캡(37)의 세정수 출구관(45)과 연통하고 있고, 외측 케이싱(51)과 내측 케이싱(49) 사이를 통한 세정수를, 세정수 출구관(45)에 흐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사막 모듈(29)은, 통 형상 용기(27)의 용기 본체(31)의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61)이 형성되도록, 통 형상 용기(27)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캡(37)의 수용부(41)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화살표 E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61)을 두고 통 형상 용기(27)의 폐쇄 단부측을 향해 흐른다.
도 8은, 흡착제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흡착제 카트리지(21)는 통 형상 용기(63)와, 통 형상 용기(63) 내에 배치된 흡착제 모듈(65)을 구비하고 있다. 통 형상 용기(63)는 프리필터(19)로부터 흘러나온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정수 입구(67)와, 흡착제 모듈(65)을 통과시킨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수 출구(69)를 구비하고 있다.
흡착제 모듈(65)은 통 형상 용기(63) 내에 고정되어 있고, 통 형상 용기(63) 내에 유입된 정수를 더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착제 모듈(65)은 흡착제가 수용된 케이싱(7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통 형상 용기(63) 내의 정수는 케이싱(71)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73)를 통해서 케이싱(71)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케이싱(71) 내에 유입된 정수는 흡착제에 의해 더 정화되어 정수 출구(69)를 향해 흐른다.
흡착제 모듈(65) 내에 수용되어 있는 흡착제로서는, 활성탄, 이온 교환체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으로서는, 분말 형상 활성탄, 입자 형상 활성탄, 섬유 형상 활성탄, 블록 형상 활성탄, 압출 성형 활성탄, 성형 활성탄, 합성물계 입자 형상 활성탄, 합성물계 섬유 형상 활성탄 등을 들 수 있다. 흡착제로서 활성탄을 사용하면, 수중의 잔류 염소나 곰팡이 냄새, 트리할로메탄 등의 유기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온 교환체로서는, 이온 교환 섬유, 알루미노규산염계 무기 이온 교환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온 교환 섬유로서는, 술폰산기를 교환기로 하는 강산형, 카르복실산기를 교환기로 하는 약산형, 4급 암모늄기를 교환기로 하는 강염기형, 아민기를 교환기로 하는 약염기형 등을 들 수 있다. 이온 교환 섬유를 사용하면, 반응성이 높아, 취급하기 쉽다. 알루미노규산염계 무기 이온 교환체로서는, 합성 제올라이트인 몰레큘러시브 3A, 몰레큘러시브 4A, 몰레큘러시브 5A, 몰레큘러시브(13), X, 포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형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합성 제올라이트는 중금속 이온의 흡착 능력이 높고, 특히 몰레큘러시브 5A는 용해성 납 이온의 흡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통 형상 용기(63) 내에 유입되고, 흡착제 모듈(65)을 통과한 정수는, 정수 출구(69)를 통해서 중공사막 카트리지(23)에 흐른다.
중공사막 카트리지(23)는 흡착제 대신에 중공사막 모듈을 갖고 있는 것 이외는, 흡착제 카트리지(2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 카트리지(23)의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술한 정수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전용 수전(5)으로부터 정수가 나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전용 수전(5)으로부터 정수가 나오는 경우, 일반 수전(3)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밸브(11)로부터 정수기 시스템에 유입된 물은, 정수기(1)를 통해서 전용 수전(5)으로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일반 수전(3)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밸브(11)로부터 정수기(1)의 프리필터(19)에 유입된 물은, 우선, 화살표 A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수구관(39)을 통해서 수용부(41)를 향해 흐른다. 그리고 물은, 수용부(41)에 접촉하여, 화살표 B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 용기(27)의 주위 방향으로 흐른다. 다음에, 물은, 화살표 E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 용기(27)의 용기 본체(31)의 내벽과 중공사막 모듈(29)의 외측 케이싱(51)과의 간극(61)을 두고 통 형상 용기(27)의 폐쇄 단부의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통 형상 용기(27)의 폐쇄 단부 부근에 도달한 물은, 중공사막 모듈(29)의 내측 케이싱(49)의 개구로부터 내측 케이싱(49) 내부에 유입된다. 전용 수전(5)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수전(3)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일반 수전(3)과 접속되어 있는 세정수 출구관(45) 내부의 수압은, 개방되어 있는 전용 수전(5)과 접속되어 있는 정수 출구관(43) 내부의 수압보다도 높아져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 모듈(29) 내에 유입된 원수(原水)는, 세정수 출구관(45)의 방향, 즉 내측 케이싱(49)의 개구부(59)를 통과해서 내측 케이싱(49)과 외측 케이싱(51)과의 간극을 향해 흐르는 방향으로는 흐르지 않고, 정수 출구관(43)의 방향, 즉 중공사막 모듈(29)의 중공사막(47)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중공사막(47)을 통과한 물에 포함되는 탁질은 중공사막(47)에 의해 포착된다. 이에 의해 물이 정화되고, 화살표 C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55)을 통해서 정수 출구관(43)에 유입된다. 그리고 정수는, 정수 출구관(43)으로부터 헤더(25)에 보내져 헤더(25)를 통해서, 프리필터(19)의 하류측에 있는 활성탄 카트리지(21)에 보내진다. 그리고 프리필터(19)로부터 나온 정수는, 활성탄 카트리지(21) 및 중공사막 카트리지(23)로 더 정화되어 전용 수전(5)으로부터 흘러나오게 된다.
다음에, 일반 수전(3)으로부터 물이 나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 수전(3)으로부터 물이 나오는 경우에는, 전용 수전(5)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프리필터(19)의 정수 출구관(43) 내의 수압이, 세정수 출구관(45) 내의 수압보다도 높아져 있다. 따라서, 밸브(11)로부터 프리필터(19)의 통 형상 용기(27) 내부에 들어가고, 또한 중공사막 모듈(29)에 유입된 물은, 정수 출구관(43)의 방향에는 흐르지 않고, 세정수 출구관(45)의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중공사막 모듈(29) 내에 유입된 물이 내측 케이싱(49)의 개구로부터 내측 케이싱(51)의 개구부(59)의 방향으로 흐르면, 물이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47)의 외표면에 따라 흐르므로, 중공사막(47)의 외표면에 부착된 탁질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이때 물은, 중공사막(47)을 통과하는 일은 없지만, 다수의 중공사막(47)의 사이를 흐르므로, 중공사막(47)의 기둥 형상체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탁질도 씻어낼 수 있다. 그리고 탁질을 포함하는 물은, 내측 케이싱(49)과 외측 케이싱(51) 사이를 통해서 캡(31)의 방향으로 흘러, 세정수 출구관(43)을 통해서 헤더(25)에 도달한다. 그리고 세정수는 헤더(25)로부터 일반 수전(3)을 향해 흐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정수기 시스템에서는, 일반 수전(3)을 개방함으로써, 물로 중공사막(43)의 외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특별히 의식을 하지 않고, 프리필터(19)의 중공사막(47)으로부터 탁질을 씻어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세정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수전(3)을 개방할 때마다 프리필터(19)의 중공사막(47)을 세정할 수 있으므로, 프리필터(19)의 통 형상 용기(27)로부터 중공사막 모듈(29)을 취출하여 중공사막(47)을 손으로 비벼 세척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통 형상 용기(27)를 개폐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항상 통 형상 용기(27) 내의 수압이 높은 소위 I형의 정수기에 있어서, 누수를 방지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다음에,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변형예에 의한 프리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나선류 형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의 단면도는, 도 3에 도시하는 IV-IV 단면의 단면도이다.
변형예에 의한 프리필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49)의 타단부측에, 물의 흐름을 나선 형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나선류 형성 구조로서의 나선류 형성 부재(101)를 구비하고 있다. 나선류 형성 부재(101)는 판 형상 부재(103)와, 판 형상 부재(103)를 관통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유로(105)를 갖고 있다. 판 형상 부재(103)는 내측 케이싱(45)의 개구에 끼우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또한, 유로(105)는 통 형상 용기(27)의 폐쇄 단부측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의 흐름을 나선 형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다. 유로(105)는 통 형상 용기(27)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원판 형상의 판 형상 부재(103)의 접선 방향, 또한 통 형상 용기(27)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1은, 변형예에 의한 프리필터의 내측 케이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통 형상 용기(27)의 축선 방향으로 흐르는 물이 나선류 형성 부재(101)를 통과하면, 물의 흐름은 유로(105)에 의해 통 형상 용기(27)의 주위 방향, 또한 축선 방향으로 바뀐다. 이에 의해 물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49)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흐르거나, 내측 케이싱(49)의 개구(59)를 출입하면서 흐르거나, 내측 케이싱(49)의 내부에서 중공사막(47)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흐른다. 이와 같은 나선류 형성 부재(101)를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나선류로 변환함으로써, 중공사막(47)의 세정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유로(105)는 판 형상 부재를 수평하게 두었을 때, 통 형상 용기(27)의 축선 방향에 대해 기울기를 향하는 것이면 좋고, 형상의 예로서는, 개략 평행해지도록 비스듬하게 구멍을 뚫어도 좋고, 사다리꼴 형상의 구멍으로 해도 좋다. 또한, 유로(105)는, 도중에 구부리거나, 복수로 분기하거나 해도 상관없다.
유로(105)의 배치의 예로서는, 통 형상 용기(27) 내부에서 물이 거의 균등하게 분산하도록, 판 형상 부재(103)의 전체에 균등해지도록 분산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선류 형성 부재(101)는 통 형상 용기(27)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해도 좋고, 비스듬하게 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2는 나선류 형성 구조의 한층 더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층 더한 예에 의한 나선류 형성 부재는 외측 케이싱(51)의 측면의 타단부측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10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외측 케이싱(51)의 타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통 형상 용기(27) 내의 물은, 구멍(107) 이외로부터는 외측 케이싱(51) 내에 유입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107)은 외측 케이싱(5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 형성된 입구(109)로부터 내표면에 형성된 출구(111)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07)의 출구(111)는 입구(109)에 대해, 외측 케이싱(51)의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이 통 형상 용기(27)로부터 외측 케이싱(51) 내에 유입될 때에, 복수의 구멍(107)을 통과함으로써, 외측 케이싱(51) 내의 물의 흐름을 나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케이싱(51)에 구멍(107)을 형성함으로써도, 물의 흐름을 나선류로 변환하여 중공사막(47)의 세정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제2 변형예에 의한 프리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의 IV-IV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의한 프리필터의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47) 내에 배치된 센터 튜브(113)를 갖고 있다. 센터 튜브(113)는 내측 케이싱(49)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으며, 내측 케이싱(49)의 개구로부터, 포팅재(53)까지 연장되어 있다. 센터 튜브(113)의 일단부측은, 내측 케이싱(49)의 중심에 있어서 포팅재(5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튜브(113)의 타단부측은, 통 형상 용기(27)의 타단부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센터 튜브(113)의 타단부는, 개방된 단부로부터 수용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커져 있다. 또한, 센터 튜브(113)의 벽면에는, 복수의 개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케이싱(49)의 타단부측은, 중앙에 개구를 갖는 캡(11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튜브(113)의 타단부는, 캡(117)의 개구 내에 끼워 넣어져 있고, 통 형상 용기(27) 내의 물은, 모두 센터 튜브(113) 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터 튜브(113)의 재질로서는, 수지, 금속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제를 사용하면, 가공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센터 튜브의 길이는, 필터에 수용되면 좋고, 80 내지 200㎜이면, 효과적으로 중공사막을 세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센터 튜브(113)의 벽면의 개구(115)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개구(115)는, 복수개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고, 센터 튜브(113)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 점 대상의 위치에 2개씩 또는 4개씩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멍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센터 튜브(113)의 하단부로부터 5 내지 50㎜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센터 튜브(113)를 설치함으로써, 통 형상 용기(27) 내의 물은, 센터 튜브(113)를 통과해서 외측 케이싱(51)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통 형상 용기(27)로부터 센터 튜브(113) 내에 유입된 물은, 센터 튜브(113)의 측벽의 개구(115)를 통해서 외측 케이싱(51)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개구(115)를 통해서 물을 센터 튜브(113)로부터 방출함으로써, 물은,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중공사막(47)의 내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물을 방출하여 외측 케이싱(51) 내에 유입시킴으로써, 중공사막(47)의 기둥 형상체의 내부로부터 중공사막을 세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공사막(47)의 세정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정수기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정수기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1)의 프리필터(19)를 세정한 세정수를 흘러나오게 하기 위한 수전(121)을 일반 수전(3) 및 전용 수전(5)과는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수전(3)을, 직접 밸브(11)와 접속하고, 일반 수전(3)에 흐르는 물은 정수기(1)를 통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프리필터(19)의 세정수 출구관(45)을, 일반 수전(3) 또는 전용 수전(5)에 병설된 수전(121)과 접속한다. 이에 의해, 수전(121)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리필터(19)에 유입된 물은, 중공사막(47)을 세정해서 세정수로서 수전(121)을 향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수전 및 전용 수전에 더하여, 중공사막을 세정한 세정수를 흘러나오게 하기 위한 수전을 설치함으로써, 물의 용도에 따라서 수전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201)는 헤더(도시하지 않음)에 착탈 가능한 통 형상 용기(203)와, 통 형상 용기(203) 내에 수용된 중공사막 모듈(205)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사막 모듈(205)은, 기둥 형상으로 묶인 다수개의 중공사막(207)과, 묶인 중공사막(207)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싱(209)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중공사막(207)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그 양단부가 포팅재(211)에 의해 케이싱(209)의 일단부 근방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중공사막(207)을 U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그 단부를 포팅재(211)에 고정함으로써 다수의 중공사막(207)이 기둥 형상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공사막(207)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중공사막(207)으로 정화한 물을 포팅재(211)보다도 일단부측에 있는 공간(213)을 향해 흐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213)은 정수 출구관(215)과 연결되어 있고, 정화한 물은 공간(213)을 통과해서 정수 출구관(215)에 흐른다.
중공사막(207)으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계,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테르계,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계, 폴리술폰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불화에틸렌[테플론(등록 상표)]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종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 중에서도, 특히, 막의 강신도나 내굴곡성, 세정성, 취급성이나 내약품성이 높은 것 등을 고려하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올레핀계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량 및 탁도 여과 성능을 고려하면, 폴리술폰계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09)의 타단부측에는 캡(217)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209)의 타단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있다.
도 17은, 캡의 측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17)은 원판 형상의 저면(219)과, 저면(217)의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벽(221)을 구비하고 있다. 벽(221)에는, 통 형상 용기(203) 내의 물을 케이싱(209) 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223)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23)은 원 형상의 저면(219)의 직경 방향에 대해 예를 들어 30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09) 내에는, 케이싱 내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타고 중공사막(207)을 흔드는 다수의 입자(225)가 넣어져 있다. 입자(225)는 케이싱(209) 내에서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가라앉지 않고 수중에서 부유하고 있을 수 있도록 비중이 1.0보다도 큰 고체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입자(225)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수지, 세라믹, 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입자(225)로서는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제의 입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제의 입자와 돌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고, 이 경우, 물의 유량이 적을 때에는 돌이 가라앉아, 수지제의 입자에 의해 중공사막을 흔들고, 물의 유량이 많을 때는 수지성의 입상물이 물에 떠올라, 돌로 중공사막을 흔들 수 있다. 입자(225)의 형상으로서는, 하트형, 별형, 구 형상, 입방체 형상, 직방체 형상, 원통 형상, 원추 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공사막(207)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입자(225)는 뾰족한 형상을 갖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트형의 입자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중공사막을 흔들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입자의 크기는 0.1 내지 40㎜가 바람직하고, 질량은 0.1 내지 20그램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헤더를 통해서 통 형상 용기(203) 내에 물이 유입되면, 물은 통 형상 용기(203)의 폐쇄 단부를 향해 흐른다. 그리고 통 형상 용기(203) 내의 물은 캡(217)의 구멍(223)을 통과해서 케이싱(209) 내에 유입된다. 구멍(223)은 저면(219)의 직경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구멍(223)을 통과한 물은, 중공사막(207)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흐른다. 그리고 케이싱(209) 내에 유입된 물은 중공사막(207)을 통과해서 정화되고, 공간(213)을 통해서 정수 출구관(215)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케이싱(209) 내에 물이 유입되면, 물의 흐름을 타고 입자(225)가 케이싱(209) 내를 부유해서 중공사막(207)에 충돌한다. 그리고 입자(225)가 중공사막(207)에 충돌하면, 중공사막(207)은 흔들리게 된다. 그리고 입자(225)에 의해 중공사막(207)을 흔듦으로써, 중공사막(207)의 표면에 부착된 탁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공사막(207)으로부터 탁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새로운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독의 정수 출구관(215)을 갖는 타입의 필터 및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중공사막 카트리지(23)에 적용해도 좋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프리필터(19)와 같은 정수 출구관(43) 및 세정수 출구관(45)을 갖는 타입의 필터에 적용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미쯔비시 레이온제의 중공사막 EX270T(막 면적 0.28㎡)를 사용해서 중공사막 모듈을 작성하고, 내부 용기의 측면에는 φ2.5㎜의 구멍을 3군데, 내부 용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하방측에 15㎜의 등간격으로 되도록 뚫어, 필터를 작성했다.
<정수기 통수 실험>
카올린 10도, 수온 20도, 압력 0.1㎫, 여과 시간 120분, 세정 시간 10분, 초기 여과 유량(OUT-IN 여과) 2.0L/min의 통수 조건에서 실험을 행했다.
탁도 10도의 물을, 4000L 통수해도, 세정 직후의 유량 유지율은, 모두 90% 이상이었다.
<제2 실시예>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 점 대상의 위치에 2개씩 15㎜ 간격으로 합계 6개의 직경 2㎜ 구멍이 벽면에 뚫린, 길이 100㎜, 외경 9.5㎜, 내경 7㎜의 센터 튜브를 설치한 것 이외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통수 시험을 행했다.
탁도 10도의 물을, 4000L 통수해도, 세정 직후의 유량 유지율은, 모두 90% 이상이었다.
<제3 실시예>
내부 용기에, 크기 14㎜, 질량 7g의 염화비닐 수지제와 폴리스티렌제의 하트형의 입상물 5개씩 수납한 것 이외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통수 시험을 행했다.
탁도 10도의 물을, 4000L 통수해도, 세정 직후의 유량 유지율은, 모두 90% 이상이었다.
<제4 실시예>
내부 용기의 바닥 덮개가 없는 상태(바닥이 개구)로 한 것 이외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통수 시험을 행했다.
탁도 10도의 물을, 1000L 통수했을 때, 유량 유지율은 60%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원 발명의 필터는 필터의 중공사막 모듈에 저류된 탁질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 정수기
3 : 일반 수전
5 : 전용 수전
19 : 프리필터
27 : 통 형상 용기
29 : 중공사막 모듈
39 : 입수구관
43 : 정수 출구관
45 : 세정수 출구관
47 : 중공사막
49 : 내측 케이싱
51 : 외측 케이싱

Claims (19)

  1. 제1 수전과,
    이 제1 수전과는 다른 제2 수전과,
    상기 제1 수전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기 위한 중공사막 모듈을 갖는 정화기를 구비하는 정화 시스템이며,
    상기 제1 수전이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제1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고,
    상기 제2 수전이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을 세정한 세정수를 제2 수전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는, 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되는 물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하는 물은, 하나의 입수구로부터 당해 정화 시스템 내에 유입되는, 정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전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전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정화기로 정화된 정수가 상기 제1 수전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정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전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전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정화기의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세정수가 상기 제2 수전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정화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는,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1 수전 및 상기 제2 수전 사이에 배치된 제1 필터를 구비하는, 정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는,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1 수전 사이에 배치된 제2 필터를 구비하는, 정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는, 상기 제2 필터와, 상기 제1 수전 사이에 배치된 제3 필터를 구비하는, 정화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정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수중의 탁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를 갖고 있는, 정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활성탄인, 정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이온 교환체인, 정화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는, 상기 제2 필터로 정화된 물을 더 정화하기 위한 중공사막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정화 시스템.
  13. 정화 시스템의 최상류에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이며,
    통 형상 용기와,
    이 통 형상 용기의 내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입수구와,
    상기 통 형상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을 갖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상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중공사막 모듈과,
    이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수전과 접속되는 정수 출구와,
    상기 제1 수전과는 다른 제2 수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출구는, 상기 통 형상 용기의 개방된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통 형상 용기의 타단부측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상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상기 세정수 출구를 향해 상기 중공사막의 주위를 나선 형상으로 흐르는 나선류로 변환하는 나선류 형성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류 형성 구조는, 상기 통 형상 용기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고 내부를 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사막보다도 타단부측에 형성된 나선류 형성 부재인, 필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중공사막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류 형성 구조는, 이 케이싱을 관통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고,
    이 관통 구멍은, 상기 케이싱의 외표면에 형성된 입구와, 이 입구에 대해 케이싱의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필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내에 배치되고, 당해 기둥 형상으로 된 중공사막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센터 튜브를 갖고, 이 센터 튜브는 내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그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중공사막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구를 갖고 있는, 필터.
  18.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용의 카트리지이며,
    입수구를 갖는 통 형상 용기 내에 배치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을 갖고, 입수구로부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중공사막 모듈과,
    이 중공사막 모듈로 정화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수전과 접속되는 정수 출구와,
    제1 수전과는 다른 제2 수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출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19.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이며,
    통 형상 용기와,
    이 통 형상 용기의 내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입수구와,
    상기 통 형상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둥 형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및 이 중공사막을 둘러싸는 케이싱을 갖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상기 통 형상 용기 내에 유입되고, 또한 상기 통 형상 용기 내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에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중공사막 모듈과,
    정화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수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당해 케이싱 내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타고 상기 중공사막을 흔드는 다수의 입자가 넣어져 있는, 필터.
KR1020147013074A 2011-12-16 2012-12-14 정화 시스템 및 필터 KR101693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5931 2011-12-16
JPJP-P-2011-275931 2011-12-16
PCT/JP2012/082559 WO2013089246A1 (ja) 2011-12-16 2012-12-14 浄化システム及び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342A true KR20140092342A (ko) 2014-07-23
KR101693091B1 KR101693091B1 (ko) 2017-01-04

Family

ID=4861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074A KR101693091B1 (ko) 2011-12-16 2012-12-14 정화 시스템 및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65676B2 (ko)
KR (1) KR101693091B1 (ko)
CN (1) CN104024164B (ko)
TW (2) TW201345603A (ko)
WO (1) WO2013089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965B1 (ko) 2016-03-22 2017-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N107433138A (zh) * 2017-07-25 2017-1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滤芯清洗结构及具有其的净水机滤芯
CN109420433B (zh) * 2017-08-25 2022-08-09 东丽先端材料研究开发(中国)有限公司 一种中空纤维膜组件的运行方法
USD987772S1 (en) 2020-07-02 2023-05-30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11872510B2 (en) 2021-07-01 2024-01-1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9884S1 (en) 2021-08-03 2024-03-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6970S1 (en) 2021-09-03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CN115140805B (zh) * 2022-06-20 2023-09-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滤芯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193U (ko) * 1988-10-11 1990-04-17
JPH10235160A (ja) * 1996-12-26 1998-09-08 Nok Corp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濾過器
JP2001121143A (ja) * 1999-10-21 2001-05-08 Japan Organo Co Ltd 膜分離装置
JP2004016967A (ja) * 2002-06-18 2004-01-22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7785A (en) * 1981-04-07 1982-10-15 Mitsubishi Rayon Co Ltd Treatment of water
JPH0441932Y2 (ko) * 1988-03-25 1992-10-02
JP2566499Y2 (ja) * 1992-01-08 1998-03-25 水道機工株式会社 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3697719B2 (ja) * 1994-05-26 2005-09-21 松下電工株式会社 浄水器及び浄水器における多孔質ろ過膜の洗浄方法
JP3180639B2 (ja) * 1995-10-12 2001-06-25 三浦工業株式会社 気体分離膜モジュール
JP2001190936A (ja) * 2000-01-12 2001-07-17 Toshiba Corp 濾過装置
JP5025857B2 (ja) * 2001-06-12 2012-09-12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分離膜モジュールの洗浄用ゲル粒子、製法及び洗浄方法
CN1274206C (zh) * 2004-12-02 2006-09-13 广东省珠海市园艺研究所 一种盆栽红掌苗组培快繁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193U (ko) * 1988-10-11 1990-04-17
JPH10235160A (ja) * 1996-12-26 1998-09-08 Nok Corp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濾過器
JP2001121143A (ja) * 1999-10-21 2001-05-08 Japan Organo Co Ltd 膜分離装置
JP2004016967A (ja) * 2002-06-18 2004-01-22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JP4212024B2 (ja) 2002-06-18 2009-01-2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0864B (zh) 2017-07-11
KR101693091B1 (ko) 2017-01-04
JP5765676B2 (ja) 2015-08-19
WO2013089246A1 (ja) 2013-06-20
CN104024164B (zh) 2017-03-29
JPWO2013089246A1 (ja) 2015-04-27
CN104024164A (zh) 2014-09-03
TW201345603A (zh) 2013-11-16
TW201536405A (zh)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091B1 (ko) 정화 시스템 및 필터
KR100905346B1 (ko) 정수기 세정 방법
RU2596747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и водоочиститель
AU759632B2 (en) Improved composite filter element
JP6485558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RU2548079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 таким картриджем
US20150068987A1 (en) Filtration systems for faucets
KR20180132717A (ko) 수처리 장치
KR20140007789A (ko) 중력 급송식 필터를 포함하는 물 정화 장치
KR20140142018A (ko) 정수패치, 정수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수장치
CN103108835A (zh) 净水滤筒
JP2003071443A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JP4212024B2 (ja) 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JP2004121937A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5115485B2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
RU46676U1 (ru) Фильтр бытовой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JP2017202476A (ja) フィルタ、浄水器、及び浄水システム
JP6641839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0296368Y1 (ko) 이중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카트리지
JP2003285052A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3200190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02331286A (ja) 浄水器
WO2005003038A1 (ja) 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JP5040279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WO2014200010A1 (ja) 浄水システム及び浄水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切替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