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988A -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988A
KR20140091988A KR1020130004126A KR20130004126A KR20140091988A KR 20140091988 A KR20140091988 A KR 20140091988A KR 1020130004126 A KR1020130004126 A KR 1020130004126A KR 20130004126 A KR20130004126 A KR 20130004126A KR 20140091988 A KR20140091988 A KR 2014009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train
bacillus
fe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046B1 (ko
Inventor
노문철
이우송
이승웅
박찬선
오현미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항균활성을 갖는 균주인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첨가제,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및 상기 사료를 양식중인 어류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 및 상기 항균 조성물을 어류 양식장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는 어류 세균성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및 α-아밀라아제 등의 효소활성이 뛰어나므로 사료첨가제로 적합한 균주이므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함으로써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의한 양식어류의 양식어류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은 자체로서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양식장에 살포하여 양식어류의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Bacillus sp. KR-OF1 as a novel strain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항균활성을 갖는 균주인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첨가제,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및 상기 사료를 양식중인 어류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 및 상기 항균 조성물을 어류 양식장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수양식은 대량, 고밀도로 사육이 행해지므로 이들 양식어류는 많은 스트레스 및 세균성 병원균의 감염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후 어류양식이 성행하면서 폐사로 이어질 수 있는 양식어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각종 항생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장기간에 걸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어류 세균성 질병을 유발하는 해양세균에서 항생제 내성균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세균의 항생제 내성을 결정하는 인자들은 플라스미드 전이에 의해 쉽게 다른 균체에 전달되는데 이러한 인자가 사람의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전이될 수 있으며, 이때, 양식어류가 이러한 세균에 의한 인간의 감염에 대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활용하고자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예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이나 식물정유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자원을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및 항암효과를 갖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식품에 존재하여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되고 있지만, 양식어류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에 대한 천연물의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현재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효능, 즉 항균효과에 대해서 천연자원 추출물을 이용하여 어류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효능을 규명하고 실제적으로 연쇄구균에 사용되는 항생제를 대체할 항균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일반적으로 연쇄구균증에 감염된 어류는 채색이 검어지고 안구의 백탁 및 돌출 증상을 보이고, 눈 가장자리 및 지느러미가 붉어진다. 감염어류를 해부해보면 간장의 충혈, 비대 및 축소 장관의 염증 및 출혈, 뇌출혈 그리고 아가미 뚜껑 내부에 농창 형성이 관찰된다. 또한 감염 어류는 감염초기 식욕감퇴로 인해 사료 섭이량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약제 감수성 시험에서는 여러 약제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 양식장에서 사용할 경우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긱존의 약물에 의한 치료위주의 방역대책에서 양식어류의 연쇄구군에 의한 피해 예방을 위해 보다 근본적이면서 새로운 개념의 어류 질병 예방제제의 현장도입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연쇄구균증에 유효한 약제로는 플로르페니콜(Florfenicol), 암피실린(Ampicillin), 독시사이클린(Doxycyclin),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수산용으로 증상에 따라 투여하면 치유되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의 병원균은 이들에 대해 항생제 내성을 가지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이들 약물이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프로바이오틱스(생균제; Probiotics)는 여러 종류의 정상 장내 세균총에서 세균성 병원균에 대해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상 장내 세균총의 균형을 유지하고 세균성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Fuller, R. J., Appl. Bacteriol., 1989, 66, 365-378; Shahani, K. M., Am. J. Clin. Nutr., 1980, 33, 2448-2457). 사람 및 가축에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최적 발육온도가 37℃로, 15 내지 25℃에서 생육하는 양식어에는 부적합하며, 특히 해수 양식어의 경우 높은 염농도에도 견딜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가 필수적이다. 날로 급증해가는 어류 수산물의 양식에 따라 수질 환경은 점차 악화되고 어병을 일으키는 빈도가 증가하므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의 발굴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류 전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되는 균주로서, 국내의 어류 생육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제품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또한 수입에서 국내 유통까지 시간적인 차이로 인한 안정성의 결핍으로 균체의 집락형성도(Colony forming unit)가 낮다는 점도 상당한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자원 가운데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효소활성이 우수하여 사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물질을 발굴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속의 신규한 균주들 중 뛰어난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가 또한 대표적인 어류 세균성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KR-OF1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를 양식중인 어류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어류 양식장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는 자연계 즉, 토양시료로부터 본 발명자들에 의해 새롭게 분리 동정된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로서, "KR-OF1 균주" 또는 "KR-OF1"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특성분석을 통해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신규한 균주의 유전자 서열을 서열번호 1에 기재하였으며, 상기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새로운 바실러스 속 균주로 확인되어 바실러스 속 KR-OF1로 명명하였다.
바실러스 속 균주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동정된 KR-OF1 균주가 다른 바실러스 속 균주에 비하여 항균활성 및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및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전라북도 정읍에서 채집된 토양시료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LB 한천(LB-agar) 배지를 이용하여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6개의 균주를 선별하였고, 그 중에서 본 발명의 KR-OF1 균주가 각종 효소활성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동정한 균주가 기존의 바실러스 속 균주에 비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양식어류에 대한 어류 세균병을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로 사용가능하며, 또한 효소활성이 뛰어나므로 사료 첨가제로 사료에 혼합하여 급이함으로써 어류 세균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내 세균총 즉, 숙주에 건강에 이로움을 제공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즉 생균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거트 등의 발효식품의 일부 또는 식이보충제로서 소비된다. 프로바이오틱스로 알려진 미생물에는 락트산 박테리아(lactic acid bacteria; LAB),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일부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KR-OF1 균주는 락트산 박테리아, 비피도박테리아와 더불어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의 일종인 바실러스 속의 균주로 동정되었으며, 자체로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프로바이오틱스 즉 생균제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속 KR-OF1로 명명한 본 발명의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에 2012년 7월 26일자로 기탁하고, 수탁번호 KCTC 12253BP를 부여받았다. 상기 균주는 부다페스트 조약 하에 국제기탁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배양물"은 본 발명의 KR-OF1 균주가 시험관 내에서 성장 및 생존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배지에 상기 균주를 일정기간 배양하여 얻는 배양된 균주, 이의 대사물,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배지를 의미하며, 균주 배양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도 포함한다. 상기 KR-OF1 균주는 항균활성, 특히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균주이므로, 상기 KR-OF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항균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류 세균성 병원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KR-OF1 균주는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및 α-아밀라아제 등의 효소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표 2),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도 3),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료첨가제로 매우 적절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은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 식품학적 또는 사료용으로 허용되는 공지의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 식품학적 또는 사료용으로 허용되는 공지의 담체 또는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 형태는 분체, 과립, 펠렛,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사료 첨가제로 사료에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사료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균주로부터 유래하여 친환경적이며 안정성 면에서 별다른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어류는 도미, 넙치, 우럭, 참돔, 민어, 숭어, 능성어 등의 해산어류 및 뱀장어, 은어, 산천어, 송어, 쏘가리 등의 육상어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넙치, 우럭, 참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상기한 어류에 이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양식 어류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에 감염가능성이 있는 양식 어류에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말사료, 고형사료, 습윤 팰렛사료, 건조 팰렛사료, EP(ext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 어떠한 사료라도 무방하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사료를 양식중인 어류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료는 통상의 사료와 동일한 양 및 급이 간격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로 예방할 수 있는 병원균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어류 양식장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KR-OF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은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양식장에 살포하여 상기 세균성 병원균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양식 어류의 상기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양식장에 살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병원균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는 어류 세균성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및 α-아밀라아제 등의 효소활성이 뛰어나므로 사료첨가제로 적합한 균주이므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함으로써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의한 양식어류의 양식어류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은 자체로서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양식장에 살포하여 양식어류의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 바실러스 속 KR-OF1(Bacillus sp. KR-OF1) 균주의 형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배양액의 어류 세균성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실러스 균주의 분리
자연계로부터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정읍에서 토양시료를 수집하였다. 상기 수집한 토양시료 1 g에 멸균생리식염수를 혼합하여 진탕한 후, 한천평판법으로 107배까지 희석하였다. 희석액 100 μl를 취하여 LB-agar 배지(표 1)에 분주하여 배지 전면에 고루 편 다음, 30℃ 항온기에서 2 내지 3일간 배양한 후 나타난 단일 집락(single colony)의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바실러스 균주만을 순수하게 분리하여 다시 LB-agar 평판배지에 배양하여 회수한 후 20% 글리세롤에 현탁하여 -70℃ 냉동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배지성분 농도(g/L)
트립톤(tryptone) 10.0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0
NaCl(sodium chloride) 10.0
한천(agar) 15.0
실시예 2: 균주의 선별
각각의 콜로니에 대하여 어류발효사료로 제조시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효소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KR-OF1 균주에서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및 α-아밀라아제에 대한 효소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이에 상기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여 균주를 동정하였다. 상기 균주의 균총은 LB-agar 배지에서 원형의 집락(circular colony)를 형성하였으며, 이는 연한 노란색을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 상으로 관찰한 단세포는 막대형(rod type)이었으며, 크기는 단축이 0.8 내지 1.8 μm, 장축이 0.9 내지 5.0 μm였다(도 1).
번호 선발균주 프로테아제(mm) 셀룰라아제(mm) 라파아제(mm) α-아밀라아제(mm) 비고
1 KR-OF1 ++++ +++++ - +++
2 KR-OF14 ++ - - + ×
3 KR-OF20 +++ +++ - +
4 KR-OF29 +++ ++ - +
5 KR-OF36 ++ +++ - +
6 KR-OF43 +++ - - + ×
(+: 5 mm, ++: 10 mm, +++: 15 mm, ++++: 20 mm, +++++: 25 mm)
실시예 3: 분리한 균주의 동정
선별한 KR-OF1 균주(도 1)의 계통분류학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16S 리보솜 RNA 유전자(16S ribosomal RNA gene)의 내부 전사 간격자(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5.8S 리보솜 RNA 유전자 및 내부 전사 간격자 2를 포함하는 571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선별한 KR-OF1 균주로부터 16S rDNA 분절 5'-TCC GTA GGT GAA CCT GCG G-3'(서열번호 2)을 프라이머 세트로 PCR을 수행하여 증폭시킨 후, 증폭산물을 정제하여 자동염기서열 분석장치(Applied Biosystems model 373A automatic sequencer)와 분석키트(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 Perkin-Elmer 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최종 선별한 균주의 16S rDNA를 유전자은행의 블라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표준균주인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서열목록 1; 도 2).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를 바실러스 속 균주로 동정하고, 바실러스 속 KR-OF1(Bacillus sp . KR-OF1)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에 위치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에 2012년 7월 26일자로 기탁하고, 수탁번호 KCTC 12253B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4: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상기 실시예를 통해 분리, 선별 및 동정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의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어류 세균성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분리한 균주를 LB 액체배지에 48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후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 후, 0.45 μm 필터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어류 병원균은 BHI+1% NaCl agar에 1.4×109 ml/CFU 정도로 생육한 균주를 0.5% 접종하여 배지와 균일하게 혼합한 후 페트리접시에 굳혔다. 그리고 페이퍼 디스크에 배양이 끝난 본 발명의 분리균주의 상등액을 100 μl 분주한 후 수분을 건조시켜 미리 병원균주가 분주된 배지에 올려주고 4℃에서 2시간 동안 성분이 배지에 흡습되도록 방치한 후 25℃에서 배양하여 페이퍼 디스크 주위에 병원균의 활성 저해로 생성되는 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의 배양액이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애에 대한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 화살표). 도 3의 각각의 페이퍼 디스크는 바실러스 속 KR-OF1 배양액과 이외의 토양에서 분리된 미동정 바실러스 균주들의 배양액을 적신 것으로써, KR-OF1 배양액을 적신 11번 디스크가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KR-OF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은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로 활용가능하며, 특히 효소활성이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으므로, 사료 첨가제로 사료에 혼합하여 양식 어류에 급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12253BP 20120726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Bacillus sp. KR-OF1 as a novel strain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nd use thereof <130> PA121094/KR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8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illus sp. KR-OF1 <400> 1 ggctcaggac gaacgctggc ggcgtgcctt atacatgcaa gttgagcgga ccgatgggag 60 cttgcttcct gatgttagcg gcggacgggt gagtaacacg tgggtaacct gcctgtaaga 120 ctgggataac tccgggaaac cggggctaat accggatgct tgattgaacc gcatggttca 180 attataaaag gtggctttca gctaccactt acagatggac ccgcggcgca ttagctagtt 240 ggtgaggtaa cggctcacca aggcaacgat gcgtagccga cctgagaggg tgatcggcca 300 cactgggact gagacacggc ccagactcct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gca 360 atggacgaaa gtctgacgga gcaacgccgc gtgagtgatg aaggttttcg gatcgtaaaa 420 ctctgttgtt agggaagaac aagtaccgtt cgaatagggc ggtaccttga cggtacctaa 480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540 gtccggaatt attgggcgta aagcgcgcgc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600 cccggctcaa ccggggaggg tcattggaaa ctggggaact tgagtgcaga agaggagagt 660 ggaattccac gtgtagcggt gaaatgcgta gagatgtgga ggaacaccag tggcgaaggc 720 gactctctgg tctgtaactg acgctgaggc gcgaaagcgt ggggagcgaa caggattaga 780 taccctggta gtccacgccg taaacgatga gtgctaagtg ttagagggtt tccgcccttt 840 agtgctgcag caaacgcatt aagcactccg cctggggagt acggtcgcaa gactgaaact 900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aacg 960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ctc tgacaaccct agagataggg cttccccttc 1020 gggggcagag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1080 aagtcccgca acgagcgcaa cccttgatct tagttgccag cattcagttg ggcactctaa 1140 ggt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1200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gcagaacaaa gggcagcgaa gccgcgaggc 1260 taagccaatc ccacaaatct gttctcagtt cggatcgcag tctgcaactc gactgcgtga 1320 agct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1380 tacacaccgc ccgtcacacc acgagagttt gtaacacccg aagtcggtga ggtaaccttt 1440 tggagccagc cgccgaaggt gggacagatg attggggtga 148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RNA fragment <400> 2 tccgtaggtg aacctgcgg 19

Claims (8)

  1.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
  2. 기탁번호 KCTC 12253BP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 KR-OF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인 항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세균성 병원균은 스트렙토코커스인 것인 항균 조성물.
  5. 제2항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첨가제.
  6. 제5항의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7. 제6항의 사료를 양식중인 어류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
  8. 제2항의 항균 조성물을 어류 양식장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
KR1020130004126A 2013-01-14 2013-01-14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26A KR101658046B1 (ko) 2013-01-14 2013-01-14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26A KR101658046B1 (ko) 2013-01-14 2013-01-14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88A true KR20140091988A (ko) 2014-07-23
KR101658046B1 KR101658046B1 (ko) 2016-09-20

Family

ID=5173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26A KR101658046B1 (ko) 2013-01-14 2013-01-14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8488A (ko) * 2012-04-13 2014-12-31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대장균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대한 항균 효과 및 높은 포자 형성 능력을 갖는 항생제 민감성 바실러스 균주
KR20160026263A (ko) 2014-08-29 2016-03-09 (주)동창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CN115154558A (zh) * 2022-08-08 2022-10-11 吉林省水产科学研究院(吉林省渔业生态环境及水产品质量监督检测中心) 一种养殖图们雅罗鱼幼鱼的复方药物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quaculture, Vol.252, pp.516-524(2006.) *
J. Appl. Microbiol., Vol.36, pp.83-87(2003.) *
J. Fish Dis., Vol.26, pp.495-498(2003.) *
Kor. J. Fish Aquat. Sci., Vol.45, pp.35-42(201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8488A (ko) * 2012-04-13 2014-12-31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대장균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대한 항균 효과 및 높은 포자 형성 능력을 갖는 항생제 민감성 바실러스 균주
KR20160026263A (ko) 2014-08-29 2016-03-09 (주)동창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CN115154558A (zh) * 2022-08-08 2022-10-11 吉林省水产科学研究院(吉林省渔业生态环境及水产品质量监督检测中心) 一种养殖图们雅罗鱼幼鱼的复方药物
CN115154558B (zh) * 2022-08-08 2023-04-18 吉林省水产科学研究院(吉林省渔业生态环境及水产品质量监督检测中心) 一种养殖图们雅罗鱼幼鱼的复方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46B1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560B1 (ko) 대장균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대한 항균 효과 및 높은 포자 형성 능력을 갖는 항생제 민감성 바실러스 균주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R20020035415A (ko) 로타바이러스 및 유해 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내산성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프로바이오-16 및 이를함유하는 생균활성제
KR101869221B1 (ko) 신규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Le et al. Probiotic potential of novel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salted-fermented shrimp as antagonists for Vibrio parahaemolyticus
KR101618220B1 (ko) 신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KR20090030661A (ko)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JP2009159955A (ja) クルマエビ腸内から分離したプロバイオティクス乳酸菌
KR20090040025A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CN109679869A (zh) 一种对虾肠道肠球菌菌株及其筛选方法和应用
KR101658046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047948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0685237B1 (ko)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ib 282(kctc 18110p) 및 이를이용한 양어용 항균 프로바이오틱스
KR101310123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생육을 저해하는 김치 유래 젖산균
KR1016165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코쿠스 락티스 kr-w.w-2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70101431A (ko) 축사환경개선용 생균제 조성물
KR102003822B1 (ko) 반려동물의 모질을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유산균과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질 개선을 위한 동물 사료용 첨가제 및 동물 사료 조성물
KR101186150B1 (ko) 신규 바실러스속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KR100371503B1 (ko)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635A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KR1012013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복합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20110009625A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존슨니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086239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육계용생균제 조성물
Kim et al. Assessment and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probiotic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2, isolated from fermented seafood-jeotgal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uveniles
KR20050041808A (ko) 항암효과 및 항균활성이 뛰어난 신규 유산균 류코노스톡시트리움 km2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