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945A -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945A
KR20140091945A KR1020130004023A KR20130004023A KR20140091945A KR 20140091945 A KR20140091945 A KR 20140091945A KR 1020130004023 A KR1020130004023 A KR 1020130004023A KR 20130004023 A KR20130004023 A KR 20130004023A KR 20140091945 A KR20140091945 A KR 20140091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data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945A/ko
Publication of KR2014009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1/00System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ystem, e.g. tele-autographic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이상 또는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주변의 다른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사고 발생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다른 차량에서 사고 발생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생된 사고에 대하여 빠른 처리가 가능하고 주변의 차량의 운전자가 사고 발생을 인지하여 추가적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차량에게도 사고 경고를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자동차 뿐 아니라,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하는 일반 자동차를 포함하는 모든 자동차는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고 차량 뿐 아니라, 주변의 다른 차량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사고 차량을 미처 피하지 못한 다른 차량이 2차, 3차 사고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도로 혼잡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일정 거리 내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하여, 차량 간에 상호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주변의 차량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소정 거리 내의 차량 간에 상호 정보를 교환하여, 추가적인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충돌센서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충돌에 의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고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에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자동차; 상기 제 1 자동차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자동차; 및 상기 제 1 자동차로부터 상기 사고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고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 2 자동차에 상기 제 1 자동차의 사고에 대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제어방법은 사고 또는 차량 내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상태 및 발생된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차량의 상태 및 사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고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로 사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발생하는 차량의 사고에 대하여, 사고 차량과, 사고 차량의 주변 차량간의 정보 교환을 통해, 사고 정보를 소정 거리 내의 주변의 다른 차량에서 확인할 수 있어 추가적인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고로 인한 교통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자동차의 시스템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사고 정보 교환에 따른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차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서버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전기자동차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엔진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일반 자동차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자동차의 시스템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차량(101)은 네트워크(N)를 통해 사고 발생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고 차량(101)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워크(N)를 통해 서버(200)로 수신되고, 서버(200)는 사고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고 차량(101)의 위치와, 사고의 정도에 대해 판단한다.
서버(200)는 사고 차량(1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고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102)로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를 전송한다.
다른 차량(102)는 사고 차량(10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차량으로 네트워크(N)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사고 차량(101)의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를 수신한다.
다른 차량(102)는 수신된 경고를 출력하고, 운전자는 출력되는 경고를 통해 일정 거리 내에서 사고가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 차량(101)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102)를 통해 사고 차량(101)의 사고 발생에 대한 데이터가 네트워크(N)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고 차량(101)이 사고 발생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때에, 사고 차량(101)에 일정거리 이상 근접한 위치의 차량에 대해서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고 차량(101)으로부터 사고 발생에 대한 데이터가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자동차(100)는, 통신부(120), 차량정보 측정부(130), GPS(140), 저장부(150), 차량정보측정부(170), 출력부(180) 그리고 차량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100)가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인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위한 전원부(160)를 더 포함하고, 배터리(미도시), BMS(미도시), 모터제어부(미도시), 모터를 더 포함한다.
자동차(1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스티어링 휠,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와 같은 운전을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입력수단은 차량 주행에 따름 방향지시등, 테일램프, 헤드램프, 브러시 등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 버튼 등을 포함한다.
전원부(160)는 외부 전원 또는 충전소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 및 연결회로를 포함하고, 전원 연결 시 BMS의 관리하에 충전전류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팩를 충전하는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부(160)는 배터리에 충전된 동작전원을 차량의 각 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차량에 공급한다.
배터리는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고전압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자동차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팩는 고전압의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다.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체크하여 충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충전전류를 전기자동차의 각 부로 공급하는데 따른 관리를 수행한다. BMS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할 때, 배터리 내의 셀 간의 전압차를 고르게 유지하여,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모터제어부(MCU)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고전압의 전원이 모터 특성에 맞게 변경되어 공급되도록 하며, 모터 구동을 위한 인터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출력부(180)는 전기 자동차의 현 상태 동작 중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180)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악, 효과음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그리고 각종 상태 등을 포함한다.
차량정보측정부(130)는 차량 주행, 또는 소정 동작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하고 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차량정보측정부(130)는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센서의 종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센서부(170) 또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고, 차량의 이상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이때 센서부(170)는 충돌센서(171)를 포함한다.
GPS(140)는 GPS 위성과 통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GPS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110)는 차량의 위치 뿐 아니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충돌센서(171)는 차량의 전, 후, 좌, 우에 각각 복수로 설치되어 외부로터 차량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한다. 충돌센서(171)는 압력센서, 접촉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50)에는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와, 센서부(170) 및 차량정보 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통신부(1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차량 또는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고 발생에 따른 데이터를 서버(200) 또는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고, 다른 차량 또는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단말(280), 서버(200)와 통신한다.
제어부(VCU)(110)는 BMS를 통해 배터리를 관리하고, 입력수단 및 차량정보측정부(13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차량의 동작상태가 출력부(18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입력수단 중 키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시동신호가 입력되면, 시동신호를 각 부로 전달하고, BMS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모터제어부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주행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센서부(170)의 충돌센서(171)에 의해 감지되는 충격의 정도에 따라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 시, 센서부(170) 및 차량정보 측정부(130)를 통해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사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10)는 사고 데이터가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 또는 다른 차량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차량 또는 서버(200)로부터 다른 차량의 사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사고 지점을 판단하고, 사고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수신된 사고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다른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경고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특정 단말(280)로 사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로부터 수신되는 사고 데이터를 DB(250)에 저장하고, DB(250)에 저장된 복수의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자동차로 경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사고 정보 교환에 따른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차량(101)은 센서부(170)의 충돌센서(171)를 통해 이상을 감지한다(S1). 이때, 충돌센서(171)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 또는 압력이 차량에 가해지는 경우 충돌센서(171)는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차량정보 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차량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모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차량(101)의 제어부(110)는 이상이 감지되면, 차량정보 측정부(130) 또는 센서부(170)를 통해 차량의 상태, 사고 또는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2). 또한, 제어부(110)는 GPS(140)를 통해 현재 차량의 위치를 판단한다.
제 1 차량(101)의 제어부(110)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위치가 포함된 사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고 정보로써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한다(S3).
경우에 따라 제 1 차량(101)의 제어부(110)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차량(102)으로 직접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
또한, 제 1 차량의 제어부(110)는 기 등록된 단말의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280)로 차량의 사고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 1 차량(101)으로부터 사고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를 DB(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고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확인한 후, DB(250)에 저장된 복수의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고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으로 경고 데이터를 전송한다(S5).
사고 지점인, 제 1 차량(10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제 2 차량(102)은 제 1 차량(101) 또는 서버(200)로부터 경고를 수신하고, 출력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근 지점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6).
한편, 서버(200)는 제 1 차량의 사고데이터를 바탕으로, 사고의 정보를 판단하여 제 1 차량(101)으로 사고 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7). 경우에 따라 서버(200)는 응급구조나 차량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사고를 접수하여 지원하거나, 경찰에 자동 신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차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자동차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돌 또는 이상 발생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센서부(17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S11).
제어부(S11)는 이상이 감지됨에 따라 차량의 상태 및 이상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고 데이터를 통신부(120)로 인가한다(S12).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3). 경우에 따라 주변의 다른 차량으로 사고 데이터 또는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는 다른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주변의 다른 차량 또는 서버(200)로부터 통신부(130)로 경고신호가 수신된다(S21).
통신부(130)는 경고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S22).
제어부(110)는 경고신호를 분석하고, 출력부(180)를 제어한다(S23). 또한, 사고 차량에 대한 위치 등을 정보를 출력부(180)로 인가한다.
출력부(180)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사고 차량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S24). 그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사고 발생 여부를 인지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자동차는 센서부(170)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감지한다(S310). 이때, 센서부(170)의 충돌센서(171)는 외부로 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힘, 충격 또는 접촉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차량정보 측정부(130)를 통해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320).
제어부(110)는 센서부(170) 또는 차량정보 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의 사고 여부 또는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30).
제어부(110)는 충돌이 있거나, 또는 차량 내부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GPS(140)를 통해 현재 차량의 위치를 입력받고, 센서부(170) 또는 차량정보 측정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사고정보를 수집한다(S340).
이때,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고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사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350). 이때 사고데이터에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사고신호와, 사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110)는 일정 거리 내의 주변의 다른 차량으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차량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정상 주행한다.
단,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200) 또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S360), 제어부(110)는 출력부(180)를 통해 경고를 출력한다(S370). 또한 제어부는 발생한 사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고는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서버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복수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10). 이렇게 수시되는 차량 정보를 DB(250)에 저장된다.
이때, 수신된 차량 정보 중, 사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사고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S420).
서버(200)는 사고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사고데이터에 포함되는 사고신호와 사고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사고 위치를 판단한다(S430).
또한, 서버(200)는 DB(250)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바탕으로, 일정거리 내의 사고 위치 주변의 다른 차량을 탐색한다(S440).
서버(200)는 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에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S450).
서버(200)는 사고차량에 대하여, 사고 처리에 대한 도움정보를 전송한다(S460). 또한 서버(200)는 사고를 경찰에 신고하거나, 견인조치 또는 응급차가 지원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사고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차량에서 직접적으로 주변의 차량으로 경고를 출력할 있다. 그에 따라 사고 발생에 대하여 주변의 차량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발생된 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어부
130: 차량정보측정부 140: GPS
150: 저장부 160: 전원부
170: 센서부 171: 충돌센서
180: 출력부
200: 서버 250: DB
280: 단말

Claims (15)

  1. 충돌센서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충돌에 의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고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에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고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 신호를 주변의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상 주행 중,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거리 내에 다른 차량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가 포함된 상기 사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동작 상태 및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정보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정보 측정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차량 내부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자동차;
    상기 제 1 자동차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자동차; 및
    상기 제 1 자동차로부터 상기 사고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고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 2 자동차에 상기 제 1 자동차의 사고에 대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고정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동차는 상기 서버로부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경고음, 경고메시지,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정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동차는 사고 발생에 따른 경고 신호를 상기 제 2 자동차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정보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자동차의 사고에 대한 처리 방안이 포함된 도움 정보를 상기 제 1 자동차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자동차의 사고를 경찰에 신고하고, 견인 또는 응급차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정보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고데이터를 분석하고, DB에 저장된 복수의 차량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자동차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자동차를 탐색하여 상기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정보 시스템.
  12. 사고 또는 차량 내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상태 및 발생된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차량의 상태 및 사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고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로 사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가 상기 사고데이터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주변의 차량으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정상 주행 중, 다른 차량의 사고에 대한 경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30004023A 2013-01-14 2013-01-14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1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023A KR20140091945A (ko) 2013-01-14 2013-01-14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023A KR20140091945A (ko) 2013-01-14 2013-01-14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45A true KR20140091945A (ko) 2014-07-23

Family

ID=5173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023A KR20140091945A (ko) 2013-01-14 2013-01-14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05A (ko) * 2017-01-10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05A (ko) * 2017-01-10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31876A1 (en) * 2017-01-10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hic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114245A (zh) * 2017-01-10 2019-08-09 三星电子株式会社 车辆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US10762775B2 (en) 2017-01-10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hic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114245B (zh) * 2017-01-10 2021-12-07 三星电子株式会社 车辆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08770B (zh) 电动汽车及其应急控制方法
CN103118894A (zh) 电动车辆的无认可蓄电池更换时对策装置
CN102862489A (zh) 用于管理车辆中能量源使用的系统
CN103052530A (zh) 电动汽车及其控制方法
CN113352887B (zh) 信息提供装置及信息提供系统
WO2020045033A1 (ja) 提示装置、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089512A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WO2022139017A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 과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696179B2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JP5275529B1 (ja) 電動車両の表示装置
KR101537093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532404B1 (ko) 연료 소모를 관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CN106092194A (zh) 电动汽车救援车用综合状态监测系统
KR20160091039A (ko)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제어 방법
KR20120012662A (ko) 전기자동차 및 그 비상제어방법
EP3640075A1 (en) Railroad vehicle
KR20140091945A (ko)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5209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WO2013089510A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13145735A (ja) 蓄電システム
JP7136760B2 (ja) 非常用電力供給システム、非常用電力供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00211B1 (ko)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안전성능향상을 위한 주행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65208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14052289A (ja) 航続距離演算装置
JP2022119458A (ja) 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