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723A -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723A
KR20140088723A KR1020130000607A KR20130000607A KR20140088723A KR 20140088723 A KR20140088723 A KR 20140088723A KR 1020130000607 A KR1020130000607 A KR 1020130000607A KR 20130000607 A KR20130000607 A KR 20130000607A KR 20140088723 A KR20140088723 A KR 2014008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joint
riser
support
supports
tele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723A/ko
Publication of KR2014008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는, 몸체; 몸체에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지지대; 및 몸체에 복수의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TELESCOPIC JOINT TEMPORARY SUPPORT AND TELESCOPIC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조인트가 안정적으로 라이저 피딩 머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핸들링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다양한 해양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설비에는 부유식 해양설비, 반잠수식 해양설비, 고정식 해양설비, 승강식해양설비, 시추선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 중에서 시추선은 해저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 장비를 탑재하며 자체의 동력으로 향해가 가능하다.
반잠수식 해양설비는 잠수식 폰툰(Submerged Pontoon)의 상부에 작업플랫폼(Working Platform)이 몇개의 컬럼(Column)에 의해 지지된 구조로 구성되고, 대부분 자체 추진능력을 갖고 있어 견인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한 위치에 도착하면 폰툰에 물을 채워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 가라 앉힘으로써 수면위의 높이를 낮추어 거친 해상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드릴링용도의 해양설비는 작업플랫폼의 하측에 문풀 데크(moonpool deck)가 배치되고, 이 문풀 데크에는 문풀(moon pool)이 형성된다. 이 문풀을 통해 라이저(riser), 드릴링파이프(drilling pipe) 등이 상하 이동하면서 해저바닥에 대한 석유, 가스 등의 시추를 수행한다.
한편 라이저의 상측부에는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가 결합되며, 텔레스코픽 조인트는 라이저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줄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드릴링 유닛(Drilling Unit)의 수직 방향 변위를 보상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조인트는 데크 크레인(Deck Crane)을 이용하여 라이저 피딩 머신(Riser Feeding Machine)으로 이동된다. 데크 크레인은 드릴 장비들을 핸들링할 수 있게 위치된 크레인으로 일반 건설현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크레인과 같이 회전 운동(Swing Motion)을 한다.
따라서 해상에서와 같이 파도 등으로 선체의 움직임이 심한 환경에서 고하중의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데크 크레인으로 이동시킬 때 선체의 움직임에 의해 텔레스코픽 조인트가 회전하게 되고, 이는 충돌사고, 낙하 등의 큰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데크 크레인을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이동시키면 텔레스코픽 조인트가 회전되므로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피딩 머신의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126274호(트랜스오션) 2010. 12. 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를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마련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 및 상기 복수의 레그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레그를 통해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부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는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는 한 쌍이 이격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레그는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와 상기 하중 분산부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레그를 보강시키는 보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복수의 레그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원형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크 크레인(Deck Crane)으로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베이(Riser Bay)에 배치된 임시 서포트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서포트에 안착된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Riser Gantry Crane)을 이용하여 라이저 피딩 머신(Riser Feeding Machine)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서포트는,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를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마련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 및 상기 복수의 레그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레그를 통해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서포트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복수로 배치되어 양단의 높이가 다른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중심선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에는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라이저 요크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라이저 요크는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양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홀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크 크레인으로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베이에 배치된 임시 서포트에 안착시킨 후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으로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피딩 머신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임시 서포트에 안착시키므로 선체의 움직임에 의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피딩 머신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임시 서포트에 지지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된 선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라이저 랙의 상측부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임시 서포트에 지지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된 선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라이저 랙의 상측부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1)는, 몸체(100)와, 몸체(100)에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지지대(200)와, 몸체(100)에 복수의 제1 지지대(200)와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TJ)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300)를 구비한다.
몸체(100)는, 텔레스코픽 조인트(TJ)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지지대(200)가 상측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그(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10)과 복수의 지지레그(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보강편(130)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TJ)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 지지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갖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심부로 갈수록 선형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선형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제1 지지대(200)에는 텔레스코픽 조인트(TJ)를 접촉지지하는 지지편(210)이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지지대(200)의 외측벽에는 후크를 걸 수 있는 걸림부재(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지지대(200)와 수직되는 방향의 베이스 프레임(110)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지지대(300)의 중앙부에는 절개부(31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대(300)의 중앙부에 절개부(310)를 마련한 것은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RGC, Riser Gantry Crane)의 라이저 요크(RY)가 라이저(R)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 중앙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21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라이저(R)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받침대(40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텔레스코픽 조인트(TJ)의 임시 서포트(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 베이(RB, Riser bay)의 상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라이저 랙(RR, Riser Rack)의 상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라이저 스탠천(RS, Riser Stanchion)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라이저 랙(RR)은 라이저(R)와 텔레스코픽 조인트(TJ) 등이 올려져 있는 모든 영역을 가리키며, 라이저 스탠천(RS)은 라이저 베이(RB) 이탈 방지용 기둥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인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1)를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조인트(TJ)를 라이저 피딩 머신(RFM, Riser Feeding Machine)으로 이동시키는 텔레스코픽 조인트(TJ)의 핸들링 방법을 설명한다.
텔레스코픽 조인트(TJ)는 라이저 피딩 머신(RFM)으로 이동되기 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 랙(RR)의 상면부에 놓여지고, 텔레스코픽 조인트(TJ)는 라이저(R, Riser)의 상측부에 결합되므로 라이저(R)가 먼저 이동된 후에 이동된다. 텔레스코픽 조인트(TJ)가 라이저 랙(RR)의 상면부에 놓여지는 경우 임시 서포트(1)로 지지될 수 있다.
라이저 랙(RR)에 놓여진 텔레스코픽 조인트(TJ)는 도 3에 도시된 데크 크레인(DC, Deck Crane)에 의해 라이저 스탠천(RS)의 상측부에 배치된 임시 서포트(1)에 안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임시 서포트(1)는 중심부에 절곡부(110)가 마련되어 V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선체의 운동(motion)에도 텔레스코픽 조인트(TJ)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임시 서포트(1)는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라이저(R)의 양단부 서로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라이저(R)의 중심선 높이가 수평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라이저 요크(RY, Riser Yoke)의 라이저(R)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이저 요크(RY)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평행하게 마련되므로 라이저(R)의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의 높이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 라이저 요크(RY)의 삽입 위치가 맞지 않게 된다.
라이저 베이(RB)에 텔레스코픽 조인트(TJ)가 안착되면 도 3에 도시된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RGC, Riser Gantry Crane)을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조인트(TJ)를 라이저 피딩 머신(RFM)에 안착시킨다.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RGC)은 데크 크레인(DC)과 같이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운동이나 상하 운동의 직선 운동만 하므로 텔레스코픽 조인트(TJ)를 라이저 피딩 머신(RFM)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1a)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높이가 축소되고, 보강편(130, 도 1 참조)과 제2 지지대(300, 도 1 참조)가 생략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임시 서포트에 안착시키므로 선체의 움직임에 의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피딩 머신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100 : 지지대
110 : 절곡부 200 : 레그
210 : 연결대 220 : 보강편
230 : 확장부 300 : 하중 분산부
DC : 데크 크레인 R : 라이저
RB : 라이저 베이 RFM : 라이저 피딩 머신
RGC :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 RR : 라이저 랙
RY : 라이저 요크 TJ : 텔레스코픽 조인트

Claims (10)

  1.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지지대; 및
    상기 몸체에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상측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갖되 상기 몸체의 중앙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부로 경사진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대에는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에는 중앙부에 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6. 데크 크레인(Deck Crane)으로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베이(Riser Bay)에 배치된 임시 서포트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서포트에 안착된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Riser Gantry Crane)을 이용하여 라이저 피딩 머신(Riser Feeding Machine)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임시 서포트는,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어 텔레스코픽 조인트(Telescopic Joint)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지지대; 및
    상기 몸체에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임시 서포트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복수로 배치되어 양단의 높이가 다른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중심선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에는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라이저 요크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라이저 요크는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양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10. 데크 크레인으로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베이에 배치된 임시 서포트에 안착시킨 후 라이저 갠트리 크레인으로 상기 텔레스코픽 조인트를 라이저 피딩 머신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서포트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KR1020130000607A 2013-01-03 2013-01-03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KR20140088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607A KR20140088723A (ko) 2013-01-03 2013-01-03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607A KR20140088723A (ko) 2013-01-03 2013-01-03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23A true KR20140088723A (ko) 2014-07-11

Family

ID=5173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607A KR20140088723A (ko) 2013-01-03 2013-01-03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7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96A (ko) * 2015-10-14 2017-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96A (ko) * 2015-10-14 2017-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1049C2 (ru) Фермовая система плиты против вертикальной качки для морского основания
US10029760B2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RU2014101284A (ru)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для арктического плавучего средства
JP2002537171A (ja) 浮遊式海洋構造物
CN102356021B (zh) 用于装载和运输大结构的滑靴组件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JP5328537B2 (ja) 鋼板ブロック反転装置および鋼板ブロック反転方法
KR20140088723A (ko)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임시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조인트의 핸들링 방법
HRP20191602T1 (hr) Plutajuća jedinica za operacije bušenja
KR101444319B1 (ko) 레그 연결용 가이드 장치 및 레그 연결 방법
KR101762840B1 (ko) 해양 구조물
KR102539436B1 (ko) 캔틸레버 탑재를 위한 치구 및 이를 이용한 탑재방법
KR20140055328A (ko) 해양구조물의 라이저 요크 배치구조
KR20130073186A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KR101324320B1 (ko) 선박용 이송 시스템
KR101324318B1 (ko) 선박용 이송 시스템
GB2116615A (en) Fixed gravity platform of reticular tripod structure
KR101732617B1 (ko) 운반선
KR101627667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102539656B1 (ko) 블럭 조인트 해상 작업 공법
KR20140115718A (ko) 이동식 지지 장치
KR102027212B1 (ko) 경량 스퍼드캔
KR20150041366A (ko) 가변적인 데크 하중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잭업 리그
KR101774915B1 (ko)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KR101690966B1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