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15B1 -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15B1
KR101774915B1 KR1020150134402A KR20150134402A KR101774915B1 KR 101774915 B1 KR101774915 B1 KR 101774915B1 KR 1020150134402 A KR1020150134402 A KR 1020150134402A KR 20150134402 A KR20150134402 A KR 20150134402A KR 101774915 B1 KR101774915 B1 KR 10177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jacket
stiffe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503A (ko
Inventor
손창수
구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2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with lattice style supporting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은, 레그를 기립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그 내부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보강재를 인양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eg for jacket}
본 발명은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구조물에 적용되는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 설치되는 해양장비들은 파고 등 해상 상황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해수로 인한 부식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구조체를 해저면(seabed)에 고정하고 지지 구조체 상에 플랫폼을 마련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이와 같은 플랫폼상에 해양장비들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지 구조체 상에는 원유 또는 가스의 탐사나 시추 설비, 풍력발전 설비 등 다양한 해양장비들이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구조체는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 예로 Tripod type, Pile type과 Jacket type을 들 수 있다. Pile type은 다시 해저면에 관입된 Pile의 개수에 따라 Mono pile type, Three pile typ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Jacket type은 해저면에 하부가 관입되는 복수의 레그(leg)와 이러한 레그 사이에 측벽을 형성하며 용접된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데, 자켓에 마련된 지지기둥의 수와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KR 2013-0023878 (2013.03.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작 일정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은 레그를 기립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그 내부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보강재를 인양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양된 보강재는 지면 방향으로 하강하여 자체 중량으로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된 보강재를 상기 레그 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켓의 제작 일정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jacket, 1)은 해양 구조물에 적용된다. 이 때, 이 때, 자켓(1)은 레그(leg, 10)와 같은 직선부재와 경사부재의 조립에 의해 트러스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양 구조물은 잭업 드릴링 리그, 잭업 리그, 시추선, 바지선, 해양작업선, 해양플렌트 및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자항능력을 가지는 선박뿐만 아니라 해양에 설치되는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10)는 원형의 실린더 형상이고, 내부에 보강재(110, 120, 130, 140)를 설치하여 다른 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그(10)는 원형의 실린더 형상이고, 보강재(110, 120, 130, 140)는 원판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레그(10)와 보강재(110, 120, 130, 1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레그(10)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재(110, 120, 130, 140)는 다른 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레그(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보강재(110, 120, 130, 140)가 설치될 수 있으나, 보강재(110, 120, 130, 140)의 설치 위치와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켓(1)의 세부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은 레그(10)를 기립시키는 단계(S210), 지지대(112, 122, 132, 142)를 설치하는 단계(S220), 보강재(110, 120, 130, 140)를 지지대(112, 122, 132, 142)에 안착시키는 단계(S230) 및 보강재(110, 120, 130, 140)를 고정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레그(10)를 기립시키는 단계(S21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크레인(2)의 와이어를 지면에 눕혀진 레그(10)에 연결한다. 이 후, 크레인(2)을 이용하여 레그(10)를 기립시킨다. 레그(10)의 일측에 크레인(2)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레그(10)를 기립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레그(10)를 수직으로 기립시킬 수 있다면 레그(10)를 기립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기립된 레그(10) 내부에 제1 지지대(112)를 설치하는 단계(S22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용접 등에 방법을 이용하여 레그(10) 내부에 제1 지지대(112)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기립된 레그(10) 내부에 들어가서 제1 지지대(112)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지대(112)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후술하는 제1 보강재(110)를 안착시킬 수 있으면 제1 지지대(112)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제1 보강재(110)를 제1 지지대(112)에 안착시키는 단계(S23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크레인(2)을 이용하여 제1 보강재(110)를 인양하고, 인양된 제1 보강재(110)를 레그(1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 때, 제1 보강재(110)는 레그(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레그(1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보강재(110)는 크레인(2)을 통해 하강하고, 제1 지지대(112)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인양된 제1 보강재(110)는 크레인(2)을 통해 지면 방향으로 하강하고, 자체 중량으로 인해 제1 지지대(112)의 상부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그(10)를 기립시키고 제1 보강재(110)를 인양하기 위해 크레인(2)이 사용되었으나, 레그(10)를 기립시키고 제1 보강재(110)를 인양할 수 있다면 기립 및 인양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후, 제1 보강재(110)를 고정하는 단계(S240)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강재(110)가 제1 지지대(112)에 안착된 후, 작업자가 레그(10) 내부로 들어가 제1 지지대(112)에 안착된 제1 보강재(110)를 레그(10)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 때,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보강재(110)를 레그(1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벙은 제1 보강재(110)를 레그(10)의 내부에 고정시킨 후 제1 지지대(112)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제1 지지대(112)를 제거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9는 제2 내지 제4 지지대(122, 132, 142)와, 제2 내지 제4 보강재(120, 130, 140)를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강재(110)의 상부에 제2 지지대(122)를 설치하고, 제2 보강재(120)를 인양하여 제2 지지대(122)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제2 보강재(120)를 레그(10)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 후,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및 제4 지지대(132, 142)와 제3 및 제4 보강재(130, 140)를 설치한다. 다시 말해, 제2 내지 제4 지지대(122, 132, 142)를 설치하는 단계(S220)는 전술한 제1 지지대(112)를 설치하는 단계(S220)와 동일하게 진행하고, 제2 내지 제4 보강재(120, 130, 140)를 안착 및 고정 시키는 단계(S230, S240)는 제1 보강재(110)를 안착 및 고정 시키는 단계(S230, S240)와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에 따르면, 레그(10)를 기립한 상태에서 레그(10) 내부에 보강재(110, 120, 130, 140)를 (110, 130)를 설치하므로, 레그(10)의 제작 공정을 감소시키고 제작 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자켓(jacket)
2: 크레인
10: 레그(leg)
110, 120, 130, 140: 보강재
112, 122, 132, 142: 지지대

Claims (3)

  1.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면에 눕혀진 레그를 기립시키되, 상기 기립되는 레그의 측벽에는 연결부재가 미부착된 상태인 단계;
    상기 레그 내부의 제1 높이에 제1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대를 설치한 후에, 제1 보강재를 인양하여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안착된 제1 보강재를 상기 레그 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안착된 제1 보강재를 상기 레그 내부에 고정시킨 후에, 상기 제1 지지대를 상기 레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보강재를 안착시킨 후에, 상기 레그 내부에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제2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지대를 설치한 후에, 제2 보강재를 인양하여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재 및 제2 보강재의 외주면 형상은 상기 레그의 내주면과 같은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된 제1 보강재는 지면 방향으로 하강하여 자체 중량으로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3. 삭제
KR1020150134402A 2015-09-23 2015-09-23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KR10177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02A KR101774915B1 (ko) 2015-09-23 2015-09-23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02A KR101774915B1 (ko) 2015-09-23 2015-09-23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03A KR20170035503A (ko) 2017-03-31
KR101774915B1 true KR101774915B1 (ko) 2017-09-05

Family

ID=5850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02A KR101774915B1 (ko) 2015-09-23 2015-09-23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66A (ja) * 2000-08-04 2002-02-15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基礎の補強構造及び水中基礎の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878A (ko) 2011-08-30 2013-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자켓 구조물 레벨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66A (ja) * 2000-08-04 2002-02-15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基礎の補強構造及び水中基礎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03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091B1 (ko) 부체식 구조물의 보조 부력체 및 부체식 구조물의 개조 방법
KR101407427B1 (ko) 해상파일 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상파일의 설치방법
KR20120132045A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레그를 갖는 잭업 리그
KR101665329B1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KR102223480B1 (ko)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KR20140050186A (ko) 해상 풍력 발전장치 및 이의 급속 설치방법
KR101774915B1 (ko) 자켓용 레그 제작 방법
KR101549196B1 (ko) 해상풍력타워의 설치방법
KR101629477B1 (ko)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4527924A (zh) 半潜式海洋平台上部甲板合拢支撑专用工装
JP4779765B2 (ja) 容器の支持構造改造方法
JP2018059300A (ja) タンクの構築方法
KR101690966B1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KR101635361B1 (ko) 스퍼드캔 및 그 제작공법
KR20220122760A (ko) 풍력 터빈과 같은 하중 구조체를 예를 들어 해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설치하는 방법
CN104831980A (zh) 一种半潜式钻井平台专用塔架及安装方法
KR20170035501A (ko) 자켓모듈 제작 방법
KR101627667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20150003734U (ko) 육상 건조 작업을 위한 잭업 리그의 레그 레벨링 커넥터
KR101486435B1 (ko) 중량구조체와 멀티파일형 중간기둥체의 분할조립형 해상구조물 설치용 중력식 수중지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770920B2 (ja) 鋼管矢板井筒洋上基礎の構築方法および鋼管矢板井筒洋上基礎
KR101487460B1 (ko) 선박의 레그 탑재 방법
EP2510156A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with suction piles and vessela
WO2015126237A1 (en) Offshor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s of installation
KR20150053643A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