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306A - 기둥용 보양 트러스 - Google Patents
기둥용 보양 트러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7306A KR20140087306A KR1020120157102A KR20120157102A KR20140087306A KR 20140087306 A KR20140087306 A KR 20140087306A KR 1020120157102 A KR1020120157102 A KR 1020120157102A KR 20120157102 A KR20120157102 A KR 20120157102A KR 20140087306 A KR20140087306 A KR 201400873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 frame
- wall
- column
- wal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관한 것으로, 동절기, 우천시 등 기둥폼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둥폼을 외부와 차단하여 최적의 양생 조건을 조성하고, 간단하게 설치하며 재사용이 가능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는, 내부에 일정 단면의 공간을 갖도록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된 기둥폼의 둘레부를 감싸 외부와 밀폐하여 보양하는 것으로, 상기 기둥폼의 측면을 감싸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양틀과; 상기 보양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폼의 둘레부와 천정부를 감싸 보양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양막(3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는, 내부에 일정 단면의 공간을 갖도록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된 기둥폼의 둘레부를 감싸 외부와 밀폐하여 보양하는 것으로, 상기 기둥폼의 측면을 감싸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양틀과; 상기 보양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폼의 둘레부와 천정부를 감싸 보양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양막(3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 우천시 등 기둥폼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기둥폼을 외부와 차단하여 최적의 양생 조건을 조성할 수 있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은 내측에 먼저 철근 구조물을 형성한 후, 내면 및 또는 외면에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거푸집을 대어 형틀을 형성하고 그 외측을 프레임과 버팀목 등으로 지지한 상기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양생을 거쳐 기둥,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시공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은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정 시간 동안 양생됨으로써 건축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자연 상태로 방치하여 양생하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부에 외기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이 길어지고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우천시나 동절기에는 여러 가지의 악요인(외부 공기, 비, 눈, 온도 등)이 많아 양생 시간이 더욱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푸집에 보양을 위한 천막 등을 덮어 콘크리트를 외부와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보양을 위한 천막은 1회성이기 때문에 1회만 사용하더라도 훼손이 일어나며, 따라서, 동일한 건축 현장에서 다수의 기둥을 시공할 때마다 다른 천막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기적으로 볼 때 비용이 커지고, 천막의 설치가 불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둥에 관련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기둥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절기, 우천시 등 기둥폼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둥폼을 외부와 차단하여 최적의 양생 조건을 조성하고, 간단하게 설치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는, 내부에 일정 단면의 공간을 갖도록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된 기둥폼의 둘레부를 감싸 외부와 밀폐하여 보양하는 것으로, 상기 기둥폼의 측면을 감싸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양틀과; 상기 보양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폼의 둘레부와 천정부를 감싸 보양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양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양틀과 상기 기둥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보양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바에서 수평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 연결되는 제2수평바, 상기 제2수평바에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둥폼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바로 이루어진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양틀은 마주하는 단부가 이음되는 2개 이상의 벽체틀로 구성되고, 상기 보양막은 상기 벽체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벽체틀과 함께 사용되는 벽체 보양막, 상기 벽체틀 위의 천정부를 덮는 천정부 보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틀 중에서 2개 이상의 벽체틀은 절첩수단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벽체틀 조립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때 동절기, 우천시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는 경우 기둥폼 및 기둥폼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외부와 차단하여 최적의 보양 조건으로 조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시간 단축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기둥을 장기간 동안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양 트러스의 구조상 벽체틀의 간단한 조립과 분리를 통해 보양 트러스를 설치와 해체함으로써 설치와 해체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와 해체시 손상을 극소화할 수 있으므로 다수 회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벽체틀의 구조 변경(단위 벽체틀의 조립, 벽체틀의 폭과 높이조정 가능)을 통해 하나의 벽체틀로서 다양한 크기의 기둥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보양 트러스를 제작 및 취급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보양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2개의 단위 벽체틀로 구성된 것을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절첩수단을 통해 연결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절첩수단으로 연결되는 경우 저부에 바퀴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4개의 벽체틀이 3개, 4개로 연결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연결부재의 예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종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가 원형 단면의 기둥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보양막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보양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2개의 단위 벽체틀로 구성된 것을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절첩수단을 통해 연결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절첩수단으로 연결되는 경우 저부에 바퀴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4개의 벽체틀이 3개, 4개로 연결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연결부재의 예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벽체틀이 종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가 원형 단면의 기둥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용 보양 트러스에 적용된 보양막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둥용 보양 트러스(100)는, 내부에 일정 단면(사각 단면, 원형 단면 등)의 공간을 갖도록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된 기둥폼(1)의 둘레부를 감싸 외부와 밀폐하여 보양하는 것으로, 기둥폼(1)을 감싸도록 골격을 형성하는 보양틀(200)과; 보양틀(200)에 결합되는 보양막(300)으로 구성되며, 바닥에 세워진 기둥폼(1)의 측면 둘레부와 상부를 감싸도록 벽체부 및 천정부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의 기둥을 형성하는 기둥폼(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보양틀(200)은 기둥폼(1)의 4면과 각각 대응되는 4면의 벽체를 형성하며, 즉 4개의 벽체틀(210,220,230,240)로 구성된다.
보양틀(110)은 보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일러(2)[보일러(2)는 연탄 보일러, 목재 보일러, 전기 히터 등 보양 트러스(100) 내부를 보양 온도로 조성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이 가능]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하는 크기, 또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4벽체틀(210,220,230,240)은 서로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벽체틀(21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보양틀(200)이 다수의 벽체틀(210,220,230,240)이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 안에서 사각 틀 형태로 조립된 것도 포함된다. 단, 조립식의 경우 보관 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조립식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벽체틀(210)은 상하 수평부(211,212), 상하 수평부(211,212)의 좌우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 수직부(213,214)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기둥폼(1)의 크기(높이, 폭)가 크기 때문에 종횡방향의 보강재(215)가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벽체틀(210)은 보양막(300)을 설치할 수 있는 틀이므로 전술한 틀의 구조(상하 수평부와 좌우 수직부)로 한정되지 않고 판상일 수도 있다. 단, 판상의 경우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는 갖추어져야 한다.
제1벽체틀(210)을 구성하는 자재는 관, 봉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고, 형상도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지 제4벽체틀(210,220,230,240)이 조립됨으로써 자립이 가능하지만,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세워지도록 제1벽체틀(210)의 좌우 수직부(213,214)의 저부에는 지지부(21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6)는 좌우 수직부(213,214)보다 큰 단면적의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도 3의 원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지부(216)는 수직부(214)에 삽입되는 볼트부(216a)가 구비되며, 볼트부(216a)에는 지지너트(216b)가 체결되어 지지너트(216b)가 볼트부(216a)에서 높이 조정되어 수직부(214)를 지지함으로써 수직부(214)의 높이를 조정한다.
한편, 제1벽체틀(210)은 제조와 운반 등을 감안할 때 그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건축물의 대형화와 고층화에 따라 기둥폼(1)의 크기가 커지고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제1벽체틀(210)이 기둥폼(1)의 일면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벽체틀(21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1,2단위 벽체틀(210-1,210-2)이 결속구(217)를 통해 서로 결속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단위 벽체틀은 3개 이상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제1,2단위 벽체틀(210-1,210-2)을 결속하는 결속구(217)는 다양한 공지의 제품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양쪽 클램프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내지 제4벽체틀(210,220,230,240)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1벽체틀(210)은 자체적으로 폭이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수평부(211,212)는 신축 가능한 2중관식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에 다른 관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길이 가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관에는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다른 관에는 다단의 폭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폭조정공에 폭조정핀이 체결됨으로써 폭 조정 상태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다른 단위 벽체틀을 조립하지 않고 기둥폼(1)의 크기에 맞출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과 작업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적은 폭의 조정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제1 내지 제4벽체틀(210,220,230,240)은 폭방향의 양측이 결속구[전술한 결속구(217)와 동일한 구성 가능]를 통해 서로 결속되어 일정 형상의 보양틀(200)을 구성한다.
제1 내지 제4벽체틀(210,220,230,240)은 각각 단품으로 취급되고, 건설 현장에서 각각의 마주하는 단부가 이웃하는 다른 벽체틀(210,220,230,240)과 결속구로 조립될 수도 있지만, 취급이 용이하도록 2개 이상이 조립 상태로 취급(보관, 운반)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벽체틀(210)과 제2벽체틀(220)은 절첩수단(250)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절첩수단(250)은 제1,3벽체틀(210,230)을 각각 클램핑하는 제1,2클램프(251,252)(공지의 클램프와 동일할 수 있음), 제1,2클램프(251,252)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핀(2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실선은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것이며, 제1,2벽체틀(210,220)은 가상선과 같이 접혀 보관 및 운반되며, 공사 현장에서 실선과 같이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절첩 구조에 따르면, 2개의 벽체틀(210,220)이 함께 취급됨으로써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절첩수단(250)을 통해 서로 결속된 상태이므로 결속구에 의한 결속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2벽체틀(210,220)이 절첩식으로 구성된 경우 어느 하나의 벽체틀 예를 들어 제1벽체틀(210)을 기준으로 하여 제2벽체틀(220)이 절첩 구동할 수 있으며, 이때 제2벽체틀(220)이 절첩이 용이하도록 즉 한 명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제2벽체틀(220)을 절첩할 수 있도록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2벽체틀(220)의 저부에는 지면을 따라 구르는 하나 이상의 바퀴(W)가 갖추어질 수 있다.
물론, 바퀴(W)는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지 않은 단품의 벽체틀(210,220,230,240)에도 적용 가능하다. 단, 기둥의 보양시 보양틀(200)이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가 함께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W)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이동하는 방식,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전동식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제1,2벽체틀(210,230)의 2개의 벽체틀만이 접첩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8a에서처럼 3개의 벽체틀(210,220,230)이 2개의 절첩수단(250,250)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와 도 8b에서처럼, 4개의 벽체틀(210,220,230,240)이 3개의 절첩수단(250,250,250)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양틀(200)은 별도의 자재없이 자립할 수 있고, 견고한 시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포트(브레이싱), 앵커 등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보양틀(200)의 외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부와 하부가 각각 보양틀(200)과 바닥에 고정됨으로써 보양틀(200)을 지지하고, 상기 앵커는 보양틀(200)을 바닥에 고정한다.
또한, 보양틀(200)은 기둥폼(1)과 조립되어 견고하게 더욱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보양틀(200)과 기둥폼(1)은 연결부재(260)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부재(260)는 양측이 보양틀(200)과 기둥폼(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또는 일측은 보양틀(200)에 고정되고 타측은 기둥폼(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종횡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60)는 통상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의 각관, 원형관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양측의 결합구조는 보양틀(200)과 기둥폼(1)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은 클램프를 통해 보양틀(200)에 조립되고 타측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기둥폼(1)의 둘레부에 갖추어진 보강채널(1a)에 핀(1c)이나 체결구 등을 통해 조립된다.
또한, 연결부재(260)는 보양틀(200)과 기둥폼(1)간의 견고한 결속 및 지지강성을 높이고, 조립성도 좋게 하기 위하여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연결부재(26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재(260)는 보양틀(210)에 클램프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수직바(261), 제1수직바(261)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262), 수평바(262)에 연결되는 제2수직바(263), 제2수직바(263)에서 수평 연장 형성되며 기둥폼(1)에 핀 등으로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바(264)로 구성된다.
연결부재(260)는 보양틀(200)과 기둥폼(1)을 연결하는 기능만 수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구조물로도 사용 가능하다.
앞서 벽체틀(210,220,230,240)의 저부에 지지부가 형성(높이 조정도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연결부재(260)의 저부에도 동일한 구조의 지지부(바퀴 포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벽체틀(210,220,230,240)과 연결부재(26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보양틀(200)과 기둥폼(1)을 연결한 상태에서 저부의 지지부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기둥폼(1)의 수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보양틀(200)의 폭만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층 건물이 많아지면서 기둥폼(1)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의 기둥폼(1)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제1벽체틀(210)이 높이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벽체틀(210)은 단위 벽체틀(210-1,210-2)이 종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연결구조는 예컨대, 연결관(270)이 단위 벽체틀(210-1,210-2)에 각각 삽입되고 단위 벽체틀(210-1,210-2)과 연결관(270)에 각각 고정핀(271,272)을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270)은 둘레부에 단위 벽체틀(210-1,210-2)을 지지하는 지지부(273)가 외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1벽체틀(210)은 자체적으로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우 수직부(213,214)는 신축 가능한 2중관식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에 다른 관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길이 가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관에는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다른 관에는 다단의 높이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높이조정공에 높이조정핀이 체결됨으로써 높이가 조정 상태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다른 단위 벽체틀을 종방향을 따라 조립하지 않고 기둥폼(1)의 크기에 맞출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과 작업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적은 높이의 조정에 매우 효과적이다.
보양막(300)은 보양틀(200)을 감싸 기둥폼(1)을 외부와 밀폐함으로써 보양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보양틀(20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작업이 어려울 것이므로 벽체틀(210,220,230,240)에 각각 결합되어 벽체틀(210,220,230,240)의 설치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 보양틀(200)에 천정틀(천정틀이 구성되어 벽체틀 위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미 벽체틀만으로도 천정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천정틀을 사용하지 않는다)이 구성되지 않으므로 천정부에는 별도로 보양막(300)을 설치한다. 즉, 보양막(300)은 상기 벽체틀에 각각 결합되어 벽체틀과 함께 사용되는 벽체 보양막, 상기 벽체틀 위의 천정부를 덮는 천정부 보양막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천정부도 벽체틀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천정부 보양틀(280)을 통해 설치될 수도 있다. 천정부 보양틀(280)은 절첩수단을 통해 어느 하나의 벽체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양막(300)이 각각의 벽체틀(210,220,230,240)에 구성되면, 벽체틀(210,220,230,240) 사이에 온기가 누출되는 틈이 생기게 될 것이며, 이는 보양 효과를 저하시켜 보양장치로서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양막(300)의 단부[벽체틀(210,220,230,240)의 이음부]에는 상기 틈을 덮으면서 이웃하는 벽체틀(210,220,230,240)[또는 이웃하는 벽체틀(210,220,230,240)에 결합된 보양막]에 결합되는 덮음부(31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음부(310)는 벨크로 파스너, 와이어, 단추, 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덮음부(310)는 벽체틀(210,220,230,240)의 사이 천정과 벽체틀(210,220,230,240) 사이의 모든 곳에 적용된다.
보양막(300)은 둘레부 중 일측 이상에 출입부(320)가 구비된다. 출입부(320)는 보양막(300)에 일정 크기로 3방향 좌우 수직부 및 바닥부의 형태로 절개되어 절개되지 않은 상부를 통해 젖혀지면서 공간이 개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보양막(300)은 보양이 가능한 모든 재질이 가능하므로 재질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는 보양막(300)의 천정부가 평면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천정부에 눈이나 비가 쌓이지 않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 산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양막(300)의 천정부에는 보일러(2)의 연통을 수용하는 연통 수용공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보양틀(200)이 틀의 형태가 아니라 판의 형태라면 보양막(300)은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사각 단면의 기둥 즉 사각틀형의 기둥폼(1)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형 단면의 기둥폼(1)에도 적용 가능하며, 4개의 벽체틀(210,220,230,240)은 각각 45ㅀ일 수 있다. 물론, 보양틀(200)은 4개의 벽체틀(210,220,230,240)로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벽체틀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이외의 구성(벽체틀의 결합구조, 절첩 구조 등)은 전술한 사각틀형 기둥폼(1)에 적용된 것과 동일하다.
도 12는 보양막(300)과 벽체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예로서, 보양막(300)은 제1벽체틀(210)보다 적은 면적의 크기이면서 둘레부가 케이블 타이(330)나 와이어로 묶여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보양막(300)의 둘레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연결띠(3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띠(340)는 제1벽체틀(210)의 상하 수평부와 좌우 수직부를 감싸면서 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으로 고정된다.
1 : 기둥폼,
100 : 보양 트러스,
200 : 보양틀, 210,220,230,240 : 벽체틀
250 : 절첩수단, 260 : 연결부재
270 : 연결관, 300 : 보양막
100 : 보양 트러스,
200 : 보양틀, 210,220,230,240 : 벽체틀
250 : 절첩수단, 260 : 연결부재
270 : 연결관, 300 : 보양막
Claims (16)
- 내부에 일정 단면의 공간을 갖도록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된 기둥폼의 둘레부를 감싸 외부와 밀폐하여 보양하는 것으로,
상기 기둥폼의 측면을 감싸는 골격을 형성하는 보양틀과;
상기 보양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폼의 둘레부와 천정부를 감싸 보양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양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양틀과 상기 기둥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6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보양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수직부(261), 상기 제1수직바에서 수평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262), 상기 수평바에 연결되는 제2수평바(263), 상기 제2수평바에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둥폼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바(2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양틀은 마주하는 단부가 이음되는 2개 이상의 벽체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양틀은 상기 벽체틀의 위에 올려지는 천정부 보양틀(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 보양틀은 상기 벽체틀에 절첩수단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양막은 상기 벽체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벽체틀과 함께 사용되는 벽체 보양막, 상기 벽체틀 위의 천정부를 덮는 천정부 보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벽체 보양막과 상기 천정부 보양막의 단부에는 상기 벽체틀들과 천정 사이의 틈을 덮어 마감하는 덮음부(3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 중에서 2개 이상의 벽체틀은 절첩수단(250)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벽체틀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 조립체를 구성하는 벽체틀 중에서 하나 이상의 벽체틀의 저부에는 바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은 상기 기둥폼의 크기에 맞도록 2개 이상의 단위 벽체틀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은 폭과 높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은 저부에 높이 조정이 가능한 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볼트부를 통해 상기 벽체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볼트부에는 지지너트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상기 벽체틀이 높이 조정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은 상하 수평부와 좌우 수직부에 의한 틀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보양막은 출입부(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양막은 둘레부가 상기 보양틀에 케이블 타이(330)를 통해 매듭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보양막의 둘레부에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보양틀을 감싸 고정하는 연결띠(340)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보양 트러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102A KR20140087306A (ko) | 2012-12-28 | 2012-12-28 | 기둥용 보양 트러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102A KR20140087306A (ko) | 2012-12-28 | 2012-12-28 | 기둥용 보양 트러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7306A true KR20140087306A (ko) | 2014-07-09 |
Family
ID=5173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7102A KR20140087306A (ko) | 2012-12-28 | 2012-12-28 | 기둥용 보양 트러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87306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15634A (zh) * | 2019-07-29 | 2019-10-11 |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预制构件养护窑及其使用方法 |
CN111455861A (zh) * | 2020-04-30 | 2020-07-28 | 丁钟魁 | 一种桥墩覆膜装置 |
CN111455860A (zh) * | 2020-04-30 | 2020-07-28 | 丁钟魁 | 一种桥墩养护装置 |
WO2022110949A1 (zh) * | 2020-11-30 | 2022-06-02 | 中国电建集团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墩柱薄膜覆盖的装置 |
-
2012
- 2012-12-28 KR KR1020120157102A patent/KR201400873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15634A (zh) * | 2019-07-29 | 2019-10-11 |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预制构件养护窑及其使用方法 |
CN111455861A (zh) * | 2020-04-30 | 2020-07-28 | 丁钟魁 | 一种桥墩覆膜装置 |
CN111455860A (zh) * | 2020-04-30 | 2020-07-28 | 丁钟魁 | 一种桥墩养护装置 |
WO2022110949A1 (zh) * | 2020-11-30 | 2022-06-02 | 中国电建集团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墩柱薄膜覆盖的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3637B1 (ko) |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 |
KR101553345B1 (ko) |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 |
US20150191922A1 (en) | Ergonomic strategy and system for cast construction | |
KR20140087306A (ko) | 기둥용 보양 트러스 | |
JP2011111886A (ja) | 現場溶接なしに施工可能な建物の外壁施工装置 | |
JP2013104287A (ja) | 隣地空無し外断熱石貼りrc−ロイヤル | |
KR20130139028A (ko) | 모듈러 유닛 운송 최적화 볼륨 축소형 패킹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킹방법 | |
JP2014136956A (ja) | 屋根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KR100949785B1 (ko) | 피씨 보 제작용 몰드 | |
WO1985003966A1 (fr) | Elements de structure et procede de realisation | |
US10132077B2 (en) | Fast construction of energy-efficient buildings | |
KR100891347B1 (ko) |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 |
KR20130003047U (ko) |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 |
JP5302441B2 (ja) |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 |
JP2002213077A (ja) |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 |
PH12015500124B1 (en) | Device for producing a monolithic room module | |
KR102255700B1 (ko) |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 |
JP6760564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を構成する仮枠と天井パネル仮枠の支持構造 | |
KR20100051780A (ko) |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 |
ES2334730A1 (es) | Sistema de construccion mecanizado, para viviendas y edificios en general, con aplicacion un encofrado colaborante y permanente. | |
JP3936634B2 (ja) | テンショントラス構造体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 | |
EA009140B1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тяже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протяжен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колонна, изготовл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 |
JP6700384B2 (ja) | 型枠パネルアセンブリ | |
IT201800005726A1 (it) | Modulo prefabbricato per la realizzazione o il consolidamento di costruzioni edilizie e metodo di realizzazione | |
ITBO20110755A1 (it) | Telaio reggispinta per una cassaforma a perde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