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218A -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218A
KR20140087218A KR1020120156423A KR20120156423A KR20140087218A KR 20140087218 A KR20140087218 A KR 20140087218A KR 1020120156423 A KR1020120156423 A KR 1020120156423A KR 20120156423 A KR20120156423 A KR 20120156423A KR 20140087218 A KR20140087218 A KR 2014008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impact
unit
impacte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983B1 (ko
Inventor
노명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9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체가 충돌하는 구조물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충돌체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피충돌부와, 상기 피충돌부에 충돌체가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는 단위충격흡수모듈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이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구조에 의하면, 충격을 흡수하는 부분이 단위 모듈 형태로 구비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구조 {STRUCTURE FOR ABSORPTION OF IMP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단위충격흡수모듈이 적어도 한개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피충돌체로부터 보호하는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차량의 대형화로 수상 및 육상 교각 구조물에서 대형 충돌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어 교각보호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의 내하력과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교각은 대형 선박이나 대형 트럭이 교각에 충돌하게 되는 경우 교각 자체에 심각한 국부 손상을 초래하여 붕괴까지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충돌체의 충돌로부터 피충돌체 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흡수구조는 충돌로 인해 손상된 부분을 따로 교체하기 어려워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공기간도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충격흡수구조는 충돌체의 충돌이 직접 일어나는 부분에 변형력이 작게 발생하여 충돌에너지의 흡수효율이 높지 않아 교각 등의 피충돌체를 충돌체로부터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적어도 1개의 단위모듈형태로 구비된 충격흡수부가 충돌체가 충돌하는 피충돌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충돌체가 충돌하는 피충돌체를 보호하기 위해 피충돌체를 FRP 소재로 사용하는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충돌체가 충돌하는 구조물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충돌체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피충돌부와, 상기 피충돌부에 충돌체가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는 단위충격흡수모듈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이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은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충격흡수부는, 일측은 상기 피충돌부와 연결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소재로 구비되는 밴드부 및, 일측은 상기 밴드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밴드부는 다각형 형상의 단위입체로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육각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밴드부는 상기 피충돌부와 상기 하부판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밴드부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은 각각의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충격흡수부재는 본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충돌부 및 상기 하부판은 각각 상기 밴드부가 삽입되도록 슬릿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피충돌부 및 상기 하부판은 각각 상기 밴드부와 본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을 흡수하는 부분이 단위 모듈 형태로 구비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충돌체의 충돌에 의해 충격 흡수부가 파손된 경우, 충격 흡수부가 단위 모듈 형태로 설치되어 수리 및 복구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충격 흡수부의 각각의 부분에 최적의 소재로 구비를 구비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위충격흡수모듈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구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밴드부의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충격흡수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밴드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구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충격흡수구조를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구조(100)는 충돌체가 충돌하는 구조물의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를 충돌체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10)는 충돌체의 충돌로부터 보호할 대상인 피충돌체로서, 예를 들어, 교량의 교각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충돌체는 차량, 선박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는 도 1에서 원형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부(110)는 충돌체가 충돌되는 피충돌체에 해당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은 단위 모듈 형태로 복수개가 상기 지지부(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은,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은 복수개의 단위모듈이 상기 지지부(110)의 길이방향, 즉 도면상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지지부(110)가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되는 부분에 곡률이 형성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이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10) 전체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부(110)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원형 기둥 뿐만 아니라, 다각형의 각형 기둥 형상 또는 비정형적인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상기 지지부(110)의 형상에 구애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11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하나의 작은 단위체로 구성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을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부(110)의 전체에 이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이 상기 원기둥 형상인 상기 지지부(110)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단위 모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의 하부판이 유연성 있는 소재로 구비되지 않는 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기 어렵다.
반면에,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이 원주 방향이 아닌 원기둥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원기둥의 곡률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의 하부판이 강성을 구비하여 변형되지 않는다 하여도,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구조(200)는 상기 지지부(110)의 곡률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은, 상기 지지부(110)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110)를 충돌체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피충돌부(210)와, 상기 충돌부에 충돌체가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피충돌부(210)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RP 소재는 내충격성이 뛰어며 재료가 상대적으로 가볍다. 그래서, 상기 피충돌부(210)를 지지부(110)의 일측에 설치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돌체의 충돌에 의해서도 파손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리고, 상기 피충돌부(210) 뿐만 아니라, 이하 설명할 상기 충격흡수부(220)도 전술한 이유로 FRP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220)는, 일측이 상기 피충돌부(210)와 연결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소재로 구비되는 밴드부(221)와, 일측은 상기 밴드부(221)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되는 하부판(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밴드부(221)는 다각형 형상의 단위 입체로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221a)가 복수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밴드부(221)는 육각기둥형상의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가 상하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가 육각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각형 기둥형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밴드부(221)는 충격흡수부재(221a)가 상기 피충돌부(210)와 상기 하부판(222)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밴드부(22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기 밴드부(221)가 육각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할때 유연성이 더욱 확보되어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221)는 상기 피충돌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에너지 흡수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이 FRP 소재와 같이 서로 본드 결합할 수 있는 물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밴드부(221)는 상기 피충돌부(210)와 상기 본드 상기 피충돌부(210)와 상기 하부판(222)에 본딩 연결할 수 있다.
다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밴드부(221)와 접합되는 상기 피충돌부(210)와 상기 하부판(222)은 일측에 슬릿(240)(240)이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피충돌부(210)의 슬릿(240)과 상기 하부판(222)의 슬릿(240)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상기 피충돌부(210)는 본딩 결합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판(222)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0)와 결합하는 것과 같이 체결부재(1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슬릿(240)에 삽입된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는 상부는 상기 피충돌부(210)으로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판(222)와 연결되어, 상기 피충돌체와 상기 하부판(222) 사이에 고정될 수 있고, 충돌체가 피충돌체에 충돌시 상기 밴드부(221)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200)은 이웃하는 충격흡수부재(221a)끼리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3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재(230)가 복수개의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는 이웃하는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와 본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가 FRP 소재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충격흡수부재(221a)가 본딩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판(222)은 상기 지지부(11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상기 하부판(222)은 하나의 체결부재(120)로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단위충격모듈러가 이웃하는 상기 단위충격흡수 모듈러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체결부재(120)에 의해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웃하는 단위충격모듈러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웃하는 상기 하부판(222)을 서로 겹친 형태로 체결부재(120)에 의해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충격흡수구조 110: 지지부
120: 체결부재 200: 단위충격흡수모듈
210: 피충돌부 220: 충격흡수부
221: 밴드부 221a: 충격흡수부재
222: 하부판 230: 연결부재
240: 슬릿

Claims (12)

  1. 충돌체가 충돌하는 구조물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충돌체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피충돌부와, 상기 피충돌부에 충돌체가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는 단위충격흡수모듈;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이 지지부 일측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은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일측은 상기 피충돌부와 연결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소재로 구비되는 밴드부; 및
    일측은 상기 밴드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격흡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다각형 형상의 단위입체로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육각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피충돌부와 상기 하부판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충격흡수모듈은,
    각각의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10.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충격흡수부재는 본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충돌부 및 상기 하부판은 각각 상기 밴드부가 삽입되도록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충돌부 및 상기 하부판은 각각 상기 밴드부와 본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구조.
KR1020120156423A 2012-12-28 2012-12-28 충격흡수구조 KR10142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423A KR101429983B1 (ko) 2012-12-28 2012-12-28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423A KR101429983B1 (ko) 2012-12-28 2012-12-28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218A true KR20140087218A (ko) 2014-07-09
KR101429983B1 KR101429983B1 (ko) 2014-08-18

Family

ID=5173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423A KR101429983B1 (ko) 2012-12-28 2012-12-28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9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25B1 (ko) * 2015-02-11 2015-06-25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지하주차장 기둥보호 구조물
CN109797688A (zh) * 2019-01-28 2019-05-24 广州大学 一种公路桥墩防撞装置
CN110080089A (zh) * 2019-05-30 2019-08-02 山东大学 一种桥墩智能综合防撞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45Y1 (ko) * 2000-06-20 2001-02-15 주식회사서린건축사사무소 완충물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0239156Y1 (ko) * 2001-03-22 2001-10-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교량의 교각 보호용 충격흡수커버
JP2002309518A (ja) 2001-04-17 2002-10-23 Hideji Hoshimura 衝撃吸収具
KR101164333B1 (ko) * 2010-03-18 2012-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25B1 (ko) * 2015-02-11 2015-06-25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지하주차장 기둥보호 구조물
CN109797688A (zh) * 2019-01-28 2019-05-24 广州大学 一种公路桥墩防撞装置
CN109797688B (zh) * 2019-01-28 2022-04-26 广州大学 一种公路桥墩防撞装置
CN110080089A (zh) * 2019-05-30 2019-08-02 山东大学 一种桥墩智能综合防撞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983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0182B2 (en) Battery structure and protector
JP5823487B2 (ja) 車両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エネルギーリザーバ支持体
KR102182842B1 (ko) 차체충돌방지구조
KR101056065B1 (ko) 이중 방호벽
KR101429983B1 (ko) 충격흡수구조
KR101402021B1 (ko) 차량용 범퍼유닛
JP2015094100A (ja) ガードレール端末部緩衝袖ビーム
CN110258313B (zh) 一种桥墩防护装置
KR100753176B1 (ko) 도로 지주용 완충장치
KR101307683B1 (ko) 충격 흡수 가능한 차량용 방호책
US9114837B2 (en) Force-deflecting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for protecting against an impact of a curb edge against an underside of the motor vehicle
CN210104639U (zh) 一种桥墩防撞装置
KR101369119B1 (ko) 중공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101164333B1 (ko)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KR101369079B1 (ko) 판상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101655390B1 (ko)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KR20120038050A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1018861B1 (ko) 차량방호용 충격흡수 장치
KR20170011466A (ko) 지주용 완충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완충 장치
KR102541632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KR101694761B1 (ko)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CN213862508U (zh) 一种全包围保险杠
CN218720591U (zh) 气瓶保护组件
JP7318867B2 (ja) 防護柵およびその設置方法
CN212128977U (zh) 一种公路专用安全防撞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