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980A -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980A
KR20140086980A KR1020147010856A KR20147010856A KR20140086980A KR 20140086980 A KR20140086980 A KR 20140086980A KR 1020147010856 A KR1020147010856 A KR 1020147010856A KR 20147010856 A KR20147010856 A KR 20147010856A KR 20140086980 A KR20140086980 A KR 20140086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resin
insulating layer
via ho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671B1 (ko
Inventor
슈키치 타키
노리아키 타네코
시게루 미치와키
미쯔호 쿠로수
유이치로 나야
Original Assignee
메이코 일렉트로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코 일렉트로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메이코 일렉트로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4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ink-jet printing or drawing by dispensing
    • H05K3/12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ink-jet printing or drawing by dispensing by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73Application methods or materials of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s not specially adapted to any one of the previous methods of adding a circuit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5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using a substrate provided with a shape pattern, e.g. grooves, banks, resist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10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 H01L2221/1005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 H01L2221/101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3Inkjet printing, e.g. for printing insulating material or resi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0Us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laser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0Us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laser light
    • H05K2203/107Using laser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2Solder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양면에 금속막이 부착된 절연기재(2)에 대해 상기 금속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내층회로(3)를 형성하는 내층회로 형성공정과, 상기 절연기재(2)의 양면 각각에 제1 절연수지(4)를 잉크젯 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절연층(5)을 형성하는 절연층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1 절연수지(4)를 도포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회로(3)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비아홀(6)을 형성한다. 따라서 레이저 등에 의해 별도로 비아홀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 없어 비교적 저렴해지고, 제조 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의 제조 방법{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잉크젯 기술을 이용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아홀(via hole)의 형성에 의해 고밀도 접속이 실현된 다층 기판(HDI)을 제조하는 경우 그 절연층의 형성에 있어서, 프리프레그(prepreg) 및 동박(copper foil)을 진공 프레스(vaccum press) 등으로 적층(積層) 경화(硬化)시키고, 비아홀 형성 부분의 동박을 에칭(etching) 등으로 제거한 후, 레이저 가공에 의해 비아홀을 형성하였다. 또는 동박에 표면 처리를 수행하고 직접 레이저 가공에 의해 비아홀을 형성하였다.
비아홀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니스 모양의(varnish-like) 잉크 수지(resin)를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커튼 코트(curtain coat), 롤 코터(roll coater) 또는 스프레이 등에 의해 경질(硬質)의 코어 기판의 양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塗布)한 후, 노광(exposure)과 현상(development)에 의해 형성하거나(수지가 감광성인 경우), 프리프레그와 마찬가지로 레이저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 레이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싼 레이저 가공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레이저 가공 조건에 따라 접속 불량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감광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수지가 기판의 절연층이 될 재료로서 항상 충분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재료 선택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가 없으며, 기판에 이용될 수 있는 감광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고가이다.
일본 특개2009-10266호공보
본 발명은, 레이저 또는 감광성 수지를 이용하여 비아홀을 형성하는 방법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제조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는 기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면에 금속막(metal film)이 부착된 절연기재(insulating base material)에 대해 상기 금속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내층 회로를 형성하는 내층 회로 형성 공정과, 상기 절연기재의 양면 각각에 제1 절연수지를 잉크젯 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층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형성 공정에서 상기 제1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 회로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1 절연수지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하고, 상기 제1 절연수지가 상기 절연기재의 표면에 탄착(彈着)된 직후에 상기 탄착 위치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비아홀이 되어야 할 위치를 둘러싸는 위치에 상기 제1 절연수지를 탄착시킨 후 경화시켜 토수부(土手部)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절연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회로 형성 공정 후 상기 절연층 형성 공정 전에, 상기 내층회로가 형성된 상기 절연기재의 표면에 코로나(corona) 처리, 저압 UV 조사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 형성 공정 후,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층회로를 형성하는 외층회로 형성 공정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제2 절연수지를 잉크젯 방식에 의해 선택적인 위치에 도포하여 레지스트층(resist layer)을 형성하는 레지스트층 형성 공정을 더 구비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젯 방식에 의해 절연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연층의 형성과 동시에 비아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등에 의해 별도로 비아홀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 없어 비교적 저렴해지고, 제조 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수지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하고, 이 제1 절연수지가 절연기재의 표면에 탄착된 직후, 탄착 위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1 절연수지가 필요 이상으로 젖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아홀이 되어야 할 위치를 둘러싸는 위치에 제1 절연수지를 탄착시킨 후 경화시켜 토수부를 형성하고, 그 후에 절연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토수부에 의해 비아홀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다. 이를 통해 확실하게 비아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층회로가 형성된 절연기재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저압 UV 조사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여, 절연기재의 표면 개질(reforming)을 수행하고, 제1 절연수지에 대한 젖음성(wettability)을 최적화할 수 있다. 특히, 수지와 구리가 혼재되어 있는 절연기재에 대해서 이와 같은 젖음성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이 유용하다. 장치의 가격 및 유지 비용 등을 고려하면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젯 방식에 의해 레지스트층을 형성하여 비아홀 부분이 개구된 레지스트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로 레지스트에 대해 비아홀 부분을 개구시키기 위한 공정은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토수부를 형성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제조방법은, 우선 내층회로 형성 공정을 수행한다. 내층회로 형성 공정은,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에 금속막(1)이 부착된 절연기재(2)를 준비한다. 금속막(1)은 예를 들면 동박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막(1)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패턴형성된 내층회로(3)를 형성한다.
다음은, 절연층 형성 공정을 수행한다. 절연층 형성 공정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기재(2)의 양면 각각에 제1 절연수지(4)를 잉크젯 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절연층(5)이 형성된다. 제1 절연수지(4)는 공지의 잉크젯 장치를 이용하여 분출장치(8)의 노즐(7)에서 분출되어 절연기재(2)(또는 내층회로(3)) 상에 탄착된다. 노즐(7)은 절연기재(2)에 대해 일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3의 화살표 A방향). 이 때, 잉크젯 방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1 절연수지(4)는 선택적으로 절연기재(2) 상에 탄착되고, 동시에 비아홀(6)이 형성된다. 이 비아홀(6)은 내층회로(3)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절연수지를 도포하여 절연층(5)이 형성되는 동시에 비아홀(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잉크젯 방식에 의해 절연층(5)을 형성하면 레이저 등에 의해 별도로 비아홀(6)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 없어 비교적 저렴해지고, 제조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이 절연층(5)은 절연기재(2)의 단면마다 형성되고 최종적으로 양면에 형성된다. 이 공정을 거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아홀(6)이 형성된 절연층(5)이 형성된다.
비아홀(6)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비아 바닥의 디스미어(desmear) 처리는 불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비아홀(6)을 형성한 경우에는 비어 바닥에 스미어(smear)가 발생하기 때문에, 비어 바닥의 접속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미어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절연층(5)과 비아홀(6)을 동시에 형성하는 본 발명은, 이러한 스미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디스미어 처리가 불필요하다. 특히,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면 자외선으로 즉시 경화시키면서 절연층(5)을 형성하므로, 액류(液流)가 발생하지 않고 절연층(5)의 형상은 변형(deform)되지 않는다. 또한, 액적(液滴)의 크기나 피치(pitch)를 변경하여 소경(small diameter)(μm 크기)을 갖는 비아홀(6)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절연층(5)과 비아홀(6)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특히 유리하다. 즉, 스크린 인쇄에서는 절연층의 경화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액류가 발생하고 절연층의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크린 인쇄에서는 소경의 비아홀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비아홀(6)을 정밀하게 또는 소경의 비아홀을 형성하려면, 잉크젯 방식에 의한 제1 절연수지(4)의 액적을 작게 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방법으로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 피치를 단순히 줄이는 방법이 있다. 또는, 여러 노즐 헤드를 조합하여 노즐 위치를 서로 쉬프팅(shifting)하여 배치하거나, 헤드를 헤드의 진행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취부(取付)하여 실질적으로 노즐 피치를 줄이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적의 사출(射出) 타이밍을 서로 쉬프팅하여 탄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및 그 프로그램에 대응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잉크젯 방식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출 도포되는 제1 절연수지(4)는 잉크젯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도(粘度)의 것을 이용한다. 특히, 절연층(5)을 형성하는 제1 절연수지(4)가 절연기재(2) 및 내층회로(3) 모두에 탄착될 때 젖음 확산성이 중요하다. 젖음 확산성이 크면 제1 절연수지(4)가, 형성되어야 하는 비아홀(6) 내부나 절연기재(2)의 외측으로 흘러 버려 해상도를 열화(劣化)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는, 도포 두께의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젖음 확산성이 작으면, 극단적인 경우 액적이 볼(ball) 형상으로 잔존한 채 경화되거나 액을 튕기거나 해버린다.
이 젖음 확산성을 최적으로 하려면, 제1 절연수지(4)가 도포되는 절연기재(2)의 젖음성을 최적화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이 전제로 하고 있는 수지(절연기재(2))와 구리(내층회로(3))가 혼재되어 있는 절연기재(2)에 대해서 이와 같은 젖음성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최적화는, 내층회로 형성 공정 후 절연층 형성 공정 전에 내층회로(3)가 형성된 절연기재(2)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저압 UV 조사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절연기재(2)의 표면 개질을 수행하여 제1 절연수지(4)에 대한 젖음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장치의 가격 및 유지 비용 등을 고려하면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젯 장치에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장치(9)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조사장치(9)는 이동방향 A에 대해 분출장치(8)를 추종(追從)하여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잉크젯 장치의 잉크젯 헤드의 연장상에 조사장치(9)를 취부하고, 잉크젯 헤드가 움직이는 구조의 경우, 이와 동시에 조사장치(9)도 움직이는 구조로 한다. 제1 절연수지(4)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하면, 제1 절연수지(4)가 절연기재(2)의 표면에 탄착한 직후에 이 탄착 위치에 자외선(P)이 조사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절연수지(4)는 경화 또는 반경화 되어, 제1 절연수지(4)가 필요 이상으로 젖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화는 적어도 수지(4)가 흐르지 않을 정도로만 굳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수지(4)를 탄착 직후에 경화시킴으로서, 절연기재(2)에 대해 한 면씩 도포하는 경우 필요한 프리큐어(pre-cure) 공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제1 절연수지(4)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로 하고 절연층(5)을 형성한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1 절연수지(4)를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층 형성공정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기재(2)에는 내층회로(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형상(uneven shape)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분에 스크린 인쇄 등을 수행하면 인쇄 후의 표면에도 요철형상이 남아 버린다. 본 발명이 적용하는 잉크젯 방식에서는, 요철형상의 오목한 부분을 겨냥하여 더 많은 수지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표면의 균일화가 가능하다.
또한, 절연층 형성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비아홀(6)이 되어야 할 위치를 둘러싸는 위치에 제1 절연수지(4)를 탄착하고 이를 경화시켜 토수부(土手部)(10)(도 10 참조)를 형성하고, 그 후에 절연층(5)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아홀(6)이 되어야 할 위치의 주위에 몇 점(액적)을 도포하여 토수부(10)를 형성하고, 이 토수부(10)를 경화시킨 후 토수부(10)의 외측(비아홀(6)을 형성하지 않는 측)에 대하여 제1 절연수지(4)를 도포한다. 이 경우, 토수부(10)를 도포하는 수지와 그 후에 도포하는 수지의 점도를 변경하는 등 하여 평탄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토수부(10)를 형성하고, 그 후에 절연층(5)을 형성하면 토수부(10)에 의해 비아홀(6)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다. 이렇게 하면, 확실하게 비아홀(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장(實裝)이나 사용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절연층(5)을 두껍게 하고 싶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수지(4)의 도포 방법으로는, 1회 도포에서 띄엄띄엄 착탄(着彈)시켜 이를 건조하고, 2회 도포에서 이들 틈새를 겨냥하여 착탄시키는 방법이 있다.
빌드업(buildup) 절연층과 같이 어느 정도 두께(40μm~80μm 정도)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액적을 작게 한 경우에는, 필요한 절연층 두께는 1회 도포만으로는 얻을 수 없다. 이 경우 여러 회의 도포를 수행하거나 헤드를 여러 개 탑재(搭載)하여 필요한 두께를 얻는 방법이 있지만, 도포하지 않는 개구부의 형상을 유지하려면 1회 도포한 후 자외선 등으로 어느 정도 경화시켜 형상을 유지시킨 후 2회 이후를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절연층 형성공정 후, 외층회로 형성공정을 수행한다. 이 외층회로 형성공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층(5) 및 절연기재(2)를 관통하는 관통구멍(through-hole)(11)을 형성한다. 이 관통구멍은 드릴비트(drill bit)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금처리를 수행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층(5)의 표면, 관통구멍(11)의 내면, 그리고 비아홀(6)의 내표면에 도금막을 형성한다. 이 도금막(12)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구리이다. 그리고, 에칭 등을 이용하여 도금막(12)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층(5)의 표면에 외층회로(13)를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층 형성공정을 수행한다. 이 레지스트층 형성공정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연수지(14)를 잉크젯 방식에 의하여 외층회로(13)에 대해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비아홀(6) 및 관통구멍(11)을 남기고 도포된다. 이 제2 절연수지(14)가 외층회로(13) 상에 도포되어 레지스트층(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레지스트층(15)의 형성 또한 잉크젯 방식을 이용함으로서, 비아홀 부분이 개구된 레지스트층(솔더(solder) 레지스트)(15)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로 레지스트에 대해 비아홀 부분을 개방시키기 위한 공정은 불필요해진다. 잉크젯 방식으로 제2 절연수지(14)의 도포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절연수지(4)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잉크젯에 의한 선택적인 절연수지의 도포에 의해, 빌드업 기판(HDI)의 절연층(5) 및 레지스트층(15)을 형성하는 것이다. 절연층(5)의 형성 시에는 비아홀(6)에 잉크젯 액적이 도포되지 않도록, 레지스트층(15)의 형성 시에는 비아홀(6)에 대응하는 부분 등에 잉크젯 액적이 도포되지 않도록, 그 도포 범위를 잉크젯의 인쇄 데이터로 미리 준비해 둔다. 이를 통해, 절연층(5) 및 레지스트층(15)의 형성과 동시에 비아홀(6) 및 레지스트의 개구를 제공할 수 있어 공정이 간략화되고, 저렴한 빌드업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1: 금속막
2: 절연기재
3: 내층회로
4: 제1 절연수지
5: 절연층
6: 비아홀
7: 노즐
8: 분출장치
9: 조사장치
10: 토수부
11: 관통구멍
12: 도금막
13: 외층회로
14: 제2 절연수지
15: 레지스트층
P: 자외선

Claims (5)

  1. 양면에 금속막이 부착된 절연기재에 대해 상기 금속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내층회로를 형성하는 내층회로 형성공정과,
    상기 절연기재의 양면 각각에 제1 절연수지를 잉크젯 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층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1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회로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1 절연수지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하고, 상기 제1 절연수지가 상기 절연기재의 표면에 탄착된 직후에 상기 탄착 위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비아홀이 될 위치를 둘러싸는 위치에 상기 제1 절연수지를 탄착시킨 후 경화시켜 토수부를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회로 형성공정 후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 전에,
    상기 내층회로가 형성된 상기 절연기재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저압 UV 조사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형성공정 후,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층회로를 형성하는 외층회로 형성공정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제2 절연수지를 잉크젯 방식에 의해 선택적인 위치에 도포하여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레지스트층 형성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47010856A 2011-09-30 2011-09-30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597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2588 WO2013046441A1 (ja) 2011-09-30 2011-09-30 基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980A true KR20140086980A (ko) 2014-07-08
KR101597671B1 KR101597671B1 (ko) 2016-02-26

Family

ID=4799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856A KR101597671B1 (ko) 2011-09-30 2011-09-30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0711B2 (ko)
EP (1) EP2763517A4 (ko)
JP (1) JP5779250B2 (ko)
KR (1) KR101597671B1 (ko)
CN (1) CN103828495B (ko)
TW (1) TWI535351B (ko)
WO (1) WO20130464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858A (ko) * 2016-11-03 2018-05-14 주식회사 심텍 인쇄회로기판 상에 광감응성 패턴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전도층을 형성하는 방법
KR20230087187A (ko) 2021-12-09 2023-06-16 안하영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2308B2 (ja) * 2015-06-10 2019-09-04 株式会社Fuji 回路パターン形成装置
JPWO2017077603A1 (ja) * 2015-11-04 2017-11-02 株式会社メイコー 印刷硬化方法、印刷硬化装置、及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CN113498264B (zh) * 2020-04-08 2023-02-28 深南电路股份有限公司 线路板及其加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1828A1 (en) * 2004-08-20 2007-06-21 Seiko Epson Corporation Multi-layered structure forming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apparatus
JP2009010266A (ja) 2007-06-29 2009-01-15 Meiko:Kk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US20090205859A1 (en) * 2008-02-14 2009-08-20 Ibiden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with built-in electronic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145B2 (en) * 2001-09-05 2009-11-10 Ze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resin base material
CN1738517A (zh) * 2004-08-20 2006-02-2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多层结构形成方法、配线基板和电子仪器的制造方法
JP4506809B2 (ja) * 2004-08-20 2010-07-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多層構造形成方法、配線基板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4059260B2 (ja) * 2004-09-27 2008-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多層構造形成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US7596842B2 (en) * 2005-02-22 2009-10-06 Oak-Mitsui Inc. Method of making multilayered construction for use in resistors and capaci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1828A1 (en) * 2004-08-20 2007-06-21 Seiko Epson Corporation Multi-layered structure forming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apparatus
JP2009010266A (ja) 2007-06-29 2009-01-15 Meiko:Kk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US20090205859A1 (en) * 2008-02-14 2009-08-20 Ibiden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with built-in electronic compon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858A (ko) * 2016-11-03 2018-05-14 주식회사 심텍 인쇄회로기판 상에 광감응성 패턴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전도층을 형성하는 방법
KR20230087187A (ko) 2021-12-09 2023-06-16 안하영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671B1 (ko) 2016-02-26
TW201322861A (zh) 2013-06-01
CN103828495A (zh) 2014-05-28
EP2763517A4 (en) 2015-07-08
EP2763517A1 (en) 2014-08-06
JP5779250B2 (ja) 2015-09-16
TWI535351B (zh) 2016-05-21
JPWO2013046441A1 (ja) 2015-03-26
CN103828495B (zh) 2016-12-28
US9380711B2 (en) 2016-06-28
US20140224762A1 (en) 2014-08-14
WO2013046441A1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671B1 (ko) 기판의 제조 방법
CN100525582C (zh) 在印刷电路板上形成电路图案的方法
DE68929489T2 (de) Tintenstrahlkopf und sein Herstellungsverfahren, Aufflussöffnungsplatte für diesen Kopf und sein Herstellungsverfahren, und Tintenstrahlgerät damit versehen
WO2013046442A1 (ja) 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1807B1 (ko) 잉크젯 프린팅과 나노 임프린팅을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050054042A (ko) 인쇄회로기판의 솔더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EP3912440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material
WO2017077603A1 (ja) 印刷硬化方法、印刷硬化装置、及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8304015B2 (en) Resin film forming method, resin film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US20090087548A1 (en) Method of forming circuit pattern
KR101116762B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방법
JP5498328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WO2013046442A1 (ja) 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Scott Digital printing for printed circuit boards
WO2020169689A1 (en) Method for printing a three-dimensional optical component
JP6259863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030083616A (ko) 액체 사출 장치, 프린터 헤드, 및 액체 사출 장치 제조 방법
JP5882669B2 (ja) 配線基板の製造装置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20050090028A1 (en) Method of forming a mask on surface
JP2005216952A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回路基板の製造装置、および回路基板
KR100854124B1 (ko) 미세 회로패턴 형성방법
WO2009133794A1 (ja) ノズ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6494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14078633A (ja) はんだバンプ形成方法
JP6082516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