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89A -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89A
KR20140086089A KR1020120156151A KR20120156151A KR20140086089A KR 20140086089 A KR20140086089 A KR 20140086089A KR 1020120156151 A KR1020120156151 A KR 1020120156151A KR 20120156151 A KR20120156151 A KR 20120156151A KR 20140086089 A KR20140086089 A KR 20140086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olor coordinate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현
김평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2015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089A/ko
Publication of KR2014008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이트 광을 방출하면서도 사용 중 색좌표 변화가 억제된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위하여,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과,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안착된 제1몰딩재와, 상기 제1발광소자들을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Light emitting package and light emitting package arr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이트 광을 방출하면서도 사용 중 색좌표 변화가 억제된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소자는 전자장치,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백라이트 모듈에 결합하기 전에 다양한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은 이와 같이 패키징된 발광소자 패키지 또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구비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백색광을 방출해야 하는바,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될 발광소자 패키지나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의 경우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준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는 사용 중 색좌표가 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이트 광을 방출하면서도 사용 중 색좌표 변화가 억제된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과,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안착된 제1몰딩재와, 상기 제1발광소자들을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소자와 제2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소자와, 상기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2발광소자가 안착된 제2몰딩재와, 상기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2발광소자를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으로 치우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 2개의 안착부들을 갖는 제1몰딩재와 제2몰딩재와,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상기 제1몰딩재의 2개의 안착부들 각각과 상기 제2몰딩재의 일 안착부에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들과, 제2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상기 제2몰딩재의 타 안착부에 배치되는 제2발광소자와, 상기 제1발광소자들 및 상기 제2발광소자를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고, 상기 제2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으로 치우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와 상기 제2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이트 광을 방출하면서도 사용 중 색좌표 변화가 억제된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색좌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10), 제1몰딩재(150) 및 충진재(160)를 구비한다. 제1발광소자들(10)은 모두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1몰딩재(150)에 안착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드(111)와 리드(115) 상에 각각 제1발광소자(10)가 안착되고, 제1몰딩재(150)는 리드(111) 및 리드(115)와 결합된 상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발광소자들(10)은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광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다양한 전자 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발광소자들(10)은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1발광소자들(1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릴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서의 제2발광소자(20, 도 4 참조) 역시 마찬가지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드(113)가 리드(111)와 리드(115) 사이에 위치하여,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x 방향에 배치된 제1발광소자(10)는 와이어링 등의 방식으로 리드(111)와 리드(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x 방향에 배치된 제1발광소자(10)는 와이어링 등의 방식으로 리드(113)와 리드(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드(111)와 리드(115)는 제1몰딩재(15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21, 22)와 외부 기기 사이의 전기적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몰딩재(150)는 리드(111, 113, 115)와 결합하여,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몰딩재(150)는 제1발광소자들(10)에서 생성된 광이 예컨대 +z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x 방향이나 -x 방향 등으로 방출되는 광이 반사되어 대략 +z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경사반사부를 가질 수 있다.
충진재(160)는, 제1발광소자들(10)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방출될 시 통과하도록, 제1발광소자들(10)을 덮는다. 이 충진재(160)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진재(160)는 제1발광소자들(10)을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제1발광소자들(10)에서 방출되는 제1파장의 광의 일부가 충진재(160)의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통과하며 외부로 방출된다. 여기서 제1파장은 청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고 제2파장은 적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며 제3파장은 녹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일 수 있다.
제1파장이 청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고 제2파장이 적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며 제3파장이 녹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일 시, 결국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에 가깝게 될 수 있다. 이는 제1발광소자들(10)에서 방출되는 제1파장의 광의 일부가 외부로 방출되고, 제1발광소자들(10)에서 방출되는 제1파장의 광들 중 다른 일부가 제2형광체를 통해 제2파장의 광으로 전환되어 발광소자 패키지(100) 외부로 방출되며, 제1발광소자들(10)에서 방출되는 제1파장의 광들 중 또 다른 일부가 제3형광체를 통해 제3파장의 광으로 전환되어 발광소자 패키지(100) 외부로 방출되어, 결과적으로 제1파장의 광, 제2파장의 광 및 제3파장의 광이 섞여 발광소자 패키지(100) 외부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경우,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파장이 청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고 제2파장이 적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며 제3파장이 녹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일 시, 충진재(160) 내의 제2형광체의 양이 제3형광체의 양보다 적도록 함으로써,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가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의 경우 그 효율이 녹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 등 다른 색상의 광에 대응하는 형광체보다 효율이 낮거나 수명이 낮다. 따라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제2형광체)의 양이 다른 형광체의 양보다 적도록 함으로써(결국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가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함으로써), 발광소자 패키지(100) 전반에 미치는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의 영향력을 줄여,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의 저효율이나 단수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색좌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R, G 및 B로 표시된 부분에 가까울수록 순수한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가까운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에서 R1은 청색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 R2는 적색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 R3는 녹색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 R4는 황색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을 의미하며, R0는 백색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색좌표 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경우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전체적인 광의 색좌표는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전체적인 광의 색좌표가 백색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R0) 내에 위치하되, 그 중앙이 아닌, R로 표시된 순수한 적색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전체적인 광의 색좌표가 백색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R0)을 벗어나, 적색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색좌표 영역(R2) 이외의 영역에 치우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후술할 다른 발광소자 패키지와 함께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로서, 사용에 따른 색좌표 변화가 억제된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의 일 구성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제1발광소자(10)와 제2발광소자(20), 제2몰딩재(250) 및 충진재(160)를 갖는다.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발광소자(10)와 제2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2발광소자(20)는 제2몰딩재(250)에 안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드(211) 상에 제1발광소자(10)가 안착되고 리드(215) 상에 제2발광소자(20)가 안착되며, 제2몰딩재(250)는 리드(211) 및 리드(215)와 결합된 상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드(213)가 리드(211)와 리드(215) 사이에 위치하여,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x 방향에 배치된 제1발광소자(10)는 와이어링 등의 방식으로 리드(211)와 리드(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x 방향에 배치된 제2발광소자(20)는 와이어링 등의 방식으로 리드(213)와 리드(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진재(160)는, 제1발광소자(10)와 제2발광소자(20)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방출될 시 통과하도록, 제1발광소자(10)와 제2발광소자(20)를 덮는다. 이 충진재(160)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제1발광소자(10)에서 방출되는 제1파장의 광의 일부와 제2발광소자(20)에서 방출되는 제2파장의 광의 일부가 충진재(160)의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통과하며 외부로 방출된다. 여기서 제1파장은 청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고 제2파장은 적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며 제3파장은 녹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일 수 있다.
제1발광소자(10)에서 방출되는 제1파장의 광은 일부가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2형광체에 의해 제2파장의 광으로 외부로 방출되며 또 다른 일부는 제3형광체에 의해 제3파장의 광으로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1파장이 청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고 제2파장이 적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며 제3파장이 녹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일 시, 제1발광소자(10)에서 생성되어 최종적으로 발광소자 패키지(200)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에 가까운 광이 될 수 있다.
제2발광소자(20)에서 방출되는 제2파장의 광은 일부가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2형광체에 의해 역시 제2파장의 광으로 외부로 방출되며 또 다른 일부는 제3형광체에 의해 제3파장의 광으로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1파장이 청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고 제2파장이 적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이며 제3파장이 녹색광에 대응하는 파장일 시, 제2발광소자(20)에서 생성되어 최종적으로 발광소자 패키지(200)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이 아닌, 색좌표 상 적색 쪽으로 치우친 색좌표의 광이 될 수 있다.
결국 발광소자 패키지(200)에서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이 아닌, 색좌표 상 적색 쪽으로 치우친 색좌표의 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전술한 발광소자 패키지(100)와 함께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로서, 사용에 따른 색좌표 변화가 억제된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의 일 구성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는 전술한 것과 같은 발광소자 패키지(100)와 발광소자 패키지(200)를 구비한다. 물론 발광소자 패키지(100)와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프레임이나 인쇄회로기판(300) 상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는, 각각 2개의 안착부들을 갖는 제1몰딩재(150, 도 1, 2 참조)와 제2몰딩재(250, 도 4 참조)를 가지며, 제1발광소자들(10, 도 1, 2, 4 참조), 제2발광소자(20, 도 4 참조), 충진재(160, 도 1, 2, 4 참조)를 구비한다. 제1발광소자들(10)은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제1몰딩재(150)의 2개의 안착부들 각각과 제2몰딩재(250)의 일 안착부에 배치된다. 제2발광소자(20)는 제2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제2몰딩재(250)의 타 안착부에 배치된다. 충진재(160)는 제1발광소자들(10) 및 제2발광소자(20)를 덮으며,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한다. 즉,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충진재(160)와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충진재(160)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의 경우, 제1몰딩재(150)에서 방출되는 광, 즉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리고 제2몰딩재(250)에서 방출되는 광, 즉 발광소자 패키지(2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러나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전체적으로 보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백색광에 대응하게 된다.
도 6은 이와 같이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P1)와, 발광소자 패키지(2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P2)의 위치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과 같이 두 색좌표들(P1, P2)에 대응하는 광은 서로 섞여, 결국 전체적으로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PW)의 광을 방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들(100, 200)을 구비하는바, 전체적으로 백색광을 방출하면서도, 다른 파장의 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에 비해 효율이 낮거나 수명이 짧은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제2형광체)의 양이 다른 형광체의 양보다 적도록 함으로써(결국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가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함으로써), 발광소자 패키지들(100, 200) 전반에 미치는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의 영향력을 줄여, 적색광에 대응하는 형광체의 저효율이나 단수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발광소자 패키지(2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P2)가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PW)에서 순수한 적색광(R)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으로 치우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소자 패키지(2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P2)는,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PW)에서 순수한 적색광(R)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에서 살짝 어긋나 위치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P1)와 발광소자 패키지(2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P2)는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PW)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뤄, 발광소자 패키지들(100, 200)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의 전체적인 색좌표가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PW)가 되도록 하면 족하다. 물론 여기서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PW)는 도 3의 백색광 영역(R0) 내의 색좌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발광소자 20: 제2발광소자
100: 발광소자 패키지 150: 제1몰딩재
160: 충진재 200: 발광소자 패키지
250: 제2몰딩재

Claims (8)

  1.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안착된 제1몰딩재; 및
    상기 제1발광소자들을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친, 발광소자 패키지.
  3.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소자와, 제2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소자;
    상기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2발광소자가 안착된 제2몰딩재; 및
    상기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2발광소자를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으로 치우친, 발광소자 패키지.
  5.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 2개의 안착부들을 갖는 제1몰딩재와 제2몰딩재;
    제1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상기 제1몰딩재의 2개의 안착부들 각각과 상기 제2몰딩재의 일 안착부에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들;
    제2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상기 제2몰딩재의 타 안착부에 배치되는 제2발광소자; 및
    상기 제1발광소자들 및 상기 제2발광소자를 덮는, 제2파장에 대응하는 제2형광체와 제3파장에 대응하는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치우치고, 상기 제2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에서 적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 방향으로 치우친,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와 상기 제2몰딩재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는, 색좌표 상 백색광에 대응하는 색좌표를 중심으로 대칭인,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KR1020120156151A 2012-12-28 2012-12-28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KR20140086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51A KR20140086089A (ko) 2012-12-28 2012-12-28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51A KR20140086089A (ko) 2012-12-28 2012-12-28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89A true KR20140086089A (ko) 2014-07-08

Family

ID=5173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151A KR20140086089A (ko) 2012-12-28 2012-12-28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0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9183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CN103210510B (zh) 光电子半导体器件
CN110212072B (zh) 模制表面贴装器件led显示模块
JP5401689B2 (ja) 照明光の色補正方法、この色補正方法を採用した光源モジュール及びこの光源モジュール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825473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3034025A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10707189B2 (en) Light-emitting device
TWI408793B (zh) 發光二極體模組
US20160020365A1 (en) Optoelectronic component
JP2020031212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発光ストリング装置
US20130049048A1 (en) Led unit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09177112A (ja) 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
CN102714264B (zh) 发光二极管封装件及其制造方法
JP2010258479A (ja) 発光装置
JP2013128052A (ja) 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23779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4055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86089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어레이
KR101049490B1 (ko) 발광소자 칩,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모듈
KR101469121B1 (ko) 발광장치
JP2016506031A (ja) 発光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10615324B2 (en) Tiny 6 pin side view surface mount LED
CN102005527B (zh) 发光二极管模块
KR10137522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370963B1 (ko) 광학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