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677A -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677A
KR20140085677A KR1020120154022A KR20120154022A KR20140085677A KR 20140085677 A KR20140085677 A KR 20140085677A KR 1020120154022 A KR1020120154022 A KR 1020120154022A KR 20120154022 A KR20120154022 A KR 20120154022A KR 20140085677 A KR20140085677 A KR 20140085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necting portion
bellows
air cleaner
intak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883B1 (ko
Inventor
장영학
정현수
한영호
정우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8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구성 중 엔진 접촉부위를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며, 차량의 중량을 절감하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air intake hose)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하되,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나일론(PA) 및 EPDM(Ethylene-Propylene-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Air Intake Hos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구성 중 엔진 접촉부위를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며, 차량의 중량을 절감하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Air Intake Hose)는, 차량의 외부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에어 필터로 보내거나 또는 에어 필터로부터 여과된 깨끗한 공기를 자동차 엔진의 스로틀 바디(Throttle body)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자동차 엔진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차량 엔진룸에 장착되는 부품이다.
상기 에어 인테이크 호스는 엔진의 열온으로부터 오는 열해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특히, 디젤 엔진이나 터보차져 엔진의 경우에는 일반 가솔린 엔진보다 엔진열이 매우 높기 때문에 열해 문제가 없는 고가의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엔진(200)과 에어 클리너(300) 사이에 에어 인테이크 호스(100)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재질은 그 소재가 가볍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엔진의 고온에 대한 열해문제가 발생하여 에어 인테이크 호스에 적용할 수 없었다.
이에, 엔진의 열온에 대비하기 위하여, 고가의 ECO 고무(Epichlorohydrin rubber) 호스를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 공법을 통해 형성하여 적용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은 일체형 몰딩 제품은 내열 및 내구성면에서 불리하고, 제조원가 및 중량의 과다 상승으로 인해 차량 연비 성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엔진 접촉부위의 열해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가벼운 중량의 소재로 인테이크 호스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중량을 절감하고 차량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구성 중 고온의 엔진 접촉부위를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연결부를 제외한 인테이크 호스의 구성을 중량이 가벼운 PP 또는 TPE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중량/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연비가 개선될 수 있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테이크 호스의 구성요소인 엔진 연결부, 벨로즈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를 각각 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사출 성형시 그 제조가 용이하고 차량의 조립/정비면에서 유리한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air intake hose)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하되,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나일론(PA) 및 EPDM(Ethylene-Propylene-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100중량%로 형성하거나 또는 부틸(Butyl) 96 중량% 및 나일론(PA) 4 중량%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EPDM 고무(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40중량% - 60 중량% 과 나일론66(PA66) 40중량% - 60중량%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각각 블로우(Blow)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로즈(120)는 양 끝단에 복수의 걸림돌기(150)를 형성하고, 상기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각각 상기 벨로즈(120)와의 결합부위에 복수의 걸림홈(1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부틸(Butyl) 1500B를 이용하여 인몰드(in-mold) 성형으로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하면,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각각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Blow) 성형하는 단계; 상기 벨로즈(120)의 복수의 걸림돌기(150)를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의 복수의 걸림홈(160)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걸림돌기 및 걸림홈의 결착부위에 수지(170)를 발포하고 인몰드 융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인몰드 융착단계 후에, 상기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에 각각 클램프(140)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 인테이크 호스에 의하면, 고온의 엔진 접촉부를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인테이크 호스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연결부를 제외한 인테이크 호스를 중량이 가벼운 PP 또는 TPE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중량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연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연결부, 벨로즈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를 각각 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사출 성형시 그 제조가 용이하고 차량의 조립/정비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단계별 제조도.
도 3a 내지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 연결부, 벨로즈, 에어클리너 연결부의 인몰드 융착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인테이크 호스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종래의 에어 인테이크 호스는 엔진의 열온에 견디게 하기 위하여 ECO 고무(Epichlorohydrin rubber) 호스를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 공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ECO 고무(Epichlorohydrin rubber)를 인테이크 호스로 적용할 경우 그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중량이 무거운 소재를 이용하므로 차량 연비 성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엔진 접촉부위는 약 155℃ 이상의 고온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그 외의 부위는 약 100℃ 이하의 열온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엔진 접촉부위는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고 그 외의 부위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열해 문제를 해결하고 제조비용 및 중량절감으로 인한 차량 연비가 개선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단계별 제조도이다.
본 발명의 에어 인테이크 호스는,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구비하되, 상기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하고,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나일론(PA) 및 EPDM(Ethylene-Propylene-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엔진 측에서 전달되는 고온(약 155℃ 이상)에 대한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100중량%로 형성하거나 또는 부틸(Butyl) 96 중량% 및 나일론(PA) 4 중량%의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나일론(PA)은 나일론6(PA6), 나일론66(PA66) 또는 나일론12(PA12) 등 나일론 계열의 어떠한 소재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EPDM 고무(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40중량% - 60 중량% 과 나일론66(PA66) 40중량% - 60중량%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엔진 연결부(110)의 조성재료는 엔진 측에서 전달되는 고온(약 155℃ 이상)에 대한 내열성을 충분히 구비하며, 기존의 ECO 고무(Epichlorohydrin rubber)에 비해서도 원가 및 중량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TPE(Thermoplastic Elastomer)는 경질재료(hard segment)로서 녹는점은 150∼165℃, 유리전이 온도는 -50∼-60℃부근에 있으므로, 엔진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온에 대한 내열성이 약하나, 본 발명에서는 엔진 연결부(110)가 엔진 측 고온에 대한 열해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엔진 연결부(110)를 통과하면서 낮아지는 공기의 온도(약 100℃ 이하)에 대한 대항력을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TPE(Thermoplastic Elastomer)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에 있어서 엔진 연결부(110)를 제외한 타 영역인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에 적용되어도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기능은 여전히 담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각각 블로우(Blow)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인몰드(in-mold) 성형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각 소재간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이에 인 몰드(in-mold) 성형을 더하여 접합하게 된다.
상기 상용성(compatibility)이란 두 가지의 재료를 혼합하였을 때 재료의 안정성을 의미하며, 예컨대 PP(PolyPropylene) 및 TPE(Thermoplastic Elastomer)은 비극성(non-polar)을 갖고 있어 나일론(PA) 등과 같이 극성(Polar)을 갖는 제품과는 열 또는 초음파을 이용하여 접합시켜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또 다시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같은 극성을 갖는 재료끼리 접합시켜야 재료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용성(compatibility)에 의거하여,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같은 비극성기를 갖는 PP(PolyPropylene) 또는 비극성 TPE를 혼합하여 금형안에서 재료를 녹인 자체열로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IIR)), 나일론(PA) 또는 EPDM 고무 등 극성(Polar)을 갖는 재료끼리 금형 안에서 재료를 녹인 자체열로 접착하여 제조공정은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간 인 몰드(in-mold) 성형은 소정의 수지를 이용하여 각 요소들을 접합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간 인 몰드(in-mold) 성형이 완료되면, 엔진 연결부(110)의 끝단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의 끝단에 클램프(140)를 삽입하여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완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 연결부, 벨로즈, 에어클리너 연결부의 인몰드 융착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몰드 융착 전에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미리 블로우(Blow)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다만, 도 3a 내지 도 3b에서 도시하는 모습은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각각 성형하여 제조한 후 인몰드 융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발명의 필요에 따라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후 상기 엔진 연결부(110)와 인몰드 융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발명의 필요에 따라 ECO, NBR, CPE 등의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엔진 연결부(110)의 조성이 부틸 소재로 형성되어 엔진 측 고온에 대한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벨로즈(120)는 양 끝단에 복수의 걸림돌기(150)를 형성하고, 상기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상기 벨로즈(120)와의 결합부위에 복수의 걸림홈(1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인 몰드 접착 성형시 사출압력에 의한 연질의 벨로즈(120) 유동으로 수지가 세는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벨로즈(120)는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양 끝단부에 적어도 둘 이상의 걸림돌기(150)를 형성하고, 인몰드 성형 전 상기 걸림돌기(150)를 이용하여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의 끝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160)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벨로즈(120)가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에 고정되게 되면, 그 결합부위에 부틸(Butyl) 1500B를 살포하고 열을 가하면, 부틸(Butyl) 1500B 수지는 결합부위에 오버랩되어 결합력을 공고히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인테이크 호스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각각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Blow) 성형하는 단계를 거친다(S11).
상기 사출 성형 및 블로우 성형은 공지의 성형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 연결부는 극성 소재들을 이용하여 자체열로 접합하게 되고, 벨로즈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는 비극성 소재들을 이용하여 자체열로 접합하여 성형을 완료하므로 그 제조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벨로즈(120)의 복수의 걸림돌기(150)를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의 복수의 걸림홈(160)에 삽입하는 단계를 거친다(S12).
이는 벨로즈의 유동을 방지하여 인몰드 융착시 사용되는 부틸(Butyl) 1500B 등의 수지가 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걸림돌기 및 걸림홈의 결착부위에 수지(170)를 발포하고 인몰드 융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를 거친다(S13).
상기 걸림돌기 삽입단계 후 수지를 발포하면, 수지가 결합부위에 오버랩되어 경화되므로, 견고한 접합력을 담보할 수 있다(도 3b 참조).
마지막으로, 상기 인몰드 융착이 완료되면, 상기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에 각각 클램프(140)를 삽입하게 된다(S14).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엔진 측 고온과 접촉하는 엔진 연결부(110)를 부틸 소재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엔진 연결부(110)를 제외한 영역을 중량이 가벼운 소재로 형성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연비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각각 성형하되, 같은 극성을 갖는 재료들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공정이 단순해지며, 추후 차량의 차량의 조립/정비면에서도 기존의 인테이크 호스에 비해 월등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에어 인테이크 호스 110: 엔진연결부
120: 벨로즈 130: 에어클리너 연결부
140: 클램프 150: 걸림돌기
160: 걸림홈 170: 수지
200: 엔진 210: 터보차져
300: 에어클리너

Claims (8)

  1.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air intake hose)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PP(PolyPropyle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하되,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나일론(PA) 및 EPDM(Ethylene-Propylene-DieNe)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부틸(Butyl) 100중량%로 형성하거나 또는 부틸(Butyl) 96 중량% 및 나일론(PA) 4 중량%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는,
    EPDM 고무(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40중량% - 60 중량% 과 나일론66(PA66) 40중량% - 60중량%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각각 블로우(Blow)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120)는 양 끝단에 복수의 걸림돌기(150)를 형성하고,
    상기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각각 상기 벨로즈(120)와의 결합부위에 복수의 걸림홈(1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는 부틸(Butyl) 1500B를 이용하여 인몰드(in-mold) 성형으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엔진 연결부(110), 벨로즈(12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를 각각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Blow) 성형하는 단계;
    상기 벨로즈(120)의 복수의 걸림돌기(150)를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의 복수의 걸림홈(160)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걸림돌기 및 걸림홈의 결착부위에 수지(170)를 발포하고 인몰드 융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융착단계 후에,
    상기 엔진 연결부(110) 및 에어클리너 연결부(130)에 각각 클램프(140)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
KR1020120154022A 2012-12-27 2012-12-27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92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022A KR101923883B1 (ko) 2012-12-27 2012-12-27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022A KR101923883B1 (ko) 2012-12-27 2012-12-27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677A true KR20140085677A (ko) 2014-07-08
KR101923883B1 KR101923883B1 (ko) 2018-12-03

Family

ID=5173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022A KR101923883B1 (ko) 2012-12-27 2012-12-27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8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34A1 (ko) * 2016-01-06 2017-07-13 주식회사 디엠씨 에어 인테이크 호스
KR20190133510A (ko) * 2018-05-23 2019-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CN115163361A (zh) * 2022-08-09 2022-10-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进气管结构及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804A (ja) * 1991-12-14 1994-04-19 Nippon Zeon Co Ltd チューブおよびホース
JP2004176648A (ja) * 2002-11-28 2004-06-24 Toyoda Gosei Co Ltd 吸気装置
US6832664B2 (en) * 2000-05-19 2004-12-21 Siemens Vdo Automotive Inc. Clampless hose retainer mechanism
KR100774768B1 (ko) * 2006-12-10 200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기호스 제작금형 및 제작방법
KR100817012B1 (ko) * 2006-10-19 2008-03-27 동아화성(주) 복합재질의 자동차 공기흡입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019272A (ko) * 2010-08-25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기흡입구 호스용 epdm 고무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804A (ja) * 1991-12-14 1994-04-19 Nippon Zeon Co Ltd チューブおよびホース
US6832664B2 (en) * 2000-05-19 2004-12-21 Siemens Vdo Automotive Inc. Clampless hose retainer mechanism
JP2004176648A (ja) * 2002-11-28 2004-06-24 Toyoda Gosei Co Ltd 吸気装置
KR100817012B1 (ko) * 2006-10-19 2008-03-27 동아화성(주) 복합재질의 자동차 공기흡입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74768B1 (ko) * 2006-12-10 200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기호스 제작금형 및 제작방법
KR20120019272A (ko) * 2010-08-25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기흡입구 호스용 epdm 고무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34A1 (ko) * 2016-01-06 2017-07-13 주식회사 디엠씨 에어 인테이크 호스
KR20190133510A (ko) * 2018-05-23 2019-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CN115163361A (zh) * 2022-08-09 2022-10-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进气管结构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883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555B2 (en) Air duct cuff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326839B1 (ko) 자동차의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작방법
KR101923883B1 (ko)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JPH06257694A (ja) 管とエンドピースとの水密軸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73321A (ja) ポリマー製燃料タンク用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97290B (zh) 用于两个部件的流体和机械地连接的装置
CN110892186B (zh) 流体管道
CN101275522A (zh) 发动机进气管连接件
CN203533038U (zh) 一种包胶卡圈组件
JP3439660B2 (ja) レゾネータ
KR101475218B1 (ko) 차량용 에어덕트 및 그 제작방법
CN205638741U (zh) 空滤进气管以及车辆
JP2009108816A (ja) レゾネータの取付構造
JP2007270877A (ja) コネクター一体型燃料用ホースおよびその製法
KR102575148B1 (ko)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250B1 (ko) 공기흡입덕트
US20020182356A1 (en) Tube for transporting a coola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9081739U (zh) 一种中冷器的连接管路及车辆
CN215170287U (zh) 一种注塑密封结构的汽车尿素管路
KR20180052967A (ko) 차량의 흡기호스
JP4448985B2 (ja) 硬質相手パイプ・ホースと樹脂ホースのシール接続構造
JP6715013B2 (ja) ダクト接続構造およびダクトの製造方法
CN202991226U (zh) 一种三通道耐高温压中冷器管冷端总成
KR20150108700A (ko) 에어 클리너용 덕트 유닛
CN203906141U (zh) 一种汽车发动机空气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