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148B1 -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148B1
KR102575148B1 KR1020180058530A KR20180058530A KR102575148B1 KR 102575148 B1 KR102575148 B1 KR 102575148B1 KR 1020180058530 A KR1020180058530 A KR 1020180058530A KR 20180058530 A KR20180058530 A KR 20180058530A KR 102575148 B1 KR102575148 B1 KR 10257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member
hose
intake
mol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510A (ko
Inventor
장영학
정현수
지성환
전재희
김덕기
정재현
안현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1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47Moulding, cas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9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said hollow-preforms being interconnected during their moulding process, e.g. by a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21Plastics; Composites;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호스부재를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인몰드 공법으로 접합되도록 하여 접합구간의 품질향상 및 외관품질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는, 외부로부터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호스(20)는, 서로 분리되는 제1호스부재(21)와 제2호스부재(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서로 접합되는 부위는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으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INTAKE HOS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INTAKE HOS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으로 공기를 유도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호스부재를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인몰드 공법으로 접합되도록 하여 접합구간의 품질향상 및 외관품질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는 통상적인 엔진의 흡기시스템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스노클(11)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덕트(12)와 레조네이터(13)를 거쳐 에어클리너(14)에서 정화된다. 한편, 인터쿨러(16)를 통과한 공기는 인터쿨러 인렛파이프(17)를 통하여 터보차저의 컴프레서(18)에서 상기 에어클리너(14)를 통과한 공기와 함께 상기 엔진의 흡기매니폴드를 거쳐 상기 엔진의 각 실린더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클리너(14)를 통과한 공기는 인테이크 호스(120)를 통하여 상기 컴프레서(18)로 안내된다.
상기 인테이크 호스(120)는 이종(異種)의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호스부재를 작업자가 클램프(123)를 조여 조립한다.
상기 에어클리너(14)에 인접한 제1호스부재(121)는 ECO 고무(Epichlorohydrin Rubber,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를 재질로 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122)는 PA6-GF30 또는 AEM(에틸렌 아크릴 고무)/ACM(아크릴고무)를 재질로 하여 제작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된 상기 제1호스부재(121)와 상기 제2호스부재(122)는 작업자가 상기 제1호스부재(121)와 상기 제2호스부재(122)의 연결부위에 클램프(123)로 조여 조립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121)와 상기 제2호스부재(122)의 연결부위의 내부에 어댑터(124)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위의 외측을 클램프(123)로 조여 조립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20)는 서로 융착이 불가능한 재질을 상기 클램프(123)를 조여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립력에 따라 연결부위의 체결력이 달라지고, 상기 조립력이 과한 경우, 상기 제1호스부재(121)와 상기 제2호스부재(122)가 부러지거나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호스부재(121)와 상기 제2호스부재(122)에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17) 등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니플이 필요한데, 상기 니플의 성형이 어려웠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소음저감형 흡기호스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5-003372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서로 융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부재를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함으로써, 연결부위의 품질이 균일하고, 외관형상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는, 외부로부터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호스는, 서로 분리되는 제1호스부재와 제2호스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서로 접합되는 부위는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으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접합되는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융착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와 함께 융착되는 몰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가 상기 제2호스부재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1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홀더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몰드가 수용되는 몰드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가 상기 제1호스부재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2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홀더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몰드가 수용되는 몰드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몰드수용홈은 각각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몰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는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의 형태로 형성되는 어댑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는 합성수지 또는 강재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과,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부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파이프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 또는 상기 제2호스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과,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상기 외부링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과 상기 내부 파이프 사이에는 상기 외부링과 상기 내부링을 연결하도록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 중 어느 하나는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 중 나머지 하나는 터보차저의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는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는 Polyamide Ester Rubber를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호스부재는 Thermoplastic Rubber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는 사출공정으로 미리 제조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는 블로우공정으로 미리 제조된 후,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부위의 외측에 상기 몰드가 형성되어 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은, 제1호스부재와 제2호스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공기를 유도하는 인테이크 호스를 제조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의 정해진 위치에 미리 성형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를 안착시키는 호스부재 안착 단계와,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단계와,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 및 몰드를 서로 융착시키는 몰드 성형단계와, 성형이 완료된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를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취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부재 안착 단계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의 강도를 보강하는 어댑터를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재질의 호스부재가 서로 융착이 가능한 재질로 하여 서로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되기 때문에, 접합부위의 품질이 균일하면, 클램프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는 부품이 없으므로 외관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서로 다른 호스부재의 접합부위의 체결력이 균일해지므로, 엔진 롤링시와 같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접합부위에서 호스부재가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내부에 장착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기류음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엔진의 흡기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가 에어클리너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제1호스부재와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가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제1호스부재와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제1호스부재와 제2호스부재의 접합부위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어댑터가 레조네이터로 적용되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절개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어댑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어댑터가 레조네이터로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절개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어댑터가 역류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절개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는 도 16의 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서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는 외부로부터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상에 설치되고, 제1호스부재(21)와 제2호스부재(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서로 접합되는 부위는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으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연결된다.
스노클(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에어덕트(12)와 레조네이터(13)를 거쳐 에어클리너(14)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인테이크 호스(20)를 통하여 상기 터보차저의 컴프레서(18)로 안내된 후, 엔진의 실린더로 유입된다.
인테이크 호스(20)는 상기 에어클리너(1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컴프레서(18)로 안내하는데, 상기 인테이크 호스(20)는 상기 에어클리너(14) 쪽에 연결되는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컴프레서(18) 쪽에 연결되는 제2호스부재(22)로 구성된다.
제1호스부재(21)와 제2호스부재(22)는 서로 접하는 면이 고정되어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접하는 부위에서 공기의 누설이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으로 접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는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제1호스부재(21)는 Polyamide Ester Rubber(나일론에스터합성고무, P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호스부재(22)는 Thermoplastic Rubber (나일론합성고무)로 이루어져,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를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시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인테이크 호스(20)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1호스부재(21)는 사출을 통하여 성형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22)는 블로우(blow) 공정을 통하여 성형된 후, 각각 미리 성형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를 접합시킨 다음,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제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 외측에 몰드(23)를 이용하여 서로 융착되도록 한다.
상기 몰드(23)는 용융된 수지를 금형의 내부에서 주입시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사이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외측에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사이 제2호스부재(22)와 함께 융착되도록 한다.
상기 몰드(23)는 용융된 수지를 경화시켜 형성되기 때문에, 클램프를 작업자가 조여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균일한 체결력을 갖기 때문에, 조립부위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클램프를 조이기 위한 볼트가 노출되지만, 상기 몰드(23)를 통하여 외관이 매끄러워지기 때문에 외관도 향상된다.
한편, 상기 몰드(23)가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외측에서 융착되었을 때, 상기 몰드(23)가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제1호스부재(21)의 단부에는 상기 제2호스부재(22)와 접하도록 상기 제1호스부재(21)의 반경방향으로 플랜지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1b)와 이격되어 상기 제1호스부재(21)의 반경방향으로 홀더(21c)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1b)와 상기 홀더(21c) 사이에 상기 몰드(23)의 일부가 수용되는 몰드수용홈(21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단부에서도,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접하는 부위에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반경방향으로 플랜지부(22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2b)와 이격되어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반경방향으로 홀더(22c)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2b)와 상기 홀더(22c) 사이에 상기 몰드(23)의 일부가 수용되는 몰드수용홈(22d)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실질적으로 대칭인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몰드(23)가 성형되었을 때, 상기 몰드(23)와 체결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몰드수용홈(21a)(22a)에는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고정돌기(21d)(22d)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어댑터(24)가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24)는 합성수지 또는 강재(鋼材)를 재질로 하고,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내측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접합부위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24)는 단순히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는 레조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어댑터(24A)는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24Aa)과, 상기 외부링(24Aa)의 내부에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되도록 복수의 관통공(24Ac)이 형성되는 내부파이프(24Ab)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링(24Aa)은 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내부파이프(24Ab)는 양단이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내부파이프(24Ab)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21) 또는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내측면과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파이프(24Ab)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21) 또는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은 기류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공명공간으로 활용된다. 도 11에는 상기 내부파이프(24Ab)의 외측면과 상기 제2호스부재(22) 사이에 공명공간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4Ac)은 상기 내부파이프(24Ab)에서 상기 제2호스부재(22)에 중첩되는 구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4Ac)은 상기 내부파이프(24Ab)의 둘레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4Ac)이 상기 내부파이프(24Ab)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호스(2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관통공(24Ac)을 통하여 상기 공명공간으로 출입하여 공명효과를 발휘하므로, 상기 어댑터(24A)가 레조네이터의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외부링(24Aa)와 상기 내부파이프(24Ab)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암(24Ad)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어댑터(24B)가 레조네이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24B)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에와 같이,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접합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24Ba)과, 상기 외부링(24Ba)의 내부에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부파이프(24Bb)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파이프(24Bb)는 양단에 각각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와 밀착되고, 상기 내부파이프(24Bb)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21) 사이, 상기 내부파이프(24Bb)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21) 사이에 각각 공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파이프(24Bb)에는 관통공(24Bc)이 상기 내부파이프(24Bb)의 길이방향과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내부파이프(24Bb)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21) 사이의 공간과 상기 내부파이프(24Bb)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2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공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에는 블로바이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고 흡입공기의 와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어댑터(24C)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24C)는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24Ca)과, 상기 외부링(24Ca)의 내부에 상기 외부링(24C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부링(24Cb)과, 상기 외부링(24Ca)과 상기 내부링(24Cb) 사이에는 상기 외부링(24Ca)과 상기 내부링(24Cb)를 연결하도록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암(24Cc)을 포함한다.
가속페달의 팁아웃시,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의 중심을 통하여 정상류(定常流)의 흐름을 보이지만, 상기 컴프레서(18)의 전단의 흡기가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의 벽면을 타고 역류하는 흐름이 발생한다.
하지만, 상기 어댑터(24C)가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에 설치하면, 상기 내부링(24Cb)이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의 벽면을 따라 유동하는 역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24C)를 이용하여 인테이크 호스(20)에서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에어클리너(14) 내부의 필터가 오일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테이크 호스(20)가 상기 컴프레서(18)가 연결되는 부위에 블로바이 가스 라인가 연결되는데, 역류 발생시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역류하면서 상기 블로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에 의해 에어클리너(14)의 필터를 오염시킬 수 있으나, 상기 어댑터(24C)의 적용으로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에서 역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호스부재 안착단계(S110)는 미리 성형된 제1호스부재(21)와 제2호스부재(22)를 상부금형(31)과 하부금형(32) 사이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킨다.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에는 각각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안착된 공간과 몰드(23)가 성형될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미리 성형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를 상기 하부금형(32)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킨 후, 그 상부를 상기 상부금형(31)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에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안착이 완료된다.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에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성형후 몰드(23)가 형성될 부분이 공간으로 존재한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32)에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를 안착시킬 때,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내측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어댑터(24)도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어댑터(24)는 레조네이터의 기능을 겸하거나, 인테이크 호스(20) 내에서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수지 주입 단계(S120)는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의 사이의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시킨다.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에는 몰드(23)가 성형될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다. 상기 상부금형(31) 또는 상기 하부금형(32)에는 용융된 수지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3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상기 제2호스부재(22)의 접합부위의 외측면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도록 한다. 용융된 수지는 주입되면,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의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몰드 성형 단계(S130)는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된 수지가 몰드(23)로 성형되도록 경화시킨다.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의 공간으로 수지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수지는 냉각되면서 경화된다.
한편, 상기 수지는 고온의 용융된 상태로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수지는 상기 제1호스부재(21) 및 상기 제2호스부재(22)에 융착된다. 특히, 상기 수지는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동일한 재질, 예컨대 Polyamide Ester Rubber(나일론에스터합성고무, PER)를 용융시켜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수지는 경화시 상기 제1호스부재(21)와 일체가 되도록 경화될 수 있다.
취출단계(S140)는 상기 상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에서 성형이 완료된 인테이크 호스(20)를 취출시킨다.
주입된 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상부금형(31)을 오픈시키고, 상기 하부금형(32)으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인테이크 호스(20)를 취출함으로써, 상기 인테이크 호스(20)의 제조가 완료된다.
11 : 스노클 12 : 에어덕트
13 : 레조네이터 14 : 에어클리너
16 : 인터쿨러 17 : 인터쿨러 인렛파이프
18 : 컴프레서 19 : 블로바이가스라인
20 : 인테이크호스 21 : 제1호스부재
21a : 몰드수용홈 21b : 플랜지부
21c : 홀더 21d : 고정돌기
22 : 제2호스부재 22a : 몰드수용홈
22b : 플랜지부 22c : 홀더
22d : 고정돌기 23 : 몰드
24 : 어댑터 24A : 어댑터
24Aa : 외부링 24Ab : 파이프
24Ac : 관통공 24Ad : 암
24B : 어댑터 24Ba : 외부링
24Bb : 파이프 24Bc : 관통공
24C : 어댑터 24Ca : 외부링
24Cb : 내부링 24Cc : 암
31 : 상부금형 32 : 하부금형
33 : 주입구 S110 : 호스부재 안착 단계S
120 : 수지 주입단계 S130 : 몰드 성형단계
S140 : 취출단계 120 : 인테이크호스
121 : 제1호스부재 122 : 제2호스부재
123 : 클램프 124 : 어댑터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호스는, 서로 분리되는 제1호스부재와 제2호스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서로 접합되는 부위는 금형의 내부에서 융착으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접합되는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융착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와 함께 융착되는 몰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호스부재가 상기 제2호스부재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1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홀더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몰드가 수용되는 몰드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가 상기 제1호스부재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2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호스부재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홀더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몰드가 수용되는 몰드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몰드수용홈은 각각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몰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는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의 형태로 형성되는 어댑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합성수지 또는 강재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과,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부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파이프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측면과 상기 제1호스부재 또는 상기 제2호스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의 접합하는 부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외부링과,
    상기 외부링의 내부에 상기 외부링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과 내부 파이프 사이에는 상기 외부링과 상기 내부링을 연결하도록 상기 인테이크 호스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 중 어느 하나는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 중 나머지 하나는 터보차저의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는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는 Polyamide Ester Rubber를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호스부재는 Thermoplastic Rubber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부재는 사출공정으로 미리 제조되고, 상기 제2호스부재는 블로우공정으로 미리 제조된 후, 상기 제1호스부재와 상기 제2호스부재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부위의 외측에 상기 몰드가 형성되어 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58530A 2018-05-23 2018-05-23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30A KR102575148B1 (ko) 2018-05-23 2018-05-23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30A KR102575148B1 (ko) 2018-05-23 2018-05-23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10A KR20190133510A (ko) 2019-12-03
KR102575148B1 true KR102575148B1 (ko) 2023-09-06

Family

ID=6883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530A KR102575148B1 (ko) 2018-05-23 2018-05-23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1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719B1 (ko) 2015-12-14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이종재질 에어호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901B1 (ko) 2003-10-07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저감형 흡기호스 구조
KR101183250B1 (ko) * 2010-03-18 2012-09-14 정진교 공기흡입덕트
KR101923883B1 (ko) * 2012-12-27 2018-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2967A (ko) * 2016-11-11 2018-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흡기호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719B1 (ko) 2015-12-14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이종재질 에어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10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3242B1 (en) Clean air duct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of
US10661488B2 (en) Air duct cuff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29743A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clean air ducts
US5682924A (en) Clean air duct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251645A (zh) 组合的塑料卫生接头
KR20080007108A (ko) 내연 기관용 흡기 장치
KR20180039637A (ko) 공기 조절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파이프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US10989338B2 (en) Hose arrangement
KR102575148B1 (ko) 차량의 인테이크 호스 및 그 제조방법
US7971565B2 (en) Intake manifold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JP3183182B2 (ja)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ルド
EP3631188B1 (en) Silencer for the reduction of gas noise in an intake system of a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ilencer
EP2931496B1 (en) Air duct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an air duct
JP3319909B2 (ja) 合成樹脂パイプの結合構造
JP2005337108A (ja) サージタンクの接合構造及びサージタンク並びに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S63277851A (ja) 樹脂製インテ−クマニホ−ルドの製法
US20040256046A1 (en) Welding structure of three members
JPH03271557A (ja) 内燃機関用エアインテークパイプ
JPH0886256A (ja) レゾネータ付きエアーダクト
JPS60159036A (ja) 中空樹脂体の補強装置
JP6715013B2 (ja) ダクト接続構造およびダクトの製造方法
JPH06264838A (ja) レゾネータ付ホース
WO2021145167A1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KR20070065040A (ko) 자동차의 파이프 연결구조
JP2020056329A (ja) 複合ダクトの製造方法及び複合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