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423A -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423A
KR20140084423A KR1020120153092A KR20120153092A KR20140084423A KR 20140084423 A KR20140084423 A KR 20140084423A KR 1020120153092 A KR1020120153092 A KR 1020120153092A KR 20120153092 A KR20120153092 A KR 20120153092A KR 20140084423 A KR20140084423 A KR 20140084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ver
diameter
flange
line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417B1 (ko
Inventor
서영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4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스토리지와, 상기 스토리지와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스토리지 커버와, 일측은 상기 스토리지의 내측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되고, 타측에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이격된 그립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로드부, 그리고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내측면의 일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그립의 직경보다 작은 스토퍼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 브래킷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COVER HOLDING DEVICE OF STOR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토리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리지 커버를 개방한 후, 스토리지 커버의 개방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 등의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치 및 장비들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장치 및 장비들이 수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가 마련된다.
스토리지는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몸체와 몸체의 개방부의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건설기계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의 일측에 배터리 등과 같은 장치들을 수납할 수 있는 스토리지(1)가 형성되고 스토리지(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커버(2)가 설치된다. 이때, 배터리 등과 같은 장치의 보수 및 수리가 필요하게 될 경우 커버(2)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종래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는 스토리지(1)의 프레임(3) 일측에 배치된 프레임 브래킷(5)과 로드부(6)의 일단이 체결되고, 로드부(6)의 타단은 커버(2)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4)에 체결된다. 여기서, 커버(2)를 개방할 경우에 나비 너트(7) 등과 같은 너트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브래킷(4) 아래까지 채워야 하고, 커버(2)를 닫아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나비 너트(7)를 반대 방향으로 풀어서 제거해 주어야 커버(2)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2)를 개폐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너트 등이 작업자가 작업 중에 풀어질 경우, 커버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므로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토리지의 커버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자중에 의해 낙하되지 않는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스토리지와, 상기 스토리지와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스토리지 커버와, 일측은 상기 스토리지의 내측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되고, 타측에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이격된 그립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로드부, 그리고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내측면의 일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그립의 직경보다 작은 스토퍼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홀의 일단에는 상기 로드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선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홀의 최대 직경은,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그립의 직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스토퍼 홀에 제1 결합되거나 상기 선형 가이드부에 제2 결합되어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결합 보다 상기 제2 결합의 경우에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개방 각도가 커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선형 가이드부는 상기 로드부의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선형 가이드, 그리고 상기 로드부의 선회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선형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는 스토리지 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스토리지 커버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너트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토리지 커버 고정장치를 포함한 건설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는 스토리지(10), 스토리지 커버(20), 로드부(30), 커버 브래킷(200)을 포함한다.
스토리지(STORAGE, 1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스토리지(10)는 내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10)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토리지(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지(10)에는 스토리지 커버(20)가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스토리지(10)의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스토리지 커버(20)와 힌지 결합됨으로써 스토리지(10)의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된다. 스토리지(10)와 스토리지 커버(2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토리지 커버(20)의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스토리지 커버(20)를 열고 스토리지(10)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스토리지 커버(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일단이 스토리지(10)의 내측에 결합된 로드부(30)가 형성된다. 로드부(30)의 일단은 스토리지(10)의 내측에 형성된 메인 브래킷(12)과 결합되고, 타단은 스토리지 커버(20)의 하단부에 배치된 커버 브래킷(2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로드부(30)의 일단은 메인 브래킷(12)의 일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브래킷(12)의 홀의 직경은 로드부(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로드부(30)가 회전축(C)을 중심으로 메인 브래킷(12)의 간섭이 없이 선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메인 브래킷(12)의 홀에 삽입된 로드부(30) 일단의 측부에는 핀이 체결된다. 다시 말해, 메인 브래킷(12)의 홀에 삽입된 로드부(30)가 선회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이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핀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핀 일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핀은 분할핀의 형태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해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핀의 크기 및 형상은 메인 브래킷(12)의 홀에 삽입되는 로드부(3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커버(20)의 하부에는 커버 브래킷(200)이 배치된다. 즉, 커버 브래킷(200)의 일단은 스토리지 커버(20)의 하단부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커버 브래킷(200)의 일단과 수직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200)의 형상은 'ㄴ' 자를 상하로 뒤집어 높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브래킷(200)에는 로드부(30)의 타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로드부(30)는 절곡부(3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로드부(30)의 일부는 메인 브래킷(12)과 결합되고, 로드부(30)의 타단은 커버 브래킷(200)과 결합되게 된다. 다시 말해, 로드부(30)의 일단은 메인 브래킷(12)의 홀을 중심으로 선회가 가능해야 하고, 로드부(30)의 타단은 스토리지 커버(20)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에 따라, 로드부(30)의 일단과 타단을 구분짓는 절곡부(31)가 형성되어 로드부(30)가 힘을 가하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 브래킷(200)에 결합되는 로드부(30)의 타단에는 플랜지(32)가 형성되고, 플랜지(32)와 이격된 위치에 그립(34)가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32)와 그립(34)는 원반 또는 접시 등의 형태를 가진 원형이거나 사각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200)에는 스토퍼 홀(210)이 형성된다. 스토퍼 홀(210)에는 로드부(30)의 타단부가 관통되어 커버 브래킷(200)의 하단부가 로드부(30)의 플랜지(32)에 얹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스토리지 커버(20)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스토리지(10)에 물품을 넣거나 뺄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로드부(30)의 플랜지(32)의 직경은 그립(34)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 홀(210)의 직경은 플랜지(32)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고, 그립(34)의 직경과는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퍼 홀(210)을 관통한 로드부(30)의 해체시, 스토퍼 홀(2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플랜지(32)와 그립(34)가 커버 브래킷(2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커버 브래킷(200)으로부터 해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 브래킷(200)에 형성된 스토퍼 홀(210)의 일단에는 로드부(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선형 가이드부(220)가 형성된다. 선형 가이드부(220)는 로드부(30)의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선형 가이드(222)와, 로드부(30)의 선회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선형 가이드(22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선형 가이드(222)와 제2 선형 가이드(224)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선형 가이드(224)의 길이는 스토퍼 홀(210)의 직경 대비 1.5배 내지 5배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선형 가이드(222)와 제2 선형 가이드(224)의 길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1 선형 가이드(222)와 제2 선형 가이드(224)를 포함한 선형 가이드부(220)는 영문자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홀(210) 쪽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부(30)를 작업자가 그립(34)을 잡고 제1 선형 가이드(222)를 따라 이동시키면, 로드부(30)는 제2 선형 가이드(224)의 끝단에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 로드부(30)가 스토퍼 홀(210)에 제1 결합되거나, 제1 선형 가이드(222)와 제2 선형 가이드(224)를 포함한 선형 가이드부(220)에 제2 결합되면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1 결합과 제2 결합에 따라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된 각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제2 결합의 경우가 제1 결합의 경우보다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된 각도가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 홀(210)에 결합되는 경우와 선형 가이드부(220)에 결합되는 경우에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 각도가 다르므로, 작업자가 스토리지(10)를 사용할 때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 커버 고정장치는 스토리지 커버(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스토리지 커버(20)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너트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직접 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토리지 12: 메인 브래킷
20: 스토리지 커버 30: 로드부
31: 만곡부 32: 플랜지
34: 그립 200: 커버 브래킷
210: 스토퍼홀 220: 선형 가이드부
222: 제1 선형 가이드 224: 제2 선형 가이드
C: 회전축

Claims (5)

  1.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스토리지(10);
    상기 스토리지(10)와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스토리지 커버(20);
    일측은 상기 스토리지(10)의 내측에서 회전축(C)을 중심으로 선회 되고, 타측에는 플랜지(32) 및 상기 플랜지(32)와 이격된 그립(34)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로드부(30); 및
    상기 스토리지 커버(20)의 내측면의 일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3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그립(34)의 직경보다 작은 스토퍼 홀(210)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랜지(32)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 브래킷(200);
    을 포함하는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홀(210)의 일단에는 상기 로드부(3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플랜지(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선형 가이드부(220)가 형성된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홀(210)의 최대 직경은, 상기 플랜지(3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그립(34)의 직경보다 작은 스토리지 커버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30)는,
    상기 스토퍼 홀(210)에 제1 결합되거나 상기 선형 가이드부(220)에 제2 결합되어 상기 스토리지 커버(20)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결합 보다 상기 제2 결합의 경우에 상기 스토리지 커버의 개방 각도가 커지는 스토리지 커버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가이드부(220)는,
    상기 로드부(30)의 상기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선형 가이드(222); 및
    상기 로드부(30)의 선회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선형 가이드(244);
    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커버 고정장치.
KR1020120153092A 2012-12-26 2012-12-26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KR10199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92A KR101998417B1 (ko) 2012-12-26 2012-12-26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92A KR101998417B1 (ko) 2012-12-26 2012-12-26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23A true KR20140084423A (ko) 2014-07-07
KR101998417B1 KR101998417B1 (ko) 2019-07-09

Family

ID=5173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092A KR101998417B1 (ko) 2012-12-26 2012-12-26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4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266A (ko) * 2004-10-14 2006-04-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사이드도어의 개방각 제어장치
KR20090069620A (ko) * 2007-12-26 2009-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266A (ko) * 2004-10-14 2006-04-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사이드도어의 개방각 제어장치
KR20090069620A (ko) * 2007-12-26 2009-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417B1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801B1 (ko) 케이블 유지 장치
EP2390449A2 (en) Fitting adjustment structure for a lid
KR101975255B1 (ko) 케이블 보유 장치
CN105757205B (zh) 线性传动器系统
CN103388708A (zh) 线夹结构
KR20140002805U (ko) 해양 구조물용 수동 해치의 개폐 구조
US20150318678A1 (en) Box Comprising A Hinge Device
KR101998417B1 (ko) 스토리지의 커버 고정장치
US7640671B1 (en) Measuring compass
US9127804B2 (en) Holding device for storing holding rods on a crane
KR20150024493A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CN204026554U (zh) 用于射灯的快锁灯钩
CN204489197U (zh) 一种具有助连功能的发动机主推力销固定装置
US20170231412A1 (en) Universal tree stand systems and methods
CN104236872B (zh) 气缸固定装置
JP2017145637A (ja) 開閉装置
CN202292724U (zh) 可翻转工具盒
KR20150057415A (ko) 다용도 컵홀더 장치
JP3140610U (ja) 電気機器収納箱用蝶番構造
KR101744513B1 (ko) 회전 당김 구조의 잠금 고정 장치
JP4755139B2 (ja) 柱上開閉器用開閉操作装置
KR102520758B1 (ko) 가스 충전장치
JP3204430U (ja) ヒンジ機構
CN208544204U (zh) 车辆及用于其副仪表板的扶手结构
KR101848155B1 (ko) 진단장비용 트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