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415A - 다용도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415A
KR20150057415A KR1020130140774A KR20130140774A KR20150057415A KR 20150057415 A KR20150057415 A KR 20150057415A KR 1020130140774 A KR1020130140774 A KR 1020130140774A KR 20130140774 A KR20130140774 A KR 20130140774A KR 20150057415 A KR20150057415 A KR 2015005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hicle
cup holder
seating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김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준 filed Critical 김용준
Priority to KR102013014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415A/ko
Publication of KR2015005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컵뿐만 아니라 휴대폰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거치되는 본체; 거치되는 물건의 측면을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본체 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지부; 및 거치되는 물건이 안착되도록 본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따르면, 차량 내에 음료용 컵이나 음료용기만을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휴대폰이나 선풍기 등을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 물건별로 별도의 거치대를 추가로 마련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의 내부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컵홀더 장치{Mulpurpose cup holder}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컵뿐만 아니라 휴대폰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컵홀더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편의장치 중 하나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사이드패널, 콘솔박스 등 탑승객의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탑승객이 차량 주행 중 컵이나 음료용기를 일시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준다.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0665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차량용 컵홀더 장치’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경우,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를 개선하여 컵의 크기에 따라 플랩을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며 물건의 수납시 걸림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컵홀더에 대한 외관미를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킨 기술적 특징이 갖는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는 단순히 차량 내에서 음료용 컵이나 음료용기만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차량에 휴대폰 등 다른 물건을 거치시킬 때에는 각 물건별로 별도의 거치대를 추가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고, 차량의 내부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용 컵이나 음료용기뿐만 아니라 휴대폰 등 다양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용도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거치되는 본체; 거치되는 물건의 측면을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본체 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지부; 및 거치되는 물건이 안착되도록 본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파지부의 일단부에 동시에 연결되어 회전시 파지부를 본체 내로 동시에 인입시키거나 본체로부터 동시에 인출시키는 파지부 작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파지부 작동부재는, 본체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하단이 본체 내에 위치되며, 하단이 각 파지부의 일단부에 기어 연결방식으로 동시에 치합되는 작동축; 및 본체의 상방에 위치되고 작동축의 상단에 연장되어 손으로 쥐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된 핸들부;를 포함한다.
각 파지부의 일단부는 이격된 상태로 겹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겹친 상태에서 마주보는 면에는 파지부 작동부재의 작동축에 치합되도록 기어니를 갖는 기어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는, 본체의 하부를 관통한 후 안착부에 결합되어 안착부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안착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안착부 고정부재는, 본체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안착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 및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며 나사 결합부의 하단에 연장되어 손으로 잡고 조일 때 본체의 저면에 밀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는 파지부에 거치되는 휴대용 선풍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는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량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따르면, 차량 내에 음료용 컵이나 음료용기만을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휴대폰이나 선풍기 등을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 물건별로 별도의 거치대를 추가로 마련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의 내부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선단면도.
도 6 및 도 7은 파지부가 본체 내로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파지부가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안착부가 본체 내로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파지부 및 안착부가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 음료용 컵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휴대폰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휴대용 선풍기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드패널, 콘솔박스 등 탑승객의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음료용 컵(10)이나 음료용기를 거치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 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100)는, 본체(110), 파지부(121)(122), 파지부 작동부재(130), 안착부(140), 안착부 고정부재(150) 및 차량 고정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차량 고정부(160)를 통해 차량 내에 고정되며, 내부에 파지부(121)(122)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 설치공간(111)과, 안착부(140)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 설치공간(112)이 각각 형성된다. 안착부 설치공간(112)은 파지부 설치공간(111)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파지부 설치공간(111)의 위쪽으로는 파지부 작동부재(130)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113)이 형성되며, 안착부 설치공간(112)의 아래쪽으로는 안착부 고정부재(150)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장공의 제2 관통홀(114)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114)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관통홀(113)의 내측 상단부에는 후술할 작동축(131)의 고정 기어부(131b)가 나사 결합되는 피고정 기어부(113a)가 내주연에 형성된다.
본체(110)의 전면부 중심에는 음료용 컵이 안착될 수 있게 측면이 라운딩되고 하부에 안착면을 갖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파지부 설치공간(111)은 안착홈(115)의 양쪽에서 개방되며, 안착부 설치공간(112)은 안착홈(115)의 아래쪽에서 개방된다.
파지부(121)(122)는 각각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료용 컵 또는 음료용기를 양쪽에서 감싸서 잡아준다. 각 파지부(121)(122)의 일단부는 본체(110)의 파지부 설치공간(111) 내에 각각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본체(110)의 바깥쪽에 위치되어 물품을 양쪽에서 감싸게 된다.
제1 파지부(121)의 일단부 외측은 절개되며 절개면에 기어니를 갖는 제1 기어부(121a)가 형성되고, 제2 파지부(122)의 일단부 내측은 절개되며 절개면에 기어니를 갖는 제2 기어부(122a)가 형성된다. 설치시, 제1,2 기어부(121a)(122a)는 파지부 작동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겹치며, 파지부 작동부재(130)를 구성하는 후술할 작동축(131)의 작동 기어부(131a)에 동시에 치합된다.
파지부 작동부재(130)는 각 파지부(121)(122)의 일단부에 동시에 연결되어 회전시 파지부(121)(122)를 본체(110) 내로 동시에 인입시키거나 본체(110)로부터 동시에 인출시킨다. 이러한 파지부 작동부재(130)는,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3)을 관통하는 작동축(131)과, 본체(1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작동축(131)의 상단에 연장되어 손으로 쥐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된 핸들부(132)를 포함한다. 작동축(131)의 하단부에는 파지부 설치공간(111) 내에서 각 파지부(121)(122)의 기어부(121a)(122a)에 동시 치합되는 작동 기어부(131a)가 형성되고, 작동축(131)의 상단부에는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3) 내에 형성된 피고정 기어부(113a)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 기어부(131b)가 형성된다.
안착부(140)는 음료용 컵 또는 음료용기가 안착되도록 본체(110)의 안착부 설치공간(112)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안착부(140)는 안착부 설치공간(112) 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수평 설치되고 그 상면에 음료용 컵 또는 음료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판(141)과, 안착판(141)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안착부 설치공간(112) 입구에 걸리고 안착판(141)에 안착된 음료용 컵 또는 음료용기가 걸려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판(142)을 포함한다. 안착판(141)에는 안착부 고정부재(150)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141a)이 형성된다.
안착부 고정부재(150)는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114)을 관통하면서 안착부(140)의 안착판(141)에 결합되어 안착부(140)를 본체(11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안착부 고정부재(150)는, 제2 관통홀(114)을 관통하여 안착판(141)의 결합홀(14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51), 및 본체(110)의 하방에 위치되며 나사 결합부(151)의 하단에 연장되어 손으로 잡고 조일 때 본체(110)의 저면에 밀착되는 핸들부(152)를 포함한다.
차량 고정부(160)는 본체(110)의 배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드패널, 콘솔박스 등에 고정된다.
도 5는 도 2의 A-A 선단면도이다. 여기서, 파지부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파지부 작동부재(130)를 구성하는 작동축(131)의 고정 기어부(131b)가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3)에 형성된 피고정 기어부(113a)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작동축(131)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파지부(121)(122)는 인출상태를 유지한다. 고정 기어부(131b)와 피고정 기어부(113a)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핸들부(132)를 아무리 회전시키려해도 회전하지 못한다.
도 6 및 도 7은 파지부가 본체 내로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파지부가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핸들부(132)를 위로 잡아당겨 작동축(131)의 고정 기어부(131b)와 본체(110)의 피고정 기어부(113a) 사이의 치합을 해제하고, 도 7에서와 같이 핸들부(132)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파지부(121)(122)가 동시에 본체(110) 내로 인입된다. 도 8에서와 같이 핸들부(1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파지부(121)(122)가 동시에 본체(110) 외부로 인출된다.
도 9 및 도 10은 안착부가 본체 내로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안착부 고정부재(150)의 핸들부(152)를 회전시켜 핸들부(152)가 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푼 다음 안착부(14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안착부(140)가 본체(110) 내로 인입된다. 안착부(140)의 인입이 완료된 후 도 10에서와 같이 핸들부(152)를 조여 본체(110)의 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안착부(140)가 본체(110)에 고정되어 인출이 방지된다. 안착부(140)를 인출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동과정이 진행된다.
도 11은 파지부 및 안착부가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 음료용 컵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료용 컵(10)이나 음료용기를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파지부(121)(122)와 안착부(140)를 모두 본체(110)로부터 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파지부(121)(122)가 음료용 컵(10)이나 음료용기의 측면을 양쪽에서 감싸게 되고, 안착부(140)가 음료용 컵(10)이나 음료용기의 바닥을 지지하기 때문에 음료용 컵(10)이나 음료용기는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안착판(140)의 걸림판(142)은 음료용 컵(10)이나 음료용기의 하부 측면을 안정적으로 감싸기 때문에 파지부(121)(122)로 이들을 안정적으로 감싸지 못하는 경우(음료용 컵이나 음료용기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라도 걸림판(142)에 의해 안착판(141)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휴대폰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폰(20)을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파지부(121)(122)만 본체(110)로부터 인출시키고 안착부(140)는 본체(110)에 인입시켜 휴대폰(20)의 하단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파지부(121)(122)를 본체(110)로부터 인출시킨 상태에서 그 타단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파지홈(121b)(122b)을 이용해 휴대폰(20)의 양측을 감싸 고정시킨다.
도면에서와 같이 휴대폰 거치시 안착부(140)가 인입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휴대폰의 무게가 많이 나가고 휴대폰의 하단이 안착부(140)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일 경우 안착부(140)를 인출시켜 휴대폰의 하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휴대용 선풍기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휴대용 선풍기(170)를 거치시킬 수 있다. 휴대용 선풍기(170)는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에 적용할 수 있게 제작된다. 휴대용 선풍기(170)의 몸체(171)에는 파지부(121)(122)로 감쌀 때 몸체(171)가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파지홈(171a)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휴대용 선풍기(170)를 거치시킬 때 안착부(140)는 인출되어 휴대용 선풍기(170)를 안착 지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용도 컵홀더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00 : 다용도 컵홀더 장치 110 : 본체
111 : 파지부 설치공간 112 : 안착부 설치공간
113 : 제1 관통홀 114 : 제2 관통홀
115 : 안착홈 121 : 제1 파지부
122 : 제2 파지부 130 : 파지부 작동부재
131 : 작동축 132 : 핸들부
140 : 안착부 141 : 안착판
142 : 걸림판 150 : 안착부 고정부재
151 : 나사 결합부 152 : 핸들부
160 : 차량 고정부 170 : 선풍기
171 : 몸체

Claims (8)

  1. 차량 내에 거치되는 본체;
    거치되는 물건의 측면을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상기 본체 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지부; 및
    거치되는 물건이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파지부의 일단부에 동시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파지부를 상기 본체 내로 동시에 인입시키거나 본체로부터 동시에 인출시키는 파지부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작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하단이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되며, 하단이 상기 각 파지부의 일단부에 기어 연결방식으로 동시에 치합되는 작동축; 및
    상기 본체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 연장되어 손으로 쥐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지부의 일단부는 이격된 상태로 겹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겹친 상태에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파지부 작동부재의 작동축에 치합되도록 기어니를 갖는 기어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관통한 후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안착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나사 결합부의 하단에 연장되어 손으로 잡고 조일 때 본체의 저면에 밀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거치되는 휴대용 선풍기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량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컵홀더 장치.
KR1020130140774A 2013-11-19 2013-11-19 다용도 컵홀더 장치 KR20150057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74A KR20150057415A (ko) 2013-11-19 2013-11-19 다용도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74A KR20150057415A (ko) 2013-11-19 2013-11-19 다용도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415A true KR20150057415A (ko) 2015-05-28

Family

ID=5339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774A KR20150057415A (ko) 2013-11-19 2013-11-19 다용도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74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34U (ko) * 2018-02-12 2019-08-21 (주)훠링 차량용 선풍기 거치대
KR20210049391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34U (ko) * 2018-02-12 2019-08-21 (주)훠링 차량용 선풍기 거치대
KR20210049391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2875C2 (ru) Вставка приборной панели
US9079540B2 (en) Combined storage and docking un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296325B2 (en) Vehicle USB port
KR101734266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1346017B1 (ko) 차량의 미디어 기기용 거치대
US20130112831A1 (en) Cup holder of console box for vehicle
WO2016022840A1 (en) Mobile device holder for use in a vehicle
KR101407844B1 (ko) 컵홀더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JP2016002896A (ja) 鞍乗型電動車両
CN107914626A (zh) 用于皮卡车的两轮交通工具固定装置
KR20150057415A (ko) 다용도 컵홀더 장치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US20140224689A1 (en) Mounting/dismounting toolkit for driveshaft and bearing of motorcycle
JP2015157542A (ja) カップホルダー
JP7045354B2 (ja) 操舵装置および移動体
KR20220109174A (ko) 컵 홀더 장치
KR20230044681A (ko)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US8960481B2 (en) Adaptable bin with moveable shelf
KR20120016887A (ko) 스토리지 박스
JP2008000470A (ja) ミシン用補助部品
US20120138650A1 (en) Cup holder supporting different sized digital media players
KR20120110242A (ko) 다중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거치대
JPH09286286A (ja) 自動車のシフトレバーの構造
WO2022066106A1 (en) Hook device
JP2016226244A (ja) 充電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