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493A -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493A
KR20150024493A KR20130101296A KR20130101296A KR20150024493A KR 20150024493 A KR20150024493 A KR 20150024493A KR 20130101296 A KR20130101296 A KR 20130101296A KR 20130101296 A KR20130101296 A KR 20130101296A KR 20150024493 A KR20150024493 A KR 2015002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arness
mounting portion
preventing member
fix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352B1 (ko
Inventor
최설영
이호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10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도(版圖)를 따라 포선(Cable grapping)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판도에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상기 거치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A Fixing Structure of 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및 테이핑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Cable grapping) 작업에 있어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포선 작업 및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선 작업 및 테이핑 작업은 와어이링 하네스가 판도(版圖)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상기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판도 제작 시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분기점 및 길이에 따라 조립 지그의 위치와 방향 등을 설정하고 반복적인 확인을 거쳐 조립 지그를 판도 상에 장착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에 사용되는 조립 지그는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조립 지그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거치시키면 와이어링 하네스가 개구된 조립 지그 상부를 통해 외부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거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품과, 포선 작업에 필요한 작업 시간 등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이 완료되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테이핑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된 조립 지그과 테이핑이 이루어지는 와이어링 하네스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 및 테이핑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선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와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조립 지그 사이의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는, 판도(版圖)를 따라 포선(Cable grapping)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판도에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상기 거치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판도 상에 포선 작업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에 이탈방지부재를 형성하여 고정장치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가 고정장치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 및 테이핑 작업 시간을 줄여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선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를 와이어링 하네스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꺾어 테이핑 작업 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와 와이어링 하네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와 작업자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가 판도 상에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의 꺾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판도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가 판도 상에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의 꺾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판도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는 판도(版圖)(10)를 따라 포선(Cable grapping)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되는 거치부(120)와, 판도(10)에 장착되고, 거치부(120)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부(140)와, 거치부(120)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결합위치(U)에서 거치부(120)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위치(S)로 회동하도록 거치부(12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이탈방지부재(160) 및 거치부(120)에 장착되고, 이탈방지부재(160)를 분리위치(S)에서 결합위치(U)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180)을 포함한다.
상기 판도(10)는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50) 제작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0)를 배열하여 테이핑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판도(10)의 영역 및 형상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20)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50)아 안정적인 거치를 위하여 거치면(122)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20)는 플라스틱, ABS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거치부(120)를 플라스틱, ABS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함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20) 하단은 나사로 형성되어, 고정부(140)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거치부(120) 하단을 고정부(140)에 억지 끼움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판도(10)에 장착되고, 거치부(12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40)의 하부에는 나사(146_도 5 참고)가 구비되어 판도(10)에 형성된 홀(12_도 5 참고)에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고정부(140)가 판도(10)에 나사로 고정하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를 판도(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60)는 거치부(120)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50)를 거치부(1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보다 자세하게, 이탈방지부재(160)는 거치부(120)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로, 거치부(12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되어 있거나,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되지 않은 채 거치부(120)의 상부가 폐쇄된 결합위치(U)와 거치부(120)의 상부가 개방되어 거치부(120)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에서 분리되거나 거치부(120)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장착되는 상태인 분리위치(S)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결합위치(U)를 거치부(12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장착된 상태라고 하며, 분리위치(S)를 거치부(120)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분리되는 상태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원스프링(180)은 거치부(120)에 장착되고, 이탈방지부재(160)가 분리위치(S)에서 결합위치(U)로 복원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링 하네스(50)를 거치부(120)에 거치하기 위해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이탈방지부재(160)를 거치부(120) 내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때, 이탈방지부재(160)는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하게 된다. 이탈방지부재(160)가 분리위치(S)가 되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0)는 거치부(12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에 거치되면서 이탈방지부재(160)는 결합위치(U)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60)가 결합위치(U)로 복원됨에 따라 거치부(120) 상부를 폐쇄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120)는 거치부(12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160)를 수납하는 수납홈(124)과 상기 수납홈(124)에 장착되고, 이탈방지부재(160)의 단부에 결합되어 이탈방지부재(160)를 수납홈(124)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26)를 더 포함한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수납홈(124)은 거치부(120)의 상단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거치부(120)의 상단에 마주하도록 제1 수납홈(124)과 제2 수납홈(124)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26)는 제1 수납홈(124)과 제2 수납홈(124)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탈방지부재(160)는 제1 수납홈(124) 및 제2 수납홈(124)에 각각 힌지 결합된 제1 이탈방지부재(162)와 제2 이탈방지부재(16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60)가 거치부(120) 상단에 마주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거치부(12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장착될 때,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이탈방지부재(160)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이탈방지부재(16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120)의 상단에 마주하도록 마련된 이탈방지부재(160)는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부재(162, 164)는 결합위치(U)와 분리위치(S)에 따라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재(160)의 끝 단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락킹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170)는 제1 이탈방지부재(162)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2 이탈방지부재(164)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72)와 제2 이탈방지부재(164)의 단부에 형성되며, 돌기(172)가 장착되는 락킹홈(174)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 이탈방지부재(162, 164)가 결합위치(U)에 위치하면, 락킹부(170)의 돌기(172)가 락킹홈(174)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 이탈방지부재(162, 164)가 결합위치(U)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이탈방지부재(162, 164)가 거치부(12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120)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의 내측을 타고 거치부(120) 외부로 흘러내려 거치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20)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50)를 거치부(12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와이어링 하네스(50)로 제1 및 제2 이탈방지부재(162, 164)의 하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돌기(172)가 락킹홈(174)에서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 및 제2 이탈방지부재(162, 164)는 하부에서 상부로 회동하여 거치부(12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되며, 거치부(120)의 상부가 개방되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는 판도(1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포선 작업이 완료되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판도(10)에 고정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의 거치부(120)를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꺾이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의 거치부(120)가 와이어링 하네스(50)와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테이핑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40)는 고정부(140)는 판도(1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42)와, 고정부재(142)에 힌지 결합되어 거치부(12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되어 포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고정위치(P_도 1 참고)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포선 작업이 종료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꺾임 되는 꺾임위치(B)로 회동하는 회동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재(144)를 예를 들어 테이핑이 진행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판도(10) 내측에서 이루어질 때, 거치부(120)를 판도(10) 외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120)가 회동하는 방향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42)에 형성되며, 회동부재(144)의 회동 방향을 안내하는 슬릿(148)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144)는 슬릿(148)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돌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146)는 슬릿(148)에 끼움, 장착되어 있고,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포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돌부(146)가 슬릿(148)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부(120)를 꺾임위치(B)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148)은 회동부재(144)를 고정위치(P)로 위치시킬 수 있는 직선슬릿(148a)과 직선슬릿(148a)의 일 단에서 상기 꺾임위치(B)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슬릿(148b)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슬릿(148a)은 회동부재(144)를 상, 하로 이동시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호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회동부재(144)가 꺾임위치(B)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링 하네스(50)가 포선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회동부재(144)는 고정위치(P)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돌부(146)가 직선슬릿(148a) 상에 위치할 경우 상, 하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회동부재(144)가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44)가 상기 고정위치(P)에 위치하도록 고정부재(142) 내측에는 회동부재(144)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부재(144)가 고정위치(P)에 위치할 경우 회동부재(144)의 하측과 맞물려 돌부(146)가 직선슬릿(148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부재(144)가 직선슬릿(148a)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때 회동부재(144)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프링 이외에도 돌기, 탄성편 등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부재(142)는 회동부재(144)가 상기 직선슬릿(148a)에서 곡선슬릿(148b)을 이동할 때,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4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147)는 회동부재(144)가 직선슬릿(148a)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때, 회동부재(144)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회동부재(144)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곡선슬릿(148b)은 회동부재(144)가 꺾임위치(B)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을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회동부재(144)가 회동할 때, 회동부재(144)에 과도한 힘이 적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42)는 회동부재(144)가 회동할 때 회동력이 발생하도록 회전축(149)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회동부재(144)에는 회전축(149)이 끼움되는 장착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동부재(144)가 회동할 때, 회전축(149)이 회전하면서 장착홀(145) 내에서 헛돌며 돌부(146)가 슬릿(148)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142)에는 곡선슬릿(148b)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홈(143)은 회동부재(144)가 회동하기 위하여 고정부재(142)의 일 측면을 개구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회동홈(143)의 형성 위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핑이 진행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와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정렬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에 의해 꼬여 정렬 치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포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포선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판도(10)에 형성된 홀(12)에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의 고정부(140)에 구비된 나사를 삽입한 뒤, 판도(10) 뒷면에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부(140)를 고정한다(도 5의 (a)).
고정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의 거치부(120)에 와이어링 하네스(50a)를 거치시키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0a)를 정렬시킨다. 이때, 상기 거치부(12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되면서 거치부(120)에 결합된 이탈방지부재(160)가 분리위치(S)에서 결합위치(U)로 회동하면서 거치부(12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되고, 상기 과정을 통해 와이어링 하네스(50a)가 거치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도 5의 (b), (c)).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에 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50a)의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지면, 상기 거치부(120)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를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160)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거치부(120)에서 분리되는 동안 결합위치(U)에서 분리위치(S)로 회동하게 되고, 거치부(120)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완전히 분리되면, 다시 결합위치(U)로 복원될 수 있다.
이후,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의 고정부(140)를 회동시켜, 거치부(120)가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지는 와이어링 하네스(50)와 간섭되지 않은 방향으로 꺾을 수 있다(도 5의 (d)). 이로 인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0)와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100)와의 간섭을 방지함에 따라 포선 작업이 끝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테이핑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판도 50: 와이어링 하네스
U: 결합위치 S: 분리위치
P: 고정위치 B: 꺾임위치
100: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120: 거치부
140: 고정부 160: 이탈방지부재
170: 락킹부 180: 복원스프링

Claims (9)

  1. 판도(版圖)를 따라 포선(Cable grapping)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판도에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상기 거치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상기 수납홈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마주하도록 제1 수납홈과 제2 수납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1 수납홈과 상기 제2 수납홈에 장착된 제1 이탈방지부재와 제2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끝 단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이탈방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이탈방지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와,
    상기 제2 이탈방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장착되는 락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판도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어 포선 작업이 이루어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꺾임 되는 꺾임위치로 회동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방향을 안내하는 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KR20130101296A 2013-08-26 2013-08-26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KR10150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96A KR101508352B1 (ko) 2013-08-26 2013-08-26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96A KR101508352B1 (ko) 2013-08-26 2013-08-26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493A true KR20150024493A (ko) 2015-03-09
KR101508352B1 KR101508352B1 (ko) 2015-04-08

Family

ID=5302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296A KR101508352B1 (ko) 2013-08-26 2013-08-26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3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7170A (zh) * 2017-10-23 2018-03-30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用于限制网线移动的整理装置
CN107892216A (zh) * 2017-10-23 2018-04-10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能够避免线缆滑动的夹紧装置
KR20190000972A (ko) * 2017-06-23 2019-01-04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2190043B1 (ko) * 2020-07-02 2020-12-11 조재희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WO2023163396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정리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562B2 (ja) * 1995-06-26 2000-08-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組立用の電線支持具
JP2001357736A (ja) 2000-06-16 2001-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組み立て治具
JP2005321255A (ja) 2004-05-07 2005-11-17 Yazaki Corp ハーネス寸法測定具とそれを用いた寸法測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72A (ko) * 2017-06-23 2019-01-04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CN107857170A (zh) * 2017-10-23 2018-03-30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用于限制网线移动的整理装置
CN107892216A (zh) * 2017-10-23 2018-04-10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能够避免线缆滑动的夹紧装置
KR102190043B1 (ko) * 2020-07-02 2020-12-11 조재희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WO2023163396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정리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352B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352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US5879047A (en) Wire harness installation structure for vehicle door
EP1842775B1 (en) Harness board fixture
US7906728B2 (en) Method of covering wire harness branch section with protector and branch structure of wire harness
JP2015515740A (ja) ラックに取付け可能な通信パッチパネル
JP4843622B2 (ja) 構成要素の固定具および固定具の取り付け
CN102777476B (zh) 搭扣结构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CN209767608U (zh) 一种车载手机重力支架
JP5856449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4314402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3874114B2 (ja) 給湯機のケーブル接続装置
CN212947833U (zh) 快速拆装机构和隧道巡检机器人
US20230158650A1 (en) Device for mounting interior parts of a vehicle
JP2004200067A (ja) バッテリ端子保護カバー
JP7361081B2 (ja) 作業補助装置
DK2700541T3 (en) Quick attachment mechanism
JP6521708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CN211556331U (zh) 接头固定装置
KR20170002001U (ko) 와이어 거치지그
TWM580307U (zh) 理線夾持器
KR200485148Y1 (ko) 대상물 회전 걸이구
JPH0575381U (ja) ピボットヒンジ
JP2015177684A (ja) 引下線用コネクタ支持具
KR101525430B1 (ko) 날개 연동식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