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384A -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384A
KR20140084384A KR1020120152728A KR20120152728A KR20140084384A KR 20140084384 A KR20140084384 A KR 20140084384A KR 1020120152728 A KR1020120152728 A KR 1020120152728A KR 20120152728 A KR20120152728 A KR 20120152728A KR 20140084384 A KR20140084384 A KR 2014008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loater
leakage
cage
leak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986B1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누유 감지탱크, 상기 누유 감지탱크 내부에 마련되어 연료의 유입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터 및 상기 플로터와 접촉하여 작동되는 감지 스위치 및 감지 신호전달부로 마련된 누유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Fuel Leakage Checking Device of Ship Engine}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선박 엔진의 진동에 의해 플로터가 상승하여 누유 감지 장치를 오작동 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은 건설기계나 자동차의 엔진에 비해 부피가 크고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이 많다. 따라서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배관을 이중 배관으로 마련하여 연료의 누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즉,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외부 배관의 내부에 직경이 작은 내부 배관을 하나 더 마련하여 상기 내부 배관으로 연료를 이송시킴으로써, 내부 배관의 누유가 발생하더라도 외부 배관에 의해 연료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박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이송 배관 중 내부 배관에 누유가 발생하면 내부 배관과 외부 배관 사이에 누유된 연료를 누유 감지탱크에 유입시켜 엔진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 감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누유 감지장치는 누유 감지탱크 내부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는 플로터(floater)와 상기 플로터의 상승에 의해 감지 스위치가 작동됨으로써 누유 감지신호를 보내는 감지 신호전달부를 가지고 있다.
이때,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기 플로터는 기둥(pole)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플로터가 중공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공에 기둥(pole)이 위치함으로써 플로터가 기둥(pole)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감지 스위치를 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누유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는 도 1a를 통해 알 수 있으며, 누유감지장치의 구체적인 사시도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누유된 연료가 배관(4, 7)을 통해 누유 감지탱크(3)로 유입이 되면, 유입된 연료에 의해 플로터(1)가 기둥(pole, 5)을 타고 상승하여 누유 감지스위치(8)를 작동시킴으로써 신호전달부를 통해 누유 여부를 알려주는 것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터(1)는 원 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중공부에 상기 기둥(5)이 삽입되어 상기 플로터(1)가 상기 기둥(5)을 따라 상승하며 누유 감지 스위치(8)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선박 엔진에 누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일정 진동수, 예컨대 1500rpmm 내지 1800rpm의 진동이 선박 내지 엔진에 의해 발생하면, 상기 플로터로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플로터가 기둥(pole)과의 접촉 및 진동에 의한 에너지 전달로 기둥을 따라 상승하면서 감지 스위치를 오작동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형상의 플로터(floater)와 상기 플로터를 가이드하는 기둥(pole)을 구 형상의 플로터와 케이지로 대체하여 누유 감지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는 연료 유입구(11) 및 연료 배출구(13)를 포함하는 누유 감지탱크(10),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에 마련되어 연료의 유입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터(30) 및 상기 플로터(30)와 접촉하여 작동되는 감지 스위치(61) 및 감지 신호전달부(63)로 마련된 누유 감지유닛(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터(30)를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와 이격시키도록 일정량의 액체 충전재(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체 충전재(20)는 연료의 비중보다 큰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이 마련되고, 상기 플로터(30)를 수용하여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으로 가이드하는 케이지(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에 의해 감지된 누유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터(30)는 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지(50)는 측면이 개방되어 연료가 유입되도록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첫째, 간단한 구성의 변경을 통해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누유 감지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누유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도 및 확대사시도이고,
도 2은 누유 감지장치의 케이지 및 플로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누유 감지장치의 누유 전 사용 상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누유 감지장치의 누유 후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 감지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누유 감지장치의 케이지(50) 및 플로터(30)에 관한 사시도로서, 누유 감지장치는 플로터(30), 케이지(50) 그리고 감지 스위치(61)와 감지신호 전달부(63)로 마련된 누유 감지유닛(60)을 포함한다.
누유 감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에 상기 케이지(50), 플로터(30) 및 누유 감지유닛(60)이 마련되고,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부로 누유된 연료가 유입되면서 상기 플로터(30)가 상승하여 상기 감지 스위치(61)를 작동시켜 누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누유 감지탱크(10)는 누유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 유입구(11)와 유입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 배출구(13)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유입구(11)로는 선박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이중 배관의 내부 배관과 외부 배관 사이에 누유된 연료가 유입된다.
상기 연료 유입구(11) 내지 연료 배출구(13)는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누유 감지탱크(10)로 유입되는 연료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채워지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로터(30)는 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플로터(30)를 수용하는 상기 케이지(50)는 측면이 개방되어 연료의 유출이 용이하며, 상기 플로터(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된다.
상기 플로터(30)의 형상은 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연료의 유입에 의해 상기 케이지(50) 내부에서 상승하며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을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상기 감지 스위치(61)와의 접촉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지(50)의 형상은 상기 플로터(30)를 수용할 수 있는 직 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연료가 유입되고 배출되기 쉽도록 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50)는 상기 플로터(30)가 상승하면서 상기 감지 스위치(61)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수도 있다.
상기 케이지(50)의 내부에 상기 플로터(30)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케이지(50)와 플로터(30)가 접촉에 의해 진동이 전달되거나,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케이지(50)와 플로터(30)는 일정크기 이격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로터(30)와 케이지(50)의 간격을 1mm 내지 5mm로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지(50)와 상기 플로터(3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지(50)의 내측에는 충격완화부재 내지 흡수재가 부착되거나 상기 케이지(50)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선박 엔진의 누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에 연료가 유입되지 않아, 상기 케이지(50)와 플로터(30)가 직접 접촉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때,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플로터(30)와 케이지(50)의 충격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에는 평상시에 연료보다 비중이 큰 액체 충전재(20)를 일정 량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액체 충전재(20)가 상기 케이지(50) 또는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에 일정량이 채워짐으로써 상기 플로터(30)는 항상 유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충전재(20)에 의해 상기 플로터(30)가 일정 높이 상승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50)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누유가 발생하면, 상기 액체 충전재(20)보다 비중이 작은 연료의 상승에 의해 상기 플로터(30)가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을 작동시킨다. 상기 액체 충전재(20)는 연료보다 비중이 큰 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료 유입구(11)로 유입된 연료는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에 채워지기 시작하며, 상기 케이지(50) 내부에 마련된 상기 플로터(30)가 연료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로터(30)는 비중이 연료(oil)보다 작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플로터(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케이지(50) 상부에 마련된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의 상기 감지 스위치(61)를 작동시킨다. 상기 감지 스위치(61)는 상기 플로터(30)가 상승하면서 상기 감지 스위치(61)를 가압하면서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감지 스위치(61)의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하거나 끊어주면서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스위치(61)는 기계식, 전자식 구동원리에 의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식, 비접촉식에 의한 방식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30) 및 누유 감지유닛(6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터(30)와 상기 감지 스위치(61)의 접촉 내지 접지 시간을 0.1초 내지 0.3초 이상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누유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의 상기 케이지(50)에 상기 플로터(30)가 위치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에 연료보다 비중이 큰 액체 충전재(20)를 채워 넣음으로써 상기 플로터(30)와 상기 케이지(5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엔진에 연료 누유가 발생하면, 누유된 연료가 상기 연료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누유 감지탱크(10)로 유입되고, 높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플로터가 함께 상승하다가,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의 감지 스위치(61)를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 스위치(61)가 작동하면 누유 신호가 상기 감지 신호전달부(63)를 따라 전달되며, 이러한 누유 신호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의해 표현되거나 알람장치(미도시)에 의해 알려진다.
이후, 상기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를 수리 및 교체하거나, 누유 확인이 끝난 이후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에 유입된 연료는 연료 배출구(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연료 유입구(11) 및 연료 배출구(13)의 위치, 크기 및 갯수는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의 연료 누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누유 감지장치의 케이지(50)가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의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는 누유 감지탱크(10)가 구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구 형상의 누유 감지탱크(10)는 하나 이상의 연료 유입구(11)와 연료 배출구(13)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플로터(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에 누유된 연료가 유입되면,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의 상기 플로터(30)가 상승하면서 상기 누유 감지유닛(60)의 감지 스위치(61)를 작동 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유 감지탱크(10) 내부에는 연료보다 비중이 큰 액체 충전재(20)가 일정 량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로터(30)가 상기 액체 충전재(20)에 의해 유동되면서 떠 있을 수 있어 상기 누유 감지탱크(10)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충돌이나 진동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30)는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다가 상기 감지 스위치(61)를 작동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감지 신호전달부(63)를 통해 누유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업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구 형상의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를 수용하는 케이지로 마련되어 누유 감지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선박엔진의 연료 누유 감지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0: 누유 감지탱크 11: 연료 유입구
13: 연료 배출구 20: 액체 충전재
30: 플로터 50: 케이지
60: 누유 감지유닛 61: 감지 스위치
63: 감지 신호전달부

Claims (6)

  1. 이중 배관을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에 있어서,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누유 감지탱크;
    상기 누유 감지탱크 내부에 마련되어 연료의 유입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터; 및
    상기 플로터와 접촉하여 작동되는 감지 스위치 및 감지 신호전달부로 마련된 누유 감지유닛; 을 포함하는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를 상기 누유 감지탱크와 이격시키도록 일정량의 액체 충전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체 충전재는 연료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를 수용하여 상기 누유 감지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누유 신호를 알려주는 알람 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연료 누유 감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측면이 개방되어 연료가 유입되도록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연료 누유 감지장치.
KR1020120152728A 2012-12-26 2012-12-26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KR10207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28A KR102073986B1 (ko) 2012-12-26 2012-12-26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28A KR102073986B1 (ko) 2012-12-26 2012-12-26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84A true KR20140084384A (ko) 2014-07-07
KR102073986B1 KR102073986B1 (ko) 2020-02-05

Family

ID=5173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28A KR102073986B1 (ko) 2012-12-26 2012-12-26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5137A (zh) * 2020-03-27 2020-07-03 潍柴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油管燃油泄漏报警装置及报警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5783A (en) * 1957-07-03 1959-09-22 Jr William C Johnson Automatic switch assembly for stock tank
KR20060095758A (ko) * 2003-10-17 2006-09-01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고압파이프용 누출 경보
CN201170743Y (zh) * 2008-02-14 2008-12-24 江苏科技大学 一种燃油泄漏收集报警装置
CN202057390U (zh) * 2011-04-30 2011-11-30 湖北泰盛化工有限公司 自清洁黄磷界面液位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5783A (en) * 1957-07-03 1959-09-22 Jr William C Johnson Automatic switch assembly for stock tank
KR20060095758A (ko) * 2003-10-17 2006-09-01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고압파이프용 누출 경보
CN201170743Y (zh) * 2008-02-14 2008-12-24 江苏科技大学 一种燃油泄漏收集报警装置
CN202057390U (zh) * 2011-04-30 2011-11-30 湖北泰盛化工有限公司 自清洁黄磷界面液位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5137A (zh) * 2020-03-27 2020-07-03 潍柴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油管燃油泄漏报警装置及报警方法
CN111365137B (zh) * 2020-03-27 2022-08-19 潍柴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油管燃油泄漏报警装置及报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986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0305B (zh) 带有可选的溅泼防护装置的可变取向流体液位传感器
US11965278B2 (en) Detergent additive box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distribution box
JP5995149B2 (ja) 漏洩検知装置
KR20140084384A (ko) 선박 엔진의 누유 감지장치
CN205746048U (zh) 一种输油管道的渗漏监测装置
WO2007117083A1 (en) Gas leakage detection apparatus
KR101258179B1 (ko)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CN103213779A (zh) 一种双层地埋油罐
CN105698896A (zh) 限制物位测量装置
CN106938682A (zh) 一种摩托车油箱
CN206695404U (zh) 燃气热水器
CN104008858A (zh) 防止假油位的胶囊式变压器油枕
KR20090088928A (ko) 유압 모터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평형 탱크
KR101379488B1 (ko) 연료량측정장치
CN103134564A (zh) 一种液位测量装置
CN106855453A (zh) 变压器储油柜双密封橡胶隔膜用测液器系统
US4524736A (en) Fluid flow failure detection means
CN212357717U (zh) 洗涤剂盒和洗涤设备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JP3100132B1 (ja) 漏洩検知装置
CN203187385U (zh) 一种液体回收系统
CN108584201B (zh) 一种双层油罐测漏传感器
CN206944458U (zh) 电热水器
KR200261955Y1 (ko) 이중벽탱크 누설검지경보장치
CN205075645U (zh) 油箱的改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