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179B1 -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Google Patents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8179B1 KR101258179B1 KR1020120104277A KR20120104277A KR101258179B1 KR 101258179 B1 KR101258179 B1 KR 101258179B1 KR 1020120104277 A KR1020120104277 A KR 1020120104277A KR 20120104277 A KR20120104277 A KR 20120104277A KR 101258179 B1 KR101258179 B1 KR 1012581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il
- storage tank
- level sensor
- flo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에 급유 작업시 작업자가 탱크 내부의 레벨을 직접 측정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레벨 도달시 이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기관(120)을 구비한 유류저장탱크 몸체(100)와; 급유펌프(210)로부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류공급이 이루어지는 주입관(110)과; 상기 몸체(100)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몸체(100) 상측에 설치되는 측정관(151)과,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유류 레벨에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는 플로팅부(152)와, 설정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152)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부(153)로 이루어지는 측정부(150)와; 상기 몸체(10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부(152)와 레벨센서부(153)의 접촉에 의해 작업자에게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18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유류저장탱크에 급유 작업시 작업자가 탱크 내부의 레벨을 직접 측정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레벨 도달시 이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또는 해상에서 사용되는 유류저장탱크에 급유 작업시 작업자는 수시로 유류저장탱크에 설치된 잔량 측정파이프에 쇠막대나 사운딩 자와 같은 측정도구를 통해 잔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정작업은 오버플로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로 유류저장탱크의 용량 및 급유펌프의 성능에 따라 매우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키기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정확한 공급량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측정 착오 및 급유차량 또는 선박 측에서의 조작실수로 인해 유류가 저장탱크의 통기관, 맨홀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비롯하여 대형화재 및 폭발사고의 위험을 크게 증대시키게 된다.
특히 선박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천에서 만톤(10,000tons) 이상의 대용량으로 이루어지며, 급유펌프의 용량한계로 인해 급유작업이 통상 반나절을 넘기는 긴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측정 깊이가 기본적으로 10미터를 넘을 뿐만 아니라 측정포인트 간의 거리도 상당히 멀어 다수의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등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해상상태의 상황에 따라 정확한 잔량의 산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연속적인 파고의 영향으로 유류저장탱크 전체적으로 경사가 발생할 경우 레벨센서를 구비하더라도 유류 표면의 경사로 실제 레벨보다 적은 잔량에서 작동하여 수급자 측에 경제적 손해를 끼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의 유류 유출사고는 실질적으로 유출된 유류의 회수가 불가능하여 장시간에 걸쳐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출된 유량이 많은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류저장탱크의 오버플로우 위험레벨 도달시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공급작업을 중지하도록 하는 각종 안전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점성이 높은 유류의 사용에 따른 레벨센서의 고착이나 센서 오작동의 가능성으로 인해 신뢰도가 높지 않았으며, 측정범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없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유작업 중 별도의 측정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급유량이 설정치에 도달한 상태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에서의 대용량 유류탱크의 전단, 중단, 후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레벨센서로부터 복수의 신호 인지시 목표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흔들림이나 경사 발생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의 안전급유장치에 있어서, 통기관을 구비한 유류저장탱크 몸체와; 급유펌프로부터 상기 몸체 내부로 유류공급이 이루어지는 주입관과; 상기 몸체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몸체 상측에 설치되는 측정관과, 상기 측정관 내측에서 유류 레벨에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는 플로팅부와, 설정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부로 이루어지는 측정부와; 상기 몸체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부와 레벨센서부의 접촉에 의해 작업자에게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벨센서부는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관 내측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관은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레벨센서부와 플로팅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플로팅부는 상측으로 상기 레벨센서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되되,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레벨센서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 형태의 로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부는 유류에 포함된 거품으로 인한 부력의 작용을 줄이도록 상하방향의 방추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관의 하측에는 유입되는 유류에 포함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메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전단측, 중단측, 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각 측정부의 레벨센서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전단측, 중단측, 후단측의 측정부 중 적어도 2 이상의 작동을 감지할 경우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판단하여 상기 경보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유펌프의 작동계통에 설치되어 급유펌프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스위치와, 상기 측정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정지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상정지스위치 상에 설치되는 구성된 비상정지모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유류저장탱크에 급유시 설정된 레벨 도달시 작업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탱크 내 레벨 측정작업이 필요치 않거나, 작업 인터벌을 늘릴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특히, 측정 착오 및 조작실수로 인한 오버플로우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유류 누출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와 환경오염의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급유중 발생할 수 있는 유동현상 및 거품발생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대용량의 유류탱크를 구비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 등에 적용함으로 파고로 인해 발생하는 탱크의 경사 또는 흔들림에 센서가 오작동하여 부정확하게 잔량을 인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급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손해를 예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저장탱크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저장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류레벨 측정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선박에 설치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비상정지스위치 및 비상정지모듈부의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저장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류레벨 측정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선박에 설치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비상정지스위치 및 비상정지모듈부의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저장탱크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저장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기관(120)을 구비한 유류저장탱크 몸체(100)에 설치된다. 상기 몸체(100)는 지상에 고정 또는 지중에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해상에 부유 또는 해저에 고정되는 구조물, 선박 등 다양한 곳에 모두 적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급유펌프(210)를 구비한 급유차량 또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류공급이 이루어지는 주입관(110)이 설치된다. 상기 주입관(110)은 상기 몸체(100)의 상측으로부터 급유가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00)의 하측 바닥을 향해 유류를 토출하도록 형성되어 급유 방출압력에 의해 몸체(100) 내측의 유류 표면이 요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는 내측의 유류레벨을 측정하되 작업자가 설정한 위치에 유류레벨이 도달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측정부(150)가 설치된다. 상술한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란 공급받고자 하는 유량에 해당하는 높이나, 오버플로우(넘침 사고) 경고레벨에 해당되는 높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부(15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나의 측정부(150)가 오작동하더라도 나머지 측정부(150)와 연동하여 정확한 레벨을 검지하도록 함으로 신뢰성을 확보하고 측정부(150)의 오작동으로 인한 오버플로우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몸체(100) 상측으로 총 3개의 측정부(15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유류저장탱크의 몸체 규격에 따라 측정부(150)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유류저장탱크가 해상에 설치된 경우 파도의 영향에 의해 몸체(100)가 흔들려 유류 표면에 경사가 발생함으로 부정확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간격의 길이방향으로 전단부, 중단부, 후단부의 최소 3개 이상의 측정부(150)를 설치하고 작동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부(150)는 상기 몸체(100)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몸체(100) 상측에 설치되는 측정관(151)과,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유류 레벨에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는 플로팅부(152)와, 설정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152)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부(153)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측정관(151)은 상기 몸체(100)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되는 파이프로서, 몸체(100) 내측에 유류가 공급됨에 따라 유류가 상기 측정관(151)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측정관(151)의 내측과 외측이 동일한 레벨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유류 레벨을 측정하게 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급유펌프(210)로 인한 압력 등으로 인해 몸체(100) 내측의 유류에 유동이 생기더라도 상기 측정관(150) 내측에서는 요동이 없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레벨을 유지하게 되므로, 더욱 정확한 측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로팅부(170)는 유체의 표면에 떠오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력체로서 상기 측정관(150) 내측에 삽입되어, 측정관(150) 내측의 유류 레벨에 따라 실시간으로 높낮이가 변경된다.
상기 레벨센서부(153)는 상기 플로팅부(170)가 선택된 높이에서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작동하는 부분으로, 상기 레벨센서부(160)와 경보부(18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벨센서부(160)를 통해 경보부(18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몸체(100) 내측에는 폭발성 유증기가 항시 존재함으로, 이로 인한 폭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전기연결구조는 적절한 방폭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레벨센서부(153)는 통상 유류저장탱크의 넘침(오버플로우) 위험레벨에서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유류저장탱크의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총 저장용량의 약 95% 수준을 감지하도록 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레벨에서 작동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경보부(180)는 상기 플로팅부(152)와 레벨센서부(153)의 신호에 따라 작업자에게 경보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측정부(150)를 통해 몸체(100) 내측의 유류 레벨이 작업자가 설정한 레벨에 도달했다고 판단시 시각 또는 청각신호를 출력함으로 작업자가 이를 쉽게 인지하여 유류 수급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버저음이나 경광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통상 급유작업 중 급유펌프(210) 등으로 인한 주변 소음이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여 경고등과 같은 시각적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 내지 4에서는 상기 경보부(180)가 상기 측정관(151)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측정관(151)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류레벨 측정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작업자가 필요에 의해 상기 플로팅부(152)와 레벨센서부(153)가 접촉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 몸체(100) 내측의 유류레벨 감지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에서는 상기 레벨센서부(153)가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15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154)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측정관(151)의 상부 내측으로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높이에 고정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라켓(154)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54) 하측으로는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유류의 양에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는 플로팅부(170) 및 상기 플로팅부(170)가 선택된 높이에서 상기 브라켓(154)에 접촉하여 작동하도록 레벨센서부(153)가 설치된다.
이는 작업자가 레벨측정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작업자가 유류저장탱크의 총 용량의 90%만 채우고자 할 경우 탱크의 유량측정테이블에서 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플로팅부(152)가 위치하였을 때 상기 레벨센서부(153)에 접촉하도록 상기 브라켓(154)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첨부된 도 4에서는 도 3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플로팅부(152)와 레벨센서부(153)의 접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4의 (a)에서는 플로팅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도 4의 (b)에서는 측정관(151)의 길이를 각각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의 (a)에서 상기 플로팅부(152)는 상측으로 상기 레벨센서부(153)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로드(151')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로드(151')는 상기 플로팅부(152)와 일체로 플로팅부(152)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로팅부(15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로드(151')의 상단이 상기 레벨센서부(153)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로드(151')의 상단과 레벨센서부(153)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151')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로드(151')를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고 설정된 길이에서 고정할 수 있는 볼트와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작업자가 감지되는 레벨을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로드(151')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조절하고, 감지되는 레벨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로드(151')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4의 (b)에서는 상기 측정관(151)이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레벨센서부(153)와 플로팅부(152)가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기 레벨센서부(153)는 상기 측정관(151) 내측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측정관(151)을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고 설정된 길이로 고절할 수 있도록 볼트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작업자가 감지되는 레벨을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측정관(151)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하고, 감지되는 레벨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측정관(151)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외에도 측정관(151)의 상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브라켓(154)에 설치된 나사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외측에서 나비볼트 등으로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도 3에서는 상기 측정관(151)의 하측에는 공급되는 유류표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공된 판상의 메쉬부(155)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메쉬부(155)는 단순한 철망의 구조가 아닌 일정두께의 판에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형상을 통해 상기 측정관(151)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류의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가솔린이나 경유일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점성이 높은 중유의 경우 표면의 거품이 플로팅부(152)를 들어올려 설정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경보부(180)가 작동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통상 상기 주입관(110)에 연결된 급유펌프(210)을 통해 급유시 공기가 함께 주입됨으로 인해 거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류공급업자의 의해 의도적으로 이루어지든 불가피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든 거품은 정확한 유량측정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표면의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된다.
기존에는 거품 발생시 저절로 제거될 때까지 일정 시간을 기다리는 등 작업지연이 요인이 되기도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쉬부(155)를 형성함으로 실시간으로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정확한 레벨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로팅부(152)가 유류에 포함된 거품으로 인한 부력으로부터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방추형으로 구성된다. 즉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플로팅부(152)의 하측이 좁아지는 방추형을 갖도록 하여 거품을 파고들어 정확한 유류 표면에서 떠오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0) 내측에 점도가 낮은 가스오일이나 경유가 저장되었을 경우에는 별 문제되지 않을 수 있으나, 중유와 같이 점도가 높은 유류가 저장될 경우 플로팅부(152)로 이루어진 상기 측정부(150)의 구성이 고착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기온이 낮을 경우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류수급 작업 전 상기 측정부(150)의 소제 및 작동 테스트는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류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종을 교체한다거나 정기적인 탱크 몸체(100) 내부 청소시 상기 측정부(150)의 청소 작업에 불편함이 따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몸체(100) 외측으로 상기 측정부(15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관(151)의 상부 외측으로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0)의 상측을 관통하며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부에 치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구를 형성함으로 나사구조를 통해 측정관(151)을 몸체(10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관(151)을 상기 몸체(100)로부터 분리하였을 경우, 개방된 삽입구(130)를 통해 몸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몸체(100) 내측의 유증기가 유출되어 사고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구(130)에 탈착되되 하측이 상기 암나사부에 치합되는 형상의 플러그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관(151) 및 상기 플러그를 일반 금속으로 구성할 경우 정전기 또는 상기 몸체(100)와의 강한 접촉시 발생하는 스파크와 상기 몸체(100) 내측의 유증기가 반응하여 폭발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충격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방폭형 금속 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선박에 설치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비상정지스위치 및 비상정지모듈부의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해상 부유방식의 유류저장탱크에서 몸체(100) 내측의 유류 표면에 경사가 발생함에 따라 실제 레벨보다 일시적으로 높은 레벨이 감지됨으로 경보가 발생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제까지는 상기 경보부(180)의 경고신호를 작업자가 육안 또는 청각을 통해 확인하여 급유작업을 중단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경보부(180)의 경고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급유펌프(210)가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먼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박과 같이 해상 부유방식의 유류저장탱크의 경우 몸체(100)의 길이방향 전단측, 중단측, 후단측에 각각 측정부(150)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몸체(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경사에 따라 각각 전단, 중단, 후단에서 감지되는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부정확한 유량산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각 측정부(150)의 레벨센서부(153)로부터 플로팅부(152)와의 접촉 여부를 수신하여 전단측, 중단측, 후단측의 측정부(150) 중 적어도 2 이상의 작동을 감지할 경우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판단하는 제어부(190)가 구비된다.
만약 몸체(100)가 전단측으로 기울어졌다고 가정하면, 전단측의 레벨은 정상보다 높아지고 후단측의 레벨은 정상보다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만약 복수의 측정부(15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측정부(150)가 전단측으로 설치될 경우 실제 잔량보다 적은 상태에서 경보가 발생하여 수급자 측에 경제적 손해가 발생할 것이고, 측정부(150)가 후단측으로 설치될 경우 실제 잔량보다 많은 상태에서 경보가 발생하여 오버플로우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190)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레벨센서부(150)의 접촉 판단에 따라 경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90)의 판단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보부(180)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통상 급유차량(200) 또는 선박은 급유펌프(210)를 작동시키기 위한 ON/OFF 스위치 외에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서 신속하게 급유펌프(210)를 정지시킬 수 있는 푸시 버튼 방식의 비상정지스위치(220)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탱크의 오퍼플로우나 급유호스의 파손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급유펌프(210)를 정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상기 경보부(180)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급유펌프(210)의 작동계통에 설치되어 급유펌프(210)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스위치(220) 및 상기 레벨센서부(1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정지모듈부(221)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비상정지모듈부(221)는 간단하게는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의 회로를 외측으로 연장하여 신호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정지스위치가 작동한 것과 동일하게 급유펌프(210)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경보부(180)와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접점을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경보부(180)의 작동에 의해 비상정지스위치(220)가 작동한 것과 동일하게 급유펌프(210)가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측정부(150)와 제어부(190)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어부(190)와 상기 비상정지모듈부(221)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정지모듈부(221)를 상기 경보부(180)에 설치된 송신모듈과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수신모듈로 구분하여 상기 레벨센서부(153)가 설정된 레벨을 감지시 이 신호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가 작동되도록 하여 급유펌프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몸체 110: 주입관
120: 통기관 150: 측정부
151: 측정관 152: 플로팅부
152': 로드 153: 레벨센서부
154: 브라켓 155: 메쉬부
180: 경보부 190: 제어부
200: 급유차량 210: 급유펌프
220: 비상정지스위치 221: 비상정지모듈부
120: 통기관 150: 측정부
151: 측정관 152: 플로팅부
152': 로드 153: 레벨센서부
154: 브라켓 155: 메쉬부
180: 경보부 190: 제어부
200: 급유차량 210: 급유펌프
220: 비상정지스위치 221: 비상정지모듈부
Claims (8)
- 유류저장탱크의 안전급유장치에 있어서,
통기관(120)을 구비한 유류저장탱크 몸체(100)와;
급유펌프(210)로부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류공급이 이루어지는 주입관(110)과;
상기 몸체(100)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몸체(100) 상측에 설치되는 측정관(151)과,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유류 레벨에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는 플로팅부(152)와, 설정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152)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부(153)로 이루어지는 측정부(150)와;
상기 몸체(10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부(152)와 레벨센서부(153)의 접촉에 의해 작업자에게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18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정관(151)의 하측에는 유입되는 유류에 포함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메쉬부(1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센서부(153)는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15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관(151) 내측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15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151)은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레벨센서부(153)와 플로팅부(152)가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152)는 상측으로 상기 레벨센서부(153)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되되, 작업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상기 레벨센서부(153)와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 형태의 로드(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152)는 유류에 포함된 거품으로 인한 부력의 작용을 줄이도록 상하방향의 방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50)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전단측, 중단측, 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각 측정부(150)의 레벨센서부(153)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전단측, 중단측, 후단측의 측정부(150) 중 적어도 2 이상의 작동을 감지할 경우 설정된 유량이 공급되었음을 판단하여 상기 경보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펌프(210)의 작동계통에 설치되어 급유펌프(210)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스위치(220)와,
상기 측정부(15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20) 상에 설치되는 구성된 비상정지모듈부(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277A KR101258179B1 (ko) | 2012-09-20 | 2012-09-20 |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277A KR101258179B1 (ko) | 2012-09-20 | 2012-09-20 |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8179B1 true KR101258179B1 (ko) | 2013-05-02 |
Family
ID=4866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4277A KR101258179B1 (ko) | 2012-09-20 | 2012-09-20 |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817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3385A (zh) * | 2015-04-30 | 2015-08-19 | 芜湖顺成电子有限公司 | 油罐自锁装置 |
CN105070473A (zh) * | 2015-08-26 | 2015-11-18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 配电变压器带电加油装置 |
CN113671101A (zh) * | 2021-07-06 | 2021-11-19 | 华能(浙江)能源开发有限公司玉环分公司 | 一种油罐区油气智能监测系统 |
CN116424735A (zh) * | 2023-06-12 | 2023-07-14 | 山东利尔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手消毒液定容存储罐用液位变量测量结构 |
-
2012
- 2012-09-20 KR KR1020120104277A patent/KR10125817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3385A (zh) * | 2015-04-30 | 2015-08-19 | 芜湖顺成电子有限公司 | 油罐自锁装置 |
CN105070473A (zh) * | 2015-08-26 | 2015-11-18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 配电变压器带电加油装置 |
CN113671101A (zh) * | 2021-07-06 | 2021-11-19 | 华能(浙江)能源开发有限公司玉环分公司 | 一种油罐区油气智能监测系统 |
CN113671101B (zh) * | 2021-07-06 | 2024-02-02 | 华能(浙江)能源开发有限公司玉环分公司 | 一种油罐区油气智能监测系统 |
CN116424735A (zh) * | 2023-06-12 | 2023-07-14 | 山东利尔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手消毒液定容存储罐用液位变量测量结构 |
CN116424735B (zh) * | 2023-06-12 | 2023-08-22 | 山东利尔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手消毒液定容存储罐用液位变量测量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7868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phase separation in storage tanks using a float sensor | |
KR101258179B1 (ko) | 유류저장탱크 안전급유장치 | |
US4186591A (en) | Device for and method of detecting leaks in a liquid storage reservoir | |
US3279380A (en) | Detector and regulator of water in fuel storage tanks | |
US8511341B2 (en) | Marine fuel backflow preventer and over-fill alarm system | |
CN108584200B (zh) | 一种加油机底盘测漏传感器 | |
CN104555874B (zh) | 一种潜油泵型加油机供油管道测漏装置 | |
JP4596276B2 (ja) | 給油装置 | |
CN210426710U (zh) | 油箱满油警示装置、油箱和工程机械设备 | |
CN205140139U (zh) | 一种溢流报警装置 | |
JP2011001076A (ja) | 給油装置 | |
JP6764583B2 (ja) | 給油装置 | |
JP3201668U (ja) | 水位表示装置及び水位表示システム | |
JP2015209252A (ja) | 燃料供給装置 | |
CN215726248U (zh) | 一种多功能槽车液位指示装置及槽车 | |
KR101426781B1 (ko) | 경사천공에 설치된 누유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재고관리 기구 | |
JP6424023B2 (ja) | 燃料供給装置 | |
KR100642999B1 (ko) | 지하탱크 관리 시스템 | |
US202000241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Fueling of Multiple Fuel Tanks | |
GB2471076A (en) | Tank Monitoring System | |
CN207472379U (zh) | 一种用于拖轮舱底污水箱的水位报警装置 | |
CN209366991U (zh) | 一种加油机底盘测漏传感器 | |
CN110763299A (zh) | 钻井液的监测系统 | |
JP2014025825A (ja) | 検出装置 | |
CN202339224U (zh) | 液位式溢流报警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