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527A -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 Google Patents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527A
KR20140083527A KR1020120153404A KR20120153404A KR20140083527A KR 20140083527 A KR20140083527 A KR 20140083527A KR 1020120153404 A KR1020120153404 A KR 1020120153404A KR 20120153404 A KR20120153404 A KR 20120153404A KR 20140083527 A KR20140083527 A KR 2014008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ntiglare
meth
antiglare film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476B1 (ko
Inventor
임거산
김효동
이성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76B1/ko
Priority to CN201380068476.2A priority patent/CN104884983B/zh
Priority to PCT/KR2013/011716 priority patent/WO2014104637A1/ko
Priority to JP2015550300A priority patent/JP2016504630A/ja
Priority to TW102148098A priority patent/TW201432322A/zh
Publication of KR2014008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법선 방향과 8°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율(%)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고, B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라고 정의 할 때, (A/B)ⅹ100로 정의되는 반사율 파라미터(X)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이다.

Description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화상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EL) 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 화상표시장치는 자연광 또는 조명광 등의 외부 빛에 노출되는 경우, 화상표시장치의 표면으로 입사한 빛이 반사되면서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이미지 반사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화면이 눈부시게 되고 문자 인식이 어려워 쉽게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키거나 두통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 돌출부에 의해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빛의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표면에 배치되는 방현 필름이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종래 방현 필름의 방현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헤이즈(Haze)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4376호는 전체 헤이즈값을 Ha로, 상기 광학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값을 Hi로 정의한 경우에, Ha가 0% 초과 90% 미만이고, Hi가 0% 초과 90% 미만이고, Hi/Ha가 0.8 이상 1.0 미만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를 Hs로 정의한 경우에, Hs가 0.1 이상 6.0 미만이고, Sm이 60㎛ 이상 400㎛ 이하이고, θa가 0.1도 이상 1.2도 이하이고, Rz가 0.2㎛ 초과 1.2㎛ 이하인 광학 적층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헤이즈는 실제 디스플레이에서 외광의 반사에 의한 화상 저하 현상을 명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표면거칠기 수치 또한 외광의 반사 현상을 명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상기의 파라미터는 방현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의 반사에 의한 화상 저하 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반사율 파라미터(X)를 이용하여, 우수한 방현성을 갖음과 동시에 흑감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반사율 파라미터(X)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A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법선 방향과 8°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율(%)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며, B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냄)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율 파라미터(X)는 7~15일 수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투광성 수지 15~80중량부, 투광성 입자 0.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의 두께는 1~2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방현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은, 반사율 파라미터(X)가 5~20인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우수한 방현성을 갖음과 동시에 외광 반사에 의한 화상 저하 문제가 개선되어 우수한 흑감을 갖고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선명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반사율 파라미터(X)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이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A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법선 방향과 8°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율(%)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며, B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법선 방향과 8°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되는 빛이란, 방현 필름 표면에서 산란된 빛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율 파라미터(X)는 방현 필름 표면에서 반사되는 전체 빛 중에 산란되는 빛의 양을 백분율로 표현한 파라미터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사율 파라미터(X)는 5~20의 값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7~15일 수 있다. 반사율 파라미터(X)가 5 미만인 경우 방현성이 떨어져 외광 반사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20 초과일 경우 산란이 심하여 흑감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방현 필름은 투광성 수지, 투광성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현층을 구비한 것이다.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이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기를 분자내 갖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구체적인 예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투광성 수지인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입자는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방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입자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입자, 아크릴계 수지입자, 스티렌계 수지입자, 아크릴-스티렌계 수지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입자, 염화비닐계 수지입자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투광성 입자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경우에는 방현층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가 어려워 방현성이 낮아지게 되며, 10㎛ 초과인 경우에는 방현층의 표면이 거칠어져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와 투광성 입자의 함량은 투광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투광성 입자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수지가 15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려울 수 있고, 80중량부 초과이면 코팅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또한 투광성 입자가 상기의 기준으로 0.5중량부 미만이면 방현성이 떨어질 수 있고, 30중량부 초과이면 방현층의 백화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광개시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경화로 방현성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분산성, 도포성을 높이기 위해 용제에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고, 본 기술분야의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9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방현층은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용제에 희석시킨 용액을 투명기재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UV 경화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의 두께는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통상의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PU620 제품), 2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M340 제품), 2중량부 투광성 입자(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세키스이 테크폴리머 제품, 굴절율 1.51, 평균입경 4.5um), 20중량부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사), 27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사), 2.5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제품), 0.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50 제품)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방현성 하드 코팅 조성물을 60㎛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 상에 수지 두께가 3.8㎛가 되도록 도포한 후, 70℃에서 2분간 용제를 건조시켰다. 건조된 필름에 적산광량 400mJ/cm2로 UV를 조사하여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두께가 4.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두께가 4.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투광성 입자가 실리콘레진 입자(모멘티브, 토스펄 145, 굴절율 1.43, 4.5um)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두께가 3.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두께가 2.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두께가 5.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방현 필름의 배면에 검은색 아크릴판을 접합한 후 반사율(A, B)을 스펙트로 포토미터(코니카 미놀타사, CM-3700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법선 방향과 8°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율(A)과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율(B)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사율(A, B)은 ISO기준 d/8 구조로 측정하였으며, 광원은 펄스 제논 램프, 6인치 적분구를 이용하여 360nm에서 740nm까지 10nm간격으로 SCE법으로 반사율(A)을 측정하였다. 파장에 따라 측정된 반사율(A, B)은 CIE 1931 standard colorimetric system에 의해 계산한 Y수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한 A, B 값을 이용하여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반사율 파라미터(X)를 계산하고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A B A/B
실시예 1 4.52 0.43 9.50
실시예 2 4.62 0.23 5.00
실시예 3 4.55 0.32 7.00
실시예 4 4.50 0.68 15.00
실시예 5 4.48 0.90 20.00
비교예 1 4.46 1.12 25.00
비교예 2 4.69 0.09 2.00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방현 필름의 헤이즈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의 헤이즈 값을 스가사의 HZ-1 Haz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코팅필름의 헤이즈는 코팅필름의 탁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헤이즈가 높을수록 필름이 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방현 필름의 투과선명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방현 필름을 검은색 아크릴판에 접합한 후 선명도 측정기(ICM-1T, 스가사)를 이용하여 투과선명도를 측정하였다. 반사선명도는 슬릿간격 0.25mm, 0.5mm, 1.0mm, 2.0mm에서의 수치를 합산하였다. 투과선명도 값은 흑감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투과선명도 수치가 높을수록 흑감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평가방법 -
투과선명도 200 이상 ~ 400 이하: 흑감 매우 양호
투과선명도 100 이상~ 200 미만: 흑감 양호
투과선명도 100 미만 : 흑감 저하
(3) 방현 필름의 방현성 목시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을 검은색 아크릴판에 접합한 후, 삼파장 스탠드 불빛을 방현 필름의 표면에서 반사시켜 스탠드 빛의 형상이 뚜렷이 보이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 평가방법 -
방현성 ◎: 스탠드 빛의 형상이 뭉그러져 경계선을 찾을 수 없음
방현성 ○: 스탠드 빛의 형상이 뭉그러져 시인됨
방현성 X : 스탠드 빛의 형상이 선명하게 시인됨
헤이즈
(%)
방현성 투과선명도
(%)
흑감
실시예 1 2.3 254.00 매우 양호
실시예 2 1.10 311.00 매우 양호
실시예 3 4.30 288.00 매우 양호
실시예 4 12.30 217.00 매우 양호
실시예 5 8.50 176.00 양호
비교예 1 5.20 43.00 저하
비교예 2 0.70 X 380.00 매우 양호

Claims (6)

  1.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반사율 파라미터(X)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수학식 1]
    Figure pat00003

    (A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법선 방향과 8°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반사율(%)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며, B는 방현 필름 표면에 빛이 입사하여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율 파라미터(X)가 7~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현 필름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투광성 수지 5~80중량부, 투광성 입자 0.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두께는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방현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20120153404A 2012-12-26 2012-12-26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10195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04A KR101959476B1 (ko) 2012-12-26 2012-12-26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CN201380068476.2A CN104884983B (zh) 2012-12-26 2013-12-17 防眩膜及具备该防眩膜的偏光板
PCT/KR2013/011716 WO2014104637A1 (ko) 2012-12-26 2013-12-17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JP2015550300A JP2016504630A (ja) 2012-12-26 2013-12-17 防眩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した偏光板
TW102148098A TW201432322A (zh) 2012-12-26 2013-12-25 抗眩膜及使用該抗眩膜的偏光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04A KR101959476B1 (ko) 2012-12-26 2012-12-26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527A true KR20140083527A (ko) 2014-07-04
KR101959476B1 KR101959476B1 (ko) 2019-03-18

Family

ID=5102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04A KR101959476B1 (ko) 2012-12-26 2012-12-26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6504630A (ko)
KR (1) KR101959476B1 (ko)
CN (1) CN104884983B (ko)
TW (1) TW201432322A (ko)
WO (1) WO201410463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121A (ja) * 2006-06-20 2008-01-10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233870A (ja) * 2007-02-21 2008-10-02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9069477A (ja) * 2007-09-13 2009-04-02 Bridgestone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110124376A (ko) * 2006-08-14 2011-11-1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광학 적층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146B1 (en) * 1998-07-31 2001-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Post-forming continuous/disperse phase optical bodies
JP3383260B2 (ja) * 1999-04-26 2003-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ニュートラル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004835A (ja) * 1999-06-22 2001-01-12 Nippon Mitsubishi Oil Corp 偏光回折素子の製造方法
JP2001002797A (ja) * 1999-06-22 2001-01-09 Nippon Mitsubishi Oil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
CN1166979C (zh) * 1999-06-22 2004-09-15 日石三菱株式会社 反射型液晶显示器件
JP4080967B2 (ja) * 2003-07-18 2008-04-23 出光興産株式会社 光反射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JP2007264113A (ja) * 2006-03-27 2007-10-11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293303A (ja) * 2006-03-28 2007-11-08 Fujifilm Corp 光散乱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0085627A (ja) * 2008-09-30 2010-04-15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771104B1 (ko) * 2011-05-27 2017-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121A (ja) * 2006-06-20 2008-01-10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10124376A (ko) * 2006-08-14 2011-11-1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광학 적층체
JP2008233870A (ja) * 2007-02-21 2008-10-02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9069477A (ja) * 2007-09-13 2009-04-02 Bridgestone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4630A (ja) 2016-02-12
WO2014104637A1 (ko) 2014-07-03
TW201432322A (zh) 2014-08-16
CN104884983B (zh) 2017-07-11
CN104884983A (zh) 2015-09-02
KR101959476B1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492B2 (en)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tiglare film, polarizer with optical lay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246690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 및 방현 필름과, 경화 피막 및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US20120141736A1 (en) Antiglare hard coat film
KR10177110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127675A (ko) 광학 적층체
KR1021676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24211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EP3734332A1 (en) Anti-glare film and display apparatus
KR10220030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9476B1 (ko)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101959475B1 (ko) 확산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10216684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76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5869A (ko) 방현 필름
KR10220968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83525A (ko)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221502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1290A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083861B1 (ko) 광 확산 필름
KR20170056128A (ko)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915285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EP3923039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WO2019172731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