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844A -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844A
KR20140080844A KR1020120149225A KR20120149225A KR20140080844A KR 20140080844 A KR20140080844 A KR 20140080844A KR 1020120149225 A KR1020120149225 A KR 1020120149225A KR 20120149225 A KR20120149225 A KR 20120149225A KR 20140080844 A KR20140080844 A KR 20140080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il
capsule
soft capsu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칠석
정재준
성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2014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844A/ko
Publication of KR2014008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75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기능성 물질을 그래뉼 또는 환 형태로 제조하고, 제 2 기능성 물질인 유지와 함께 젤라틴 외피에 봉입시킴으로써 두 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안정하게 봉입된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그래뉼 또는 환-함유 연질캡슐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Transparent Soft Capsules Containing Granules or Pellets, Methods of Preparing Thereof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캡슐제에는 활성물질(기능성 물질)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한 경질캡슐제와 탄력성이 있는 젤라틴막으로 포피성형(包被成型)한 연질캡슐제가 있다. 연질캡슐은 글리세린, 소르비톨과 같은 다가 알코올을 가하여 탄성을 준 플라스틱과 같은 젤라틴으로 제조되며, 액제, 현탁제, 페이스트 또는 분체를 넣어 제조한다. 특히, 액상인 약물, 휘발성이 있는 약물, 공기 중에서 효력이 저하되기 쉬운 약물 등의 경우에는 연질캡슐이 매우 적당한 제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연질캡슐 제형은 제제의 조성을 다양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고, 모양, 크기, 색상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부가가치 제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의약품, 건강식품, 화장품, 접착제, 방취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질캡슐 제형에서 충진되는 내용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대두유, 야자유 등과 같은 식물유와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유성의 성질을 갖는 기제에 백납 등의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주성분 활성물질(예컨대, 약물)을 현탁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용성 오일이 유효성분을 캡슐화 하여 수분의 침투를 막아서 오히려 약물의 용출을 지연시킬 수도 있으므로 약물의 종류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둘째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피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트리아세틴 등과 같은 액상기제에 주성분 활성물질을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 또한 수용성 용매에 주성분을 용해하여 캡슐에 충진할 경우 수용성인 내용액이 젤라틴으로 이행 및 방출될 수 있어 용매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젤라틴 조성 선정도 신중하게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 두 방법에서는 안정화된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정제수,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및 용해보조제 등의 다양한 첨가물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두 방법으로 제조된 내용물을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연질캡슐제를 제조하고 있다.
한편, 두 가지 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연질캡슐 제품은 한 번에 다양한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편의성 및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발휘하는 기능성 물질의 배합으로 체내 영양소 이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장점 외에 발생하는 단점으로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직접 접촉하여 반응할 수 있는 현탁액 상태에서 상호간 미지의 반응성이 존재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유통기간 경과시 최초에 형성된 유화력의 감소로 분리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연질캡슐제는 필연적으로 불투명 연질캡슐제의 특성을 지니게 되며, 이에 따라 불투명 연질캡슐을 섭취하는 소비자는 캡슐 안에 들어있는 실제 내용물의 상태에 관한 의구심도 증가하게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알려진 연질캡슐제와 달리 계면활성제, 정제수,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및 용해보조제 등의 다양한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 종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안정하게 함유된 연질캡슐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연질캡슐에 함유시킬 내용물(제 1 기능성 물질)을 그래뉼 또는 환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유지(제 2 기능성 물질)와 함께 젤라틴 캡슐 외피에 봉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그래뉼 또는 환과 유지상 액체를 젤라틴 캡슐 외피로 피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피의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캡슐성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젤라틴 캡슐 외피에 미리 요홈을 성형할 수 있고, 상기 요홈에 제 1 및 제 2 기능성 물질을 순차적으로 분주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는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을 제공한다:
(i) 제 1 기능성 물질로서, 식물 소재, 곡류, 생약제, 한약탕제, 비타민, 해조류 및 무기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제조된 그래뉼 또는 환;
(ii) 제 2 기능성 물질로서, 식물성유, 동물성유 및 정제가공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지; 및
(iii) 상기 제 1 및 제 2 기능성 물질이 봉입된 젤라틴을 함유하는 투명한 캡슐 외피.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알려진 연질캡슐제와 달리 계면활성제, 정제수,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및 용해보조제 등의 다양한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 종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안정하게 함유된 연질캡슐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연질캡슐에 함유시킬 내용물(제 1 기능성 물질)을 그래뉼 또는 환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유지(제 2 기능성 물질)와 함께 젤라틴 캡슐 외피에 봉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그래뉼 또는 환과 유지상 액체를 젤라틴 캡슐 외피로 피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피의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캡슐성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젤라틴 캡슐 외피에 미리 요홈을 성형할 수 있고, 상기 요홈에 제 1 및 제 2 기능성 물질을 순차적으로 분주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는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 1 기능성 물질은 식물 소재, 곡류, 생약제, 한약탕제, 비타민, 해조류 및 무기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원료로 하여 그래뉼 또는 환제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식물"은 생물계를 구성하고 있는 것 중 동물을 제외한 생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세포벽과 엽록소를 지니고 있어 광합성을 하는 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식물 소재는 솔잎(pine needles),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뽕잎(mulberry leaves),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찔레(Rosa multiflora),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쑥(Artemisia princeps Pamp.), 금은화 (Lonicera japonica Thunberg),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onica) 및 헛개나무(Hovenia dulcis)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곡류"란 식용으로 사용되는 전분질의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곡류는 쌀, 좁쌀, 찹쌀, 현미, 보리, 콩, 대두, 옥수수, 조, 수수, 기장, 율무, 팥, 밀, 메밀, 호밀 및 귀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생약제"란 (ⅰ) 식물성의 초재(草材), (ⅱ) 초근ㅇ목피ㅇ꽃ㅇ과실ㅇ종자 또는 서각(犀角) 등으로서 그대로 약품으로 쓰거나 제약의 원료로 하는 천연적 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생약제는 갈근, 갈화, 감국, 감수, 감인, 감초, 강활, 건강, 건율, 검실, 길경, 겨자, 결명자, 계내금, 계지, 계피, 고본, 고삼, 곡아, 곤포, 곽향, 과루인, 괴화, 교맥, 구기자, 구절초, 구판, 구인, 국화, 금은화, 나복자, 노근, 녹각, 녹용, 노회(알로에), 누로, 단삼, 당귀, 당삼, 대맥, 대복피, 대황, 대회향, 대극, 대산(마늘), 대추, 도인, 독활, 동과자, 동규자, 동충하초, 두충, 등심초, 마자인, 마테, 마황, 만형자, 맥아, 맥문동, 면실자, 모과, 모려, 목단피, 목통, 목향, 몰약, 박하, 반하, 방기, 방풍, 백강잠, 백두, 백두구, 백자인, 백지, 백출, 별갑, 보골지, 복령, 복분자, 봉출, 비파엽, 빈랑자, 사삼, 사상자, 사인, 사프란, 산사자, 산수유, 산약, 산조인, 산초, 삼릉, 상기생, 상백피, 상엽, 상표초, 상황, 생강, 석결명, 석곡, 석창포, 세신, 소두구, 소목, 소자, 속단, 송화분, 쇄양, 승마, 시호, 신곡, 신이, 아교, 아가리쿠스, 양강, 애엽, 여정실, 연자육, 연교, 영실, 영지, 오가피, 오공, 오두, 오령지, 오매, 오미자, 오수유, 오약, 올눌제, 와송, 용골, 용뇌, 용담, 우담, 우방자, 우슬, 운지, 울금, 원지, 위령선, 위유, 유백피, 유향, 육두구, 육종용, 의이인, 음양곽, 익지인, 인동, 인삼, 인지호, 자단향, 자소, 자원, 자하거, 작약, 잠사, 쟈스민, 저령, 전갈, 전호, 죽여,죽엽, 정향, 즙채(어성초), 지각, 지골피, 지구자, 지모, 지실, 지유, 지황(생, 건, 숙), 진피, 질려자, 차(녹), 차전자, 창이자, 창출, 천남성, 천궁, 천마, 천문동, 천초, 청피, 초두구, 측백엽, 침향, 치자, 카밀레, 커피, 택사, 토사자, 파극, 파두, 패모, 포공영(민들레), 포부자, 표고, 하고초, 하수오, 해분, 해동피, 해채, 행인, 향부자, 향유, 현삼, 현호색, 형계, 황금, 황기, 황백, 황련, 황정, 호프, 홍삼, 홍화, 후박, 후추, 회렴, 회향, 흑두 및 흑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한약탕제"는 한약제조지침서 혹은 처방전에 의한 개별 약제 조성물을 의미하며, 십전대보탕, 가미귀비탕, 가미온담탕, 소시호탕, 시함탕, 온경탕, 육군자탕, 이중탕, 청서익기탕, 반하시함탕, 생강사심탕, 강활유풍탕, 귀비탕, 시령탕 및 시호계지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에는 비타민 A, D, E, K 등의 지용성 비타민, 및 비타민 B복합체, 비타민 C, 비오틴, 폴산, 콜린, 이노시톨, 비타민 L, 비타민 P 등의 수용성 비타민이 포함되고, 상기 해조류에는 김, 미역, 다시마, 파래, 톳, 마자반 및 청각이 포함되며, 상기 무기질에는 칼슘, 인,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염소가 포함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상기 그래뉼 또는 환은 홍삼, 인삼, 비타민, 녹차, 칼슘 및 이소플라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라틴 함유 투명한 캡슐외피는 젤라틴, 가소제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젤라틴은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젤라틴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예로는 젤라틴, 호박산 젤라틴, 산성 젤라틴, 알칼리성 젤라틴, 펩티드 젤라핀, 저분자 젤라틴 및 젤라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가소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예로는 글리세린,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의 소르비톨, 소르비탄 또는 솔바이드 계열, 수크로오스,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및 말디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질캡슐은 각기 다른 원료로 제조된 둘 이상의 제 1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연질캡슐은 제 1 기능성 물질로서 홍삼 그래뉼(또는 환)과 인삼 그래뉼(또는 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상기 그래뉼의 직경은 0.5 내지 3 mm 미만이고, 환의 직경은 3 내지 10 mm 이다. 다른 특정예에서는 상기 그래뉼의 직경은 0.7 내지 2 mm 이고, 환의 직경은 3 내지 6 mm 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질캡슐에는 캡슐에 함유되는 내용물 총량 1000 mg 기준으로 3-5개의 환을 포함하며, 4개의 환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4환의 무게는 400-500 mg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그래뉼은 본 발명의 연질캡슐에 함유되는 내용물 총량 1000 mg 기준으로 200-800 mg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질캡슐은 유지에 함유된 유용물질(영양소)을 제 1 기능성 물질과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제 2 기능성 물질로서 유지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는 이 분야에 공지된 식물성유, 동물성유 또는 정제가공유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유지의 예로는 MCT 오일, 옥수수유, 아몬드유, 살구유, 아보카도유, 바바수야자유, 카모마일유, 카놀라유, 코코아 버터유, 코코넛유, 대구 간유, 커피유, 어유, 아마씨유, 호호바유, 조롱박유, 포도씨유, 헤이즐넛유, 라벤더유, 레몬유, 망고씨유, 오렌지유, 올리브유, 밍크유, 종려나무유, 로즈마리유, 참깨유, 시어 버터유, 콩유, 해바리기유, 호두유, 홍화유, 어유, 스쿠알렌, 마카다미유, 수소화 고-에루식산 평지씨유, CLA(conjugated linole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DHA(docosahexanoic acid), 물범유, 비타민 E 오일, 소맥배아유, 마늘오일, 레시틴 및 대두유를 들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상기 유지는 어유 혹은 정제어유이다. 상기 어유에는 DHA, EPA 등의 오메가-3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의 연질캡슐에 어유가 포함되는 경우 섭취자에게 그래뉼 또는 환 형태의 제 1 기능성 물질(예컨대, 홍삼)과 함께 오메가-3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섭취자는 홍삼과 오메가-3를 한 번의 섭취로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질캡슐은 내부에 제 1 기능성 물질 및 제 2 기능성 물질이 존재하는 공간 외의 빈공간(기포)을 포함한다. 상기 빈공간은 제 1 기능성 물질 및 제 2 기능성 물질을 연질캡슐 안을 가득 채우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주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빈공간에 의하여 연질캡슐 제조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기능성 물질과 제 2 기능성 물질이 연질캡슐 안에 안정하게 봉입되도록 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식물 소재, 곡류, 생약제, 한약탕제, 비타민, 해조류 및 무기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함유하는 그래뉼 또는 환을 얻는 단계; 및
(b) 제 1 기능성 물질로서 단계 (a)의 그래뉼 또는 환, 및 제 2 기능성 물질로서 식물성유, 동물성유 및 정제가공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지를 젤라틴을 함유하는 투명한 캡슐외피로 피복하고 캡슐로 성형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연질캡슐 제조방법과 상기에서 설명한 연질캡슐 사이의 공통된 사항은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내용물을 그래뉼 또는 환의 형태로 캡슐 내에 봉입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연질 캡슐과 달리 계면활성제, 정제수, pH 조정제 등의 첨가제의 사용 없이 연질캡슐을 제조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연질캡슐은 캡슐 내용물의 상태를 외부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a)에서는 식물 소재, 곡류, 생약제, 한약탕제, 비타민, 해조류 및/또는 무기질을 원료로 하여 적당한 크기로 그래뉼 또는 환을 제조한다. 상기 그래뉼 또는 환은 이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장치(과립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유동층 공정기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는 시각적으로 미려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조된 그래뉼 및 환의 외부 표면을 색소로 코팅할 수 있다. 이때, 합성 색소 또는 천연물 추출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색소는 천연의 물질에서 추출하고 정제한 색소로서 동물성 색소, 식물성 색소 및 미생물 색소를 포함한다. 상기 동물성 색소에는 패각충과 연지벌레(코치닐)의 건조체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코치닐(cochineal) 색소 및 락(lac) 색소가 있으며, 식물성 색소에는 치자나무 과실로부터는 얻어지는 3색소인 치자 황, 치자 청, 홍화 황 및 비트 레드, 자색고구마 색소, 파프리카, 포도 과피 색소, 적 양배추 색소, 루페인 색소, 카라멜 색소, 캐롯 색소 및 블랙칼라가 있다.
본 발명의 단계 (b)에서는 제조된 그래뉼 또는 환과 유지를 캡슐외피로 피복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b)는 젤라틴을 함유하는 투명한 캡슐외피에 요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요홈에 그래뉼 또는 환을 주입한 다음 유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뉼 또는 환, 및 유지가 주입된 요홈이 형성된 캡슐외피를 캡슐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단계 (b)는 하기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i) 일정 간격마다 요홈이 마련된 1쌍의 다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다이롤러의 맞댐 작용에 의해 다이롤러 사이로 공급되는 1쌍의 투명한 젤라틴 외피 시트를 접합하여 캡슐로 성형하는 캡슐 성형 유닛;
(ii) 1쌍의 투명한 젤라틴 외피 시트 중 한쪽 또는 양쪽 시트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을 성형한 다음 요홈이 형성된 외피 시트를 상기 캡슐 성형 유닛의 각 다이롤러로 공급하는 요홈 성형 유닛, 여기서 상기 요홈이 형성된 외피 시트는 다이롤러로 공급될 때 시트에 형성된 요홈이 다이롤러에 마련된 요홈과 맞물려 이송되고; 및
(iii) 상기 캡슐 성형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1쌍의 다이롤러 사이로 내용물을 분주하는 주입 유닛, 여기서 상기 주입 유닛은 상기 다이롤러의 요홈에 맞물려 이동하는 외피 시트의 요홈에 1차적으로 그래뉼 또는 환을 분주하고, 2차적으로 유지를 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연질캡슐 제조장치 (10)와 상기에서 설명한 연질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사이의 공통된 사항은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요홈 성형 유닛 (100)은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젤라틴)를 시트상으로 고화 형성하는 시트 성형부 (110)를 가질 수 있으며, 성형된 2 장의 외피 시트 (S)를 접합부(1 쌍의 다이롤러 사이)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일례로서 캡슐 성형 유닛 (3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1쌍 형성된다. 상기 시트 성형부 (110)는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를 거의 일정한 두께의 시트 상태에서 토출하는 스프레더 박스와 이 스프레더 박스로부터 토출된 외피 시트 (S)를 냉각하는 캐스팅 드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외피 시트 (S)는 여기서 적절한 온도로 냉각되면서 적절한 두께의 시트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시트 형성부 (110)로부터 성형된 외피 시트 (S)는 요홈 성형 유닛 (100)의 요홈 성형 몰드장치 (120)를 통과하면서 시트 (S)상에 요홈 (U)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홈 (U)은 1쌍의 외피 시트 (S)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요홈 (U)이 형성된 외피 시트 (S)는 캡슐 성형 유닛 (300)의 각 다이롤러 (310)로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요홈 (U)이 형성된 외피 시트 (S)는 다이롤러 (310)로 공급될 때 시트 (S)에 형성된 요홈 (U)이 다이롤러 (310)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요홈 (U')과 맞물려 이송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슐 성형 유닛 (300)은 좌우 1쌍의 다이롤러 (310)를 주요 부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각 다이롤러 (310)에는 그 표면에 적절한 형상의 요홈 (U')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거의 방추상 내지는 대략 회전 타원 형상을 나타내는 연질캡슐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기 요홈 (U')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함몰된 타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1쌍의 다이롤러 (310)는 서로의 요홈 (U')을 거의 합치시키는 상태에서 서로 회전함으로써 다이롤러 (310) 사이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되는 외피 시트 (S)를 끌어들이면서 양호한 타이밍에 맞대어 외피 접합을 실시하여 캡슐 (C)을 성형한다.
상기 다이롤러 (310) 사이로 이송되는 외피 시트 (S)에 액상의 내용물(예컨대, 유지)을 분주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을 외피 시트 (S)를 향하여 보낼 때의 분사 압력(액압)에 의해 외피 시트 (S)가 다이롤러 (310)의 요홈 (U') 형상에 맞춰 변형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롤러 (310) 사이로 이송되는 외피 시트 (S)에 그래뉼 또는 환 형태의 내용물을 분주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에 의한 압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외피 시트의 변형이 그래뉼 또는 환이 봉입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일어나지 못하고, 이에 의하여 외피 시트의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캡슐이 성형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입 유닛 (20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다이롤러 (310)의 요홈 (U')에 맞물려 이동하는 외피 시트 (S)의 요홈 (U)에 1차적으로 그래뉼 또는 환을 분주하고, 그래뉼 또는 환이 분주된 요홈에 2차적으로 유지를 분주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형성된 요홈 (U)에 그래뉼 또는 환을 분주하기 때문에 그래뉼 또는 환에 의한 캡슐 외피 부접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상기 주입 유닛 (200)은 그래뉼 또는 환의 주입을 위한 제 1 주입부 (210) 및 유지의 주입을 위한 제 2 주입부 (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제 1 기능성 물질을 그래뉼 또는 환 형태로 제조하고, 제 2 기능성 물질인 유지와 함께 젤라틴 외피에 봉입시킴으로써 두 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안정하게 봉입된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기존의 연질캡슐에는 액제, 현탁제, 페이스트 또는 분체 형상의 내용물이 젤라틴 외피로 피복되나, 본 발명은 입자의 크기가 크고 안정한 고체상인 그래뉼 또는 환을 제 1 기능성 물질로서 젤라핀 외피 내에 봉입시킨다.
(ii) 본 발명은 유지 혹은 액상기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및 용해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1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현탁시킨 내용물이 충진된 기존의 연질캡슐과 달리, 그래뉼 또는 환제로 제조된 제 1 기능성 물질 및 유지인 제 2 기능성 물질이 함께 충진된 연질캡슐이다.
(iii) 본 발명은 그래뉼 또는 환을 캡슐 외피(젤라틴)로 피복하는 연질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iv) 본 발명의 그래뉼 또는 환-함유 연질캡슐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질캡슐 제조장치의 사시도(모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질캡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의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그래뉼 및 환의 제조
1-1. 홍삼분말을 함유하는 산제의 제조
약전 제제 총칙 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원료 배합비율로 홍삼분말 펠렛을 제조하였다:
6년근 홍삼 건조분말 ---------------1,000g
유당 ------------------------------1,000g
탈크 --------------------------------100g
HPMC --------------------------------100g
위의 배합비에 적당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역회전 과립기에서 직경 1 mm, 길이 1mm의 펠렛을 만든 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이어서, 하부 분사(Bottom Spray) 방식의 유동층 코팅기(청진기술산업: FBC-3 모텔)에 건조된 산제 2,000g을 넣은 후 내부온도를 35℃로 유지하면서 유동화 시키고, 이어서 2.5%의 쉘락 용액 2000g을 코팅하여 2,040g의 코팅된 산제를 얻었다.
1-2. 칼슘함유 홍삼농축액 환의 제조
하부 분사 방식의 유동층 코팅기(청진기술산업: FBC-3 모텔)에 해조칼슘 분말 500g을 투입하여 내부온도를 60℃로 조절하면서 해조칼슘 분말을 유동화 시켰다. 이어서, 고형물 40%의 홍삼농축액 5,000g을 분무하여 입자가 3-4 mm 크기이며, 홍삼농축액 함량이 80%인 환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2.5% 에틸셀룰로즈 용액을 1,000g 분무하여 방습코팅 하였다.
1-3. 비타민 C 그래뉼의 제조
회전하는 원판 디스크가 구비된 유동층 로타 과립기(청진기술산업: FBC-3 모텔)에 200 μm의 슈크로스 입자 500g을 투입한 후 50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100% 비타민 C 분말을 10 g/분의 속도로 과립기 내부로 공급하였다. 과립기 내부 온도를 25℃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결착제로서 2.5% 전분용액을 12.5 ㎖/분의 속도로 분무하여 비타민 C 분말이 결착된 0.85-1.0 mm 크기의 원형 그래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치자 적 색소 5g을 정제수 250g에 용해한 후 5% HPMC 용액 250g을 혼합하여 적색으로 코팅된 비타민 C 그래뉼 2,000g을 얻었다.
1-4. 녹차 추출물 분말 그래뉼의 제조
회전하는 원판 디스크가 구비된 유동층 로타 과립기(청진기술산업: FBC-3 모텔)에 200 μm의 수크로스 입자를 500g 투입한 후 50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녹차 추출물 분말을 12.5 g/분의 속도로 과립기 내부로 공급하였다. 과립기 내부 온도를 25℃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결착제로서 2.5% 전분용액을 12.5 ㎖/분의 속도로 분무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이 결착된 0.85-1.0 mm크기의 원형 그래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2.5% HPMC 용액 500g을 코팅하여 녹차 추출물 그래뉼 2,000g을 얻었다.
1-5. 대두이소플라본 분말 그래뉼의 제조
회전하는 원판 디스크가 구비된 유동층 로타 과립기(청진기술산업: FBC-3 모텔)에 200 μm의 슈크로스 입자 500g을 투입한 후 50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대두 이소플라본 분말을 10g/분의 속도로 과립기 내부로 공급하였다. 과립기 내부 온도를 25℃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결착제로서 2.5% 플루란 용액을 12.5 ㎖/분의 속도로 분무하여 대두 이소플라본 분말이 결착된 0.85-1.0 mm크기의 원형 그래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치자 황 색소 5g을 정제수 250g에 용해한 후 5% HPMC용액 250g을 혼합하여 노란색으로 코팅된 대두이소플라본 그래뉼 2,000g을 얻었다.
실시예 2. 그래뉼 또는 환 함유-투명 연질 캡슐의 제조
연질 캡슐의 제조는 주로 로타리법(Rotary die process)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회전하는 2개의 다이롤러(stamping roller) 사이에 2장의 젤라틴 시트를 연속적으로 도입하면서, 균질 유화된 유성의 내용물을 공급하여 압축 성형하는 방식이다(도 1). 본 실시예에서는 로타리식에 의한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라틴 시트가 ∪형 요홈을 성형하는 몰드기를 통과하여 시트상에 만들어진 요홈에 일차로 칭량된 그래뉼이 분주되고, 이어서 유지가 분주되어 봉입되는 방식으로 투명 연질캡슐을 제조하는 장치를 고안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만들어진 당양한 종류의 그래뉼 및 환제와 어유를 연속하여 젤라틴 캡슐외피에 주입 및 봉입하여 최종 제품을 얻었다. 이 경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3-4 mm 환의 경우에는 투명 연질캡슐에 함유되는 내용물 총량 1000 mg 기준으로 4환 정도가 연질캡슐에 들어가며, 4환의 무게는 400-500 mg의 범위이다. 그래뉼은 투명 연질캡슐에 함유되는 내용물 총량 1000 mg 기준으로 200-800 mg의 그래률이 포함된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투명 연질캡슐은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음을 포함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i) 제 1 기능성 물질로서, 식물 소재, 곡류, 생약제, 한약탕제, 비타민, 해조류 및 무기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제조된 그래뉼 또는 환;
    (ii) 제 2 기능성 물질로서, 식물성유, 동물성유 및 정제가공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지; 및
    (iii) 상기 제 1 및 제 2 기능성 물질이 봉입된 젤라틴을 함유하는 투명한 캡슐 외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또는 환은 홍삼, 인삼, 비타민, 녹차, 칼슘 및 이소플라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연질캡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은 0.5-3 mm 미만의 직경을 가지고, 환은 3-10 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연질캡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어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연질캡슐.
  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a) 식물 소재, 곡류, 생약제, 한약탕제, 비타민, 해조류 및 무기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함유하는 그래뉼 또는 환을 얻는 단계; 및
    (b) 제 1 기능성 물질로서 단계 (a)의 그래뉼 또는 환, 및 제 2 기능성 물질로서 식물성유, 동물성유 및 정제가공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지를 젤라틴을 함유하는 투명한 캡슐외피로 피복하고 캡슐로 성형하는 단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젤라틴을 함유하는 투명한 캡슐외피에 요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요홈에 그래뉼 또는 환을 주입한 다음 유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뉼 또는 환, 및 유지가 주입된 요홈이 형성된 캡슐외피를 캡슐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다음을 포함하는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제조장치:
    (i) 일정 간격마다 요홈이 마련된 1쌍의 다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다이롤러의 맞댐 작용에 의해 다이롤러 사이로 공급되는 1쌍의 투명한 젤라틴 외피 시트를 접합하여 캡슐로 성형하는 캡슐 성형 유닛;
    (ii) 1쌍의 투명한 젤라틴 외피 시트 중 한쪽 또는 양쪽 시트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을 성형한 다음 요홈이 형성된 외피 시트를 상기 캡슐 성형 유닛의 각 다이롤러로 공급하는 요홈 성형 유닛, 여기서 상기 요홈이 형성된 외피 시트는 다이롤러로 공급될 때 시트에 형성된 요홈이 다이롤러에 마련된 요홈과 맞물려 이송되고; 및
    (iii) 상기 캡슐 성형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1쌍의 다이롤러 사이로 내용물을 분주하는 주입 유닛, 여기서 상기 주입 유닛은 상기 다이롤러의 요홈에 맞물려 이동하는 외피 시트의 요홈에 1차적으로 그래뉼 또는 환을 분주하고, 2차적으로 유지를 분주한다.
KR1020120149225A 2012-12-20 2012-12-20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40080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225A KR20140080844A (ko) 2012-12-20 2012-12-20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225A KR20140080844A (ko) 2012-12-20 2012-12-20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844A true KR20140080844A (ko) 2014-07-01

Family

ID=5173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225A KR20140080844A (ko) 2012-12-20 2012-12-20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84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54B1 (ko) 2018-10-12 2019-05-22 정나호 연질캡슐제품 제조방법
KR102026468B1 (ko) 2019-01-30 2019-09-30 이정록 연질캡슐 제조용 다이 롤
KR102140014B1 (ko) * 2019-03-25 2020-09-02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연질캡슐 제조 장치
KR102140013B1 (ko) * 2019-03-25 2020-09-02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연질캡슐 제조 장치
KR20200104706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중 코팅된 연질 캡슐
KR20220045351A (ko) * 2020-10-05 2022-04-12 정수영 연질 캡슐 성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54B1 (ko) 2018-10-12 2019-05-22 정나호 연질캡슐제품 제조방법
KR102026468B1 (ko) 2019-01-30 2019-09-30 이정록 연질캡슐 제조용 다이 롤
KR20200104706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중 코팅된 연질 캡슐
WO2020175894A3 (ko) * 2019-02-27 2020-12-1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중 코팅된 연질 캡슐
KR102140014B1 (ko) * 2019-03-25 2020-09-02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연질캡슐 제조 장치
KR102140013B1 (ko) * 2019-03-25 2020-09-02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연질캡슐 제조 장치
WO2020197144A1 (ko) * 2019-03-25 2020-10-01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연질캡슐 제조 장치
WO2020197145A1 (ko) * 2019-03-25 2020-10-01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연질캡슐 제조 장치
KR20220045351A (ko) * 2020-10-05 2022-04-12 정수영 연질 캡슐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0844A (ko) 그래뉼 또는 환-함유 투명 연질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S2308240T3 (es) Perlas estables de nutrientes lipofilos.
CN104799278B (zh) 一种增强降血脂作用的磷虾油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481772B1 (ko) 추출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과립 또는 환의 제조방법
KR20180019217A (ko) 연질 캡슐 피막용 조성물
US20060182798A1 (en) Composition for gelatin coating, gelatin coating, and preparation using the same
JP2008280271A (ja) 皮膚光老化予防剤
CN101534796A (zh) 含有生理活性物质的粒状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 Abreu Figueiredo et al. Microencapsulation by spray chilling in the food industry: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innovations
MX2008013284A (es) Preparacion de polifenol regaliz.
WO2003045168A1 (de) Pulverförmige formulierung enthaltend konjugierte octadecapolyensäure
CN106455667A (zh) 脂溶性维生素制剂
JP5324755B2 (ja) 粒子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533713A (zh) 一种具有抗衰老功能的医用食品及其制备方法
US20230157964A1 (en) A stable food-grade microcapsule for the delivery of unstable and food-incompatible active ingredients to food products
TW200902033A (en) Neuroblast proliferate accelerant and nerve protuberance extend accelerant
JP2013249268A (ja) 血液流動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組成物
JP5041565B2 (ja) 安定なアスタキサンチンとγ−シクロデキストリンとの包接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剤、飲食物、飼料、医薬品及び化粧品用途
JP2019135217A (ja) 粉状組成物、粉状組成物の製造方法、ドライアイ改善剤、肌質改善剤、飲食物、化粧品、及びペットフード
JP5886457B1 (ja) カプセル用アントシ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カプセル剤
CN103732255A (zh) 软胶囊制剂、软胶囊制剂用组合物及软胶囊制剂的制造方法
CN116744910A (zh) 包含灵芝的膳食补充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8190432A1 (ja) ソフトカプセル集合体の製造方法及びソフトカプセル集合体
JP2017014125A (ja) ソフトカプセル用アントシ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ソフトカプセル剤
JP4644232B2 (ja) 徐放性乾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