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161A -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161A
KR20140079161A KR1020120148815A KR20120148815A KR20140079161A KR 20140079161 A KR20140079161 A KR 20140079161A KR 1020120148815 A KR1020120148815 A KR 1020120148815A KR 20120148815 A KR20120148815 A KR 20120148815A KR 20140079161 A KR20140079161 A KR 2014007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signal
server
web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881B1 (ko
Inventor
정우철
최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8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는,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웹 API 모듈;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API 모듈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웹 API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웹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INTERFACE CONTROLL DEVIC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각종 조작장치들의 제어에 의하여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거나 외부의 웹으로 구동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어하도록 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은 내부에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탑재된다. 기존의 라디오, 에어컨 위주의 전자장치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전화 핸즈프리 시스템 등의 전자장치들이 탑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임베디드(Embedded) 형태의 차량 어플리케이션의 컨트롤을 위한 시스템 블록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단말기는 차량내 모든 오디오, 내비게이션 등의 제어를 위하여 프론트 패널/조작계 키 등이 차량 단말기 CPU 와 직렬 통신을 하고 이 조작계 입력값을 통하여 CPU에서는 해당 입력값으로 각종 단말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조작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차량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등 각종 미디어 플레이어는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서 미디어를 재생하거나 화면 처치 이벤트 등이 입력되어 경로를 설정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IT 기술의 발전속도는 나날이 빨라지고 기술의 순환주기 또한 매우 짧아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차량의 IT 기술의 적용 속도는 차량의 수명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그 적용속도가 매우 느리며 최신 기술의 적용 등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말 기반이 아닌 웹 기반의 차량 IT 서비스가 필요하고 이러한 웹 기반 차량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을 웹 플랫폼 이라고 한다.
차량에서 이러한 웹 플랫폼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양산되는 단말을 새로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러한 부분에 자동차 제조사들은 개발 및 적용 문제에 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차량내의 각종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단말기를 제어하거나 웹과 연동하여 웹 서비스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는,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웹 API 모듈;
상기 웹 API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웹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블루투스 방식, CDMA 방식, Wcdma 방식, WIPI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는,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웹 API 모듈;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API 모듈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웹 API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웹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와 상기 차량용 단말기 사이에서 내부 회로 보호를 위한 회로 보호용 전원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블루투스 방식, CDMA 방식, Wcdma 방식, WIPI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은,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의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가 API 모듈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PI 모듈이 상기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고, 웹 클라이언트가 상기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내의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단말기의 신규개발 필요없이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면, 스마트폰 앱이나 Pc 등에서 웹으로 구동하는 각종 서비스를 차량내의 조작장치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내 조작 환경을 그대로 웹 서비스에 적용시켜 다양한 차량 I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에서 조작장치 및 제어 대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는,
차량 네트워크망(400)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500)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300) 또는 차량용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200)로서,
통신부(260), 저장부(220), 웹 API 모듈(240), 제어부(230), 웹 클라이언트(250), 회로 보호용 전원 제어 모듈(210)을 포함한다.
저장부(220)는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핸들조작이나 버튼조작 등의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데이터는 프로그램이나 컨텐츠 실행, 게임내에서의 동작, 동영상의 실행 등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웹 API 모듈(240)은 입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는데, 필요에 따라 웹 연동에 필요한 필수목록을 관리하면서 웹 연동을 지원한다.
제어부(230)는 상기 조작장치(500)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차량용 단말기(100)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300)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API 모듈(240)로 상기 저장부(220)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
웹 클라이언트(250)는 상기 웹 API 모듈(240)을 통해 출력되는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통신부(260)를 통해 상기 서버(300)로 송신한다.
회로 보호용 전원 제어 모듈(210)은 상기 제어부(230)와 상기 차량용 단말기(100) 사이에서 과전압이나 과전류등으로부터 내부 회로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이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블루투스 방식, CDMA 방식, Wcdma 방식, WIPI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에서,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200)의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작 장치(500)를 조작한다(S310).
그러면, 상기 조작장치(500)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제어부(230)로 송신된다(S320).
다음, 제어부(230)는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인지 또는 서버를 제어하는 신호인지 판단한다(S330).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이면(S340), 제어부(230)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100)로 상기 저장부(220)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S350). 이때, 회로 보호용 전원 제어모듈(210)을 통해 제어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과전압이나 과전류 등에 대해 회로 보호가 가능하다.
그러면, 차량용 단말기(100)가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S360). 이러한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들이나, 각종 조작버튼의 조작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용 단말기 내의 게임이나 주차 시뮬레이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300)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가 API 모듈(240)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S370).
그러면, 상기 API 모듈(240)이 상기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고, 웹 클라이언트가 상기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웹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서버(300)로 송신한다(S380).
그러면 서버(30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390). '이러한 해당 기능 수행의 예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들이나, 각종 조작버튼의 조작 제어신호에 따라 서버(300)가 제공하는 게임이나 주차 시뮬레이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핸들이나, 각종 조작버튼의 조작 제어신호에 따라 서버(300)가 웹페이지 유알엘이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의 사용여부를 미리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별도의 제어장치나 차량 네트워크망의 제어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는 서버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였으나 이외에도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이 아니라 하나만을 제어하도록 미리부터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단말기 또는 서버만을 제어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내의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단말기의 신규개발 필요없이 공조기기, 조향장치 또는 각종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면, 스마트폰 앱이나 Pc 등에서 웹으로 구동하는 각종 서비스를 차량내의 조작장치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내 조작 환경을 그대로 웹 서비스에 적용시켜 다양한 차량 I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210: 회로 보호용 전원 제어 모듈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웹 API 모듈
250: 웹 클라이언트
260: 통신부

Claims (8)

  1.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웹 API 모듈;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API 모듈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웹 API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웹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차량용 단말기 사이에서 내부 회로 보호를 위한 회로 보호용 전원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블루투스 방식, CDMA 방식, Wcdma 방식, WIPI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5.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웹 API 모듈;
    상기 웹 API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웹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7. 차량 네트워크망을 통해 차량내의 조작장치로부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의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작제어신호가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가 API 모듈로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PI 모듈이 상기 제어데이터를 웹 연동 가능하도록 변환하고, 웹 클라이언트가 상기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공조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조향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방법.
KR1020120148815A 2012-12-18 2012-12-18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6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15A KR101461881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15A KR101461881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61A true KR20140079161A (ko) 2014-06-26
KR101461881B1 KR101461881B1 (ko) 2014-11-13

Family

ID=5113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815A KR101461881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93A (ko) *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0706A (ja) 2002-10-18 2004-05-13 Toshiba Corp 車載用通信装置
KR200377564Y1 (ko) 2004-11-25 2005-03-08 (주)한국정밀전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21444A (ko) * 2009-05-07 2010-11-17 오윤석 차량 a/v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8008A (ko) * 2010-09-13 2012-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텐츠 연동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93A (ko) *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881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07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WO2018037945A1 (ja) 車両、および制御方法
JP5548668B2 (ja) 車載装置と携帯情報端末が連携するシステム
JP6103620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プログラム
JP552706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US20130261888A1 (e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US96882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obile device to emulate a 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CN103685573A (zh) 一种用于汽车与智能终端间的互动系统
US201502771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system using a high speed network
JP2018523176A (ja) 車載インフォテインメントとデータ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サーバ、モバイル端末、及び装置
US20120253597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on-board device, and portable device
WO2015029522A1 (ja) 車載器、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021632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車両用機器
JP2012010287A (ja) 携帯機器と連携し、携帯機器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自動的に起動する車載機器
CN104683401A (zh) 车载设备信息呈现方法及系统
US959080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by means of a motor vehicle
JP6362875B2 (ja) 車載装置、車載情報システム
US2015018125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dapter device between vehicle infotainment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KR102442181B1 (ko) 운영 체제 시동 가속화
EP2793125A1 (en) Human machine interface
JP2012121533A (ja) 車載機器の付加機能管理装置及び車載機器の付加機能管理方法
US9351095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 head unit of a vehicle
CN107231486B (zh) 一种车辆的智能操控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61881B1 (ko)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040176B (zh) 一种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