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893A -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893A
KR20190048893A KR1020170144173A KR20170144173A KR20190048893A KR 20190048893 A KR20190048893 A KR 20190048893A KR 1020170144173 A KR1020170144173 A KR 1020170144173A KR 20170144173 A KR20170144173 A KR 20170144173A KR 20190048893 A KR20190048893 A KR 2019004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ata
vehicle
clou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605B1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3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엣지(Edge) 기능을 갖는 프론트엣지(FrontEdge)가 탑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분산 수행되도록 하는, 기존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최적화된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SYSTEM FOR PROVIDING VEHICLE CLOUD SERVICE BASED ON DISTRIBUTED CLOU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차량(Vehicle) 클라우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공하는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차량 내부에 탑재된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분산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최적화된 새로운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실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또는 클라우드 컴퓨팅)는,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망 상에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사용자가 데이터 분류, 계산, 처리 및 분석 등 다양한 연산 처리의 기능(프로세스), 저장공간 등과 같은 네트워크자원(Information Technology, IT 원)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의 기술이다.
이에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자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자원 수준에서는 수용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연산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고속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커넥티드 상황에서 차량간의 통신 인프라와의 정보 제공 등을 위해, C-V2X 기술이 주목 받고 있으며, 이는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 통신,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to-Infrastructure, V2I) 통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V2X와 결합한 커넥티드 카 기술을 통해 저 지연 연결성을 가지고 이웃 차량들과 협력적인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차량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기능을 클라우드(Vehicular Cloud)로 구성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차량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는 큰 데이터를 처리 함에도 즉시성이 필요하여 차량 인프라와 클라우드와도 협업이 필요하다.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위한 차량 내 클라이언트 환경에서는, 차량의 한정된 자원 제약(예: 낮은 컴퓨팅 성능, 작은 메모리 크기, 높은 이동성으로 인한 통신성능 저하 등)으로 인해 음성인식, 스트리밍, 대용량 컨텐츠 다운로드, 자율주행 등과 같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프론트 엣지와 엣지 클라우드 분산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서는, 차량 클라우드가 기지국이 주체가 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과 기지국 간의 협력적인 컴퓨팅 리소스의 분산 및 차량 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별 초저지연 및 대용량의 연결상태가 서비스 타입을 인지하고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에 엣지(Edge) 기능을 갖는 프론트엣지(FrontEdge)가 탑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분산 수행되도록 하는, 기존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최적화된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 탑재된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공하는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분산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최적화된 새로운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실현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엣지클라우드 장치는, 프론트엣지 장치로부터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기반으로 필터링된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면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클라우드 노드로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프론트엣지 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및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부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인 경우, 상기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데이터는,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 이외의 일반 기능인 경우,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반데이터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및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인 경우, 상기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데이터는,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 이외의 일반 기능인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이 아닌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반데이터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탑재된 엣지 기능을 갖는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공하는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분산 수행함으로써, 한정된 차량 자원을 통해서도 클라우드의 도움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맞은 네트워크 커넥션 구성과,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맞는 분산 처리를 위한 최적화된 새로운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엣지 노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엣지 노드(장치)에서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망 상에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실현해 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의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이하, 앱)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망 상의 가상화 자원을 기반으로 수행하는,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기술)과 관련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앱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앱 서비스로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기존 커넥티드 상황에서 차량간의 통신 인프라와의 정보 제공 등을 위해, C-V2X 기술이 주목 받고 있으며, 이는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 통신,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to-Infrastructure, V2I) 통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V2X와 결합한 커넥티드 카 기술을 통해 저 지연 연결성을 가지고 이웃 차량들과 협력적인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차량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기능을 클라우드(Vehicular Cloud)로 구성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차량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는 큰 데이터를 처리 함에도 즉시성이 필요하여 차량 인프라와 클라우드와도 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차량의 한정된 자원 제약(예: 낮은 컴퓨팅 성능, 작은 메모리 크기, 높은 이동성으로 인한 통신성능 저하 등)으로 인해 음성인식, 스트리밍, 대용량 컨텐츠 다운로드, 자율주행 등과 같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이웃 차량들과의 협력만을 통해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프론트 엣지와 엣지 클라우드 분산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서는, 차량 클라우드가 기지국이 주체가 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과 기지국 간의 협력적인 컴퓨팅 리소스의 분산 및 차량 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별 초저지연 및 대용량의 연결상태가 서비스 타입을 인지하고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에 엣지(Edge) 기능을 갖는 프론트엣지(FrontEdge)가 탑재되도록 구현하여, 차량에 구비된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분산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최적화된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1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서비스망을 통해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요청하는 프론트엣지 노드(100); 프론트엣지 노드(100)로부터 요청되는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수행하되,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과 관련된 경우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코어클라우드 노드(300)와 분산 수행하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 및 엣지클라우드 노드(200)로부터 요청된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수행하여 차량(10)으로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를 통해 차량(10)으로 전달하는 코어클라우드 노드(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프론트엣지 노드(100), 엣지클라우드 노드(200) 및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에 관여하는 네트워크 장치 또는 망 장비가 존재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 장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특정서비스망을 통해 앱 서비스를 요청하는 차량(10)은 다수개(10a,10b,10c...)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차량(10a)으로부터 특정서비스망을 통해 앱 서비스가 요청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차량(10a)은 엣지(Edge) 기능을 갖는 프론트엣지 노드(100a)를 구비하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엣지클라우드 노드(200)는, 엣지망에 위치하여, 프론트엣지 노드(100a)로부터 요청되는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과 관련된 경우, 엣지클라우드 노드(200)는,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코어클라우드 노드(300)와 분산 수행한다.
여기서, 특정 기능은,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기능(예: V2X/C-V2X)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운영자에 의해 설정되는 서비스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엣지클라우드 노드(200)는,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실현해 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한다.
다만, 엣지클라우드 노드(200)는,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보다 차량(10a) 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코어클라우드 노드(300)와 클라우드 기반의 앱 서비스를 분산 제공한다.
이러한 엣지클라우드 노드(200) 역시 다수개(200a,200b...)일 수 있으며, 구성 및 기능은 모두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 상,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를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코어클라우드 노드(300)는, 코어망에 위치하여, 엣지클라우드 노드(200) 마찬가지로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실현해 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한다.
이처럼 엣지클라우드 노드(200)와 코어클라우드 노드(300)에서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차량과 관련된 앱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실현하게 되면, 기본적인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또는 클라우드 컴퓨팅)가 제공되게 된다.
즉, 엣지클라우드 노드(200)와 코어클라우드 노드(300)에 의해 앱 서비스의 데이터 연산 처리가 분산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 전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차량과 기지국 간의 협력적인 컴퓨팅 리소스의 분산 및 차량 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별 초저지연 및 대용량의 연결상태가 서비스 타입을 인지하고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의 앞부분에 위치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프론트엣지 노드(100a)가 차량(10a)에 탑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과 관련된 앱에 대하여 제공하는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프론트엣지 노드(100a)와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에서 분산 수행되도록 한다.
이처럼 프론트엣지 노드(100a)와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간에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이 형성되게 되면, 기존과 달리 프론트엣지 노드(100a)에서 앱 서비스의 특성(기능)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성(기능)에 맞게 해당 서비스망을 결정한 후 앱 서비스의 데이터(예: V2X/C-V2X, 라이브맵, 카메라 스트리밍 등)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엣지 노드(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량(10a) 내 프론트엣지 노드(100a)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차량(10a)에 탑재된 복수의 앱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는 확인부(110)와,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이하,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및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이하,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중 적어도 하나에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서비스인지부(130) 및 엣지연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수신부(130)는, 차량(10a) 내에서 커넥티드 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관리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이하 ADAS)으로부터 차량(10a)과 관련된 앱에 따른 앱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되는 앱 서비스를 인지한다.
여기서, 앱 서비스는,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셀룰러 기반 차량간(C-V2X) 통신과 관련된 제1 앱 서비스, 실시간 지도(LiveMap) 제공과 관련되는 제2 앱 서비스, 실시간 카메라 스트리밍(Camera streaming)과 관련되는 제3 앱 서비스, 및 정보(information)와 오락(entertainment)을 함께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관련되는 제4 앱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앱 서비스에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기술을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 들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서비스수신부(130)는, ADAS로부터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앱 서비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 4 앱 서비스 중 어느 앱 서비스가 요청된 것인지를 인지한다.
엣지연동부(140)는, 확인부(110)로부터 서비스 QoS 기준이 확인되어 앱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되는 해당 서비스망이 결정되면, 해당 서비스망을 통해 앱 서비스의 데이터(예: V2X/C-V2X, 라이브맵, 카메라 스트리밍 등)를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와 공유한다.
이러한 엣지연동부(140)는, 5G 연결(connectivity)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망을 구비한 통신모뎀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망은, 초저지연(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이하 URLLC)과 같이 고 신뢰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1 서비스망과 고 대역폭의 제2 서비스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2 서비스망에는, 광화무선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 Band, 이하 eMBB)와 관련되는 채널, 4G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확인부(110)는, 차량(10a)에 탑재된 복수의 앱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0)는, 서비스수신부(130)로부터 차량(10a)이 요청한 앱 서비스가 인지되면, 앱 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 QoS 기준은, 앱 서비스 별로 QoS를 보장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정보/값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확인하는 파라미터로 사용된다.
즉, 전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서비스수신부(130)는 앱 서비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 4 앱 서비스 중 어느 앱 서비스가 요청된 것인지를 인지할 것이다.
이에, 확인부(110)는, 서비스수신부(130)로부터 제1 앱 서비스가 인지된 경우라면, 제1 앱 서비스가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셀룰러 기반 차량간(C-V2X) 통신과 관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 앱 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여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수신부(130)로부터 제2 앱 서비스가 인지된 경우라면, 확인부(110)는, 제2 앱 서비스가 실시간 지도(LiveMap) 제공과 관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2 앱 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여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서비스수신부(130)로부터 제3 앱 서비스/제4 앱서비스가 인지된 경우라면, 확인부(110)는, 제3 앱 서비스가 실시간 카메라 스트리밍(Camera streaming)과 관련된 것이며, 제4 앱서비스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관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3 앱 서비스/제4 앱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여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결국, 확인부(110)는, 앱(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QoS가 실시간 보장이 중요하거나 또는 앱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연산량이 적고 서비스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 즉 고 신뢰성 서비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하며, 반대의 경우에는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앱 서비스의 기능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확인부(110)로부터 앱 서비스의 기능이 확인되면, 앱서비스의 기능을 기반으로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및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중 적어도 하나에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먼저, 차량(10a)으로부터 요청된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인 경우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어부(120)는,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인 경우,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앱 서비스가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셀룰러 기반 차량간(C-V2X) 통신과 관련된 제1 앱 서비스인 경우, 제1 앱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제어부(120)는,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제1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①).
이렇게 되면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의 수신부(240)는, 프론트엣지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로부터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기반으로 필터링된 서비스의 데이터(특정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의 처리부 내 V2X 서버(210)는, 제1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를 수신하고, 특정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예: 빅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특정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예: 빅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V2X 서버(210)는, 특정데이터가 실시간 보장이 중요하며 서비스 속도가 빨라야 하고 연산량이 적으므로, 코어망 단으로 특정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처럼 V2X 서버(21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프론트엣지노드(100a)의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ADAS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달리, V2X 서버(21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차량(10a)과 커넥티드 카 기술을 기반으로 네트워킹이 형성된 차량(10b)도 함께 공유해야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차량(10a)이 주체가 되어 다른 차량(10b)과 정보(예: 위치, 이동방향, 자원크기 등)를 주고받는 경우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V2X 서버(21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차량(10b) 내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ADAS로도 전달되게 된다.
한편, 특정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예: 빅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 V2X 서버(210)는, 특정데이터가 실시간 보장이 중요하며 서비스 속도가 빨라야 하지만 연산량이 많으므로, 코어망 단으로 특정데이터를 전달하여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내 V2X 데이터 프로세싱 서버(V2X Data Processing Server)(310)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내 V2X 서버(210)로부터 특정데이터를 수신하고,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V2X 데이터 프로세싱 서버(310)는,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 결과를 V2X 서버(210)를 통해 차량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직접 차량의 ADAS로 전달한다.
결국,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데이터는,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인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인 주체인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와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인 코어클라우드 노드(300)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된다.
다른 예로, 앱 서비스가 실시간 지도(LiveMap) 제공과 관련된 제2 앱 서비스인 경우, 제2 앱 서비스 역시 제1 앱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②)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어 제공될 것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차량(10a)으로부터 요청된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이 아닌 경우, 즉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일반 기능인 경우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어부(120)는,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 이외의 일반 기능인 경우,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달리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제2 서비스망(예: eMBB, 4G)을 통해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앱 서비스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관련된 제4 앱 서비스인 경우, 제4 앱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제어부(120)는, 제2 서비스망(예: eMBB, 4G)을 통해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④).
이렇게 되면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의 수신부(240)는, 프론트엣지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로부터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기반으로 필터링된 서비스의 데이터(일반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의 처리부 내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Media Processing Server)(230)는,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를 수신하고,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즉,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는,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존재하면,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는, 미디어 원본을 기반으로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판단결과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내 미디어원본관리서버(320)로 요청한다.
이후, 미디어원본관리서버(320)로부터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수신되면,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는, 미디어 원본을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저장하고, 미디어 원본을 기반으로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에서는 코어클라우드 노드(30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원본을 기반으로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에서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단에서 자신에 저장된 미디어 원본을 기반으로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만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로 전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데이터는,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인 주체인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와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인 코어클라우드 노드(300)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된다.
다른 예로, 카메라 스트리밍(Camera streaming)과 관련된 제3 앱 서비스인 경우, 제3 앱 서비스 역시 제4 앱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기능, 즉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③)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어 제공될 것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프론트엣지 노드(100)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클라우드 노드(200)에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분산 수행, 특히 차량 내 프론트엣지 노드(100a)에서 앱 서비스의 특성(기능)을 확인한 후 앱 서비스의 특성(기능)에 최적화된 서비스망을 결정하여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와 서비스를 분산 수행하게 되므로, 기존과 달리 서비스 별 초저지연 및 대용량의 연결상태가 서비스 타입을 인지하고 수행될 수 있어 그렇지 않은 상황 대비 월등하게 초 저지연/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성능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엣지 노드(장치)의 동작 방법, 특히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10a)의 ADAS로부터 요청된 앱 서비스가 인지되면, 앱 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앱 서비스가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인지를 확인한다(S100-S120).
보다 구체적으로,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ADAS로부터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앱 서비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 4 앱 서비스 중 어느 앱 서비스가 요청된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앱 서비스는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셀룰러 기반 차량간(C-V2X) 통신과 관련되며, 제2 앱 서비스는 실시간 지도(LiveMap) 제공과 관련되며, 제3 앱 서비스는 실시간 카메라 스트리밍(Camera streaming)과 관련되며, 제4 앱 서비스는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관련된다.
이에,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제1 앱 서비스가 인지된 경우라면, 제1 앱 서비스가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셀룰러 기반 차량간(C-V2X) 통신과 관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 앱 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여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제2 앱 서비스가 인지된 경우라면, 제2 앱 서비스가 실시간 지도(LiveMap) 제공과 관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2 앱 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여 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제3 앱 서비스/제4 앱서비스가 인지된 경우라면, 제3 앱 서비스가 실시간 카메라 스트리밍(Camera streaming)과 관련된 것이며, 제4 앱서비스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관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3 앱 서비스/제4 앱서비스의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여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달리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일반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결국,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앱(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QoS가 실시간 보장이 중요하거나 또는 앱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연산량이 적고 서비스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 즉 고 신뢰성 서비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하며, 반대의 경우에는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에 따라 앱 서비스의 기능의 확인이 완료되면,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앱 서비스의 기능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앱서비스의 기능을 기반으로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및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중 적어도 하나에 앱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먼저, 차량(10a)으로부터 요청된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이면(S120의 YES),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앱 서비스의 데이터를 특정데이터로 결정한다(S130).
이후,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앱 서비스가 차량간(Vehicle-to-Vehicle, V2V)/셀룰러 기반 차량간(C-V2X) 통신과 관련된 제1 앱 서비스인 경우, 제1 앱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제1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①).
그러면,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내 V2X 서버(210)는, 제1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를 수신하고, 특정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예: 빅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특정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예: 빅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V2X 서버(210)는, 특정데이터가 실시간 보장이 중요하며 서비스 속도가 빨라야 하고 연산량이 적으므로, 코어망 단으로 특정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처럼 V2X 서버(21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프론트엣지노드(100a)의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ADAS로 전달되게 된다(S170, S180).
이와 달리, V2X 서버(21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차량(10a)과 커넥티드 카 기술을 기반으로 네트워킹이 형성된 차량(10b)도 함께 공유해야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차량(10a)이 주체가 되어 다른 차량(10b)과 정보(예: 위치, 이동방향, 자원크기 등)를 주고받는 경우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V2X 서버(21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차량(10b) 내 제1 서비스망(예: URLLC)을 통해 ADAS로도 전달되게 된다.
한편, 특정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예: 빅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 V2X 서버(210)는, 특정데이터가 실시간 보장이 중요하며 서비스 속도가 빨라야 하지만 연산량이 많으므로, 코어망 단으로 특정데이터를 전달하여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내 V2X 데이터 프로세싱 서버(V2X Data Processing Server)(310)는,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내 V2X 서버(210)로부터 특정데이터를 수신하고,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V2X 데이터 프로세싱 서버(310)는, 특정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 결과를 V2X 서버(210)를 통해 차량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직접 차량의 ADAS로 전달한다.
다른 예로, 앱 서비스가 실시간 지도(LiveMap) 제공과 관련된 제2 앱 서비스인 경우, 제2 앱 서비스 역시 제1 앱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②)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어 제공될 것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차량(10a)으로부터 요청된 앱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이 아닌 경우(S120의 NO), 즉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일반 기능인 경우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앱 서비스의 데이터를 일반데이터로 결정한다(S150).
이후, 프론트엣지 노드(100a)는,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달리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제2 서비스망(예: eMBB, 4G)을 통해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S160).
일례로, 앱 서비스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관련된 제4 앱 서비스인 경우, 제4 앱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제2 서비스망(예: eMBB, 4G)을 통해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④).
그러면, 엣지클라우드 노드(200a) 내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Media Processing Server)(230)는,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를 수신하고,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즉,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는,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존재하면,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는, 미디어 원본을 기반으로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판단결과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코어클라우드 노드(300) 내 미디어원본관리서버(320)로 요청한다.
이후, 미디어원본관리서버(320)로부터 제4 앱 서비스의 일반데이터와 관련되는 미디어 원본이 수신되면,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는, 미디어 원본을 미디어 캐시(Media Cache)(230)에 저장하고, 미디어 원본을 기반으로 일반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처럼 미디어 프로세싱 서버(220)에서 연산 처리된 결과는 프론트엣지 노드(100a)의 제2 서비스망(예: eMBB, 4G)을 통해 ADAS로 전달되게 된다(S170, S180).
다른 예로, 앱 서비스가 카메라 스트리밍(Camera streaming)과 관련된 제3 앱 서비스인 경우, 제3 앱 서비스 역시 제4 앱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기능, 즉 고 대역폭 서비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앱 서비스의 특정데이터(③)에 대한 연산 처리가 수행되어 제공될 것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탑재된 엣지 기능을 갖는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공하는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분산 수행함으로써, 한정된 차량 자원을 통해서도 클라우드의 도움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맞은 네트워크 커넥션 구성과,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맞는 분산 처리를 위한 최적화된 새로운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엣지 노드(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탑재된 프론트엣지(FrontEdge)와 차량에 가까운 위치의 엣지(Edge)에서 분산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별 특성에 최적화된 새로운 하이브리드(Hybrid)한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프론트엣지 노드(장치)
110 : 확인부 120 : 제어부
130 : 서비스인지부 140 : 엣지연동부
200 : 엣지클라우드 노드
300 : 코어클라우드 노드

Claims (13)

  1. 프론트엣지 장치로부터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기반으로 필터링된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면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클라우드 노드로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클라우드 장치.
  2.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및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인 경우, 상기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데이터는,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 이외의 일반 기능인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이 아닌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데이터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
  8.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필요한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서비스 QoS 기준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및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여,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특정 기능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인 경우, 상기 초저지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특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데이터는,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기능이 특정 기능 이외의 일반 기능인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이 아닌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의 일반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데이터는,
    상기 엣지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상기 코어망 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전달되어 분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엣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144173A 2017-10-31 2017-10-31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0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73A KR102102605B1 (ko) 2017-10-31 2017-10-31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73A KR102102605B1 (ko) 2017-10-31 2017-10-31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893A true KR20190048893A (ko) 2019-05-09
KR102102605B1 KR102102605B1 (ko) 2020-04-21

Family

ID=6654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173A KR102102605B1 (ko) 2017-10-31 2017-10-31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2448A (zh) * 2019-08-30 2019-12-13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边缘云系统架构
US10757711B2 (en) 2019-09-23 2020-08-25 Lg Electronics Inc. Vehic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487016B2 (en) 2019-10-31 2022-1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vionics proces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161A (ko) * 2012-12-18 201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017656A (ja) * 2015-07-06 2017-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エッジサーバ及びその方法
KR20170030058A (ko) * 2015-09-07 2017-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161A (ko) * 2012-12-18 201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 멀티미디어 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017656A (ja) * 2015-07-06 2017-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エッジサーバ及びその方法
KR20170030058A (ko) * 2015-09-07 2017-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5-175351*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2448A (zh) * 2019-08-30 2019-12-13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边缘云系统架构
CN110572448B (zh) * 2019-08-30 2020-11-06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边缘云系统架构
US10757711B2 (en) 2019-09-23 2020-08-25 Lg Electronics Inc. Vehic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487016B2 (en) 2019-10-31 2022-1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vionics processing
US11927677B2 (en) 2019-10-31 2024-03-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al navigation using distributed avionics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605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7573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vehicle
US9300733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client-driven server load distribution
US20200288374A1 (en) Mobile data dynamic grouping for connected vehicle and in-vehicle networking
KR102102605B1 (ko)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CN102594875B (zh) 内容分发的方法、装置及接入网设备
WO202112771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in a mec network
US93506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server to terminal and efficiently delivering messages to the terminal
EP3529919B1 (en) Distributed gateways with centralized data center for high throughput satellite (hts) spot beam network
KR20190108371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서비스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US108490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on of transmission power and terminal
CN110063049A (zh) 一种用于将车辆控制与通信业务相结合的接口、车辆控制系统和网络设备
CN110831074B (zh) 一种直连通信的方法、amf、接入网功能实体及计算机存储介质
Zaborovski et al. Heterogeneous multiprotocol vehicle controls systems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20230283664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transport service
WO2021103022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5696231A (zh) 组队方法、电子设备及介质
Zia et al. Technical Challenges in Achieving Ultra-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5G Cellular-V2X Systems
CN112839321A (zh) 一种基于5g车联网中继传输的边缘服务器切换方法
KR102388151B1 (ko)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144025A (ko) 차량용 텔레매틱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25136A1 (en) Predictive reservation of radio cells for interruption-free communication with a data cloud
CN113498040B (zh) 一种停止发送调度请求的方法及装置
Caliandro Multi-Access Edge Computing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aiboon et al. Infotainment data dissemination mechanism using RSU cloud based for vehicular networks
CN110324857B (zh) 一种业务质量数据流的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